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내 다방향적 의사소통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게시자 전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훈 ( Hoon Lim ),신동우 ( Dong Woo Shin ) 한국소비자학회 2010 소비자학연구 Vol.21 No.4

        커뮤니티 브랜드에 대한 외부의 위협으로 인해 촉발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소비자들간의 다방향적(multi-directional) 의사소통 과정에서는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이 커뮤니티 및 커뮤니티 브랜드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사회정체성 이론의 게시자 전형성과 (열성회원 vs. 신입회원) 댓글의 성향의 (공격적 vs. 정중한)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도출된 예측을 가상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배경으로 한 실험을 통해 검정하였다. 외부의 위협에 대해 열성회원이 공격적인 댓글을 게시했을 경우 커뮤니티 독자들이 1) 댓글을 호의적으로 평가하였으며 2) 커뮤니티 및 브랜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3) 더 낮은 집단 수치심을 보였으나, 4) 열성회원이 공격적인 댓글을 게시하던 혹은 정중한 댓글을 게시하던 커뮤니티 독자들이 느끼는 집단 자긍심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신입회원이 정중한 댓글을 게시했을 경우에 커뮤니티 독자들이 1) 댓글을 호의적으로 평가하였으며, 2) 커뮤니티 및 브랜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3) 더 낮은 집단 수치심을 보이고, 4) 더 높은 집단 자긍심을 가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 결과 집단 자긍심과 집단 수치심은 게시자 전형성의 조절효과를 댓글 평가, 커뮤니티 빛 브랜드 태도에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내 의사소통과정에서의 집단 정체성의 영향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함으로써 마케팅 실무자들이 보다 효과적인 온라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락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Many communications that consumers participate and observe in online communities show multi-directional characteristics of a complicated social network. When community members encounter an outgroup member`s negative posting on the community brand, they often generate very active multi-directional intra-community discussions by placing replies against the negative posting. The current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such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s with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Tajfel 1982 Turner 1987). Self-categorization process of Social Identity Theory describes the underlying cognitive process of group identification, and provides an interesting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intra-community communication process. While the majority of theories on persuasion often emphasizes intra-or inter-individual processes, self-categorization theory provides an alternative framework of persuasion based on the shift in the locus of self-perception from an individual level to a collective level. Such sift in the locus of the self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that can explain why and how characteristics of group membership may influence intra-community communications. The community members would perceive the negative posting as a threat to the core value of their online community. Such identity threat often increases the perceived uncertainty of social life in the online community, and community members would develop various behavioral strategies to manage the impact of the threat. Further, community members would also form shared expectations on how other community members should response to the threat. We propose that group prototypicality, which describes a community member`s representativeness or centrality in the commun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expectations on a community member. Facing the external threat, community members would expect an active member with high group prototypicality should post very aggressive replies that can damage the credibility of the negative posting, and lessen other community members` perceived uncertainty. On the other hand, community members would expect a new member with low group prototypicality should post rather civil replies that can help community members to perceive their community to be more agreeable with the higher level social norms of "Netizenship" behavior. In other words, community members do not expect all the community members should respond to an identity threat in the same way, but rather develop multi-faceted collective strategies to protect their community and the community brand. Depending on the level prototypicality of a community member, community members expect different responses toward the negative posting, and use them strategically to protect positive images of the community and/or manage social uncertainties, Therefore, when a community member`s reply is consistent with community members` strategic expectations, they would evaluate it more persuasive and perceive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brand more favorably than when his/her reply is inconsistent with the expectations. We further propose that the collective emotions of shame and guilt will mediate the moderating effect of group prototypicality to the dependent variables: message persuasiveness, community attitude, and brand attitude. We tested the proposed predictions in an imaginary online community of a notebook computer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hen the writer of a reply was an active community member with high group prototypicality, community readers evaluate an aggressive reply more favorable than a civil one. They also develop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brand when the active community member posts an aggressive reply. Second, when the writer of a reply was a new community member with low group prototypicality, community readers evaluate a civil reply more favorable than an aggressive one. They also develop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brand when the new community member posts a civil reply. 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prototypicality and message aggressiveness influences community readers` collective shame and collective pride. Community readers experience higher level of collective shame when the active member posts a civil reply and when the new member posts an aggressive reply against the threatening posting. On the other hand, community readers experience higher level of collective pride when the new member posts a civil reply than an aggressive one. For the active member`s postings, community read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gressive and civil replies. Fourth,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Muller, Judd. and Yzerbyt 2005) of collective emotions, and the results suggest that collective shame and collective pride partially medi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group prototypicality to the dependent variables. The current research provides interesting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In our experiment, we observ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prototypicality and message characteristics. This finding suggests that multi-faceted social interaction between community members create a high level social network in an online community. and generate a group based source effect. In addition, marketers often attempt to provide continuous influx of positive information through online communities and curtail negative information as much as possible. However, such marketing practice often backfired and consumers were suspicious about the authenticity of the positive information. Our results imply that marketers, instead of providing positive information all the time, may use some types of negative information as a trigger that increase the group cohesion of an online community and build strong brand communities and brand loyalty.

      • KCI등재

        스마트 시티의 CPS(Cyber-Physical System)개념을 적용한 스마트 커뮤니티 센터 계획을 위한 기초 연구

        정휘영 ( Jeong Hwi Yeong ),김용성 ( Kim Yong Se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3

        현대의 쾌적하고 지능적인 도시 생활 및 지역 사회의 도시 활력 및 지역 커뮤니티 증진을 위하여, 노후화된 커뮤니티 센터를 중심으로 재건축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커뮤니티 센터 개발은 물리적으로 확장하는데 그치고, 수평적, 상호작용적인 커뮤니티를 추구하는 스마트 도시로의 발전하는 세계적 시대의 패러다임은 반영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 사회의 이상적 커뮤니티를 위하여 커뮤니티 개발에 대한 개념 고찰 및 현재 커뮤니티 센터 현황 및 발전 양상을 파악한 후, 스마트 커뮤니티가 이상적 커뮤니티임을 인지하여 이를 위한 공간과 방법론에 대한 근거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커뮤니티 센터에 관한 방향성 고찰을 위하여 지역민들에게 커뮤니티 공간 및 스마트 기술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존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부족, 커뮤니티를 위한 소통 공간 필요, 스마트 기술에 대한 선호, 스마트 커뮤니티에 대한 긍정 등의 결과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시티의 핵심 개념인 CPS(Cyber-Physical System)를 적용하여 물리공간에 스마트 기술이 융복합된 스마트한 환경을 지닌 스마트 커뮤니티 센터를 제안하고, 이 곳에서 발생하는 변화들을 건축적(Physical), 서비스(Cyber)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변화 특성을 고찰한 뒤 예상 시나리오 및 기술 실행도를 통해 검토함으로서 본 연구의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근 미래에는 스마트 커뮤니티 센터가 지역 사회의 거점 시설로서 지역민들의 수평적, 상호작용적, 스마트 커뮤니티를 구축함으로서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 역량을 강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The reconstruction of deteriorated community centers is being conducted based on local communities for reinforcing the vitality of city and local communities due to the heightened desire of citizens for pleasant and smart modern urban life. However, such reconstruction focuses on the physical expansion of existing community centers and the paradigm to pursue smart city in global era is not reflected. Therefore, a smart community center where the CPS environments reflecting smart urban life is established to enable active communication in a space combining the physical space and virtual space is suggested for community in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this will reinforce the capability of the local community as the core facility in the city and enable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community and governance. In this study, a change in existing community centers, as well as the concept of a desired smart city and CPS, are analyzed and examined. And in order to redefine a basic study for planning a new form of a smart community center in the near future, the cyber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mong the concept of CPS are redefined and a predictable case scenario is suggested through images and a technical configuration diagram.

      • KCI등재후보

        커뮤니티 개설자에 대한 인식정도와 이용자의 커뮤니티 의식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업 개설형 브랜드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이규완 ( Kyu Wan Lee ),구혜정 ( Hye Jung Ku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3

        이 연구는 이용자들의 브랜드 커뮤니티의 개설자 및 주제에 대한 인지와 브랜드 커뮤니티가 제공하는 촉진요소에 대한 태도가 그들의 브랜드 커뮤니티 의식형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기존연구들은 이용자들이 브랜드라는 공유요인을 기초로 하여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커뮤니티의식을 형성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기존연구들은 브랜드 커뮤니티 개설자가 소비자인지 기업인지를 구별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업이 개설하여 운영하는 브랜드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하여 커뮤니티 의식형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브랜드 커뮤니티를 개설한 주제에 대한 인지정도는 커뮤니티 의식형성과 낮은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관계를 갖는 것은 욕구충족 부분이었지만, 커뮤니티 주제와 유대감, 개설자에 대한 인지정도와 영향력은 의미있는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브랜드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양적 이용정도에 따른 커뮤니티 의식형성은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지만, 질적 이용정도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었다. 따라서 브랜드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질적 이용정도를 높이는 것이 의식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This study, dealing with the sense of community on business online brand community, aims at : to research whether the business online community can make the sense of community on paid brand community of portal web-site. Even though many researches recognize that consumers can form the sense of community on online web site through the shared consciousness of brand. But there are only few studies on the difference between self activity brand community and conscious business brand community. From the finding of the research, we drew conclusion that business online brand community functions partially among the elements of the sense of community(integration and fulfillment of need/ membership/ influence/ shared emotional connection). If consumers take cognizance of an organizer of the brand community, the element of integration and fulfillment of need is the primary element among the sense of community. And it have relation with recognition about organizer. The factor of promotion is relation with the element of integration and fulfillment of need. The elements of membership and shared emotional connection is proved partially. The element of influence is not proved in this study.

      • KCI등재

        커뮤니티 검출(Community Det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양전의 주요 쟁점 확인에 관한 연구

        김윤기(Kim, Yun-Ki) 한국지적정보학회 2018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커뮤니티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경자양전의 주요쟁점들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커뮤니티 검출과 양전 쟁점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2개의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들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숙종 시대의 양전관련 문서들을 수집하여 이들에 대해 언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커뮤니티 검출작업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모듈성 값이 0.43으로 나타나 양전 언어 네트워크는 뚜렷한 커뮤니티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모듈성 값을 기준으로 필터링을 하여 10개의 커뮤니티를 검출하였다. 이 10개의 커뮤니티 중에서 가장 큰 커뮤니티는 커뮤니티 2로 전체 네트워크의 19.6%를 점유하였으며 또한 커뮤니티 1과 커뮤니티 9도 전체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하위 네트워크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전체 네트워크에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커뮤니티들은 커뮤니티 3과 커뮤니티 5로 각각 전체 네트워크의 4.6%와 4.6%를 점유하였다. 각 커뮤니티의 노드들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그 당시의 주요 양전 쟁점들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in issues of the Gyeongja Yangjeon using the community detection algorithm.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ies and previous researches on community detection and Yangjeon, and derived two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llected Yangjeon documents related to the Sukjong era, constructed a semantic network for them, and conducted community detection wo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dularity value is 0.43, indicating that the Yangjeon semantic network has a clear community structure. In addition, 10 communities were detected by filtering based on the modularity value. The largest community among these 10 communities turned out to be Community 2, which accounts for 19.6% of the total network, and Community 1 and Community 9 were also identified as sub-networks that perform important functions across the entire network.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ties that occupy the smallest share in the entire network were Community 3 and Community 5, accounting for 4.6% and 4.6% of the total network,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odes of each communit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y reflect well the major issues of the Yangjeon those days.

      • 국내 커뮤니티 연극의 특징과 문화정책적 함의

        황아람 ( Hwang A Ra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0 한국어와 문화 Vol.28 No.-

        우리나라는 문화정책의 기조가 문화민주화에서 문화민주주의로 전환하는 과정 속에서 일반인의 예술 향유에 대한 문화적 권리 및 일반인의 문화예술활동 참여의 중요성, 지역문화예술의 활성화 등의 이슈가 떠올랐고 커뮤니티 연극이 발전할 수 있는 문화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문화정책의 대상이 점차 세분화되면서 커뮤니티 연극의 의미가 아마추어 예술활동인 ‘생활연극’으로 축소되었다. 그 결과 커뮤니티 연극의 사회적 역할과 윤리적 기능의 측면이 강조되어 온 것에 반해 예술적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다소 부족하였다. 또한 현재 문화정책의 방향이 예술가에 대한 지원과 향유자에 대한 지원이라는 이원화 경향을 보이며 예술성과 공공성이란 대립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커뮤니티 연극이 결국 예술가와 향유자를 동시에 지원하는 전략이라는 점에서, 문화정책에서의 커뮤니티 연극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과 의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여전히 합의되지 않은 커뮤니티 연극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론적,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커뮤니티 연극의 발전과정을 문화정책의 전개 속에서 살펴본 후 대표적인 활동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에서의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커뮤니티 연극의 유형을 참여자가 예술가/예술작품과 관계맺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아 ‘커뮤니티를 위한 연극(수동적)’, ‘커뮤니티와 함께하는 연극(협력적)’, ‘커뮤니티에 의한 연극(자발적)’으로 구분하였다. 커뮤니티를 위한 연극은 문화복지의 관점에서 시민들에게 연극 창작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생활연극의 특징을 보였고, 커뮤니티와 함께하는 연극은 특정 지역에 예술가가 정착하여 지역주민과 협업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예술적 시도와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커뮤니티에 의한 연극은 사회적 소외집단 구성원이 자발적으로 공동체를 구성하여 연극 활동을 함으로써 그동안 억압되어 있던 정체성의 표현과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다양한 가치에 대한 이해를 도모했다는 특징을 보였다. 사례 분석을 끝으로 커뮤니티 연극이 한국 연극계에 제시하는 시사점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modern society, community theatre is considered important because it is an art of social utility. Community theatre can have the effects of self-realization, identity establishment, self-esteem restoration, and healing while drawing personal artistic capacity by actively participating nonartists in the art creation process. Furthermore, it also brings about changes in the local community, such as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spirit and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This social utility ha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theater and increased the number of practical cas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theatre cases in Korea. For the case study, the types of community theatres were classified: theatre for community, theatre with community and theatre by community. Theater for communit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providing non-artists with an experience of theater creation. It gave participants a chance to enjoy the arts in their lives. Theatre with community was important in collabo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artists, local people and citizens. Ultimately, these theatres contributed to regional regeneration. Finally, the-atre by community was helped non-artists of the disadvantaged to assert their rights and their voices on their own. While the social utility of community theaters was emphasized, an artistic evaluation was insufficient. This research also has limitations that did not lead to an analysis of works. Thus, in order for community theaters to giv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the Korean theater field, an artistic evaluation of community theaters will have to be made.

      • KCI등재

        커뮤니티댄스 사례를 통한 로컬댄스 활성화 방안: 미국을 중심으로

        정은주 무용역사기록학회 2020 무용역사기록학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ses of community dance in America and to find out how to revitalize local dance. For this purpose, Marylee Hardenberg,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Mississippi River revival through a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 Pat Granny's Dance program for Prisoner called 'Keeping the Faith' and Brooklyn's Care for the disable in a community dance program by Mark Morris were examined. In conclusion, the methods of activating local dances include first, use of specific places to create site-specific performance, second, development of programs for prisoner which can communicate with local publics and third, development various community dance program for disable. 이 연구는 국내에서 나타나는 커뮤니티댄스에 대한 연구의 일부로서 미국 커뮤니티댄스의 사례를살펴보고 이를 통한 국내 로컬댄스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널드후테라의 『누구나 다함께-미국커뮤니티댄스』에서 거론된 안무가들 중 커뮤니티댄스를 통해서 커뮤니티 안에 속해진 개인의 예술적 경험이나 정체성의 재발견 혹은 힐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맥락에서의 커뮤니티라는 ‘공동체’ 시각에서 환경, 교육, 사회 등과 관련된 ‘의식변화’에 중점을 둔 작업이라판단되는 3개의 다른 지역의 작업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3개의 사례는 미시시피 지역에서 활동하는메릴리 하덴버그(Marylee Hardenbergh)의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을 통한 커뮤니티댄스, 시애틀 지역에서 활동하는 팻 그라니(Pat Graney)의 재소자를 위한 커뮤니티댄스 그리고 브루클린 지역에서 활동하는 마크 모리스(Mark Morris)의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티댄스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국내 로컬댄스의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을 통한 로컬댄스의 활성화이다.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을 통해 커뮤니티라는 공동체가 삶의 터전 안에서 지켜나가야 할 장소, 그리고 그것이 환경보존으로 이어지는 인식을 변화시키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특정대상인 재소자를 위한커뮤니티댄스 교육을 통한 로컬댄스의 활성화이다. 재소자의 개인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와더불어 재범률 가능성을 축소시킬 수 있고 교정시설 주변에 거주하는 커뮤니티의 불안감과 재소자에대한 편견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변화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셋째, 장애의 종류에 따른 다각도의 커뮤니티댄스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을 통한 로컬댄스의 활성화이다. 다각도의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다양한 로컬지역으로 확산시켜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장애인이라는커뮤니티의 사회적 고립을 막고 장애인뿐만 아니라 무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대시킬 수 있을것이다. 이와 같이 미국 커뮤니티댄스의 사례들을 통해 로컬댄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았으며 사례들을참고하여 국내 커뮤니티댄스에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지역의 안무가들이 자신의 커뮤니티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지속해 나간다면 로컬의 특성을 갖는 또 다른 관점의 커뮤니티댄스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공동체와 커뮤니티 박물관: 사회적 역할과 조건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양지연,김혜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4

        The concept of community has been issued in theories and practical ways in the museum world since the 1980s. The issu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and museums have been started from the inquiry into the social roles of museums in forming and restoring community and its identity. Recently, the proper way of government support to facilitate community museums such as the supporting plan for promoting neighborhood(community) museums has been discussed in the cultural policy of Seoul. However, the concept and the roles of community museums have not been thoroughly explored in the academic field of museums. In this aspect,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amine the theoretical concept of ‘community’ and ‘community museum’and analyze the practices of two community museums.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of community museums, this study identifies the concepts and conditions of community museums in an exploratory perspective. The case studies of the Anacostia Community Museum in the United States and Nias Heritage Museum in Indonesia demonstrate that a community museum is a new form of museum established through convergence rather than simple connection of a community and a museum. Based on the analysis of two museums, the unique roles and conditions of the community museu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tive reflection of geographical region, second,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in the overall activities of the museum, third,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identity, fourth, implementation of public activities based on the social relevancy, and finally, performance of intrinsic functions of a museum. The exploration of the roles and conditions of community museums c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further academic and practical discussions on community museums in Korea. 1980년대 이후 박물관 이론과 실천적 차원에서 커뮤니티는 주요 화두가 되었다. 박물관이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공동체 의식의 회복을 위해 어떠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것인가의 문제로부터 시작된 박물관과 커뮤니티와의 관계는 ‘커뮤니티 박물관’이란 새로운 형태의 박물관이 등장하는 흐름으로 이어졌다. 국내에서도 최근 서울시의 마을박물관 구상과 같이, 지역 정책 차원에서 커뮤니티 박물관을 건립하려는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커뮤니티 박물관의 개념과 역할에 대한 이해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커뮤니티 박물관의 개념이 ‘커뮤니티’라는 개념과 ‘박물관’의 개념 사이에서 형성하는 담론과 이슈를 살펴보고, 커뮤니티 박물관의 실제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커뮤니티 박물관의 개념과 조건을 탐색적으로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미국의 애나코스티아 커뮤니티 박물관(Anacostia Community Museum)과 인도네시아 니아스 헤리티지 박물관(Nias Heritage Museum)의 사례는 커뮤니티 박물관이 커뮤니티와 박물관의 연결이 아닌 융합을 통한 새로운 박물관의 모습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 박물관의 특수한 역할과 조건을 살펴보면, 첫째, 지역성의 적극적 반영, 둘째, 박물관 활동 전반에 걸친 주민의 참여, 셋째, 주요 공동체의 특수성과 문제를 드러내고 긍정적 정체성 형성을 돕기 위한 활동의 여부, 넷째, 사회와의 관련성을 전제로 한 공적 활동의 수행, 마지막으로 박물관으로서의 기능을 통한 역할 수행을 들 수 있다. 커뮤니티 박물관 고유의 사회적 역할과 조건에 대한 검토는 한국적 특수성을 반영한 커뮤니티 박물관의 진흥과 적절한 정책적 지원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전제가 될 뿐 아니라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주요 과제가 되고 있는 오늘날의 모든 박물관들에게 의미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회가 참여하는 지역 공동체 운동으로서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정재영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4

        최근 다양한 마을 만들기 운동 중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마을 만들기의 일종으로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건강하게 만드는 주민 주체의 지역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교회가 이러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여기서 지역공동체 운동의 사례로서 굳이 비즈니스를 논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자본주의와 기업의 개념이 지나치게 오염이 되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에서 자본주의는 자본 곧 돈이 중심이 되는 사회를 의미하고, 기업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 목적인 양 이해되고 있다. 최근에는 약육강식의 논리가 아니라 약자를 배려하고 소수자를 존중하는 태도로 기업을 하는 ‘공동체 자본주의’가 현재 자본주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공동체 자본주의는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성경적, 시대적 대안으로, 경제자유와 경제정의의 유기적 조화를 지향한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바로 이러한 공동체 자본주의를 지향한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 사회를 기점으로 주민이 친밀한 유대관계 속에서 주체적으로 운영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 사회에서 잠자고 있는 다양한 자원을 이용하여 자발적으로 지역 문제의 해결에 착수하고, 바로 비즈니스로 성립시키며, 지역사회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일에 지역 교회가 참여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지역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어 있는 외국과 달리 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여전히 부족한 한국 사회의 현실에서 지역 교회가 내부 자원을 활용하여 지원 조직의 역할을 하거나 지원을 하는 것은 지역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글에서는 교회가 직접 소규모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모델과 교회 연합 기관이 대규모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모델, 그리고 교회 연합 기관이 중간지원조직을 만들어서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interest in ‘community business’ as a part of various community-building movements. Community business is one of the methods of community building where the residents are the principal agents in building healthy community through local businesses. This article looks into methods where churches can participate in these community businesses. The reason why business is discussed as an example of local communal movement is because capitalism and the concept of corporation in our society are overly corrupted. In our society, capitalism symbolizes capital, or money-centered society, and corporation is understood to seek profit at all cost as if it is the goal. Lately, ‘community capitalism’ that does not function on the philosophy of the law of the jungle but gives consideration for the weak and respects the minority is rising as a way to overcome current weaknesses of capitalism. Community capitalism as a biblical and periodic alternative supports the organic balance between free economy and economic justice. Community Business supports this kind of communal capitalism. Community Business has its starting point in local community and maintains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residents as it operates independently. Community business aims at utilizing many dormant resources within the local community to voluntarily arrive at a solution to a local problem and establishing businesses to vitalize the local community. It is very meaningful that a local church participates in these things. In a situation where community involvement and interest by the Korean societies is still lacking, unlike other countries where local communities are active, a local church’s support as an organization utilizing internal resources will be a great help to local vitalization. This article presents three models: a church operating directly a small community business; unified church groups operating a large scale business; and unified church groups creating a smaller support organization that will run the community business.

      • KCI등재

        한일 양국의 온라인지역커뮤니티의 재조직화에 대한 비교 연구 -「電子町内会」와 ‘인터넷반상회’를 중심으로

        민주현,안병곤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2 翰林日本學 Vol.0 No.20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지역커뮤니티인「町内会」와 ‘반상회’를 온라인상의 게시판․카페․클럽 등을 통해 형성된 온라인지역커뮤니티로서「電子町内会」와 ‘인터넷반상회’로 재조직화한 것에 대해 ‘지역성’, ‘사회적 상호작용’, ‘공동의 결속’을중심으로 한일 양국의 상대적 특징을 비교 고찰 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지역성’에서 한국과 일본은 모두 인터넷 이용 증가의 추이에 따라 양국의지역을 기반으로 하는「電子町内会」와 ‘인터넷반상회’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있다. SNS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지역커뮤니티 출현은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의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의 존속에 있어 한국이 46개의 폐쇄 및 미갱신 사이트가 있는 반면 일본은 531개로 가상공간이라는 특성상 한국보다 관리가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본은 디지털 리터러시(정보격차) 현상을 줄이기 위한 정보화 교육을 병행하여 온라인지역커뮤니티의 유지 및 활성화에 대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은 새로운 커뮤니티의 단위인 공동주택을기반으로 온라인지역커뮤니티가 생성되는 반면, 일본은 전통적인 지리적 경계인「町」를 기반으로 기존의 명맥을 유지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둘째,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양국 모두가 동호회 등을 이용한 정보교환 및 친목의 형성에 의해 전통적 인간관계를 대체 및 보완하는 현대사회를 반영하고 있다는것이다. 그리고 이미 오프라인상에서 인맥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파급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동호회는 정보교환으로 이루어지는 만남이나 대화가 지속적으로유지될 경우 최종적으로 지역사회의 참여로 연결될 가능성을 지닐 수 있다고 본다. 상대적 특징으로 한국의 ‘아나바다’ 사례는 현재의 경제적,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자원 등의 재활용 소비를 통해 소비주의 현상을 극복하려고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생태적 삶과 공생이라는 현대 미풍양속의 현상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공동의 결속’에서 한일 양국 모두 지역에 관련된 현안이나 행사 등의 정보게시를 통해 주민이 지역사회의 주체로서 참가할 것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으로 지역현안에 있어서 댓글(답글)을 통해공동체 의식 표현과 참여를 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온라인지역커뮤니티는 온라인 공간에서 생성되는 지역커뮤니티로 재조직화된 것이기 때문에 생성과 소멸의 주기가 불명확하다는 것과 IT 기술의 환경적 변수가존재함으로 인해 모든 온라인지역커뮤니티 사이트를 조사할 수 없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이상으로 살펴 본 바와 같이온라인지역커뮤니티로서의「電子町内会」와 ‘인터넷반상회’는 ‘지역성’, ‘사회적 상호작용’ 및 ‘공동의 결속’ 으로 분류한 지역커뮤니티로서 요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으며 지역사회 발전에 매우 유용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활용이 초‧ 중생의 안전의식 고취에 끼치는 영향

        권진석,이효정,신은혜,박소순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5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초‧중생 안전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을 개 발, 활용하여 초‧중생 약 425명이 참여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안전역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커뮤니티맵핑 활동을 통해 초‧중생의 실제 생활주변 위험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고 활동 전‧후 설문조사 를 통해 참가자의 안전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맵핑 툴과 유사 한 기능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편의성, 접근성, 확장성이 있는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통 해 어린이 안전교육의 하나의 콘텐츠로 활용하여 등록된 정보를 활용하고 초‧중생의 안전역량 제고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ducational program for enhance safety capabilit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community mapping application. Method: Developed and utilized a community mapping application that can be easily used for research. After participating in 425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safety competency through survey. Results: Through the community mapping activities,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actual life surrounding risk factors of the earthy life, and it was found through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activity that the safety competence of the participants improved. Conclusion: Investigation of similar related cases of Public Participant Safety Mapping Tool and analysis of their functionalities are conducted, and user demanded functionalities with improved usability·accessability·expandability are derived. Also, the system applied the test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urvey showed that the safety capacity was improved according to Safety Mapping activities. This is proposed as a safety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