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카네티의 『다른 소송』에서 카프카 읽기

        신현숙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9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8 No.-

        Die Auseinandersetzung Canettis mit Kafka währte sein Leben lang. Das im Jahr 2019 erschienene Buch P rozesse. Über Franz Kafka zeigt dieses, indem es bekannte und bisher unbekannte Texte, unter anderem Aufzeichnungen aus Canettis Nachlass, zusammenführt. Die erste Lektüre von Kafkas Literatur fand während Canettis Studienzeit im Wien d er 1 930er Jahre statt. Eine weitere intensive Phase erfolgte von 1967 bis 1968, die als seine Kafkazeit bezeichnet werden kann. Hier beschäftigte sich Canetti ausgiebig mit Kafkas Briefen an seine ehemalige Verlobte Felice Bauer. Er ist von dieser 1967 veröffentlichten privaten Korrespondenz derart beeindruckt, dass er im Jahre 1968 einen eigenen Essay dazu verfasst: D er andere Prozeß. Kafkas Briefe an Felice. Dieser a ndere Prozeß i st als Studienobjekt sicherlich attraktiv, weil gleich zwei hochkarätige Schriftsteller beteiligt sind und weil Canettis Einschätzungen und Werturteile auch den Blick auf ihn selbst erweitern helfen. Dabei ist es naheliegend, Canettis literarisches Hauptthema der Macht als Richtschnur und Spiegel der Untersuchungen heranzuziehen. Diesem Ansatz soll der vorliegende Aufsatz allerdings nicht folgen. Vielmehr soll Canetti als Leser betrachtet werden. In den Briefe[n] an Felice Bauer findet er den persönlichen ‘anderen’ Prozess zwischen ihr und Kafka. Durch seine Einfühlung gelangt Canetti zur Einsicht, dass Kafkas charakteristische Natur wie seine Unentschlossenheit, Verstocktheit oder sein gezieltes Schweigen, die eine erfolgreiche Beziehung zu Felice unterbindet, in seine Literatur wie in den Prozeß mündet. Canettis Lesekunst liegt darin, dass er Kafkas Leben und Werk nicht unterscheidet. Er nimmt ihn ganz in sich auf und fühlt dadurch vollständig d ie dichterischen Prozesse Kafkas. Dieses ermöglicht es Canetti, die dichterischen Prozesse bei sich selbst zu finden. 2019년에 출간된 『소송들. 프란츠 카프카에 대하여』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카네티는 평생 동안 카프카와 씨름해 온 작가이다. 이 책은 이미 알려진 글들도 포함해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무엇보다도 카네티 유고에서 나온 그의 비망록들을 처음으로 선보이고 있다. 그가 카프카 문학을 처음으로 접한 때는 1930년대 빈 대학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카프카에 본격적으로 몰두한 시기는 1967년에서 1968년 사이로 카네티의 카프카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이 시기에 그는 약혼녀 펠리체 바우어에게 보내는 카프카의 편지들을 집중적으로 읽게 된다. 1967년에 출간된 이 사적인 편지들에 매료된 그는 1968년 『다른 소송. 펠리체에게 보내는 카프카의 편지들』이라는 수필을 쓰게 된다. 『다른 소송』은 탁월한 두 작가가 관여되어 있고 아울러 작가 카네티의 평가와 가치판단으로 카프카에 대한 시야를 넓힐 수 있어 이미 연구대상으로서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 카네티 문학의 주요테마가 ‘권력’인만큼 대부분의 연구들의 방향성과 초점이 여기에 맞추어져 있다. 본고는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오히려 카네티가 독자로서 카프카를 어떻게 읽어나가고 있는지 고찰해가고 있다. 카네티는 『펠리체 바우어에게 보내는 편지들』에서 카프카와 펠리체의 사적인 다른 소송을 발견하게 된다. 그에 따르면, 펠리체와의 관계에 장애가 되었던 카프카의 특징적인 천성과 기질, 즉 우유부단함, 완고함 혹은 (고의적인) 침묵은 『소송』과 같은 작품들에 흘러들어갔다. 카프카의 개인적인 삶과 문학이 분리되지 않는다는 이러한 인식은 그를 감각적으로 경험하고 구체적으로 공감하는 카네티의 읽기에 기초하고 있다. 카네티의 카프카 읽기는 다시 말하면, 그의 내적인 삶을 따라가며 그의 시적 과정의 본질에 가까워지는 과정이다. 동시에 카네티 자신의 작가적 삶을 새로이 읽게 해주는 과정들이기도 하다.

      • KCI등재

        PERMA 관점을 응용한 대학생 웰빙의 다차원 요인구조 검증

        신현숙,김나영,김민재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ultidimensional factor structure of well-being consisting of PERMA in Seligman(2011)’s well-being theory and to test the effect of well-being on subjective happiness. Conducting Mplus 7 on questionnaire data from a sample of 307 college students in G city, 4 models including 15 PERMA-profiler items as measured variables were compared: (a) a unidimensional model, (b) a 5-factor correlated model, (c) a second-order model, (d) a 5-group bifactor model. Two models consisting of 2 factors (functioning well, feeling good) were also compared. In contrast to prior studies supporting the 5-factor correlated model without testing alternative model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2-group bifactor model (consisting of a general factor and the 2 group factors) fit the data best after comparing 6 models. All of the 15 items were significantly loaded on the general factor, all of the 8 functioning well items and 5 out of 7 feeling good items significantly loaded on the corresponding group factor. With other factors controlled in the 2-group bifactor model, the general factor and the feeling good group factor significantly predicted subjective happiness but the unique effect of the functioning well group factor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support the presence of the strong general factor and imply that functioning well without feeling good may not lead to subjective happiness and the total score as well as 2 factor scores of the PERMA-profiler may be used. 이 연구의 목적은 Seligman(2011)이 제안한 웰빙 이론의 PERMA 관점에 비추어 웰빙 구인의 다차원 요인구조를 검증하고, 웰빙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G광역시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07명의 설문자료를 Mplus 7로 분석하였다. PERMA-프로파일러 15문항 점수를 각각 측정변수로 하는 단일요인 모형, PERMA 5요인(긍정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을 잠재변수로 설정한 5요인 상관 모형, 2차 모형, bifactor 모형과 2요인(효과적 기능, 좋은 기분)을 잠재변수로 설정한 수정모형을 비교하였다. 5요인 상관 모형만 검증했던 선행연구와 달리,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일반요인과 두 개의 집단요인으로 구성된 2요인 bifactor 모형이 자료에 가장 적합하였다. PERMA-프로파일러 15문항이 일반요인에 수렴되었고, 이 가운데 8문항은 효과적 기능 집단요인에, 나머지 7문항은 좋은 기분 집단요인에 수렴되었다. 2요인 bifactor 모형에 외적 변수(주관적 행복)가 추가되면, 집단요인들이 통제된 상태에서 일반요인이 주관적 행복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다른 요인들이 통제된 상태에서 좋은 기분 집단요인이 주관적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효과적 기능 집단요인의 고유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 표본에서 웰빙 일반요인이 강력하고, PERMA-프로파일러의 총점과 두 집단요인 점수를 모두 산출하여 해석하는 것이 대학생 웰빙의 이해에 유용하며, 기능적 성취만으로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Diskurs über die Funktion der Kunst in Thomas Bernhards『Die Macht der Gewohnheit』- Unter Einbeziehung von Schillers Kunstbegriff

        신현숙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09 독일언어문학 Vol.0 No.43

        토마스 베른하르트 (1931-1989)는「오스트리아 국가 문학상」(1968),「게오르크 뷔히너 상」(1970),「그릴파르처 상」(1972) 그리고 세계 문학상인「프레미오 몬델로 상」(1983) 등 그의 화려한 수상경력이 말해주고 있듯이 이미 생전에 조국인 오스트리아를 비롯한 독일어권 나라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비독일어권 국가들에서도 성공적인 작가로 부상하였다. 이러한 성공과는 대조적으로 때로는 정치적, 사회적 스캔들에 휘말리고 때로는 개인이나 단체들로부터 지탄을 받으면서 끊임없이 세인의 주목을 받았던 작가가 또한 베른하르트이기도 하다. 이는 부정적이고 공격적인 경향을 띠고 있는 그의 문학적 테마들에 기인하기도 했지만 주위 사람들 뿐 아니라 각계각층을 향한 모욕적인 언사와 적대적인 조소로 베른하르트 자신 스스로가 초래한 것이기도 했다. 작가로서 세인의 관심을 끌고자 했던 것이었다는 오해의 여지도 없지는 않다. 2009년은 베른하르트가 심부전으로 사망한지 거의 10년이 되어가는 해이다. 처음으로 그의 미발표 유고 작품들 중 한편이『내 상들』이라는 제목으로 최근에 출간되었다. 베른하르트가 1980년에 썼던 자서전적인 이야기로서, 현재 이 책에 대한 반응들만 보아도, 그것이 호의적인 혹은 적대적인 비평이건, 그가 여전히 세인의 관심을 끌어 모으는 작가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베른하르트는 살아 있는 동안 5부작으로 된 자서전을 자신의 독자들에게 내 놓았다.『원인』(1975),『지하실』(1976),『호흡』(1978),『추위』(1981) 그리고『한 아이』(1982)가 바로 이에 속한다. 미혼모의 아이로 태어나 불행한 유년시절과 암울한 청소년 시절을 겪었으며 젊은 시절에는 심지어 폐결핵에 걸려 죽음과 싸워야 했었던 고통과 시련의 나날들 그리고 수년 동안의 요양소 생활 등 아픔으로 점철된 베른하르트의 인생 역정을 엿볼 수 있는 책들이다. 대다수의 비평가들은 질병과 고립, 극도의 절망과 파괴와 같은 어둡고 부정적인 주제들을 다루고 있는 베른하르트의 문학세계가 바로 그의 삶 속에서 묻어나온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한다. 그런 베른하르트가 직접 희극이라고 칭했던 작품들이 있다. 드라마『습관의 힘』(1974)과『은퇴를 앞두고』(1979) 그리고 산문 형식의『옛 거장들』(1985)이다. 그러나『습관의 힘』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 작품들은 예외 없이 암울한 웃음을 자아낼 뿐이다. 베른하르트가 내리고자 하는 희극의 정의를 다시 한 번 살펴 볼 수 있는 작품들이다. 『습관의 힘』은 1974년에 열린 잘츠부르크 축제 기념극에서 디터 도른 Dieter Dorn의 연출에 의해 초연된 드라마로서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대 배경은 곡마단의 차이며 단장인 카리발디의 소유이다. 그를 포함하여 총 다섯 명으로 되어 있는 곡마단의 구성원 숫자만 보아도 이 곡마단이 얼마나 작고 보잘 것 없는지 짐작케 한다. 카리발디 또한 병들고 초라한 모습의 주인공이다. 그는 한쪽 다리가 나무로 된 불구자일 뿐만 아니라 등의 통증에 시달리기도 하는, 손가락의 잡는 힘이 약해져 가는 나이든 인물이다. 이러한 육체적 결함을 상쇄라도 하려는 듯 완전무결한 예술과 정확한 예술에 대한 그의 집착은 광신적이다. 슈베르트의 음악 «송어 오중주»를 완벽하게 연주하려는 카리발디는 그의 외손녀 (비올라)와 조카인 맹수 조련사 (피아노) 그리고 곡예사 (바이올린)와 광대 (콘트라베이스)를 곡마단 차에 불러 ...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목표동기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 목표조절의 매개효과

        신현숙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3

        Goal adjustment is implemented by goal disengagement (giving up unattainable goals) and goal reengagement (pursuing alternative goals) as adaptive self-regulatory responses to unattainable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mediation effects of goal adjustment on the relations of goal motives (autonomous motives, controlled motives) to mental well-being. Onlin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ample of 583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goal reengagement and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goal disengagement and goal reengagement in the relation of autonomous motives to mental well-being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 of controlled motives to mental well-being, none of the mediation effects of goal disengagement and goal reengagement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indicate that autonomous motives not only directly positively influence mental well-being but also indirectly influence mental well-being through the mediation of goal adjustment and that controlled motives only directly negatively influence mental well-being. In addition, a negative relation of autonomous motives to goal disengagement was significant, relations of controlled motives to goal disengagement and goal reengagement were not significant, and a relation of goal disengagement to mental well-being was not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달성 불가능한 목표에 대한 적응적 자기조절 반응으로서 목표조절은 목표이탈(달성 불가능한 목표의 포기)과 목표재관여(대안목표의 추구)로 실행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목표동기(자율동기, 통제동기)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목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전국 규모의 온라인 조사를 통해 4년제 대학생 583명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전매개모형보다 부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우수하였다. 둘째, 자율동기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목표재관여의 매개효과와 목표이탈과 목표재관여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통제동기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는 목표이탈의 매개효과, 목표재관여의 매개효과, 목표이탈과 목표재관여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율동기가 정신적 웰빙에 직접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목표조절의 매개과정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며, 통제동기는 정신적 웰빙에 직접적으로만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로, 자율동기와 목표이탈의 부적 관계가 유의한 결과, 통제동기와 목표이탈 및 목표재관여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결과, 목표이탈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사가 학급에서 제공하는 사회적 맥락과 중학생이 경험하는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희망의 매개효과

        신현숙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9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학급에서 제공하는 사회적 맥락이 어떻게 중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기 위해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G광역시 6개 중학교 2학년 556명에게 청소년 자기보고형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기본심리욕구 요인별로(자율성 욕구, 유능성 욕구, 관계성 욕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부트스트래핑 절차를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학급에서 제공하는 사회적 맥락과 중학생이 경험하는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요인별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희망의 부분매개효과를 가정한 연구모형보다 완전매개효과를 가정한 경합모형이 더 적합한 모형으로 밝혀졌다. 둘째, 유능성 욕구 충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자율성 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관계성 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희망의 매개효과, 요인별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희망의 직렬매개효과(serial mediation effect)는 유의하였다. 이는 학급 내 사회적 맥락이 중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희망의 순차적 매개과정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의미한다. 청소년 이해와 개입에 대한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의 주제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tested whether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hope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teacher-provided social contexts in the classroom and middle school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A total of 556 eighth graders residing in G City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procedure showed that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e mediation effect of autonomy need satisfaction, that of relatedness need satisfaction, that of hope, and the serial mediation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hope were significant; however, the mediation effect of competence need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imply that teacher-provided social contexts in the classroom may not directly influence students’subjective well-being but influenc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hich in turn fosters hope, whereby enhancing subjective well-being. Implications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아르토의 잔혹극과 굿의 비교연구(Ⅱ)

        신현숙 한국연극학회 2001 한국연극학 Vol.0 No.17

        "Toute vraie culture s'appuie sur les moyens barbares et primitifs du tote`misme, dont je veux adorer la vie sauvage, c'est-a`-dire entie`rement spontane´e. (…) et le vrai the´a^tre nal^t, comme la poe´sie d'ailleurs, mais par d'autres voies, d'une anarchie qui s'organise, apre`s des luttes philosophiques qui sont le co^te´ passinnant de ces primitives unifications." Ctte de´claration d'Antonin Artaud s'explique par une crise spirituelle lie´e au de´veloppement d'une civilisation rationaliste et mate´rialiste et a` la psychologie qui a de´truit l'unite´ inte´rieure de l'esprit en morcelant le Moi. Quant au the´a^tre he´rite´ de la tradition occidentale, Artaud l'a e´galement de´nonce´ d'e^tre devenu un lieu de minme´sis des apparences en ne´gligeant la force magique et l'efficacite´ symbolique qui sont, pour lui, l'essence me^me du the´a^tre. D'ou` vient son de´sir de retourner aux sources primitives occidentales aussi bien qu' orientales pour retrouver la vie dans sa totalite´ en gue´rissant la pense´e se´paratrice, et pour acque´rir une non-se´paration de l'efficacite´ de la parole et de l'action donnant acce`s a` des puissances invisibles et permettant d'agir sur elles. Si bien que le the´a^tre de la cruaute´ repose a` la fois sur l'e´sote´risme et les rites primitifs occidentaux, le Kabbalisme, l'alchimie et sur la philosophie orientale et le the´a^tre balinais. Le 'Kut(굿)' compose´ de rite chamaniste et de jeu, est une forme the´a^trale he´rite´e de la tradition core´enne. Il tient son origine du Mythe de Dangoune(檀君神話) et du rite du Ciel(祭天儀式) a` l'e´poque du royaume Gogeocheonn en Core´e ancien. Le 'Kut' dont les sources remontent au chamanisme en Asie, est aussi influence´ par le bouddhisme et par le confucianisme. Dans le 'Kut', rite chamansite des peuples des origines a` nos jours, on peut trouver facilement des ide`es cosmiques, l'union du sensible et du spirituel et la croyance en forces surnaturelles. En re`fle`chissant les caracte`res de leur imagination base´e sur le primitivisme, on pourrait conside´rer le the´a^tre de la cruaute´ et le Kut comme the´a^tre chamaniste. Nous nous proposons donc d'examiner d'abord, la structure spatio-temporelle, le ro^le de l'acteur-chaman, et le langage sce´nique(y compris l'objet) pour montrer leur fonctionnement, ensuite, la commuication the´a^trale de ces deux formes de the´a^tre, et enfin leur vision du monde. Par la re´fe´rence aux e´sote´rismes et aux rites primitifs, artaud pre´fe`re l'espace mytico-rituel et le temps fondateur en tant que champs de Chaos parce qu'il conside`re le vrai the´a^tre comme un e´ve´nement de la deuxie`me gene`se. Dans le Kut, le temps et l'espace mytico-rituels sont un donne´ chez les croyants et chez les spectateurs. Mais ce qui nous inte´resse, c'est qu'ils confluent avec le temps et le lieu de la vie quotidienne. Artaud a beaucoup insiste´ que l'acteur, e´tant le carrefour des e´nergies du corps et du monde, doit e^tre ve´ritable hie´roglyphe anime´ en me^me temps que porteur de feu. Le come´dien dans the´a^tre de la cruaute´ et le chaman(Moudang) s'effectuent le me^me ro^le; le me´diateur entre les divins(ou les surnaturels) et les hommes, le gue´risseur, enfin l'acteur du jeu. Seule diffe´rence entre eux, c'est l'extase; extase poe´tique chez le come´dien par rapport a` la possession chez le chaman. Quant au langage sce´nique, Artaud propose des gestes, la danse, le chant, la parole profe´re´e ou chante´e, le langage audio-visuel. Il souligne surtout le jeu infini des analogies du langage ou du corps. Or, le Kut est compose´ justement de ces langages, parce que les e´le´ments principaux du rite, ce sont la danse, l'incantion, et le chant en s'appuyant leur efficacite´ magique et symbolique. Si bien qu'entre le the´a^tre de la cruaute´ et le Kut, il y quelques affinite´s au niveau du langage the´a^tral. A traves ces langages, les deux formes de the´a^tre envisagent l'interaction et la contagion entre la sce`ne et le spectateur. De la` le caracte´re principal de la communication the´a^trale du the´a^tre de la cruaute´ et le Kut. Artaud a voulu que le the´a^tre de la cruaute´, comme un rite primitif, peut renouer la rupture entre les hommes et les forces surnaturelles, retrouver la vraie vie vitale, et gue´rir la crise spirituelle plus que la maladie physique. Le Kut en tant qu'une croyance chamaniste effectue depuis lontemps de´ja`, la me^me fonction chez le peuple core´en. Le the´a^tre de la cruaute´ a proclame´ son ambition de restaurer l'unite´ entre les formes et les pense´es, entre le visible et l'invisible, enfin entre l'Homme et l'Univers, bref une vision synthe´tique du monde. Ainsi, il est devenu un champs de cre´ation de la re´alite´ poe´tique, les principes oppose´s de l'univers s'y confrontant en confusion. Tandis que dans le Kut, ce qui est compte, c'est la vie quotidienne, la prospe´rite´ de la communaute´, et l'harmonie entre l'homme et le surnaturel. Pourtant, le Kut le re´alise avec l'humour noir et le jeu ludique tout en faisant les spectateurs rire et distraire. Cette phe´nome`ne proviendrait de la diffe´rence culturelle entre les deux pays. On pourrait quand me^me remarquer qu'une partie conside´rable de la conception d'art the´a^tral qu'artaud a propose´e se pratique dans le Kut avec tant de spontane´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