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통제적 양육행동과 공격성의 관계: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

        신현숙,곽유미,김선미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adolescents’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i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al control and adolescent aggression. Nine-hundred fifty-seven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 1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scale, the K-CES-D scale, the impulsivity scale, and the reactive proactive aggression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test the goodness of fit of the mediation models in which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control and adolescents’ aggression is mediated by their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Bootstrapping procedure was applied to test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control affects adolescents’ aggression through either the mediation of depression or that of dysfunctional impulsivity. More importantly, parental control affected adolescents’ depression, which in turn influenced dysfunctional impulsivity, which eventually affected aggression. Furthermore, even when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were taken into account as mediators, the direct effect of parental control on adolescents’ aggression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upport an integrative framework delineating the role of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as multiple mediators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parental control affects adolescents’ aggression. The results also imply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both direct and indirect services in school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prevention for aggressive adolescent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공격성 간 관계에서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남녀 고등학생 957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태도 질문지, 한국판 우울증 척도(K-CES-D), 충동성 척도, 반응적-선제적 공격성 질문지(RPAQ)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통해,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적용하여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공격성 간 관계에서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우울을 매개로 공격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둘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역기능적 충동성을 매개로 공격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셋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우울이 역기능적 충동성에 영향을 미쳐서 공격성에 이르는 경로도 유의하였다. 넷째,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더라도,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변수 간 관계를 부분적으로 검증했던 한계를 보완하여,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에 관련지어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청소년기 공격성에 대한 통제적 양육행동의 직접 효과뿐만 아니라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다는 결과는 공격적인 청소년을 위한 학교심리 개입과 예방에서 부모자문의 간접 서비스와 청소년 대상의 직접 서비스를 병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체력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집중적 운동 수행이 대학생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김하림,정경미,김윤명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8 인지행동치료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체력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집중적 운동 수행이 대학생의 자기통제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집중적 운동을 통한 자기통제 수준의 향상을 충동성 감소의 차원에서 검증하기 위하여, 체력향상을 목적으로 집중적 운동을 실시한 학생들과(집중적 운동집단, n=199)들과 스포츠 활동 중심의 일반 교양체육 수업을 수강한 학생(대조집단, n=156)들을 대상으로 충동성을 측정하는 지연 디스카운팅 과제(delay discounting task)를 학기 전후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중적 운동 집단의 충동성은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대조집단의 충동성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집중적 운동을 통한 자기통제 수준의 향상을 충동성 감소의 차원에서 재검증하고, 이러한 효과가 일상생활에서의 자기통제 행동의 증가로 일반화 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 1과 다른 학기에 체력단련 수업을 수강한 학생(집중적 운동집단, n=193)들과 일반 교양체육 수업을 수강한 학생(대조집단, n=131)들을 대상으로 지연 디스카운팅 과제, 일반적 자기통제 행동 척도를 학기 전후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충동성 감소는 연구1과 동일하게 집중적 운동 집단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의 자기통제 행동 변화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아, 집중적인 운동 수행을 통한 충동성 감소의 일반화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의 연구적, 임상적 함의와 함께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repeatedly performing tasks that involve self-control could improve self-control streng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intensive physical exercise involving long-term health-related goals could enhance self-control among college students. Study 1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nsive exercise on self-control. Changes were measured using a delay discounting task(DDT), a behavioral task measuring impulsivity. College students who took the Intensive Physical Training(IPT) course(n=199) and a less intensive PE course involving a single sports activity (control, n=156) performed the computerized DDT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course. After administering the DDT, significant decreases in impulsivity were observed only in the IPT students. Study 2 was conducted to replicate the results of study 1 as well as explore whether increased self-control via exercise can be generalized to other behavior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PT course(n=193) and the less intensive PE course(n=131) completed the DDT and general self-control behavior questionnaire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course. Results revealed that the impulsivity of only the IPT students decreased significantly, reaffirming the results of study 1. However, no generalization effects were found in other behaviors involving self-control. Clinical and research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충동적 행동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통제 향상을 위한 실행연구

        황지영(Ji-Young Hwang)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8

        본 실행연구는 한부모 가정의 충동적 유아의 자기통제 향상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구립B 어린이집 만 4세의 한부모 가정의 충동적 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선정하여 2018년 3월 12일부터 6월 15일까지 약 3개월 동안 실행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한부모 가정의 충동적 행동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통제 향상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자는 현장방문, 교사면담, 참여유아 선정, 참여유아 행동관찰을 통해 실행연구의 방향이 설정되었다. 실행과정은 1차~3차까지 이루어졌으며, 1차 실행에서는 그림책 읽기에 따른 연계활동을 통해 연구자와 유아의 정서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다양한 상황에 따른 적절한 행동에 대해 이야기 나누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의 반성을 토대로 집단게임과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갈등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상황에 대한 이해와 대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지원하였다. 3차 실행에서는 2차 실행의 반성을 토대로 보다 몰입할 수 있는 집단게임과 활동을 통해 또래관계의 회복과 스스로 자기통제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실행과정을 통해 유아는 자기통제 향상에 있어서 충동억제, 적절한 감정표현, 인지적 왜곡의 탈피의 3가지 범주에서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행과정을 통해 한부모 가정의 충동적 행동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통제 향상을 위해 구체적인 지원이 이루어졌으며, 유아의 자기통제의 향상과 변화의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현장의 개선을 위한 실행과정을 공유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action research is intended to explore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impulsive behavior child’s Self‐control Promotion of a single parentʹs family. For this reason, the “B” day care center in Seoul, Korea selected impulsive four years old child of a single parentʹs family, and collected them for about three months from March 12 to June 15, 2018. The direction of the action research was established through teacher interviews, selection of participating child, and observation of participating child behavior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impulsive child of a single parentʹs family. The implementation was carried out from the first to the third phase, in which the first run involved varying situations of self‐control based on emotional interac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child. In the second execution, based on the reflection of the first execution, the team was able to understand and cope with the situation so that it could properly respond to conflict situations and self‐coordinating through collective group games and activities. The third execution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store peer relationships and selfcontrolling themselves through group games and activities that allow more immersion based on second execution reflecti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showed that child experienced changes in self‐ordination in terms of emotional expression, emotion expression and cognitive distortion. This action research illustrate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behavior of an impulsive behavior childʹs self control ability through systematic and specific support for improving the impulsive child of a single parentʹs family.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충동성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강삼희,홍정미,백양희 한국미술치료학회 2006 美術治療硏究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충동성 감소 및 자기통제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충동성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둘째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자기통제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구미시에 소재하고 있는 W초등학교 2학년 아동 402명중에서, ADHD와 관련하여 개별적인 인지행동 치료를 받았거나 약물치료를 받은 아동은 제외했으며 담임교사에 의해 주의가 산만하고 충동적이라고 관찰된 아동을 중심으로 일차적으로 선정을 하여 다시 ADHD 아동을 판별하는데 널리 쓰이고 있는 행동 평가 척도인 ‘교사용 Conners 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최종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아동들은 무작위로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에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구성한 것으로 주 2회, 10주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충동성과 자기통제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그 유의미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소감문, 연구자와 담임교사의 관찰에 나타난 아동의 행동 변화들을 중심으로 질적 분석을 첨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ADHD 아동의 충동성 감소에 효과적이다(M=13.70, p<.05). 다시 말하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생각보다는 말과 행동이 앞서는 ADHD 아동의 충동적인 행동을 자제시킬 수 있고, 교실상황에서 친구들을 집적거리거나 큰 소리로 떠들고 충동적으로 엉뚱한 대답을 하며 학습과제를 끝까지 성실히 수행하지 못하는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ADHD 아동의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M=22.90, p<.001). ADHD 아동의 행동 특성이 자기통제력의 부족과 관련이 있고 이러한 자기통제력의 부족은 즉각적인 반응을 추구하고 사소한 자극에도 쉽게 산만해지는 행동 양상의 결함 및 낮은 학업 성취,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This study was to show that group art activity had an effect on decreasing children's impulsiveness and improving children's self-control. The followings were the concret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it was to find out whether group art activity program had an effect on decreasing children's impulsiveness. Second it was to find out whether group art activity program had an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self-contr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2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umi city. They were chosen among children who had not experienced any kind of therapy for ADHD. They were selected among children who could be considered impulsive or inattentive by teachers. Then the subjects who were finally chosen after using "Conners evaluation measure for teacher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en as a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ten as a control group. The group art activity program used to this study was properly modifi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n it was adopted twice a week for ten weeks. By using SPSS/PC, a pre and post test on impulsiveness and self-control of the two groups was conducted, producing mean and standard derivation. And T-test was also used for finding out degree of meaningness. In addition, records of observation of their behavior changes drawn by teachers were describ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e result. First, group art activity program has an effect on decreasing children's impulsiveness(M=13.70, p<.05). In other words, group art activity program can control impulsive behaviour of children with ADHD, such as speaking loud in a class, saying incorrect answers, and lacking sincerity in doing tasks. Second, group art activity program has an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self-control(M=22.90, p<.001). Deficiency in self - control which influences children's behavior leads to deficiency in behaviors, like wanting immediate respond or being vulnerable to be careles

      • KCI등재

        자기관리수업을 통한 충동성의 감소가 건강증진 행동 및 전반적인 다양한 자기통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지현,정경미 한국건강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개설된 자기관리 수업이 첫째, 수강생들의 목표행동의 개선과 충동성 감소에 효과적인지 확인하고, 둘째, 목표로 하지 않았던 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일반화)를 목표행동 유형(운동, 식습관, 학습, 긴장습관, 기타 행동)에 따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변화가 충동성의 감소로 인해 발생했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한 대학교에서 자기관리 수업을 수강하면서 행동수정 프로젝트를 수행한 128명이었다. 수강생들은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자기보고식 충동성 척도와 충동성 측정 행동과제인 지연 디스카운팅 과제(delay discounting task), 그리고 음주, 운동, 식습관, 학습, 시간관리 분야에서의 자기통제력을 측정하는 일반적 자기통제행동 척도에 응답하였다. 그리고 수강생들은 한 학기 동안 목표행동을 정하고 행동수정 프로젝트를 통해 자신의 행동 변화를 직접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 수강생의 63%가 자기관리 수업을 통해 성공적으로 목표행동을 달성하였다. 그리고 목표행동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목표행동을 달성한 집단은 다양한 분야의 자기통제행동의 향상과 충동성의 유의한 감소를 보고하였다. 다음으로, 적어도 운동과 식습관 집단에서의 충동성의 감소는 자기통제의 일반화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충동성의 향상이 다양한 자기통제행동의 개선으로 이어짐을 보여주며, 자기통제력의 일반화를 시사한다. 이와 같은 의의와 더불어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 college-level self-management (SM) course in improving a target behavior and reducing impulsivity, 2) investigate improvements in other non-target self-control behaviors(generalization of self-control), and 3) determine whether change in impulsivity could predict the generalization of self-control. A total of 128 College students who took the SM course were included. Participants completed the computerized delay-discounting task, self-report impulsiveness scale, and general self-control behavior questionnaire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course. After participants had defined their target behaviors, they self-monitored and recorded their behaviors everyday throughout the course. Results revealed that 63% of the participants successfully changed their target behaviors after the course. Although differing depending on the type of target behavior, thoes who successfully changed their target behaviors reported decreases in impulsivity and increases in other self-control behaviors such as physical exercise, healthy diet, study habits, and time management, after the course. Furthermore, the decrease of impulsivit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generalization of self-control in the exercise and diet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reduced impulsivity is related to improvements in a target behavior and general self-control behaviors in other spher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작은 사치 동기가 역기능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허창구,유경빈,성민지,윤정빈,이가영,오세림,서우영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1 No.2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mall luxury (self-reward, self-comfort, show-off) and dysfunctional consumption behavior (impulsive buying, compulsive buying) of college student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which acts as a deterrent factor in the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small luxury motivations and self-control, self-reward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lf-control, but self-comfort and show-off reduced self-control significantl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dysfunctional consumption behavior, self-control showed the function as a deterrent factor to reduce impulse buying and compulsive buying.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ll luxury and dysfunctional consumption behavior, self-reward showed direct effect on both impulse buying and compulsive buying, but not all indirect effect through self-control. And, self-reward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impulse buying, only indirect effect through reduction of self-control,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obsession buying. Especially, show-off showed indirect effect through the reduction of self-control as well as direct effect in both impulse buying and compulsive buying.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if ‘small luxury’, which is considered to provide satisfaction and pleasure to individuals who were under realistic economic constraints, is repeated without any other solution, it can be developed into dysfunctional consumption behavior through direct or indirect paths. In the discussion, we interpreted the because of the different influences of small luxury motivations to self-control, impulsive buying, and compulsive buying, and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작은 사치(자기보상, 자기위안, 과시)와 역기능적 소비행동(충동구매, 강박구매)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억제요인으로 작용하는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가지 작은 사치 동기와 자기통제력의 관계에서 자기보상 동기는 자기통제력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자기위안 동기와 과시 동기는 자기통제력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통제력과 역기능적 소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은 충동구매와 강박구매를 감소시키는 억제요인으로써의 기능을 보여주었다. 셋째, 작은 사치와 역기능적 소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보상은 충동구매와 강박구매 모두에 직접효과를 보여주었으나 자기통제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자기위안 동기는 충동구매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기통제력 감소를 통한 간접효과만을 보여주었고, 강박구매에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모두 보여주었다. 과시는 충동구매와 강박구매 모두에서 직접효과는 물론 자기통제력 감소를 매개로한 간접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는 현실적인 경제적 제약 하에서 억제되던 소비욕구를 해소하는 방편으로서 개인에게 만족과 즐거움을 제공한다고 여겨지는 ‘작은 사치’ 소비형태가 다른 해소방안 없이 반복되게 될 경우 직·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결과적으로 역기능적 소비행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며, 특히 작은 사치가 과시 동기에 의해 반복될 경우 그러한 부정적 효과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 하겠다. 논의에서는 작은 사치 하위 동기들이 자기통제력 및 역기능적 소비행동과의 관계에서 보여준 상이한 관련성에 대한 해석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건조함의 메타포가 소비자의 충동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의 매개효과 및 지각된 에너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시내,민동원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Effect of Dryness Metaphor on Impulsive Behavior:Focusing on the Mediation of Self-control andModerating Role of Perceived EnergySinae Lee & Dongwon Min Abstract: Impulse buying, one of the impulsive behaviors shown by consumers in various marketing fields, has been deeply explored with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In this process,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described impulse buying as an irrational, dangerous, and wasteful tendency, which unfortunately does not reflect the unpredictability of the shopping situation or the external environment. Due to this, although not very focused among other researchers, this study concentrated on sensory stimuli received in consumption situations. Specifically, we invested the process in which self-depletion induced by ‘activation of concepts related to the metaphor of dryness’ weakens self-control and leads to impulsive behavior. As a result, the ignition of concepts (i.e., impulse purchase) through simulation turned out to break self-control and affected impulsive behavior (i.e., impulse purchase), and in this process, the modulating effect of subjectively perceived energy was revealed. Combing the study, a strategy for impulsive behavior, a social issue caused by COVID-19, was verified. Key Words: Dryness Metaphor, Thirst, Impulsive Behavior, Self-control, Perceived Energy 건조함의 메타포가 소비자의 충동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자기통제의 매개효과 및 지각된 에너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이 시 내*ㆍ민 동 원** 요약: 소비자의 충동적 행위 중 하나인 충동구매는 다양한 마케팅 분야의 연구들에서 탐구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를 비합리적이며 위험한, 낭비적 성향으로만 설명하는 것은 쇼핑상황이나 외부 환경의 불예측성이 반영되지 않은 결과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연구들에서는 크게 다루어지지 않았으나, 소비 상황에서 받게 되는 감각 자극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건조함의 메타포와 관련된 개념의 활성화’로 인한 자아고갈이 자기통제를 약화시켜 충동적 행위에 이르게 하는 과정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개념(예: 갈증, 피로함)의 점화가 자기통제를 무너뜨려 충동적 행위(예: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주관적으로 지각된 에너지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이에 해당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이슈인 충동적 행위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건조함의 메타포, 갈증, 충동적 행위, 자기통제, 지각된 에너지 □ 접수일: 2022년 1월 13일, 수정일: 2022년 2월 3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단국대학교 경영학부 강사(First Author, Lecturer, Dankook Univ., Email: snlee@dankook.ac.kr)** 교신저자, 단국대학교 경영학부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ankook Univ., Email: dwmin@dankook.ac.kr)

      • KCI등재

        어머니의 의사소통 방식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사회적 적응 및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현경(Jung, Hyun-Kyung),최윤희(Choi, Yun-Hee),김영희(Kim, Yeong-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의사소통 방식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사회적 적응 및 부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아 유아의 사회적 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어머니와 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측면에서 탐색하여 유아교육과 부모교육 및 상담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S시와 D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기 자녀(만 3-5세)를 둔 어머니 335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1.0 Program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유아의 자기통제, 사회적 적응, 사회적 부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유아의 충동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폐쇄형 의사소통은 유아의 자기통제, 충동성, 사회적 부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자기통제와 충동성은 사회적 적응, 사회적 부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개방형 의사소통과 폐쇄형 의사소통은 유아의 자기통제와 충동성을 통해 사회적 적응, 사회적 부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어머니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 및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는 어머니의 폐쇄형 의사소통이 유아의 자기통제와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머니의 개방형 의사소통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부정적 의사소통을 보다 비중 있게 다루어야 함을 부각시켜 준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자기통제가 사회적 적응에, 유아의 충동성이 유아의 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력이 크게 나타나 유아의 사회적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의 자기통제를 높이고, 충동성을 감소시키는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 s communication pattern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on social adjustment/maladjustment. The data was gathered from 335 mothers with 3-5-year-old children from six different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Models were analyzed via an analysis of correlation matrix in the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 s open communication had direct effects on children’s self-control, social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while it did not directly affect children’s impulsivity. Second, mother s closed communication directly affected child s self-control, impulsivity, and social maladjustment while it did not directly affect children’s social adjustment. Third, self-control and impulsivity of children had direct effects on social adjustment and social maladjustment. Fourth, mother s open communication and closed communication ha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 s social adjustment and social maladjustment through children s self-control and impulsivity. In other words, children’s self-regula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 s communication, children s social adjustment, and social maladjustmen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e significance of mothers’ communication patterns as well as children’s self-regulation to alleviate children’s social maladjustment.

      • KCI등재

        초등학생의 수업참여에서 자기통제의 역할

        임효진(Hyo Jin Lim)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자기통제가 수업참여에 미치는 역할을 탐색하고자 하였고, 선행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자기통제의 요인으로 만족지연, 충동성 억제, 과제지속과 행동통제를 포함한 뒤, 내·외적 특성을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이 수업참여에 미치는 차별적 예측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모형을 설정함에 있어서 자기통제의 기질적인 특성은 만족지연과 충동성 억제, 그리고 행동적 특성은 과제지 속과 학습행동통제로 간주하고, 특히 행동적 수업참여에 미치는 효과는 학습과 관련된 직접적인 활동이라는 가정 하에 이들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초등학교 4-6학년의 학생 21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은 자료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매개와 완전매개모형을 비교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자기통제의 내적 특성은 외적 행동들을 통해 수업참여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족지연은 과제지속과 학습행동통제를, 충동성 억제는 학습행동통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과제지속이 높을수록 수업참여의 수준이 높았다. 또한 경로들의 특정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만족지연이 과제지속을 거쳐 수업참여에 미치는 효과만이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통제가 수업참여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서 만족지연과 과제지속의 설명력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trol in their classroom engagement. Based on prior research, self-control included delay of gratification, impulse control, task persistence and learning behavior control. I specifically investigated discriminant predictability of factors of self-control on classroom engagement in terms of internal (e.g. delay of gratification, impulse control) and external (e.g. task persistence, learning behavior control) level of control. A total of 215 4 th to 6 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analyze data.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 fit data well and internal factors of self-control positively predicted classroom engagement mediated by external factors of self-control. Specifically, students who demonstrated higher delay of gratification showed higher task persistence and learning behavior control.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specific indirect effects revealed that the path from delay of gratification to classroom engagement via task persist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 meaning that task persist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lay of gratifica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각된 통제 결핍 소비자들에게 나타나는 비약적 결론내리기에 관한 연구

        이선민(Lee, Seon Min),전승우(Chun, Seungwoo),류강석(Ryu, Gangseog) 한국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연속적으로 제시되는 정보탐색 과정에서 통제 결핍을 지각한 소비자가 보이는 비약적 결론내리기 편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개인적 통제의 결핍을 지각한 소비자들이 보상적 통제(compensatory control: Kay, Whitson, Gaucher, & Galinsky 2009)의 일환으로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환상의 규칙(illusory pattern) 을 더 잘 인식한다는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망상증 환자들에게 주로 나타나는 비약적 결론내리기 편향이 통제결핍을 지각한 소비자들에게도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비약적 결론내리기는 추론 편견(reasoning bias) 중 하나로 외부적으로 주어진 관련 정보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적은 양의 정보만을 가지고 성급한 의사결정을 하는 경향을 뜻한다. 연구 1에서 낮은 통제를 지각한 참여자들이 비약적 결론내리기 편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편향은 예측가능성에 대한 선호가 높은 개인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낮은 수준의 통제를 지각한 참여자들이 비약적 결론내리기 편향을 보이는 두 가지 이유로 인지능력 저하와 높은 충동성을 제안하고 이에 대해 실증하였다. 실험 결과, 통제 결핍을 지각한 참여자들은 인지적 고갈을 느꼈지만 오히려 충동성은 낮아졌다. 두 연구를 통해 의사 결정을 위한 정보 탐색 맥락에서 개인적 통제를 낮게 느낀 참여자들이 중립적 혹은 높은 통제를 느낀 소비자들에 비해 적은 양의 정보를 탐색하고 성급하게 의사 결정을 내리지만 반드시 더 많이 구매를 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동기화된 인지(motivated cognition)이론과 자원보존이론(resource conservation theory)에 따라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depleted control on consumers’ jumping-to-the-conclusion bias in the sequential information search process. Based on the result of previous research about illusory patterns perceived by individuals who feel low control(Kay, Whitson, Gaucher, & Galinsky 2009),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ontrol depletion causes consumers to have a jumping-to-conclusion bias. JTC is closely related to the delusion-proneness and a type of reasoning bias which induces a tendency to reach an unwarranted decisions without considering every externally given information. It, in turn, results less information seeking through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Study 1 confirmed that control depletion indeed induces JTC. The high preference for predictability alleviates this bias. Study 2 investigated why this bias has occurred. Two alternative accounts, one for cognitive resource depletion and the other for high impulsivity, have been suggested and tested.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felt resource depletion, but their impulsivity has been lowered more than their counterparts who felt high or neutral level of control. These results provide an explanation about an association between JTC bias and control depletion: Consumers who feel low level of control seek less information through the decision making process but they don’t necessarily make a purchase decision impulsively. We discuss these results in the perspectives of motivated cognition and resource conservation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