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 선박의 통합연동 시스템 개발현황

        박종원,성소영,임용곤,서수진 대한조선학회 2011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11

        1995년부터 미국의 ISIT 프로젝트 및 Smart Ship 프로젝트, 1998년에 시작된 유럽의 PISCES, DISC, COMMAN 프로젝트, 2004년에 시작된 유럽의 MarNIS 프로젝트를 거쳐 최근에는 e-navigation까지 선박의 통합화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선박의 디지털화, 통합화, 자동화, 무인화, IT화, 개방형 등이 적용되면서 디지털 선박, 스마트 선박, 차세대 선박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선박의 통합화가 추진되어 오면서 기존의 시스템의 단독운용 개념은 시스템간 연동운영 및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운용 개념으로 확대되었고, 항해시스템은 통합항해시스템(INS 또는 IBS)을 중심으로 운항과 관련된 시스템과 장비들이 통합되고 있고 추진시스템은 통합제어감시시스템(ICMS, IPMS, IMCS 등)을 중심으로 추진제어, 전력제어, 기타 제어시스템 등이 통합되고 있다. 특히, 미해군은 Smart Ship 프로젝트가 진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더넷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함정의 모든 정보를 통합하여 운용하게 되면서 개방형 구조를 갖는 통합플랫폼과 각 세부시스템에 대한 모듈화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선박의 통합화와 관련하여 선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네트워크 기반으로 통합시켜주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장비에 제공해 주기 위해 개발된 통합연동 시스템에 대한 구성, 개발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 KCI등재

        통합 서비스를 위한 지하매설관 하부 이벤트 정보전달 인터페이스 개발

        Sookwon Chae,Jaesoon Seo,Joonseok Kim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1

        지하매설배간의 실시간 통합 유지관리를 위하여 최상위의 관제 및 유지관리 서버 소프트웨어와 정보전달 체계를 마추기 위해서는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 시티를 끌어가는 국내의 다양한 플랫폼 운영 소프트웨어를 조사하고. 시장 지배력이 가장 큰 플랫폼을 선정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전달 인터페이스에 맞도록 소프트웨어 모듈 개발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 하위 지하매설배관 운영프로그램에 개발된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식하고, 상위 도시통합관제 플랫폼 시스템과 연동하였다. 이 과정에서 하위의 정보(예방, 파손, 누수)가 상위 도시통합 플랫폼 시스템에 전달되어, 정상적인 동작여부를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 for the integraed information management of underground pipelines, each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software must have it's inter-operability. So Many kinds of smart-city integrated platform softwares were surveyed and the best platform software was selected. The interface software module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installed at the test system. Through this test system, when a sub system transfers an event message to the upper integrated server system, the inter-operability test between the upper system and a sub operating system was performed and its operability was resolved.

      • KCI등재

        kt 건물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 BAS 통합연동기술 소개

        유성민,정해주,정대교,김남균,김현숙,김윤기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4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0 No.1

        국내 통신업계 1위 인 kt는 기존에 개발된 건물자동화시스템 (BAS)에 ICT 기술을 활용하여 kt BAS 통합 게이트 웨이 기술개발 하였다. 기존의 건물자동화 시스템의 경우 여러 시스템이 개별로 설치되어 있어 운영의 어려움이 있 어 전문 인력 대상으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이유로 에너지 소비가 큰 대형 건물이외의 건물에는 건물자동화시스 템이 설치되어 있어도 운영의 어려움이 있어 건물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측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 결하기 위하여 중소형 건물대상에 설치된 여러 BAS 시스템들을 통합 할 수 있는 kt BAS 통합 G/W 기술을 개발 하였다. 이 기술의 장점은 첫 째로 여러 BAS 시스템들을 통합운영이 가능하여 관리가 쉽다는 점이다. 그리고 두 번 째로는 통합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한 건물뿐만 아니라 여러 건물 대상으로 하여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운영비 절감이 가능하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기술에 대하여 소개하도록 하겠다.

      • KCI등재

        전자저널의 통합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신은자 한국정보관리학회 2000 정보관리학회지 Vol.17 No.2

        전체 연속간행물 가운데 전자저널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이용자편이형 전자저널 인터페이스 구축은 상대적으로 소홀하다.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전자저널 관리와 인터페이스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한 통합인터페이스 구축에 관한 것이다. 연구를 수행한 결과 여러 통합인터페이스 유형 중 자관의 인쇄형 연속간행물도 함께 검색할 수 있고 전자저널 원문에도 바로 접근할 수 있는 통합목록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의 구현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tremendous growth in electronic journals made it clear that access would be one of the biggest issues confronting libraries seeking to adopt them. While users must be given the freedom to move seamlessly between electronic and paper journals, the most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have not provided a single point access to these yet. This study offers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convenience which permits integrated access to the thousands of electronic and paper ones.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grated catalog can be an appropriate solution that allows the one-stop shopping approach to library's entire collection.

      • KCI등재후보

        통합 서비스를 위한 지하매설관 하부 이벤트 정보전달 인터페이스 개발

        채수권,서재순,김준석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1

        지하매설배간의 실시간 통합 유지관리를 위하여 최상위의 관제 및 유지관리 서버 소프트웨어와 정보전달 체계를 마추기 위해서는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 시티를 끌어가는 국내의 다양한 플랫폼 운영 소프트웨어를 조사하고. 시장 지배력이 가장 큰 플랫폼을 선정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전달 인터페이스에 맞도록 소프트웨어 모듈 개발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 하위 지하매설배관 운영프로그램에 개발된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식하고, 상위 도시통합관제 플랫폼 시스템과 연동하였다. 이 과정에서 하위의 정보(예방, 파손, 누수)가 상위 도시통합 플랫폼 시스템에 전달되어, 정상적인 동작여부를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 for the integraed information management of underground pipelines, each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software must have it's inter-operability. So Many kinds of smart-city integrated platform softwares were surveyed and the best platform software was selected. The interface software module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installed at the test system. Through this test system, when a sub system transfers an event message to the upper integrated server system, the inter-operability test between the upper system and a sub operating system was performed and its operability was resolved.

      • KCI등재

        통합공간이산화 기법을 활용한 하도 - 제내지 연계 수리해석기법 개발: 이론 및 모형

        이재영,남명준,김기영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4

        An integrated hydrodynamic model was developed by fully coupling based on numerical grid applied global discretization scheme for 1D channel and 2D overland domain. Overlapping 1D channel nodes and 2D overland nodes, spatial discretization was performed introducing global grid generation considered relationship between 1D and 2D nodes. In order to simulate the interaction between channel and overland regime, numerical implementation of coupling for water flow equations was suggested by considering the continuity of time dependent water surfaces/fluxes for both regimes. A hypothetical watershed example was used to demonstrate the verification of a coupled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water surfaces were computed in both channel and overland regime, then inducing flooding hydrograph, the spatial inundation extent and depth in the overland regime were predicted. Moreover, it was verified that the model reproduced well return flows to channel as well as the diffusion of inundation flow. 본 연구에서는 1차원 하도 및 2차원 제내지 영역에 대한 통합공간이산화 기법을 적용한 수치격자를 기반으로 두 영역을 동적으로 완전 연계한 통합수리해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1차원 하도 영역의 절점과 2차원 제내지 영역의 절점을 중첩시킴으로써 절점간의상관관계를 고려한 통합수치격자 생성기법을 도입하여 공간이산화를 수행하였다. 또한 두 영역간의 시간별 수위/유동에 대한 상호 연속성을 고려하여 동역학적 해석이 가능하도록 경계면 처리기법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통합수리해석 모형을 가상유역에 대해 모의 수행한 결과 하도 및 제내지에서의 수위를 산정한 후 이에 따른 범람수문곡선을 유도하여 제내지의 침수범위 및 침수심 등을 예측할 수 있었다. 아울러 개발된 1/2차원 통합수리해석 모형을 통해 하도에서 제내지로의 범람유량 확산뿐만 아니라 제내지에서 하도로의 범람 유량 역유입 현상 역시 양호하게 재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통합설계관리의 개념적 틀 및 역량강화 요소 - 건축과 플랜트를 중심으로 -

        김예솔,정영수,Kim, Yesol,Jung, Young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1

        최근 해외공사 수주 증가 및 건설산업의 발주방식의 변화로 인해 관리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획단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 설계, 구매와 관련한 업무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그에 따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설계관리는 설계단계에 국한되어 성과품의 품질을 위한 관리에 치중해 있었으며, 건설생애주기를 포괄하여 정의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포괄적인 관점에서의 설계관리 개념, 범위 그리고 활용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통합설계관리의 개념과 역할을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한 개념적 틀(Framework)을 제안하고, 이러한 개념 요소를 바탕으로 향후 발전 방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플랜트와 건축의 사업특성을 비교하여 실무에서 가장 관심이 높다고 판단되는 건설사업관리 기법 네 가지(공정원가 통합관리, 설계관리, 형상관리 그리고 인터페이스관리)를 선정하였으며, 그 개념 및 활용 범위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설계관리 선행연구 문헌을 조사함으로써 설계관리의 포괄적인 의미 변화와 발전 방향의 모색을 통한 통합설계관리의 틀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이에 대한 타당성 및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각 건설사업관리 기법 등 상관관계 및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현장 방문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제시된 현황 분석 및 개념 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플랜트와 대형 건설 사업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통합설계관리 구현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과 전략적인 활용 방안으로서 설계관리를 위한 효과를 기대한다. Recent diversification of project delivery systems coupled with increasing mega-projects requires highly advanced construction management techniques. Among those techniques, procurement and design management are recognized as being the first priority for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Nevertheless, previous research in design management has been limited to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 design documents at design st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design management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roughout the project life cycl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conceptual framework for integrated design management (IDM). Several different concepts in relation to design management were investigated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major variables of the IDM framework.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ologies was also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key factors of IDM. Finally, an IDM framework was proposed by combining those factors and relevant issues. Based on the proposed framework, a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validate the framework as well as to identity important areas for improving competitive capability of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 KCI등재

        통합 서비스를 위한 지하매설관 하부 이벤트 정보전달 인터페이스 개발

        Chae, Sookwon,Seo, Jaesoon,Kim, Joonseok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1

        지하매설배관의 실시간 통합 유지관리를 위하여 최상위의 관제 및 유지관리 서버 소프트웨어와 정보전달 체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 시티를 끌어가는 국내의 다양한 플랫폼 운영 소프트웨어를 조사하고. 시장 지배력이 가장 큰 플랫폼을 선정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전달 인터페이스에 맞도록 소프트웨어 모듈 개발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 하위 지하매설배관 운영프로그램에 개발된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식하고, 상위 도시통합관제 플랫폼 시스템과 연동하였다. 이 과정에서 예방, 파손, 누수와 같은 하위의 정보가 상위 도시통합 플랫폼 시스템에 전달되어 정상적으로 동작이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for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of underground pipelines, each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software must have it's inter-operability. So Many kinds of smart-city integrated platform softwares were surveyed and the best platform software was selected. The interface software module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installed at the test system. Through this test system, when a sub system transfers an event message to the upper integrated server system, the inter-operability test between the upper system and a sub operating system was performed and its operability was resolved.

      • KCI등재

        통합리모컨의 태스크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가전기기 마크업 언어

        임성수(Sungsoo Lim),조성배(Sung-Ba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7 No.1

        최근 각종 가전기기들이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어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기기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통합되지 않고 각각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기기를 어떻게 제어해야 하는지를 숙지해야 하고, 기기의 기능들이 서로 어떻게 결합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알아야 한다. 하지만 기기제어를 위한 리모컨에는 기기의 복잡한 기능 제어를 위해 사용성이 높지 않은 다수의 버튼이 존재하며 각 기기별로 비슷한 모양의 리모컨들이 존재하므로,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다수의 리모컨을 사용해야 하는 사용자에게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기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제공되는 서비스 작업단위를 태스크로 정의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태스크 단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가전기기 마크업 언어(Home Appliance Markup Language; HAML)를 제안한다. HAML은 태스크 제어에 꼭 필요한 버튼들만을 모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태스크 수행을 위한 기기 설정의 자동화 기능을 제공한다. 시스템 동작 시나리오와 사용성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Recently, various home appliances are inter connected in wired/wireless network to provide a single service, but their interfaces are not uniformly integrated. In order to get a service in such an environment, users have to figure out how to control each appliance and the way of combining its functions with others. Even worse to the users, many buttons are barely used to control the complicated functions of the appliances on the remote controllers, and controllers have very similar shapes in each other. In this paper, based on the definitions of a task as a unit of services provided in the environment of multi-connected appliances, we propose a markup language for home appliances, called HAML (Home Appliance Markup Language), for generating task-based user interfaces to help controlling multi-connected appliances as one pleases.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interfaces by gathering the buttons frequently used and necessary for tasks, and provides automatic settings of multi-connected appliances.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with an analysis of scenarios and usability tests.

      • 해수침투 조사자료의 통합적 해석을 위한 GIS의 적용

        최선영,황세호,박권규,신제현,윤왕중,Choi Sun-Young,Hwang Seho,Park Kwon Gyu,Shin Je-Hyun,Yoon Wang-Ju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0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2 No.3

        국내 연안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해수침투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와 이들 상호간의 자료 통합과 유기적인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수리지구화학, 지구물리탐사 및 수리지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해수침투 연구를 수행하고 있지만, 이들 자료의 공유나 체계적인 관리분야는 초보적인 수준으로 다양한 자료에 대한 검색과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료를 통합하여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정밀조사 지역인 전남 영광군 백수읍 일대에서 획득하고 분석한 지표 및 시추공 물리탐사자료와 수리지화학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ArcView 스크립트어인 Avenue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시추공 3차원 가시화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로 다양한 종류의 해수침투 조사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통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종합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In order to effectively, and accurately assess seawater intrusion in coastal area, multidisciplinary data including geophysical, well logging, and hydrogeochemical data should be managed in systematical way. Such systematical management of data is critical key to improve the re-usability of the data as well as the accuracy of the assessment by means of providing a method of synthetic analysis. Therefore, for systematical management of multidisciplinary data in seawater intrusion problem, we have developed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3-D visualization interface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this, study. All geophysical survey, well logging, hydrochemical, as well as drilling, data are classified as attribute data using Microsoft Access, and joined with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ArcView. The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3-D visualization interface to handle these data, also, developed using the script language of ArcView. We think the development of database and 3-D visualization system will improve the efficiency of data management, user-friendliness of data access, and accuracy of data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