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감도 시 제1호」와 이상(李箱)이라는 페르소나의 이중성 식민지 근대 시공간의 다차원적 조감도로서 이상 시 읽기

        김백영 ( Kim Baek-y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7 No.-

        李箱 시의 다의성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그 원인이 이상이라는 문학적 페르소나에 내재된 양면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그 형성 국면의 작품인 「오감도 시 제1호」에 초점을 맞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질문을 통해 이상의 삶과 작품 세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 틀을 벼려내고자 했다. 첫 번째 질문은 건축기술자이자 일문 시 작가인 김해경과 조선문단에 혜성과 같이 나타난 신예 작가 이상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연작시 「오감도」는 자연인 김해경으로부터 독립된 새로운 문학적 페르소나인 이상을 확립한 작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두번째 질문은 김해경의 ‘조감도’와 이상의 ‘오감도’의 관계를 해명하는 문제로, ‘조감’ 개념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의 작품에 다음 두 가지 모티브가 모순적으로 공존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나는 유년기 이래 그의 삶을 품어온 생활세계가 식민화되는 과정에 대한 피식민자로서의 원초적 공포감과 불안의식이고, 다른 하나는 근대문명의 하이모더니즘적 기획의 허구성에 대한 초국적·전위적 지식인의 급진적 비판의식과 초월의지이다. 초기 작품에서부터 김해경은 근대권력의 투시적 시선이 지닌 특권성과 폭력성에 대해 예리한 비판의식을 드러냈으며, 근대 시공간 질서의 보편적 구조를 꿰뚫어보고 있었다. 연작시 「조감도」와 「오감도」에는 상대성 이론 등 그가 흡수한 근대 과학혁명의 지적 발견, 총독부 소속 건축기사로서의 직업적 경험과 피식민 조선인으로서의 이중의식, 그리고 다다이즘 등 당대 초국적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의 사상적 영향이 녹아들어 있다. 그는 근대 기계문명의 시공간이 어떤 인식론적 혁명 위에 축조되어 있는지 예리하고 명증하게 간취하고 있었으며, 더 나아가 그것이 초래한 인간성의 내면의 심층적 변화까지도 투시하여 보여주고자 했다. 때문에 근대사회에 대한 그의 조감하는 시선에는 단지 물리적 공간에 대한 투시를 넘어서 내면적 인간성과 사회구조적 문제의 복합적 상관성에 대한 성찰이 포함된다. 「오감도 시 제1호」는 이상이 조선 문단에 자신의 존재를 알린 첫 작품이다. 김해경은 이를 계기로 이상이라는 새로운 페르소나를 확립함으로써 자신의 불우한 귀속지위에 얽혀있는 존재론적 굴레로부터 벗어나 초국적 다다이즘과 시공간적 비월(飛越)의 꿈을 이루고자 했다. 이상의 문학적 실천에서 나타나는 모호성과 다의성은 근대적 시공간에 대한 인식론적 각성과 존재론적 해방 사이의 극복 불가능한 절대적 간극 위에 형성된 이상이라는 페르소나의 본래적 이중성의 소산으로 볼 수 있다. Where does the polysemy of Yi Sang‘s poetical works stem from? It is difficult to grasp full meanings of his poem by regarding him simply as an owner of a fallen and diseased body, a patient with severe schizophrenia, a weak colonial intellectual or a modernist street observer. Focusing on the 「Crow’s-Eye Views No. 1」 and examining following two questions, this article aims to bring out an alternative framework to interpret Yi Sang’s poems. Firstly, why Kim Hae-kyung created his new pseudonym named Yi Sang and what are the critical characteristics of this new literary persona? Secondly, why Kim Hae-kyung and Yi Sang titled their major work by using the terminology of ‘jogam/ogam’ which meaned ‘bird’s eye views/crow’s eye views’? By answering these two questions, I tried to disclose the main reasons of both the ambilaterality of the persona of Yi Sang and the polysemy of his poetical works. From the outset of his literary career, Yi Sang has had a brilliant vision to penetrate the universal structure of modern spatio-temporal order, realizing both the privilege and the violence of the modern power of seeing. Yi Sang’s literary expressions of his bird’s eye view of modern society has caught the multi-dimensional changes including not only the materialistic and socio-structural changes but also the changes of deep inner humanity. By writing and publishing 「Crow’s-Eye Views No. 1」, he tried to establish a new persona to escape his heavy ontological bindings entangled in Kim Hye-kyung’s disturbed backgrounds. Through his ingenious radical practices of literary dadaism, he tried to realize the idealistic dream of artistic liberation and/or to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the spatio- temporal conditions of the colonial modern society. Yi Sang’s frustrated literary practice can be regarded as an inevitable result of the impossible transcendental efforts to overcome the absolute gap between one’s epistemological awakening and ontological liberation of the colonial modern reality.

      • KCI등재

        식민지 도시계획을 둘러싼 식민 권력의 균열과 갈등

        김백영 ( Baek Yung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05 사회와 역사 Vol.0 No.67

        Seoul which had been the capital of Choseon Dynasty for five hundred years was selected as a colonial capital of Korean peninsula by the Japanese colonial power. Seoul (Kyung-sung; Keijo), in colonial time, was divided into two areas; the north town (old residence mainly of colonized Koreans) and the south town (newly-built residence mainly of colonizing Japanese), forming a typical colonial dual city. In the earlier period (1910s), the colonial government tried to reduce the size of Seoul to weaken the traditional historicity of Seoul, but later in 1930s its policy was changed to develop and expand its colonial capital. The debates on ``Great Keijo Plan`` in 1920s exemplify the rupture and conflicts in the colonial urban power bloc which was comprised of plural agents concerning the urban transformation. The strongest opinions were voiced by ``Kyung-sung urban planning association,`` the organization of the leading figures of Seoul-resident Japanese community. Apparently, its consistent project was to build an industrial metropolis in colonial Seoul in the name of ``Great Keijo Plan,`` criticizing the dominant policy of the colonial government, which was designed to turn Seoul into a colonial politico-executive primate city. When the colonial government moved its headquarter from the south town to the north with the completion of the monumental building inside the Kyung-bok-gung palace site located at the heart of north town, it suddenly began to promulgate the north town development plan. This produced the immediate and strong objection of the Japanese people in the south town against the plan as well as the objection of the Koreans in the north town. There were, however, two disadvantageous factors in developing ``Great Keijo`` toward the southern direction. Firstly, it was not the south area, but the east and west area, where town sprawling and expansion happened. Secondly, neighboring the Han-river, the south area was inundated with floods every rainy season. Despite all these obstacles, the colonial government finally decided to develop Seoul in the southern direction, giving way to the collective interest-politics of Seoul-resident Japanese community and this plan was delayed by 1936. This ironic episode of the colonial urban planning suggests that we should go beyond the premises to regard the colonial power as an overbeating and monolithic body and open possibility of its incapacitation and multiplicity.

      • KCI등재

        1990년대 수도권 형성과 한국 도시성의 전환

        김백영 ( Kim Baek Yung ) 한국사회사학회 2020 사회와 역사 Vol.0 No.127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은 ‘한강의 기적’으로 표상되는 한국의 압축 근대화의 중핵 지대로서 20세기 후반 한국사회 특유의 압축 도시화를 대표하는 지역이다. 이 글에서는 1990년대 수도권 광역대도시권 형성의 초기 국면에 주목하여 이 시기 한국 도시성의 변화 양상을 다음 세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첫째는 도시정치 레짐 차원의 변화로, 이 시기 서울시에서는 정도(定都) 600년 기념사업과 역사 바로세우기(구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사업이라는 두 가지 기념비적인 관 주도적 사업과 더불어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다양한 정책적 전환이 모색되었다. 하지만 관선에서 민선으로의 제도적 전환에도 불구하고 도시정치 레짐은 이전 시기의 관성에서 쉽사리 벗어나지 못하는 연속성이 두드러졌다. 둘째는 물리적 공간·환경 차원의 변화다. 1990년대는 수도권 제1기 신도시 개발과 더불어 도시개발의 광역화 현상이 전국적으로 확산된 시기로 대규모 아파트단지의 생활환경 개선 및 수도권 교통대란 해소 등 도시인프라 확충 문제가 시급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셋째는 도시사회의 문화적·의식적 차원의 변화다. 이 시기는 소득수준과 교육수준 향상과 더불어 아파트 주거문화를 비롯한 대도시 신흥 중산층 생활양식이 확산되면서 중산층 소비문화 현상이 크게 늘어난 시기이자 성수대교 붕괴나 삼풍백화점 붕괴와 같은 외상적 사건이 시민의식에 큰 충격을 던진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는 과거 권위주의 정부에 의해 주도된 도시개발의 관행에 대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했지만, 이후 수도권 신도시 개발과정에서 대자본이 주도하는 시장 주도적 개발방식은 더욱 확산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처럼 1990년대는 민주화 이후 사회체제의 일시적 이완과 문화적 일탈이 나타난 시기임과 동시에 시민사회의 성장과 더불어 환경문제 등 새로운 도시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암중모색되는 시기였다. 1980년대의 경제호황과 도시성장을 계기로 형성되기 시작한 수도권 거대도시권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계층간 양극화라는 새로운 변화를 맞게 된다. ‘87년체제’의 정착과 ‘97년체제’의 도입 사이에 수도권이 경험한 도시성의 전환은 20세기말 한국 도시성의 과도기적 변화 양상을 다차원적 역동성으로 보여준다.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the core area of Korea’s compressed modernization, represented as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This area is a region which shows the unique compressed urbaniza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late 20th century. Focusing on the process of Seoul’s metropolitanization in the 1990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ree aspects of Korean urbanism and its changing patterns during this period. The first is the change of urban politico-administrative regime caused by the enforcement of the local autonomy act. Reflecting the politico-societal achievements of democratization of the so-called ‘the regime of 1987,’ the method of election of regional government heads has changed in early the 1990s. However, the practice of the authoritarian era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urban politics persisted. The second is the change in urban spati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In the 1990s, the development of new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development of urban regions spread across the country, and urban infrastructure issues such as the mass transportation network connecting Seoul and surrounding satellite cities into one metropolitan area emerged as urgent social requirements. The third is the change in the level of urban culture and civic consciousness. During this period, Seoul had several historical breaks that differentiated it from the previous periods: the government-led projects (e.g., the 600th anniversary of the capital’s designation and the demolition of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building) and the traumatic incidents (e.g., the collapse of Seongsu Bridge and the collapse of Sampoong Department Store). In addition, rising income and education levels and the emerging urban middle class in megacity areas led to higher a culture of urban mass consumption. While these change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and improve the past practices of urban development, the authoritarian government’s capital-driven, market-oriented development also pushed the spread into new cities and beyo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Despite the temporary relaxation and anomie of the urban governmental regime after the political democratization, civil society’s growth continues to alleviate new urban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e 1980s Seoul metropolitan area was destined to face a neoliberal change in urbanism heightened by socio-economical polarization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As such, the great transformation of Korean urbanism between the ’88 Seoul Olympic Games and the 1997 financial crisis has taken place primari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se findings underline Korean urbanism’s multidimensional dynamism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democratization and neo-liberalization.

      • KCI등재

        제국의 스펙터클 효과와 식민지 대중의 도시경험

        김백영 ( Baek Yung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5

        이 논문은 이례적인 활황을 맞았던 1930년대 서울의 백화점과 소비문화 현상을 ``제국의 스펙터클 효과``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1920년대 문화정치와 함께 식민지 조선의 치아인 확보되고 경성의 식민지수도화가 어느 정도 완성되면서 경성에 백화점, 영화관, 카페 등으로 대표되는 상업적 소비문화시설들이 본격적으로 들어서기 시작했다. 이는 이전 시기까지의 경성의 도시공간 재편을 주도해온 정치ㆍ군사적 노선이 경제ㆍ문화적 노선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공간적 변화는 한편으로는 도시공간의 근대적 균질화를 촉진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남촌과 북촌, 본정과 종로의 식민지적 차등화를 심화시켰다. 특히 백화점은 이중화된 식민지 도시공간의 경계를 넘어 북촌의 조선인들을 남촌으로 유인하는 강력한 소비자본주의적 장치로서 작동하였다. 백화점의 소비자본주의적 전시 기술을 통해 제국은 식민지사회에 한층 매혹적인 자기표상을 생산하였고, 피식민 대중은 이를 구경하는 군중이 되어 도시성과 근대성을 경험하였다. 소비대자본에 의해 연출된 제국 스펙터클은 민족적ㆍ공간적 경계를 약화시킴과 동시에 피식민 대중 내부에 빈부와 취향에 따른 새로운 경계를 만들어냈다. 결국 식민지도시 경성의 백화점과 소비문화는 공간의 분할선을 상대화시킴과 동시에 집합적 정체성의 균열선을 중층화시켰다. This paper analysed the phenomena of the department store and the consumption culture in terms of the spectacle effects of the empire, which were unprecedently vitalized in the 1930s in Seoul. With the internal pacification of colonial Korea and the completion of the colonial capitalization of Seoul(Keijo) in the mid 1920s, the major commercial facilities like department store, movie theater, cafe etc. came to be introduced to Seoul.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transformation of the Japanese Emplire`s restructuring strategies of the urban space of Seoul from the politico-military initiative to the economic-cultural initiative. On the one hand, the spatial change intensified the colonial differentiation of the dual city that was segregated into the Southern Village for Japanese and the Northern Village for Koreans. On the other, it enhanced the modern homogenization of the urban space. Especially department stores were activated as a powerful apparatus for consumer capitalism, inviting Koreans to Japanese street, transcending the spatial border of the colonial segregation. Through the technique of exhibition of the department store, Japanese empire produced visually attractive self-representation, making the colonized to experience the fascination of modem/urban culture as crowds or spectators in the street. The spectacle of the Empire weakened the spatio-national lines of demarcation and, at the same time, created new lines of cultural distinction based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class or social strata inside the colonized community.

      • KCI등재

        식민지 동화주의의 공간정치

        김백영(Kim, Baek-yu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9 인천학연구 Vol.11 No.-

        The structural inertias and resisting forces of Seoul, a 500 year-old historical city, determined the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pace in all ov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the completion of two monumental buildings, the new headquarter of the Colonial government and Joseon Shrine(朝鮮神宮), and the vigorous promotion of a masterplan to build a colonial administration city, 1920s culminated in the spatial division of the administrative fuction and economic function and completion of the symbolic landscape of the colonial capital to surpass the traditional royal symbolic space.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with the so-called Kouminka policy, the enforced policy of colonial assimilation, the urban space of Gyeongseoung (Keijo) was turned into the experimentation field of military assimilationism. The Shrines in Gyeongseong were expanded and surveillance and discipline were strengthened in everyday life of civilians. Although such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were covered up violently and oppressively by the extreme assimilation policy of imperial militarism during the war time, it was bound to intrigue the 'politics of revenge' of people in a post-colonial era by intensifying the potential hostility of the colonial subjects.

      • KCI등재

        학살과 내전, 공간적 재현과 담론적 재현의 간극: 거창사건추모공원의 공간 분석

        김백영 ( Baek Yung Kim ),김민환 ( Min-hwan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08 사회와 역사 Vol.0 No.78

        1990년대 이후 탈냉전과 민주화와 더불어 한국에서는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에 대한 진상규명작업이 활발히 전개되어 상당한 성과를 거두어왔다. 거창사건추모공원은 그 대표적 결실 가운데 하나로서 희생자 유족들의 주도로 산간벽지인사건 현장에 사상 유례 없는 대규모 민간인 희생자 추모공원을 만들어냈다. 그렇다면 이 공간은 거창사건의 진실을 충실히 재현해내고 있는가? 이 연구는 이 공간을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사건을 둘러싸고 진행중인 기억의 정치의 장으로 간주하고 그 담론적·공간적 특징을 분석한다. 우선 담론적 재현 양상의 측면에서는‘양민’이미지의 강조와‘학살’개념의 말소가 특징적이다. 거창사건 희생자들은 다른 지역의‘미간인’희생자들과는 차별화된‘양민’임을 강조함으로써 사건을 탈맥락화·국지화시키는 한편, 사건이 극악한 일부 군인들의 예외적 소행이었고 이들이 이미 적법한 절차를 통해 처벌되었음을 강조함으로써 국가폭력에 의한 학살의 역사적 실재를 크게 축소시키고 있다. 돌째로 공간적 재현 양상에서는 부러진 위령비로 대표되는 구 묘역(박산합동묘역)과 새롭게 5만평에 달하는 부지에 대규모로 조성된 신묘역간의 긴장, 국가에 의해 죽은 사람들의 공간이 국가를 위해 죽은 사람들의 공간을 모방했다는 모순성, 그리고‘참회’와 ‘환희’두 군상의 의미론적 상충 둥을 특징적 양상으로 지적할 수 있다. 거창사건추모공원이 드러내는 입지와 규모의 극단적 부조화, 언표된 장소적 기표들 간의 충돌과 언표되지 않은 역사적 의미의 파열음으로 가득찬 공간들간의 무엇을 드러내는가? 거창사건의 담론적 재현과 공간적 재현의 괴리는 탈냉전과 분단이라는 모순적 상황 속에서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의 정치가 선택한 일시적 타협의 산물로서 해석된다. Since 1990’s, with the start of post-cold war and democratization, many facts on civilian massacres at the time of Korean war were unearthed thanks to the civil and official efforts of truth finding. Memorial Park for Geochang Massacre is one of the outcomes, which could have been built as a large scale park at a remote mountain side by the active family members of the victims.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is place represents the truth of Geochang massacre authentically or not. First of all, from the aspect of discursive representation, the emphasis on the image of ‘yangmin(good civilian)’ and the obliteration of the concept of ‘genocide’ are most conspicuous. The family members of the victims of the incident underline that they are ‘yangmin’ different from a broader frame of civilian genocide of Korean war, they tried to decontextualize and localize the incident. Moreover, the family members unwittingly diminishes the truth of the incident by a modicum of ruthless soldiers and they were already punished from ‘Baksan-gol, the site of massarcre’ to ‘Baksan-gol, the site of victims’ illustrates this stance quite well. Secondly, in terms of spatial representation, the conflicts between an old graveyard and a new graveyard were distinct: the former is symbolized with a broken monument while the latter is newly constructed at a large-scale eight acre site. Therefore, ironically enough, the place for the victims of national violence has the same form with the place for the doers of national violence. More ‘disturbing’ truth can be found from two incompatible monuments named ‘repentance’ and ‘glory’. From this contradictory site of Memorial Park for Geochang Massacre filled with ruptures between visible signs and invisible historical meanings, what is spoken of and represented? We interpret the irony of discursive and spatial representation as a negotiating tactic of politics of memory in the paradoxical context of post-cold war and national division.

      • KCI등재

        러일전쟁 직후 서울의 식민도시화 과정

        김백영(Kim Baek-yung) 역사문화학회 200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8 No.2

        Seoul, a 500 year old historical city, experienced a rapid transformation from the traditional capital of Choseon Dynasty to a colonial city of Japanese Empire after Russo-Japanese War, resulting in the establishment of Keijofu(Keijo municipal office), the primate city in colonial Han penninsula, in 1914. Japanes-colonized Seoul, Keijo formed a peculiar gourd-shaped colonial dual city, which juxtaposed two opposing pairs: the contrast of the southern town and the northern town within the historical town (within walls) and that of the historical town and new town -Yongsan area- built around Japanese cantonment. I examine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formation of Japanese-colonized Seoul from Russo-Japanese War(1904) to Japanese annexation of Korea(1910). focusing on the specificity of the politico-military dynamics. Seoul, as is well-known, was decided as a colonial capital due to its traditional role and status as a primary city in Choseon dynasty. But my point is that the politico-military dynamics after Russo-Japanese War are very important in shaping specific spacial features of colonial Seoul. Also the structural inertias of the historical city and resisting forces from both up and down had strong influence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pace in all over the colonial period. While at this early phase, the colonial urbanization was led by military power bloc, forming the gourd shaped dual city, consisting of two heterogeneous elements which included historical city area surrounded by walls on one hand, and Yongsan colonial cantonment area the other. But in 1920s and afterwards, its became comprised of the political center, the northern town and the military center, the southern town, the last half was developed into a fan shaped city expansion with the development of Yeong-deung-po plant complexes and suburban housing. Such changes foretold the growth of mega-city in a postcolonial era.

      • KCI등재

        일본의 공업 대도시에 형성된 한인 디아스포라 집주공간 ― 오사카(大阪)와 가와사키(川崎)의 사례 비교

        김백영 ( Kim Baek Yung ) 한국사회사학회 2017 사회와 역사 Vol.0 No.113

        이 연구는 식민지제국 체제하에서 일본으로 이주·정착한 피식민 재일한인 1세들이 어떻게 낯선 제국 본토의 심장부에 집단적 정체성의 공간을 만들어냈는지 그 과정과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간사이와 간토 지역의 대표적 공업도시인 오사카와 가와사키 지역의 사례를 비교 대상으로 삼아, 이쿠노구와 가와사키구의 한인 집주지역의 형성 및 변천사를 서로 다른 두 가지 경로의존적 변화과정으로 간주하고, 그 양상을 주체·공간·장소라는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 논문의 핵심적 연구문제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서로 다른 지역에 이주하는 재일한인 1세 인구집단의 속성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띠며, 그것은 초창기 정착지 커뮤니티의 형성과정에 어떤 변수로 작용했는가? 둘째, 형성 초기 재일한인 1세 집주공간의 공간적 환경과 사회적 여건은 어떠했으며, 형성 이후 이들 공간의 성격은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어떻게 변화하는가? 셋째, 근현대 일본 도시·지역사의 시계열적 변천 과정에서 이들 집주지의 장소성은 어떤 다른 변화를 겪게 되며, 결과적으로 지역에 따른 장소성의 차이가 초래되는 주된 요인은 무엇인가? 비교분석 결과, 우선 주체의 측면에서는 이쿠노구에서는 민족적 동질성과 지연 공동체적 속성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면, 가와사키에서는 계층적 동질성과 생활 공동체적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주민 인구집단의 성격은 집주공간의 입지 여건과 주변 지역 도시환경의 변화 양상과도 긴밀한 상관성을 띠고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코리아타운이라는 장소성이 창출되는 중장기적 과정에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음을 밝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and the patterns and the formations of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to Japan, and subsequent changes of those communities. In particular, this study compares these cases within Osaka and Kawasaki, which are representative industrial cities in the Kansai and Kanto regions. Considering the formations and changes of and within Korean ethnic enclaves in Ikuno-ku and Kawasaki-ku as two differentiated historical path-dependent change processes, this study particularly explores three aspects: collective subjectivity, urban spatiality, and the making of placeness. The inquiry of the research is three-fold. First, how differen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generation Korean population migrating to different regions, and how do these differences affect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ettlement community? Second, what are the initial condi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residence for Koreans residing in Japan, and how do these spaces change after formation? Third, what are the main factors that lead to differences in placeness of each Koreatown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in modern Japanese cities and regions? This comparative analysis found that in Ikuno-ku the homogeneity of regionalism and kinship was relatively strong, while in Kawasaki hierarchical homogeneity and life-community characteristics were promin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migrant population group closely related with the situation of the housing space and the change of the urban environment in the surrounding area. It was also found that these factors were influential in the making of placeness of each Koreatown.

      • KCI등재후보

        상징공간의 변용과 집합기억의 발명

        김백영(Kim, Baek-Yung) 한국공간환경학회 2007 공간과 사회 Vol.28 No.-

        1995년 구(舊) 조선총독부 건물의 철거와 1998년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의 개관은 일제 식민통치의 기억이 오늘날 서울의 공간정치에도 여전히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 사례에서 우리는 해방 이후 한국의 강력한 민족주의 적 정서에 토대를 둔 상징공간의 파괴와 복원에 따른 집합기억의 말소 및 재생의 양상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일제하 서울의 도시공간 재편 양상을 세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집합적 피해의식에 근거해 일제가 남긴 공간적 유산을 해석하는 유력한 통념적 속설인 일제 단맥설의 허와 실을 규명해냈다. 우선 일제의 식민도시화 전략은 원형의 이식과 전통의 파괴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분석적으로 구분된다. 그들이 식민지에 이식한 독특한 일본적 근대도시의 공간적 원형은 바쿠후 시대 조카마치의 공간질서에 뿌리를 둔 것으로, 신사와 유곽 등 일본 고유의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둘째, 식민화 초기 경성에서 그들이 정력적으로 추진한 기념비적 양대 상징건축은 경복궁의 조선총독부 신청사와 남산의 조선신궁으로 대표되는데, 그 건설전략은 탁 트인 전망과 압도적인 외관 등 시각효과를 가장 중요한 변수로 고려하는 경성부의 오스망화 전략으로 요약된다. 마지막으로 조선왕조의 상징건축에 대한 식민권력의 태도는 ‘고건축’으로서의 문화재적 가치에 대한 전반적인 무시와 특정 상징공간의 정치적 중요 성에 대한 세심한 고려라는 양면성으로 특징지어진다. 그 결과 그들의 공간정치는 임기응변의 무원칙적이고 편의주의적인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전반적으로 피식민 대중의 민족적 반감을 회피하고자 했던 식민권력의 공간정치의 실상이 풍수적 단맥설과 같은 악의적이고 치밀한 민족말살과 공간파괴의 전략으로 대중적으로 왜곡되어 인지된 것은 해방 이후 한국 민족주의가 걸어온 집합적 복수의 정서를 반영한다. 최근 진행되어온 민족적 장소성의 재발견은 공간의 탈식민화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와 긴밀히 연관된 것으로 일제 단맥설 같은 대중정서의 형성 과정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demolition of the former headquarter building of Chosen Governor-General in 1995 and the opening of Sodaemun Prison History Hall in 1998 show the existing influence of the collective memories of Japanese colonial domination on the politics of urban space in contemporary Seoul. One can find out some aspects of the effacement and revival of the collective memories in relation to the destruction and restoration of the symbolic spaces based on strong nationalistic emotions in post-colonial Korean society. Criticising Korean popular version of the theory of geomantic injury by Japanese imperialism, this paper analyses following three main aspects of the restructuring plan of colonial Seoul(Keijo) of Japanese imperialism. Firstly, Japanese strategies of colonial urbanization can be analysed into two moments:transplantation of the prototype and destruction of the native traditions. Japanese prototype of modern urbanism, including such Japanese original cultural elements as the shrine and the licensed prostitute quarters, is originated from the spatial systems of traditional Joukamachi developed by Bakuhu regime in early modern Japan. Secondly, the investigation of the process of the building of the two representative symbolic architectures of Japanese colonial power in Keijo, the headquarter building of Governor-General in Kyungbokkung palace site completed in 1926 and the Chosen Shrine built in the Mt. Namsan area in 1925, reveals Chosen Government-General’s strategies of the construction/destruction of the symbolic space in colonial Seoul, which can be summarized as an Haussmanizing project, putting emphasis on the visual effects of both the prospects of the location of the buildings and the aspects of the architectural forms. Thirdly, the attitudes of the Japanese colonial power towards the traditional architectures of Chosen Dynasty can be characterized as apparent ambiguity, consisting of two contrasting aspects: overall neglect of the value as cultural properties on one hand, and careful considerations on specific objects in particular moments on the other. As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politics of urban space of the Japanese colonial power proceeded mainly with the lack of fundamental principles, according to circumstances. The fact that the social spread of the misled popular version of the theory of geomantic injury in post-colonial Korean society can be interpreted as a symptom which reveals the overwhelming influence of Korean people’s collective emotions of revenge upon Japanese people in the formation of post-colonial Korean nationalism.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o pay attention to the phenomena of recent rediscovery or invention of national placeness in Korean society, in relation to the social dynamics of the politics of colonial memories and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Korean nationalism.

      • KCI등재

        식민권력과 광장공간 -일제하 서울시내 광장의 형성과 활용

        김백영 ( Baek Yung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1 사회와 역사 Vol.0 No.90

        일제하 서울에서 광장으로 대표되는 도시 공공공간은 어떻게 형성되고 활용되었는가? 광장을 ‘소통형’과 ‘과시형’으로 대별하여 유형화해본다면, 제국주의시대 식민지도시의 광장공간은 대체로 후자의 특성을 강하게 띤다. 광장공간에 대한 연구는 형태학적 분석과 화용론적 분석의 양 측면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식민지 시기 서울의 광장공간은 일제 말기 전시 총동원체제기를 제외하면 대체로 사회문화적 차원에서의 화용론적 성격은 매우 미약하게 나타난다. 일제하 서울 도심부의 대표적인 광장공간으로는 조선은행 앞 광장과 경성부청 앞 광장을 들 수 있는데, 양자의 형성사적 배경이나 장소성은 다시 차이가 있다. 조선은행 앞 광장은 1910년대 형성된 대표적 광장으로, 당시 식민권력이 한편으로는 종로ㆍ덕수궁 앞ㆍ광화문거리 등 북촌지역에 남겨진 왕조시대 광장정치의 장소성을 파괴ㆍ말소시키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남촌의 신시가지 개발에 주력했음을 보여준다. 1920년대 중반에는 식민지 행정수도의 상징경관이 일차적으로 완성되는데, 경성부청 앞 광장과 조선은행 앞 광장 및 주변 도심부 지역의 장소성의 기능적 분화가 본격적으로 가시화되는 것은 이때부터이다. 이들 광장은 형태학적 완성도가 비교적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화용론적으로는 거의 의미있는 활용 양상을 보여주지 못하는데, 경성부청 앞 광장의 경우 1930년데 중반경부터 주민동원 행사를 위한 공간으로 간헐적으로 사용된다. 공간의 화용론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가장 활성화된 광장은 1930년대 이후의 신궁광장이다. 남산의 신궁광장과 그 주변 공간은 특히 전시 총동원체제기 왕국신민화를 위한 상징적 장소로 자리매김하면서 주민들의 집단적 강제동원을 통해 이루어진 군국주의적 국가의례의 주된 무대로 사용되었다. 결국 일제하 서울의 광장과 공공공간은 전반적으로 소통성이 거의 부재한 압도적인 과시성으로 특징지어지는 공간으로서, 그 역사적 유산은 탈식민 서울의 도심부 공간구조와 시민 일상생활에 지속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the pragmatic usage of the square space in colonial Seoul, which is called as Kyungsung or Keijo at that period. As a theoretical subsumption, I proposed to divide the square space into two types-one for the mutual communication of people`s and the other for the ostentation of the power. Lots of colonial cities built by modern imperialism show grand scale of squares, using them for political purposes. As a 500 years old historic capital of Chosun Dynasty governed by neo-Confucianism, the central area of Seoul was filled with several square places for both communicational and ostentational usage. Due to these spatial legacies, during the early period of colonization Japanese colonial power concentrated on the development of the south area of the traditional Seoul, alienating the north area which had been occupied mainly by the native Korean people. The central square space which would become the spatial symbol of the colonial politico-executive area began to be formed as late as in mid-1920`s, with the simultaneous completion of both the new headquarter building of the Government-General inside the Kyungbokgung palace site and the new building of Keijo municipal office nearby the traditional Duksugung(Kyungungung) palace. In terms of the pragmatic usage of the square space, in contrast to those squares mentioned above which were rarely used for social gatherings, the Shingung square located in Chosun Shrine at Mt. Namsan area was the most frquently used place for the mass-mobilizing rituals since the mid-1930`s which were held mainly for the propaganda of Kouminka movement or in advocacy of Japanese imperial militarism. In conclusion, the square space formed and used in colonial Seoul can be characterized as the space for the propaganda and domination of Japanese colonial power, leaving behind deep and long-lasting politico-sociological legacies in post-colonial Se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