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 단위 철도 여행객의 추진(Push)동기 요인과 유인(Pull)동기 요인의 영향력 연구

        이경민(Kyungmin Lee),구철모(Chulmo Koo),한희정(Heejeong Han),정남호(Namho Chung) 한국경영학회 2017 Korea Business Review Vol.21 No.2

        철도를 단순한 교통 이동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관광 경험의 대상으로 하는 여러 가지 관광 상품과 서비스들의 등장과 함께 철도를 이용하는 여행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행의 수단이자 경험의 대상이 되는 철도 여행과 개별 관광의 한 축을 담당하는 가족관광의 속성에 대해 동시에 검증하여, 철도라는 여행 경험의 대상과 가족이라는 관광의 유형에 따른 여행객의 동기를 세분화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즉, 철도여행과 가족관광의 독특한 속성에 대한 세분화된 관광동기들이 여행 만족도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관광동기 관련 동기이론들 중 추진(Push)요인과 유인(Pull)요인으로 구분한 동기이론을 토대 이론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또한, 기존의 철도여행 연구와 가족관광 연구들의 결과, 철도여행의 중요 속성인 철도 여행의 매력성과 가족 관광의 속성인 가족 관광의 친화성을 추진(Push)동기 요인으로, 철도 여행의 단점으로 인식되는 관광접근성을 유인(Pull)동기 요인으로 선정하여, 철도 여행과 가족 관광의 특징을 반영하는 각각의 동기들이 관광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추진(Push)동기 요인인 철도여행 매력성과 가족관광 친화성, 유인(Push)동기 요인인 공간접근성이 만족도를 통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철도여행 매력성과 가족관광 친화성은 그 자체로써, 혹은 만족도를 통해서 행동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공간접근성은 만족을 할 경우에만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Railway construction endeavors to develop several customized products and services for tourists, because railroad has both of roles as means to move and as a object to experience for travel. Additionally, family tour has been raised to make bonding between family members. To understand these phenomenon, this research focuses on motivations of railroad travelers and family tourists with push and pull factors. We attempt to combine attributes of railroad and family for elaborating travelers‘ motivations and fo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se different motivation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 effort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ontemporary research theme by suggestion, such as how to array between which objects of travel experience and what kinds of tour, to examine the influences each constructs and to enhance comprehension about complicated tourism industry. Research findings from railroad travelers with their family indicate that attractiveness of train track, togetherness of family tour as Push motivation factors, and spatial accessibility as a pull motivation factor are significantly leads to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Regarding to satisfa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we found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push motivation factors on behavioral intentions. However, there is only full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spatial accessibility.

      • KCI등재

        철도제국주의와 관광식민주의: 제국 일본의 식민지 철도관광에 대한 이론적 검토

        김백영 ( Baek Yung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2

        철도는 식민지제국 일본의 해외영토 팽창과정에서 결정적인 전략적 역할을 담당했다. 이 글은 철도가 제국 일본의 영역성의 사회문화적 변동과정에 어떤 변수로 작용했는지를 식민지 철도관광의 전개 양상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고자 했다. 필자는 광범위한 국내외 선행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제국의 철도망과 식민지 관광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종합을 시도하기 위해 ‘철도제국주의’와 ‘관광식민주의’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후발·군국·근린 제국주의국가 일본이 그 지리적 영역성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해외영토에 대한 ‘형식적 포섭’과 ‘실질적 포섭’이계기적으로 구분하여 이루어졌음을 밝혀내고자 했다. ‘일본형 철도제국주의’는 근대전환기 동북아 국제정세 변동과 긴밀히 맞물려 형성된 것으로, 형성 초기 정치군사적 성격이 매우 강하다는 점이 주된 특징을 띤다. 하지만 근린제국주의라는 지리적 특성상 정세가 안정화될 경우에는 사회문화적 활용도가 매우 커진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특히 대륙과 열도를 연결하는 반도에 위치한 조선철도의 경우는 이러한 성격 변화가 매우 잘 드러난 사례에 해당한다. 일제하 조선의 철도는 일본 본국은 물론 대만에 비해서도 발전 정도가 매우 더뎠으나, 화물우위형인 대만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여객우위형의 성격을 띤 편이었다. 조선의 철도는 조선총독부 직할경영체제가 도입된 1920년대 후반부터 공격적 경영에 나서 본격적인 관광진흥정책이 전개되었는데, 이는 제국 일본 전체의 관광산업 활성화와 연동된 것이었다. 따라서 식민지 조선의 철도관광에서 나타난 관광담론은 같은 시기에 일본제국 전체의 지리적 판도에서 출현한 식민지 관광이라는 사회문화현상과의 연관성 속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 필자는 ‘관광식민주의’ 개념을 통해 유동하는 제국의 영역성에 따라 다변화하는 식민지 관광 담론의 변동 양상을 포착해야 함을 강조했는데, 이를 위해서는 제국권력과 식민권력 간의 마찰과 긴장, 위로부터의 정책·전략과 아래로부터의 체험·인식의 괴리, 역사유산과 자연경관 등 관광지 유형별 차이 등에 주목하여 관광식민주의를 보다 역동적이고 입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일본형 철도제국주의와 관광식민주의는 동북아시아 근대의 독특한 지문화적 현상으로서 보다 주의 깊게 재인식되어야 한다. Railways carried out a strategic role in the building and expansion of modern colonial empire of Japan. This article aims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colonial railways in the process of the socio-cultural change of the territory of the empire, focusing on the colonial railway tourism. To this purpose I introduced the concepts of Japanese-style railway imperialism and tourist colonialism. The aim of these two concepts is to make clear both the difference and the interrelationships of formal subsumption and substantial subsumption in the making of the geocultural territoriality of Japanese empire. As a strategic measur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which show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a least-developed, militaristic, and neighborhood imperialism, Japanese-style colonial railway imperialism can be characterized as strong poloticomilitaristic attributes. But as a neighborhood imperialsm, it can easily and largely be used as a mean of socio-cultural exchange, not to mention economic one, among the metropoles and hinterlands. In comparison with the cases of other colonies including Taiwan and Manchuria, railways in colonial Korea were less developed.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the colonial Korean railway, including the acceleration of the touristic business, started in the mid-1920s immediately after the transfer of the management rights of the railway company from the Manchurian railway company to the government general of colonial Korea. With the promotion of the railway tourism in colonial Korea, one can witness a dramatic increase of the tourist discourses produced in the socio-cultural mechanism of tourist colonialism. Those discourses should be interpreted not only in the politics of colonial assimilationism including the conflicts and ruptures of imperial power and colonial power, but also in the broad historical contexts of geo-cultural transformations in modern northeast Asia.

      • 충북선 철도관광 개발을 위한 전략적 방향

        김재학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1 경상논총 Vol.13 No.2

        여객과 물류 서비스에 한정되었던 철도의 전통적 기능이 관광서비스가 추가된 복합 기능으로 확대되면서 철도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특히 관광서비스에 기반을 둔 철도관광이 철도산업과 지역관광 발전에 이바지하면서 철도는 개발과 활용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철도관광의 선상에 있는 충북선에 대해서는 학술적인 담론과 정책적 논의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은 충북선 철도관광의 가능성과 전략적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을 토대로 철도관광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이어서 충북선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충북선 주변 지역의 특성과 관광자원을 분석해 충북선 철도관광 개발과 발전에 요구되는 전략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첫째, 충북선과 연계된 철도 노선 및 인근의 도로·항공 이용수요를 유입시키며 둘째, 충북선 역사(驛舍)의 관광 명소화를 추진하고 역 주변을 재생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충북선 기차여행 상품을 개발하고, 넷째는 충북선 철도관광 이해관계자의 역할과 협력을 추구하며, 마지막으로 충북선 철도관광에 대한 홍보와 마케팅을 강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이러한 전략 방향은 충북선 철도관광 개발을 위한 정책 및 실무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1910년대 식민지 조선의 근대 관광의 탄생

        조성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56

        본고는 식민지 조선의 근대관광의 탄생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관광수단으로서의 교통과 일제의 관광정책 수립기관이었던 일본여행협회 조선지부의 설치에 대해 살핀 연구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근대 관광이 근대와 제국주의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식민지를 경험했던 우리나라의 경우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의 일환으로 근대 관광이 탄생했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특히 철도로 대표되는 식민지 교통수단은 근대 시민계급의 탄생과 함께 근대 관광의 전제조건이다. 조선의 철도는 일제에 의해 건설되었으므로 그 출발부터 일제의 침략 수단이었음은 명백하지만 객관적으로 존재했던 것은 분명하지만 시민계급이 존재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또한 일본여행협회가 수립한 정책에 따라 조선철도가 관광사업을 수행하였다. 특히 부관연락선-조선철도-남만주철도를 잇는 철도망의 완성은 일제의 대륙침략정책과 맞물리는 것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일제는 부산을 “東亞大陸으로 통하는 門戶”, ‘세계의 통로’ 혹은 “歐亞大陸으로 통하는 門戶”라 불렀던 것이다. 그런데 1930년 일제는 철도성 산하에 국제관광국을 두어 관광을 국채사업으로 육성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일본여행협회는 국제관광협회와 함께 국제관광국의 외곽단체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이렇게 보면 식민지 조선의 근대 관광은 그 탄생부터 일제에 의해 규정되었고, 제국 일본의 관광정책은 동화정책의 일환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ジャパンツーロスとビューロー(日本旅行協會) 조선지부에 대해 국내 최초로 소개하였다. 일본여행협회는 1912년 일본의 철도원뿐만 아니라 조선총독부철도부, 대만총독부철도부, 오사카시 등의 정부기관과 남만주철도주식회사, 동양기선, 미츠코시(三越)오복점, 오사카상선, 제국호텔 등 민간회사도 있었다. 그리고 대련지부, 대만지부, 조선지부, 청도지부를 설치하였으며 지부 산하에 여행안내소를 설치하였다. 결국 일제는 관광을 통해 일본 국민에게 제국의 정체성을 확인시킴으로써 제국의식을 보다 강화시키고, 이를 통해 식민지 조선인에게 제국 일본의 우월성과 식민지 조선의 열등성을 각인시켜 조선을 영구히 지배하고자 하였다. This is a study, part of researches on the origins of modern tourism in colonized Joseon, on transportation as a means of touring and a branch which Japan Tourist Bureau(日本旅行協會) established in Joseon. Here, this writer intends to inform you that modern tourism in Joseon which had been colonized by Japan began as a means for colonialization Japan had kept, in that modern tourism was a product of imperialism and the modern age. Especially, transportation of the colonial period, represented as railroad was a premise in the modern tourism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citizens” class. It is apparent that railroad in Joseon played a critical roll for invading Joseon, for they had been constructed by Japanese government. Japan completed the railroad network from Bukwan(釜關) ferry via Joseon railroads to South Manchuria railroads, connected with the invasion policy for conquering the continent. That’s why Japan called Busan “Gate to Eastern Asian Continent”, “Path to the World”, or “Gate to Europe and Asia”. Besides this, In 1930, Japan attempted to institute the International Tourism Authority(ITA) under the national railroad administration and develop it as a business with national bonds. That resulted in the Japan Tourism Association with the International Tourism Association serving as a fringe organization of the ITA. However there is still a question about whether citizens class really existed although its existence was absolutely clear. In addition, railroad of Joseon performed tour business according to the policies Japan Tourist Bureau had established. Therefore, modern tourism in colonized Joseon was prescribed from the beginning by Japan and it was as part of the assimilation policies that tour policies of Imperial Japan were implemented. In addition, the Joseon branch of Japan Tourist Association(JTA) was introduced first in Korea from this study. The JTA included many of the private corporations such as the railroad departments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and Taiwan government-general, the government like Osaka, the South Manchuria Railroad Corp., Dongyang Liner Co., Osaka Merchant Marine Co., and Imperial Hotel as well as the national railroad administration. They also instituted Dalian branch, Taiwan branch, Joseon branch, and Qingdao branch and tourism information offices under the branch as well. Eventually, with a means of “tour”, a Japan tried to reinforce imperialism,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Imperial Japan into its people and to rule Joseon perpetually, imprinting the inferiority of colonized Joseon as well as the superiority of Imperial Japan on people in Joseon.

      • KCI등재

        일제하 사설철도회사의 관광개발

        조성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ourism development of private railroad companie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o this end, firs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private railroad policy was examined, and then the tourism development promoted by the private railroad company was examined. Private railroads were built from the time of the Korean Empire, and after the light railway law was passed in Japan in 1911,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lso encouraged the laying of light railways, that is, private railroads. In particular, in 1919, the Chosun Private Railroad Subsidy Act was enacted for the purpose of local development and industrial development, allowing subsidies to be provided to private railroads. The fact that private railroads were built in Joseon, a colony, was also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Japanese capitalists residing in Joseon and Korean capitalists. In this process, Jeonbuk Light Railway Company, Chosun Central Railway Company, and Seoseonsan Railway Company were established, as well as Kumgangsan Electric Railway Company, Chosun Gyeongnam Railway Company, and Chosun Gyeongdong Railway Company. In order to expand profits, the private rail road built in this way started tourism development focusing on hot spring development and inn management. In particular, Kumgangsan Electric Railway Company was for the purpose of tourism. However, in the course of tourism development by private railroad, gentrification appeared as the mobilization of government authority and aggressive acts against Koreans continued. In other words, tourism development was not simply carried out by the logic of capital. In addition, Seoseon Siksan Railway Company's Shincheon hot spring tourism development became a tool to spread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In addition, the developed tourist attraction became ‘entertainment’ and the image of gisaeng (geisha) tourism began to form, and human trafficking was also carried out as a side effect. As such, tourism development by private railroa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name of regional development, but it was also a place wher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policies were implemented in return for such support. In this process, it also showed a decadent figure represented by gisaeng (geisha) tourism.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tourism development, as Joseon people were kicked out and the traditional values of Joseon were destroyed by capital, a new order emerged, which means that Japanese rule in local societies was strengthened. 본고는 일제하 사설철도회사의 관광개발을 고찰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선총독부의 사설철도정책에 대해 살핀 후 사설철도회사의 관광개발에 대해 살폈다. 이를 통해 사설철도는 대한제국시기부터 건설되었고, 1911년 일본에서 경편철도법이 통과된 이후 이에 편승하여 조선총독부도 경편철도 즉 사설철도의 부설을 장려하였다. 특히 1919년에는 지방개발과 산업개발을 목적으로 한 조선사설철도보조법을 제정하여 사설철도에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식민지 조선에서 사설철도가 부설된 것은 재조 일본인 자본가와 조선인 자본가의 요구에 따른 것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북경편철도주식회사, 조선중앙철도주식회사, 서선식산철도주식회사 등이 설립되었고, 금강산전기철도회사, 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 조선경동철도주식회사 등도 설립되었다. 이렇게 부설된 사설철도는 이윤 확대를 위해 온천개발과 여관 경영을 위주로 관광개발에 나섰다. 특히 금강산전기철도주식회사는 관광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그런데 사설철도의 관광개발 과정에서 관권의 동원과 조선인에 대한 침략적인 행위가 지속되어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현상이 나타났다. 즉 관광개발은 단순히 자본의 논리만으로 행해진 것은 아니었다. 또한 서선식산철도주식회사의 신천온천 관광개발은 식민사관 전파의 한 도구가 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관광지가 ‘오락장화’ 하여 기생관광의 이미지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부작용으로 인신매매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일제하 사설철도의 관광개발은 지역 개발이라는 명분으로 조선총독부의 지원을 받으며 이루어졌으나 지원을 받는 만큼 조선총독부의 정책이 관철되는 장이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생관광으로 대표되는 퇴폐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동시에 관광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조선인이 구축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조선의 전통적인 가치관이 자본에 의해 파괴되고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내면서 지방사회에서 일제의 지배력이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코레일 철도관광상품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이유미 ( Lee Youmi ),나준희 ( Na June-hee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5

        현대인들은 어떻게 살 것인지에 관심이 있다. 과거의 삶이 양적인 물질적 축적에 초점을 맞춘 반면에 현대인의 삶은 축적된 물질의 풍요로운 소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삶의 질 향상으로 관심이 옮겨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관광산업은 고부가가치의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관광산업이 각광받음에 따라 철도분야에서도 관광상품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실제 철도관광상품의 이용률을 계획만큼 높지 않다. 철도를 이용한 관광의 비율은 매우 낮다. 국내여행의 증가율에서 자가용 이용률(74.1%)은 철도(3.7%)에 비해 현저히 높다. 본 연구는 철도관광상품의 활성화를 위해 진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철도관광상품이 이용률이 낮은 이유로 우선적으로 인지도가 낮기 때문으로 파악하였다. 낮은 인지도가 철도관광상품의 이용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는 철도관광상품의 인지도 및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편의성, 체험성, 안전성, 정보성, 쾌적성을 제시하였다. 각 요인의 강화를 통해 철도관광상품의 선호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연구결과, 편의성, 체험성, 정보성은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편의성, 체험성, 정보성, 안전성, 쾌적성은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다. 인지도와 이미지는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life of modern people is very much concerned about how to live. In the past, people were only interested in material accumulation. But now, they are also interested in how to consume accumulated materials. Interest is shifting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this regard, tourism is seen as a new, high-value-added growth industry. As the tourism industry is in the spotlight, railway companies are also focusing on developing tourism products. However, the actual usage of railway tour packages is not as high as planned. The ratio of tourism by rail is very low. The rate of domestic travel (74.1%)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ailways (3.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railway tourism products. The study found that railway tourism products are not recognized as such, and thus their usage rate will be low. This study presented convenience, experience, safety, information and comfort as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awareness and image of railroad tourism products. The strengthening of each factor was expected to increase the preference for railway tourism products. As a result of study, convenience, experience, and information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awareness. Convenience, experience, information, safety, and comfort affected the image. Awareness and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preference.

      • KCI등재

        영업정지철도역(驛)의 문화관광자원화 활용방안 연구

        서순복(Seo, Sun-B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09 지방정부연구 Vol.13 No.3

        문화를 이용한 철도 마케팅은 사람의 왕래가 활발한 곳뿐만 아니라, 영업정지역에도 장소마케팅 전략차원에서 적용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70여개의 무배치간이역(영업정지역) 중에서 50여개의 연구대상역을 4가지로 유형화하여 역사문화관광자원 활용차원에서 활성화방안을 탐색적으로 시도하여 보았다. 영업정지역은 철도공사직원이 상주하지 않기 때문에 세월에 따른 건축물 마모와 폐허화 소지와 함께 탈선의 장소로도 악용될 소지가 없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역사건물의 활용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영업정지된 철도역 건물의 방치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고, 문화를 매개로 한 영업정지역의 재생방안 모색을 통해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는 공간은 임대방식으로 사업다각화를 시도하고, 접근성과 주변 문화관광자원의 열악성으로 수익창출이 불가능한 지역은 지역주민 특히 문화동아리나 철도동회회원들에게 무료임대방식으로 활용을 장려해야 할 것으로 본다. 즉 주민참여적 개발의 원칙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영업정지역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문화관광자원과 발전잠재력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행정대응과 철도공사의 실천에 따라 지역발전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간이역사의 활성화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재원조달 방안은 한국관광공사의 지원, 문화재청의 후원 외에 지방자치단체 관광사업화전력과 연계추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며, BTL 내지 BOT 방식으로 민간자금을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해볼만 하다. 매각방식은 가급적 지양하고, 사업계획서 공모방식에 의한 임대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유상임대를 원칙으로 하더라도, 무상임대를 통한 지역문화동아리나 철도동호회 참여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문화적 상상력과 섬세함을 철도 현실에 접목시켜 고객감동 차원에서 문화가 흐르는 아름다운 추억의 간이역이 될 수 있다. Railroad marketing by using culture is applicable in the level of place marketing strategy at business-stopped railroad stations as well as at the place where people's comings and goings are active. This study tried to classify around 50 target stations in around 170 unplaced small stations(business-stoped stations) into 4 type and investigate the method of utilizing them as historical culture tourism resources. As there aren't railroad staff at business-stopped railroad station,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that they can be misused for the place of deviations with the possibilities of buildings' wears and rui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to utilize historical building into various ways. It isn't desirable to neglect business-stopped railroad station building and it is necessary to try to diversify the rental type of business that can create profits by finding the method of recrating business-stopped railroad station though culture as agent, and for the places where profit creation is impossible due to poorness of access and surrounding cultural tourism resources, it is also desirable to encourage the utilization of free rent to local residents including cultural club or railroad club or railroad club members specially.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principle of the development that local residents participate. It is certain that local development and small railroad station utilization can be pres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confrontation of local self-governing organization and practice of railroad corporation. It will be possible to make small railroad station of beautiful memory that culture flows at the level of customer excitement by grafting cultural imaginative power to railroad reality.

      • 철도관광상품의 핵심성공요인 분석 : 정동진 관광열차를 중심으로

        최연혜 철도전문대학교 1999 論文集 Vol.15 No.-

        Development and successful management of package tour items using railways are very important for business reform and a good image of the KNR, because the tour items are the core business of the railway transportation and they can itemize, create and at the same time satisfy the customer's needs. Besides, the tour items can be positively evaluated in that the KNR extends its business to the tourist market, a rapidly growing business and makes it able to show a big effect with relatively little effort. In the nineties, increasing income made a significant change in Korean consumer's lifestyle in a way to put a priority on their quality of lives. The transportation market also underwent a big change such that the meaning of trains and buses as transportation has decreased, whereas its importance in the tourist market has rapidly grown. Although the ratio of the package tour items is still low compared with the whole operating revenue, it has been steadily growing over 35% per year since the last few years. Despite such bright prospects, the planning and marketing of the package tour items by the KNR still seems to be unsystematic,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chances left to exploit and maximize the growth potential. In this report, key success factors of the Jungdongjin Package Tour, one of the hit items of the KNR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is analysis, one of the success factors can be pointed out as the attraction of the destination, Jungdongjin, itself as well as the attraction widely broadcast through the TV drama. Another success factor is that the KNR has met the consumer's needs properly with its marketing policies. So, the KNR was willing to change the operation frequency of the trains and the timetables to meet the customer's demand. Comparing of these success factors with other package tour items, information deficit has been shown to be the biggest obstacle for success. Most respondents of this case-study are not even aware of package tour items operated by the KNR, and even if they are informed, the degree of attraction is not sufficient to create the deman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active advertisement of the known tour item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new items. Meanwhile, the tour for an individual, a family or a group can be used as a special item for the package tour, and this can cause an extra demand to customers if the KNR applies its policy such as the reduced rate in fees, etc to the marketing.

      • KCI등재

        철도관광과 조선선 철도역 기념스탬프를 통한 도시 표상 연구

        김경리 도시사학회 2019 도시연구 Vol.- No.21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that the traditional space of Joseon evolved into the symbol of a ‘modern city’ through commemorative railroad stamps, as the railway route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was realized, by the tour representing ‘movement’ and ‘consump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railroads in colonies enabled movement of economic resources, city development, and resource exploitation, through railroads and mails. Particularly, the Joseon Railway Line, built by advocation for attachment to the continent, created the symbol of the ’modern city’ such as history, ports, industries, and regional products. The railroad department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ublished commemorative stamps of railway stations, to promote the city through the Joseon Railway Journal. Commemorative stamps were sealed in a guide book, The Guide Book for Chosen-Manchuria Travel and various postal cards, validating that tour was a public cultural phenomenon, in terms of the sociocultural view. Consequently, the commemorative railroad stamps imply as follow: First, the Seoul-Busan line was the most active, and the stamps were used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and Gyeongseong. Second, the symbol of two cities, Gyeongseong and Daegu, was highly fixed in the early 1930s, as Gyeongseong and Daegu found that the dates of use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he same image among stamps, issued by the Chosen Railway Journal. Third, the history of city development in Daejeon and Incheon can be found, as symbols of the two cities had changed over time. Fourth, the commemorative stamps chronicled the living ‘story’ of cities, generating curiosity about the movement of modern people, transitioning from settling to migrating. Fifth, the commemorative railroad stamps sealed in the mail, were set as the visual image for the city of Chosen, to be perceived intuitively in ‘the Empire of Japan’, wherein two different languages were spoken. And it is shown that functioning of the stamp created the information network between the mother-country and colony, and provided the national propaganda, in a broad view, and ‘the locality of place’, in a narrow view.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contents of postcards, and the sealing place of the commemorative stamps.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에 부설된 조선선이 ‘이동’과 ‘소비’라는 관광으로 실체화되어 조선의 공간이 ‘근대 도시’로 변용되는 과정을 철도 기념스탬프를 통해 고찰했다. 20세기 초 식민지의 철도는 식민지의 도시개발과 자원 수탈이라는 경제자본 이동을 가능하게 했다. 특히 대륙과의 연결을 주창하여 부설된 조선선은 역사・항만・산업・군사・관광과 같은 ‘근대 도시’ 표상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조선총독부철도국은 기관지 「조선철도회지」를 통해 조선의 ‘근대 도시’를 홍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철도노선과 철도역 기념스탬프를 발행했다. 철도역 기념스탬프는 41개 곳이 발행되고 그 중 선만순유관광 노선에 적합한 21개 장소가 조선만주여행안내 에 실렸다. 각각의 철도역 기념스탬프는 다양한 우편물에 압인되어 관광이 사회문화사적으로 대중의 문화현상이었음을 증명해주었다. 결과적으로 조선선의 철도역 기념스탬프는 첫째, 경부선 이용이 가장 활발했고 그에 따라 실제로 사용된 철도역 기념스탬프는 부산역, 해운대역, 대구역, 경성역이었다. 둘째, 「조선철도회지」가 발행한 스탬프 중 경성과 대구는 당시의 도시 표상이 확정되어 1940년대까지 동일 이미지를 사용하고 방문 날짜만 달리하였다. 셋째, 대전과 인천의 경우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도시 표상이 변경되어 ‘살아있는’ 도시의 발달사를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기념스탬프는 정주에서 이주로 전환되는 근대인들의 이동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여 도시의 살아있는 ‘이야기’를 보여주고 획인시켜 주는 객관적 함의를 갖고 있다. 다섯째, 우편물에 압인된 철도역 기념스탬프는 언어가 다른 ‘제국 일본’ 내에서 조선의 도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게 만든 시각이미지로서 자리매김했다. 그리고 이는 식민 본국과 식민지 간의 정보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넓게는 국가적 프로파간다를, 좁게는 한 지역의 ‘장소성’을 제공한 정보 유통의 지배적 방식의 일환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