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원 도시’로 가는 길?

        염복규(Yum, Bok Kyu) 도시사학회 2015 도시연구 Vol.13 No.-

        이 논문은 1920~30년대 남산주회도로(현재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신당역구간)의 부설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식민지시기 서구에서 기원한 전원도시론이 일본을 경유하여 조선에 전파되는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원래 자본주의 도시화의 폐해에 대응한 사회개혁론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던 전원도시론은 미국, 일본으로 전파되면서 도시 유산층의 교외주택지 개발이론으로 변용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변용된 전원도시론이 식민지 조선에도 전파되었다. 1920년대 조선에서는 전원도시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경성거주 일본인 유산층을 중심으로 남산 동남록 지역의 고급 주택지가 개발되고 남산주회도로를 부설하자는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여러 차례 부침을 겪으며 쉽게 성사되지는 못했다. 남산주회도로는 1936년 경성시가지계획이 시작되면서 그 일환으로 비로소 부설되었다. 그리고 남산주회도로의 부설은 그 연도인 남산 동남록 지역의 고급 주택지 개발을 더욱 촉진했다. 그러나 이는 주택지 개발 이전부터 그 곳에 살고 있던 영세민의 추방을 의미했다. 이렇게 식민지 조선에서 전원도시론은 (일본인) 유산층을 위한 고급 주택지 개발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the building of the Ring Road around the Namsan mountain, located in the south of the colonial capital, during 1920’s and 30’s. The road, winding around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mount, roughly corresponds a stretch between the Samgakji station and the Sindang station on the Line No. Six of the current Seoul Metropolitan Subways. Through the examination, the paper examines how the theory of garden city, which had been initiated in the west, arrived and spread in the colonial Joseon via Japan and analyzes its implications. The theory of garden city, which was originally advocated as a reformist argument against harmful effects of capitalist urbanization, underwent a transformation into a development theory promoting residential suburbs for urban middle class in the US and Japan. The modified version of the theory arrived in colonial Joseon via Japan: in 1920’s, a campaign for developing an exclusive residential area at the southeastern foot of the Namsan mount and building a circular road surrounding the area was initiated by mostly wealthy Japanese settlers in Kyungseong, and their argument was based on the garden city theory. The campaign went through its ups and downs through years without fruition. The Namsan Ring Road was finally constructed with the onset of the Kyungseong Town Plan in 1936, and therefore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he upper-class residential area around the new road. However, the building process resulted in the displacement of low-income residents, who had inhabited the area for generations. In this way, the theory of garden city was exploited in colonial Joseon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drive, mostly beneficial to the (Japanese colonialist) middle class.

      • KCI등재

        근대도시주거로서 충정아파트의 특징 및 가치

        이연경(Lee, Yeonkyung),박진희(Park, Jinhee),남용협(Nam, Yonghyup) 도시사학회 2018 도시연구 Vol.- No.20

        충정로3가의 충정아파트는 건축 당시에는 소유주 도요타(豐田種松)의 이름을 딴 도요타(豊田)아파트로 불렸던 일제강점기 공동주택으로, 1937년에 신축된 철근콘크리트조 4층의 건물이다. 이 아파트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들 중 하나로, 80여년의 시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도시주거로서 그 기능을 하고 있으나, 건립 당시의 사료 부족으로 인하여 충정아파트의 특징과 가치에 대해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은 상황이다.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아파트가 얼마 남지 않은 지금의 상황에서, 역사적인 도시주거 건축물로서 충정아파트가 가지는 특징과 가치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충정아파트에 관련된 사료들을 분석함으로써 충정아파트의 특징을 파악함과 동시에, 20세기의 격변하는 도시적 변화 속에서 주거건축물로 작동한 충정아파트의 가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시간적으로는 충정아파트 건립 당시 뿐 아니라 건립 전·후의 도시적 상황을 폭넓게 다루었으며, 공간적으로는 충정아파트가 위치한 250번지 일대부터 충정로3가까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충정로3가의 지역적 특징과 도시화과정, 1937년 충정아파트가 신축될 당시의 도시적·건축적 상황, 건립이후 도시 변화와 충정아파트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근대도시주거로서 충정아파트의 특징과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정아파트는 도시변화 과정에서 생성된 도시적 산물(産物)이다. 충정아파트는 근대도시주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던 상황에서 등장하였으며, 그 형태는 도시적 맥락, 즉 필지 및 주변 건물의 형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도시적 결과물이다. 둘째, 충정아파트는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역사적 장소성을 가지고 있다. 일제강점기-미군정시기-6.25전쟁-전후복구의 복합적인 과정을 거치는 동안 충정아파트는 주요한 장소로 등장하였으며, 시기에 따라 각기 다른 장소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 충정아파트는 1930년대 건설된 다른 공동주택과는 차별되는 근대도시주거로서의 아파트라는 특징을 가진다. 넷째, 충정아파트는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철근콘크리트 아파트이자 1960~70년대 등장한 비정형의 중정형 아파트의 특징과 연계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The Chungjeong apartment building, located at Chungjeong 3<SUP>rd</SUP> Street, is an urban housing that was built in 1937 by Toyota(豊田種松). This four floor story building was called the Toyota Apartment, at first. It was one of the most oldest apartment buildings in Korea. To date, it is still being used as urban housing. However, i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has not been clearly understood until now.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ungjeong apartment with analysis of historic materials. The study also aims to grasp the significance of this building as a modern urban housing related with the urban changes.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nges of Chungjeongro, 3<SUP>rd</SUP> Street, as well as Chungjeong apartment building, in the whole 20<SUP>th</SUP> century. It focuses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urbanization process of the Chungjeongro 3<SUP>rd</SUP> Street, 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transforming process of the Chungjeong apartment building.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Chungjeong apartment w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At first, the Chungjeong apartment building is a result of the modern urbanization process. It was built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of modern urban housing in the 1930s. Its irregular shape was due to its urban context. Secondly, the Chungjeong apartment has a historical place-ness. It has been a significant place for urban housing, headquarters for military command and hote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S military government, Korean War and post-war reconstruction period. Thirdly, the Chungjeong apartment has functioned as the modern apartment housing,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ther housing types in the 1930s. Finally, the apartment building is the oldest reinforced concrete apartment building. It is thus meaningful in that it is related with urban housings of 1960-70s, which have irregular shapes and courtyards.

      • KCI등재

        2000년 이후 한국의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 동향과 과제(2001~2020)

        유현정 도시사학회 2022 도시연구 Vol.- No.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changes and development of Korean research studies on Chinese modern urban history focusing on research outcomes of Chinese modern urban history in the domestic academia from 2001 to 2020. Since the 1990s, interest in urban space has been accumulated as the Asian history world of Korea attempts to historically understand cities. In history research studies, urban space is now understood not only as a product of history, but also as the sum of multilayered relations of various leveled-social powers. The theme of research was mostly expanded from politics, society, and economy such as political conflict or development of commerce/industry in urban society to urban administration, disease and hygiene, urban culture, and identity of city and its members. In the perspective of research, analysis on city was moved toward the direction of interpreting and examining the spatial nature of city by exploring human activities with correlations and interactions of urban space.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 there were new changes of utilizing non-textual materials such as theater art and printed art. Like this, Korean research studies on Chinese modern urban history have achieved eye-opening results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Concerns about the nature of modern urban space paid attention to its coloniality and recovery of the right of urban space. Now, interest in urban space right should be more expanded to explore the right of urban space open to every urbanite. In the future, this is expected to become a research task we can inquire into as a “practical activity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lternative urban culture based on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이 글은 2001년~2020년까지 국내 학계의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 성과들을 중심으로 국내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가 내용 면에서 어떠한 변화 발전을 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1990년대 이래 한국의 동양사학계에서 도시를 역사적으로 이해하려고 하면서 도시 공간에 대한 관심이 축적되었다. 이제 역사 연구에서 도시 공간은 역사의 산물이자 다양한 층차의 사회 세력들이 맺은 중층적 관계의 총합으로서 이해되었다. 연구의 테마는 주로 도시 사회의 정치적 갈등이나 상공업 발전과 같은 정치, 사회, 경제 연구가 중심이던 것에서 도시행정, 질병과 위생, 도시문화, 도시와 도시 구성원의 정체성 등으로 확장되었다. 연구의 시각도 인간의 활동과 도시 공간의 상호관계 및 상호영향을 탐색하면서 도시라는 공간의 성격을 규명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극예술, 인쇄 미술 등 비문자 자료를 활용하는 등 연구 방법 면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이처럼 한국의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괄목할 만한 성과를 쌓아왔다. 근대적 도시 공간의 성격에 대한 고민은 그 식민성과 도시 공간의 권리를 회복하는 것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제 도시 공간권에 대한 관심을 더욱 확장시켜 도시 공간이 도시인들 모두에게 열려있어야 할 공간의 권리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아가길 바란다. 이는 “참여와 연대성에 기초한 대안적 도시문화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활동”으로서 앞으로 우리가 천착할 수 있는 연구과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근대적 도시가로환경의 형성

        이연경(Yeonkyung Lee) 도시사학회 2014 도시연구 Vol.11 No.-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 동안 종로가 근대도시가로로 변모하는 과정은 조선정부와 대한제국의 자주적 근대화 노력으로 시작하여 1910년 이후 일제 식민지하에서의 식민근대 도시화 과정의 일환으로 그 물리적 틀이 구축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종로를 포함한 서울의 근대 도시가로에 나타난 교통, 상업, 건축의 변화는 종로의 도시가로환경이 형성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그 변화는 1925년을 기점으로 전,후 시기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렇게 구축된 종로의 도시가로환경은 각각 도로, 가로시설물, 가로변 건축물의 세 가지 요소로 구분되어 분석될 수 있었는데, 도로가 관의 도시계획이나 교통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부분이었다면 가로시설물의 설치는 도시 기반시설이 설치됨에 따라, 또한 도시 상업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었다. 가로변 건축물의 경우에는 건축에 관한 법령의 영향을 많이 받기도 하였지만, 건축기술의 발전과 상업의 발전에 따라 점점 고층화, 대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종로의 도시가로환경의 변화는 결국 시스템화되는 도시가로환경 체계의 구축과 도시가로공간의 상업적 변용이라는 특징으로 압축되어 설명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해 식민지화된 서울의 한국인 중심가로로서 종로가 가지고 있었던 독특성 역시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로의 근대도시가로환경의 형성은 당시 서울의 도로들이 근대도시 가로화되면서 가지고 있었던 보편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인의 중심 가로로서 가지고 있었던 특수성 역시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From the 1896 to 1939, Jongno Street, one of the main streets of Seoul, was rapidly modernized. First, rhe process of the modernization can be analyzed chronically. The turning point in modernization of Jongno streetscape came in 1925 when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street were executed and height regulation was set. In this paper, the whole process of modernization from 1896 to 1939 is divided into two phases: (1) 1896-1925: independent modernization by Koreans before 1910 and stagnant period due to Japanese colonization after 1910. (2) 1925-1939: establishment of a basis of modern street, and growth of modern streetscape and modern culture. Modernized urban streetscape of Jongno can be analyzed in three aspects: evolution of transportation into urban street system, development of street environment as an urban street surroundings and growth of buildings in the street as urban artifacts. Consequently,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Jongno Street was driven by physical and social changes under peculiar condition of Korea at that time. Transformation of street environments and changes in everyday life are common phenomena in modern cities; however, the modernity found in the modernization of Jongno had an accepted and modified form driven by Koreans with Japanese and Western influences. Japanese colonization and introduction of machine civilization and capitalism were the main factors to influence modernization of Jongno Street.

      • KCI등재

        식민지 도시계획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염복규(Yum, Bok Kyu) 도시사학회 2017 도시연구 Vol.- No.17

        이 논문은 1920년대 조선 도시계획 논의의 전개 과정과 ‘1930년 조선총독부 도시계획안’의 위상을 재검토한 연구이다. 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도시계획파는 잡지 『조선과 건축』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도시계획 담론을 조선에 전파했다. 또 조선 4대 도시(경성, 부산, 대구, 평양)의 조사와 도시계획안 작성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했다. 조선총독부 수뇌부의 반대로 도시계획법이 제정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1920년대 내내 조선에서 도시계획은 부침을 겪으며 점차 하강곡선을 그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대 도시의 조사 작업은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1930-31년 경성, 부산, 대구 세 도시의 도시계획안이 간행되었다. 그런데 이것은 도시계획을 즉시 실행하지 않음을 전제로 총독 등에게 보고용으로 소량만 인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도시계획을 위한 재원 마련책이 없으며, 실지 측량도 일부만 했다. 무엇보다도 조선총독부의 공식 간행물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지 않고, 국회도서관과 일본 사이토기념관에만 소장되어 있다. 그리하여 오랫동안 존재조차 잊혀져 있었다. 결론적으로 ‘1930년 조선총독부 도시계획안’은 1920년대 조선 도시계획 논의의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는 증거이다. This treatise examines the discussion of urban planning in colonial Joseon during the 1920’ s and the “1930 Joseon Government General Urban Plan.” During the 1920’ s, urban planners in the colonial government attempted to promote city planning ideas and discussions through publishing the periodical “Joseon and Construction.” They conducted preliminary surveys of the four major cities in Joseon – Kyeongseong (京城), Busan (釜山), Daegu (大邱), Pyongyang (平壤) - and drew up urban plans for these cities. However, the project faced opposition from higher levels of the colonial administration, especially with regard to legislating the urban planning act. Throughout the 1920’ s, there were ups and downs, but efforts for urban planning in Joseon continued to decline. Nevertheless, the surveys of the four major cities were carried out and resulted in the 1930-1931 publication of the city plans for Kyeongseong, Busan, and Daegu. However, the urban plans were meant to be printed only in small numbers to debrief the Governor General, without any intentions to realize them in the foreseeable future. No resources were procured for the plans and the actual surveys did not cover the cities’ entire areas. Moreover, although the plans were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they are currently not in possession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only found at Korea’s Library of the National Assembly as well as the Saito Makoto Memorial Hall in Japan, actually forgotten, even among scholars. In conclusion, the “1930 Joseon Government General Urban Plan” embodies both the achievement of discussions on urban planning in Joseon during the 1920’ s and its limitation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강남 개발과 올림픽 효과

        김백영(Kim, Baek Yung) 도시사학회 2017 도시연구 Vol.- No.17

        이 글에서는 스포츠 메가이벤트가 도시공간에 미친 영향, 올림픽이 지닌 ‘도시개발의 촉매제’로서의 특성에 주목하여 1988 서울올림픽이 강남 개발과 서울의 도시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는 국제 규모의 경기장과 선진 대도시 수준의 세계도시를 건설하려는 계획은 잠실지구 개발사업이 본격화된 1970년대초부터 등장했다. 유신정권의 강력한 정책적 의지에 힘입어 서울시는 1970년대초부터 영동・잠실지구 신시가지를 포함하는 다핵화된 성상도시 플랜을 수립하고 잠실지구를 국제적 스포츠경기 유치를 위해 특화된 올림픽타운으로 조성하려는 계획을 수립했다. 1974년 잠실지구가 종래의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통해 조성된 단순한 주거타운과는 차별화된, ‘도시다움의 추구’라는 미래 이상도시 건설을 염두에 둔 종합적 플랜의 대상으로 재설정된 것은 이러한 배경에서다. 88서울올림픽 유치가 결정되자, 1980년대 서울시는 신군부 정권 주도하에 ‘세계는 서울로, 서울은 세계로’라는 표어에 부응하는 ‘국제도시’이자 ‘선진도시’로서 단기간에 압축적이고도 전 방위적으로 그 면모를 일신해 나아갔다. 한강고수부지 개발과 강남 · 북을 잇는 교량 건설, 동서 방향의 도시고속화도로와 지하철 건설 등 한강개발과 교통망 정비사업이 그 한 축을 담당했다면, 서울다핵도시화 계획에 따른 잠실 올림픽타운의 미관지구 조성과 도시 전반의 공원화 사업 등 도시미화운동은 그 다른 한 축에 해당한다. 결과적으로 1960~70년대 박정희 정권의 국가주의적 계획에서 비롯되어 ‘86 · 88의 시대’를 거치면서 관 주도적으로 추진된 올림픽도시 만들기 프로젝트는 강남 신시가지가 경이적인 규모와 속도와 획일성으로 조성되게끔 한 강력한 촉매제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초대형 아파트단지 집중지역으로 재탄생한 강남은 한국 중산층 주거의 새로운 모델이자 ‘강남화’ 현상의 근거지가 되었다. Considering Olympics as a catalyst for urban development, this articl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on the development of Gangnam area in Seoul. The plan to construct an international stadium and an advanced metropolitan city that can host the Olympics has been in place since the early 1970s, when the Jamsil district development project has started in earnest. Thanks to the strong political will of the Yushin regime, the city of Seoul established a plan to construct a star-shaped multi-core city plan, including new city areas of Yeongdong and Jamsil districts, as new cores in the early 1970s. Since then, Jamsil district has begun to be designated as a specialized Olympic town to attract international sports games. It was with this background that the Jamsil district in 1974 was redesigned with a comprehensive plan to build a future-oriented city in pursuit of urbanity, different from a simple residential town built through the conventional land readjustment project. With the decision to host the 1988 Seoul Olympic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the 1980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new military regime, made a full-scale change as an "international city" and "advanced city," corresponding to the motto of "the world to Seoul, Seoul to the world." The Olympic city development plan was realized vigorously through ‘the age of 86 · 88’ mainly in the following two ways: first, the Han River development and the main transportation network establishment projec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the Han River estuary site,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connecting Gangnam and Gangbuk, the urban high-speed road and subway construction in the east-west direction, and second, the urban beautification movement, such as making aesthetic district of Jamsil Olympic Town according to Seoul multi-core city plan and city-wide park-building project. The Olympic city development plan was originated from the national mobilization strategy of the Park Chung-hee regime in the 1960s and 1970s. It was propelled and realized as Jamsil Olympic town by the 5th Republic regime, finally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Gangnam new urban area with a phenomenal scale, speed, and uniformity. In the near future, Gangnam would become a new model of Korean upper-middle class housing.

      • KCI등재

        현대 한국의 도시위생 개선과 의학 교과서 서술의 변화

        권오영(Kwon, Oh Young) 도시사학회 2017 도시연구 Vol.- No.18

        이 글은 도시위생과 관련된 예방의학과 미생물학의 교과서를 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하여 도시위생의 개선에 따라 교과서가 어떻게 서술 변화를 보였는지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현대 도시위생의 개념이 시작된 1950년대에는 도시위생의 인프라를 구축하던 시기였다. 당시 도시위생은 의학의 하나의 주제였고, 위생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시위생의 직접적인 주제들이 의학 교과서에 수록된다. 그러나, 산업화 이후 이 같은 내용은 점차 축소되면서 산업보건 문제와 만성질환 분야의 서술이 증가한다. 최근에는 신종감염병과 국가 간 위생에 관점을 맞추어 교과서 내용은 변화하고 있다. 도시위생의 개선은 이와 관련된 감염병의 발생을 감소시켜 미생물학의 교과서 서술 내용과 구성을 변화시켰다. 상하수도 시설의 구축으로 수인성감염병의 발생이 감소하였고, 교과서 분량도 같이 감소한다. 해외유입 감염병과 신종감염병의 유행은 이 분야의 서술을 점차 증가시키고 있다. 도시위생 시설변화에 의해 특정 질병의 서술이 시기별로 변화한 사실을 콜레라와 레지오넬라증으로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도시위생의 개선은 의학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의학 교과서의 서술을 변화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descriptions of medical textbooks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urban hygiene, by analyzing textbooks of preventive medicine and microbiology related to urban hygiene. In the 1950’s, the concept of urban hygiene was taking root. This was the time to build up the hygienic infrastructure in Korea. At that time, urban hygiene was one of the topics of the world of medicine. More direct topics of urban hygiene were introduced in medical textbooks. However, after improving urban hygiene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is topic was no longer considered of major import, as occupational health and chronic illnesses have taken its place. The improvement of urban hygiene also changed the description and structure of the microbiology textbooks by reducing the occurrences of many types of infectious diseases. Improvement in urban hygiene, which reduced the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has changed the description and composition of textbooks in microbiology. The construction of water and sewage facilities reduced infectious waterborne and foodborne diseases, and the amount of these description of microbiology textbooks also decreased. The outbreak of new infectious diseases and diseases from overseas are increasingly being described in this field. The contents of the specific diseases were changed by the sanitary facilities of the city through the cases of cholera and legionellosis.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of urban hygiene has made a great impact on medicine, and has also changed the descriptions of medical textbooks.

      • KCI등재

        식민지 도시사 연구의 최근 성과 검토와 약간의 전망

        염복규 도시사학회 2022 도시연구 Vol.- No.31

        This paper examined recent research articles and books on the urban history of colonial Korea and presented some views for further studies. The research papers in this academic field, published during the period of 2001 to 2021,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number of articles, research target period, and research themes. Then,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five research topics: 1)colonial rule and city administration, 2)city politics and influential persons, 3)urban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4)urban landscape and 5)culture. The number of publications in this field peaked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20th century and decreased relatively in the 2010s. As for the research target periods, the focus appeared to move from the Ports Opening and early colonial rule period to the late occupation period. Research themes were observed as moved to urban sociology from urban development history. This paper presented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analysis. Firstly, current research target cities and topics, which were found as focused on specific areas, need to be expanded further. Secondly,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urban history needs to be pursued through lively debates between other academic fields. Thirdly, the historical analysis needs to be based on a greater awareness of current issues. 이 논문은 식민지 도시사 연구의 최근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약간의 전망을 제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2001~2021년 식민지 도시사 연구 저서・논문을 수집하여 연구의 총량, 연구 대상 시기, 연구 주제 등의 변화 양상을 검토했다. 다음으로 연구 주제를 식민통치와 도시행정, 도시정치와 유력자, 도시사회와 도시주민, 도시개발과 인프라, 도시경관과 도시문화 등 5개로 나누어 주요 연구 성과를 검토했다. 그 결과 2001~2010년 연구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2010년 이후에는 증가세가 둔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 연구 대상 시기는 개항~일제초기에서 일제말기로 변화하고 있으며, 연구 주제는 도시개발사에서 도시사회사로 초점이 옮겨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검토 결과에서 도출한 앞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도시와 주제가 편중되어 있다. 이를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도시사 연구의 융합적 특징을 살리기 위해 다른 학문 분야 간의 논쟁적 대화가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 셋째, 현재성 있는 문제의식을 더 가다듬어야 한다.

      • KCI등재

        일본의 도시위생사 연구동향과 전망 - 근대사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김영수(Kim, Young-soo) 도시사학회 2020 도시연구 Vol.- No.23

        본 논문은 일본의 근대국가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이자 수단이었던 위생문제에 주목하여 일본 근대사에서 도시위생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알아보고, 그 성과와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도시를 이해하고 도시의 구조적인 변화를 설명하는 주요 테마로 위생이라는 주제가 주목받기 시작했고, 도시위생에 관한 연구는 도시 공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질과 성격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차별의 재생산 문제, 전근대와 근대 신분제도에 대한 단절과 연속문제 등을 분석하기 위한 주제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1990년대 도시공간 연구에 대한 방법론이 전환된 결과로, 위생을 독립적인 주제로 다루는 경향이 강해진 것에 기인한다. 최근 연구는 위생제도의 변화, 분뇨처리 문제, 전염병 예방, 상하수도 시스템, 빈민, 환경위생에 관한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이는 의료사회사 연구의 성장과도 맞물려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위생과 관련된 근대적인 제도 그 자체의 불완전성이나 전근대 제도와의 연관성과 전근대 제도의 근대적인 변용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한 가운데 공개자료의 확대와 통계 등 다양한 분석기법의 활용으로 생활수준, 상하수도 부설, 우물 이용, 주거 지형의 차이 등의 다양한 요소가 도시의 위생환경을 구성하는 요인이며, 각 요소가 위생사업에서 동인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위생을 빈곤의 문제와 결부시키던 기존의 논의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최근 발간된 자료집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을 담아내는 연구, 그리고 비교연구를 통한 도시위생 연구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kinds of research conducted on the subject of urban sanitation in modern Japanese history. Studies on sanitation began to attract attention as hygiene (sanitation) was recognized as a major issue explaining structural changes in the city. Studies on urban sanitation emerged as a topic for analyzing discrimination against the poor in cities--its impact on marginalizing and perpetuating class distinctions from the pre-modern to the modern period--in the process of analyz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s. The emergence of these studies was the result of a shift in methodology for urban space research in the 1990s; researchers had a strong tendency to consider sanitation (hygiene)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understanding cities.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changes in the administration of public health and the perception of night soil, preventive measures for infectious diseases, and water supply and sewage systems, and environmental sanitation. Such research is closely linked to advances in the study of the social history of medicine. These studies focus on the imperfections of modern systems relating to hygiene or their association with the transformation of pre-modern systems. The studies confirm that modernization was not a decisive factor driving the improvement of sanitation or in determining the sanitary environment in the city. Additionally, some studies criticized the existing theory of the cycle of poverty-poor sanitary conditions-infectious diseases-poverty. Thus, further studies analyzing urban sanitation from a different angle should be undertaken.

      • KCI등재

        근대 상하이 도시위생과 세균설의 수용

        조정은(Jo, Jeong Eun) 도시사학회 2017 도시연구 Vol.- No.18

        이 논문의 목적은 일본인 의사가 세균・병균이라는 개념을 중국인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소개하였는지를 통해 중국의 위생론 수용에 미친 일본의 영향을 밝히고, 이러한 위생론이 실제 도시위생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와타누키 요사부로(綿貫與三郎)와 일본에서 의학을 공부한 중국인 의사 천지우(陳繼武)가 함께 출판한 『위생백화보』(1908년)를 주요 사료로 삼았다. 『위생백화보』는 일반인도 이해하기 쉽도록 백화문을 이용하여 위생지식을 전파하였다. 그러나 일반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다 오히려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지 못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삼시’가 바로 세균일 수도 있다고 설명한 부분이 그렇다. 도교에서는 삼시 혹은 삼충이라고 부르는 벌레들이 사람 몸속에 살면서 질병이나 욕망을 조종한다고 믿는다. 삼시를 기생충 혹은 사기로 만들어진 물질이라 해석하기도 한다. 어느 쪽이든 근대의학에서 말하는 세균과 일치하는 개념으로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설명은 오히려 세균에 대한 오해를 불러올 우려가 있었다. 『위생백화보』에서는 세균설이라는 새로운 병인론을 소개하면서 건강한 사람은 병균이 침입해도 병에 걸리지 않으므로 항상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위생과 건강・장수를 동일시함으로써 일반인들도 위생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도 위생론을 양생론이나 장수론의 일종으로 받아들였던 일본의 특징이 드러난다. 또한 일본과 중국을 비교하면서 위생을 갖춘 문명국인 일본을 본받아야 한다고 여겼다. 그렇다면 세균설 및 전염병론의 소개는 실제 도시위생체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세균설은 1890년을 전후하여 상하이에 들어온 것으로 짐작된다. 새로운 병인론의 등장으로 도시위생 시설의 구축과 정비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졌다. 『위생백화보』에서 제시한 위생조치는 실제 진행된 위생조치와 일맥상통한다. 예를 들면 잡지에서 타구의 중요성에 대해 지적한 것처럼 실제로도 상 하이 정부는 공공장소에 타구를 설치하고 이용하도록 권장하였다. 물의 전염병의 모개가 되므로 깨끗한 물을 마셔야 한다는 주장은 상수도의 확충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폭발적인 인구증가, 급속한 도시화의 물결, 각 국 조계 및 화계를 통합할 수 있는 도시위생 체제의 미비로 인해 1910년대에도 여전히 조계 및 화계의 도시위생 설비는 완비되지 못한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위생백화보』는 우선 개인이 실생활에서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위생법을 전수하는데 초점을 맞췄던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일본의 위생론이 중국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따라서 일본식의 세균설과 전염병론의 내용을 살펴보고 실제 도시위생체제와 비교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공백을 메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서구뿐만 아니라 일본을 통해서도 도시위생론이 수용되고 있었다는 사실은 상하이의 국제성과 다면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나아가 일본의 영향력이 강했던 식민지 시기 조선의 도시위생론 수용과정과 비교함으로써 근대 일본의 위생관념의 영향력을 재고하고 각 지역의 특성을 명확히 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Japan on the acceptance of Chinese germ theory based on how Japanese doctors introduced the concepts of germ and pathogene to Chinese people, and explore how this germ theory is applied in actual urban sanitation. For this purpose, the author selected Weishengbaihuabao (衛生白話報, 1908) jointly published by Japanese doctor Watanuki Yosaburo (綿貫與三郎) and Chinese doctor Chen Jiwu (陳繼武) as a major historical document. This journal disseminated knowledge on sanitation with written colloquial Chinese for ordinary people to be easily understood. However, there are some cases that accurate knowledge is not well delivered when trying to explain plainly. For instance, an explanation on Sanshi (Three Corpses) is the right case. Taoism holds that Sanshi enters into our body and manipulates disease or desire. Three corpses are sometimes interpreted as parasites or materials made of negative spirit (邪氣). Neither can be accepted as a concept identical with germ referred in modern medicine. This explanation, instead, may trigger a misunderstanding on germ. This journal introduces a new pathogenesis called germ theory and claims that it is significant to always maintain physical health since healthy people are not vulnerable to disease no matter what pathogenic bacteria invades. By equating sanitation with health as well as longevity, people can accept the new concept, which is referred to sani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Japan that took the theory of sanitation either as recuperation (養生法) or longevity are presented here. Moreover, it held that civilized Japan with sanitation should be followed by comparing Japan with China. With the emergence of the theory of germ,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urban sanitation facilities and maintenance was heightened. The sanitary measure presented in this journal is consistent with the actually practiced sanitary measure. As the importance of spittoon was noted in this journal, Shanghai authority, for instance, installed spittoons in public places and encouraged people to use them. The argument of drinking clean water as it is the source of water epidemic led to the extension of water supply facilities. Unfortunately, urban sanitation facilities in Shanghai was incomplete in around 1890 due to the dramatic increase of population, rapid urbanization, and lack of integrated urban sanitation system.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journal focused on instructing a sanitation method anyone can follow in daily lives. Previous studies did not attend to the effects of Japanese Hygiene theory in China.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that examined the contents of Japanese germ theory and the theory of epidemics and compared them with the actual urban sanitation system has a valuable achievement in filling up its empty part.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to reconsidering the influence of modern Japanese sanitation idea and clarifying the features of each region by comparing it with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theory of urban sanitation in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