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림 일본학DB <아사히신문 외지판 (朝日新聞外地版)> 기사명DB -1936.7~1936.12

        서정완,이의연,이준희,정용준,김정미,신가영,박정화,최형섭,황세림,김지영,김지혜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翰林日本學 Vol.0 No.18

        〈아사히신문 외지판 기사명DB〉는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일본학DB 사업의 하나로, 연구소장이 중심이 되어 기획, 추진하였다. 연구소 연구보조원들이 분류 및 입력 작업을 수행하였다. 1차 입력을 마친 후 두 차례에 걸쳐서 오타와 판독이 어려운 글자 등에 대한 자체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체 구성에 대해서는 심재현 연구원이, 데이터 입력창의 개발과 관리는 최형섭 연구보조원이 담당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성제국대학 일본어잡지 『청량(淸凉)』 발간과 초기 작품 연구: 1920년대 재조일본인 학생의 글에 나타난 < 조선 >상을 중심으로

        김욱 ( Wook Kim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翰林日本學 Vol.0 No.27

        본 논문은 1924년에 개교한 경성제국대학 예과에서 1925년에 발간된 최초의 공식 일본어잡지인 『청량』에 대해 살펴보는 글이다. 개교 1주년을 기념하여 1925년 5월 18일에 제1호를낸 『청량』은 30호(1941)까지 발행되어 16년간 경성제국대학의 주요 잡지로서 역할을 담당하였다. 『청량』은 문예잡지의 성격을 뛰어넘는 종합잡지의 성격을 지녔으며 문예란 이외에도 여러 학교 소식을 전하였다. 경성제국대학은 식민지에 세우는 최초의 제국대학이라는 점 때문에, 설립 당시부터 잡음이 많았다. 조선인에 의한 민립대학 설립의 움직임이 있었지만, 일제가 기존에 논의되던 식민지 제국대학 설립의 논의를 3.1운동 이후에 ‘문화통치’ 정책의 연장선상으로서 조선제국대학 창립위원회를 설립하고 ‘제국’의 대학으로 설립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배경은 『청량』이공식 잡지이자 필진과 편집위원이 조선인.일본인이 공동으로 참여한 ‘내선’학우회 잡지임에도 불구하고 점차 조선인 학생의 참여비중이 줄어드는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이밖에도 『청량』이 불완전한 ‘내선’학우회잡지가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로, 편집후기에도 확인할 수 있듯이 조선인과 일본인이 생각하는 잡지의 지향점에 ‘균열’이 있었던 것. 더불어 경성제국대학이 위치한 조선이라는 장소를 표상하는 방법에 드러나는 두 민족 학생들의 시선에도 또한 균열이 있었던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균열은, 조선인과 재조선일본인이라는 구성원을 가진 경성제국대학의 학생들이, ‘내지(內地)’일본에 있는 학생들과 교류하고 싶다는 공통적인 욕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정작 같은 잡지에서조차 ‘조선’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각에 의해 결국 『청량』이라는 잡지에서 동상이몽의 모습을 보여주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같은 교수의 밑에서 일본어라는 공용어로 공부를 하고, 또한 조선인과 일본인의 엘리트 학생 집단이라는 공통점으로 뭉친 구성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융화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있지만, 한국어 잡지의 창간과 『청량』후기(後期)의 조선인 집필진 수의 감소는 한계성 또한 여실히 보여주고 있었다. This paper is a piece of writing which examines 『Cheong-ryang』, the official Japanese-language magazine which was first published by Keijo Imperial University i1925. Keijo Imperial University was first opened in 1924. 『Cheong- ryang』which published the first issue on May 18th, 1925 to celebrate of the 1st anniversary of its founding got to play the role as the major magazine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for 16 years until the 30th issues were published in the checked data. 『Cheong-ryang』 h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magazine which surpassed the features of the literary magazine and broke the several school news with the literature part. There were a lot of noise in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since it was founded because of the point that it is the first imperial university established in colony. There was a sign of establishment of a private university by a Korean. However, Japan established the organizing committee of Joseon Imperial University through discussion of establishment of the Colonial Imperial University which had been done before in a continuation of the < cultural rule > policy since the March Fist Independence Movement and got to do the university of < the Empire >. This background became one of the causes that Korean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magazine gradually reduced despite 『Cheong-ryang』 was the student union magazine that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jointly participate in the official magazine as the writing staffs and editors. Except this, 『Cheong-ryang』could not helping being the incomplete student union magazine because there were cracks in the aims that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thought of and the different viewpoints which showed in the methods to express the place of Joseon that Keijo ImperialUniversity was located in as shown in the editors’ comments. These different viewpoints resulted in showing the different purposes in the magazine, 『Cheong-ryang』due to the different perspectives to look at ‘Joseon’ even in the same magazine with the common desire that the students in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which consists of the Korean students and the Japanese students who lives in Korea wanted to make an exchange with the students in Japan. The aspect about the possibility of harmony was shown in the magazine in that they studied under the same professors with an official language called Japanese and the Korean and Japanese elite student groups were composed as the common ground. However, foundation of Korean magazines and reduction of the number of Korean writing staffs in the late 『Cheong-ryang』clearly show the limit.

      • KCI등재

        内地-外地を結ぶ書物のネットワークと朝鮮半島の小売書店 :日配時代を中心に

        HIBI Yoshitaka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翰林日本學 Vol.0 No.27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book distribution network to connect the in and outside of Japan before the World War II with a special focus on the distribution network to connect Japan with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foundation of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The study also mentioned the forms of retail bookstor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ose days. The activities of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are recorded in History of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which depicts its detailed history sorted out by the persons concerned later. As its title indicates, it records the overall affairs and organizational changes of the Corporation in a chronological order and makes it difficult to grasp the outlines of certain themes and areas due to the scattered information about them throughout the material. Consulting its records, the present study crossed it with publications issued by it including Communication of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Publishing and Distribution, Promotion of New Books, Promotion of Publication, and others, looked into the actual state of book distribu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examined the actual state of retail bookstores in Joseon. Those investigative efforts helped to understand an aspect of distribution process for books written in Japanes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Japanese Empire. The findings about the progress of book sales were also expected to reveal the contacts, symbiosis, and clash pattern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people. During the war, the Japanese imperialists tried to control every aspect of society. The publishers belonging to an organization had to transform their businesses to follow the national power. The organizations of publishers had themselves in line with the national 50 한림일본학 27집policies and deteriorated into the tools of power, which was forced and, at the same time, voluntary as members of organization. It is a piece of history and the past that is accompanied by criticism and reflection, offering a lesson for modern Koreans. It cannot help being limited, however, to look into only the power and control aspects. The movements of culture moving inside a social device are diverse, and a social system itself can exist and function separate from ideology. The central book distribution system realized by the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for instance, developed into a relay system in Japan after the war. 本論文では、第二次世界大戦以前における日本内地と外地を結んだ書物流通ネットワークの考察を行った。とりわけ、重点的に検討したのが日本出版配給株式会社(日配)成立以降における内地と朝鮮半島とを結んだ流通網である。また関連して、この時期の朝鮮半島における小売書店のあり方についても言及した。日配の活動については、関係者が後年まとめた詳細な歴史『日配時代史』が存在する。ただしこの資料は名前の示す通り、日配全体の業務や組織の変遷を、おおむね編年体で追いかけるものであり、特定のテーマや地域については情報が分散していて輪郭が掴みにくい。今回は、『日配時代史』の記述を参考にしながら、そこに日配が刊行していた冊子『日配通信』『出版普及』『新刊弘報』『出版弘報』他を交差させ、朝鮮半島を舞台とした書物流通の実態に迫り、また日配関連資料である『日配通信』や『出版普及』『新刊弘報』なども取り扱った。また、朝鮮半島の小売書店の実態についても、報告を行い、これらの作業により、日本帝国主義時代末期の朝鮮半島における日本語書物の流通過程の一端が明らかになるとともに、書物の売買を通した日本人、朝鮮人の接触と共棲、衝突のありさまが浮かび上がっていくものと考えている。 戦時国家は、社会を隅から隅まで統制しようとした。出版人たちは、組織に所属していればいるほど、国家権力に沿うかたちに自からと、自からの所属する組織を変え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かくして、出版業の諸団体は国策と一体化し、権力の手先と化した。彼らはそれを強制されて行ったが、しかし同時に組織人としてそれを自主的にも行った。それは批判されるべき歴史であり、反省を引き継ぐべき過去である。そして、現代においてなお顧みるべき教訓でもある。だが、そうした権力と統制の側だけみるのは、時代の一部分でしかあるまい。社会装置の上で駆動する文化の動態は、より多様であり、社会装置そのものはイデオロギーとは別に存続し機能しうる。たとえば、日配が実現した書物の一元配給システムは、戦後日本の高度な取次システムへと引き継がれた。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시가 기요시(志賀潔)와 식민지 조선

        마쓰다도시히코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翰林日本學 Vol.0 No.25

        시가 기요시(1871-1957)는 일본의 저명한 세균학자로 주로 1945년 이전에 활동하였다. 그러나 시가가 연구자로서의 인생 후반의 10여 년 간을 식민지 조선에서 보냈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시가는 1920년에 조선총독부의원장(醫院長) 겸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서 조선에 건너 왔다. 1926년 경성제국대학 개교와 관련해서는 비록 실현은 하지 못하였으나 미국식 기독의학 과 임상의학을 연계하려고 구상하기도 하였다. 이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장을 거쳐 1929년에 는 경성제국대학 총장에 취임하여 1931년 총장으로 퇴직할 때까지 조선에서 활동한 기간은 10 여년에 이른다. 본 논문에서는 학술연구와 식민지주의라는 문제를 체현하는 인물로서 시가 기 요시의 업적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가 기요시는 주관적으로는 가치중립주의적인 학문 태도를 신조로 삼는 학자였으나, 그가 속한 전염병 연구소(후에 기타사토연구소)는 실학적 지향이 강하며, 시가도 결핵과 각기병과 같은 국민병의 조사와 예방 캠페인을 통해서 사회와 접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시가 본인 스 스로는 순수한 학문연구와 국가공헌 이라는 양자 사이에 모순되는 바 없이 한결같다고 생각하 고 있었으나, 식민지조선으로 공간을 옮기면 그러한 그의 생각이 지니는 정치성이 뜻밖의 곳 에서 표면화된다. 시가는 조선에서 서양의학의 보급을 중시하며 조선인 의학자 육성에 힘을 쏟은 한편, 전통 적인 한방의학 (의생)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교화의 대상으로 여겼다. 뿐 만 아니라,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일어난 구보사건(1921년)과 관련 하여서도 일본인 교수의 차별발언에 조선인학생들의 항의에 대해서도 그는 끝내 조선학생을 이해하지 못했다. 또한 경성제국대학시대는 한센병 연구에 주력하였으나, 한센병 치료를 둘러싸고 구미인 선 교사와 조선총독부 간에 헤게모니 경쟁이 일어나자, 시가의 한센병 대책을 둘러싼 언설 또한 1920년대 후반 치료퇴원주의로에서 30년대 초 강제격리주의로 급전환하게 된다. 조선총독부 의 한센병 대책과의 관련이 농후하다.

      • KCI등재

        志賀潔と植民地朝鮮

        松田利彦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翰林日本學 Vol.0 No.25

        시가 기요시(1871-1957)는 일본의 저명한 세균학자로 주로 1945년 이전에 활동하였다. 그러나 시가가 연구자로서의 인생 후반의 10여 년 간을 식민지 조선에서 보냈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시가는 1920년에 조선총독부의원장(醫院長) 겸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서 조선에 건너왔다. 1926년 경성제국대학 개교와 관련해서는 비록 실현은 하지 못하였으나 미국식 기독의학과 임상의학을 연계하려고 구상하기도 하였다. 이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장을 거쳐 1929년에는 경성제국대학 총장에 취임하여 1931년 총장으로 퇴직할 때까지 조선에서 활동한 기간은 10여년에 이른다. 본 논문에서는 학술연구와 식민지주의라는 문제를 체현하는 인물로서 시가 기요시의 업적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가 기요시는 주관적으로는 가치중립주의적인 학문 태도를 신조로 삼는 학자였으나, 그가 속한 전염병 연구소(후에 기타사토연구소)는 실학적 지향이 강하며, 시가도 결핵과 각기병과 같은 국민병의 조사와 예방 캠페인을 통해서 사회와 접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시가 본인 스스로는 순수한 학문연구와 국가공헌 이라는 양자 사이에 모순되는 바 없이 한결같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식민지조선으로 공간을 옮기면 그러한 그의 생각이 지니는 정치성이 뜻밖의 곳에서 표면화된다. 시가는 조선에서 서양의학의 보급을 중시하며 조선인 의학자 육성에 힘을 쏟은 한편, 전통적인 한방의학 (의생)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교화의 대상으로 여겼다. 뿐 만 아니라,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일어난 구보사건(1921년)과 관련하여서도 일본인 교수의 차별발언에 조선인학생들의 항의에 대해서도 그는 끝내 조선학생을 이해하지 못했다. 또한 경성제국대학시대는 한센병 연구에 주력하였으나, 한센병 치료를 둘러싸고 구미인 선교사와 조선총독부 간에 헤게모니 경쟁이 일어나자, 시가의 한센병 대책을 둘러싼 언설 또한 1920년대 후반 치료퇴원주의로에서 30년대 초 강제격리주의로 급전환하게 된다. 조선총독부의 한센병 대책과의 관련이 농후하다. Kiyoshi Shiga (1871-1957) was an eminent Japanese bacteriologist who built his career as a scholar before 1945. However, it is a very little-known fact that he spent ten years of his later life in Japanese-ruled Joseon. Shiga came to Joseon in 1920 as a clinical manager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also Principal of Gyeongseong Medical College. Although he did not complete his plan, he tried to connect American Christian medicine with clinical medicine when Gyeongseong Medical College opened in 1926. His career in Joseon ranged over 10 years; through the medical director of Gyeongseong Medical College to its president in 1929; he retired as president in 1931. This study examines his achievements as a person representing issues about academic research and colonialism. Shiga thought his principle was value neutrality, but the direction of the Infectious Diseases Institute (later the Kitasato Institute) he belonged to was very practical; he came to have a point of contact with society through research into national diseases like tuberculosis and beriberi, and preventive campaigns against the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olitical nature that his thought implied came to the surface within the bounds of colonized Joseon in an unexpected way, though he himself believed that there was no contradiction between his academic research and contribution to the state. While Shiga regarded as important the dissemination of Western medicine in Joseon and made every effort to foster Korean medical scientists, he considered oriental medicine (physicians of the traditional school) as a mere object of reformation. Furthermore, when the Kubo case happened in 1921 during his term of office, he could never understand Korean students’ protest against the Japanese professor’s discriminating remarks toward Koreans. Shiga focused on Hansen’s disease during his period at GyeongseongImperial University . When some hegemonic competition occurred between Western missionaries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over the treatment of Hansen’s disease, his comments on the treatment of the disease showed a sudden change from the hospital treatment principle of the late 1920s to the forced segregation principle in the early 1930s. His involvement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s management over Hansen’s disease was quite substantial.

      • KCI등재

        근대 일본의 학제 편성 양상(1868∼1877) : ‘이학’과 ‘문학’의 비대칭성에 주목하여

        허지향 ( Heo Ji-hyang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9 翰林日本學 Vol.0 No.35

        본고는 1868년부터 1877년까지 구 동경대학의 전신 기관이었던 동경개성학교를 중심으로학제 편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에 관하여 검토한다. 이 때 다음 사항에 주목한다. 첫째, 현재의 ‘이학’과 ‘문학’이라는 대칭성은 언제 생겨났는가? 둘째, 근대로 넘어오면서 ‘理’라는 개념이 특히 학제를 통해서는 어떻게 변모했는가? 본고에서는 한자권에서 최초로 근대 학제를성립시킨 동경대학의 역사에 주목하여 위의 사항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 사실들이 밝혀졌다. 개성소 시기부터 학과목 규정의 표적이 된 것은 서양의 자연과학 및 기계분야 학문이었으며, 이 학문들이 최초의 근대적 학제인 대학규칙 (1870)에서 ‘이과’라는 명칭으로 묶인다는사실, 또한 이 때 ‘문과’ 또한 학과목의 상위 범주로 등장하나, 대학본교와 대학남교 각각에서그 개념이 포함하는 내용이 달랐다는 사실, 애초부터 자연과학 계열의 학제화가 목표였던 전문학교 구상에서 ‘문과’는 곧 사라진다는 사실이다. 근대학제의 정착과정을 살펴볼 때 구 동경대학의 예는, ‘대학’이 서양의 전문학을 가르치는전문기관이며, 이 때의 전문학이란 자연과학 계열 과목을 뜻한다고 규정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성과 특수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특수성이 한자어 ‘理’의 새로운 한자권으로의 편입을 가능케했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academic system was organized around Tokyo Gaesung School, which was formerly Tokyo University from 1868 to 1877. This paper examines how the academic system was organized around Tokyo Gaesung School, which was formerly Tokyo University from 1868 to 1877. At this point, note the following: First, when did the current symmetry of ‘Science’ and ‘Literature’ emerge? Second, how has the concept of ‘理’ changed, especially through the academic system? The above points were reviewed in this paper, paying attention to the history of Tokyo University, which established the first modern academic system in the Chinese character world. The following facts were revealed as a result. Since the time of Kaeseong-so(開成所), the western studies of natural science and mechanical sceince were defined as the subject of course regulation. And these studies were grouped under the name of “Science faculty” in the first modern academic system “University Federation(大学規則)”(1870). Also, the concept of ‘Literature faculty’ was included in the top category of the subject of course, but was different in terms of content between the university’s main school and the university’s south school. Lastly, the ‘Literature faculty’ was about to disappear from the professional school initiative, which was initially aimed at the natural science based system. In looking at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modern university system, the example of the old Tokyo University reveals its historicality and speciality in that it stipulates that the ‘university’ is a specialized institution for teaching Western specialties, and that this specialty means a subject of natural science. This speciality allowed the conversion of Chinese character ‘理’ into new Chinese character worl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