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하도로 계획 및 기하구조 설계에 관한 연구

        김낙석,배성식 한국재난정보학회 201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7 No.1

        현재 국내의 지하 도로건설 가능성은 증가하고 있으며, 그동안 건설계획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지하도로의 특성, 관련 법규 및 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고려하여 지하도로 건설에 필요한 기초적인 방향제시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또한, 지하도로에 관한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하도로의 선형 선정 시 지하공간 활용, 기술적요인 및 교통체계가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한다. 2) 지하도로의 설계속도는 주행중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한속도보다 10km/h정도 상회되도록 건설되어야 한다. 3) 비상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지하도로는 재난방지 시설 계획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제약상 지하도로 운전자의 특성에 대한 내용은 충분히 반영되고 있지 못하고 있으나 향후 지하도로 건설에 관한 개괄적인 방향제시에 관한 내용은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lans of underground roads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 possibilities of underground road constructions have been growing in Korea. However,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roads, the enactment of law, and the establishment of design criteria haven’t been conducted so far, if any. Based on these backgrounds, the paper presents the basic direction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roads. It also investigates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roads and reviews domestic and foreign examples. Major results by implementing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when selecting the route of underground roads, the use of underground space, technical aspects, and traffic systems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2) the design speed of underground roads will be 10km/h above the speed limit to secure safety; 3)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should be planned to connect high traffic management system for coping with unexpected situations. Although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hasn’t reflected the driver’s characteristics on new spaces such as underground roads, it has some significance that it suggests the major reviewing issues on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roads, and presents the direction through the previous study.

      • KCI등재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도심 지하도로 유출연결로 접속부 주행행태 분석

        정승원,송민수,황순천,이동민,권완택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1

        지하도로의 운전자 주행행태는 지상도로와는 다르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도로설계가 필요 하지만, 국내 도시지역 지하도로 설계지침은 대부분 지상도로의 설계기준을 준용하여 설계방 법을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도심 지하도로 유출연결로 접속부의 운전자 주행행태를 분석하였다. 지하도로 및 지상도로 환경이 대조될 수 있는 시나 리오를 설정하여 가상주행실험을 수행하였고, 세부 구간별로 주행행태 데이터의 비교·분석과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하도로에서의 주행속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차로 횡적 이격거리는 인접한 터널 벽체로부터 멀어지려는 행태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하 도로 유출연결로 접속부에서 운전자의 주행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설계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Even though driving behaviors in underground roads can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ground roads, existing underground roads follow the design guidelines of ground road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riving behaviors of the exit-ramp terminal of urban underground roads using a driving simulator. Virtual driv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analyzing scenarios between the underground and ground road environments. The experiments’ driving behavior data for each geometry section are compared and validated through a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This test showed that the speed in the underground road environment is relatively low, and the LPM tends to move away from the adjacent tunnel wall.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and feasible solutions for improving driver’s safety in the exit-ramp terminal of the underground roads.

      • KCI등재

        도로점용허가와 주민소송 - 대법원 2016.5.27, 선고, 2014두8490 판결 -

        선정원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17 행정판례연구 Vol.22 No.2

        In the Supreme Court judgment 2014DU8490 made on February 27, 2016, the Supreme Court judged, that a special use permit of the road underground would be the object of inhabitants’ suit, and it reversed the judgments in lower instances. The underground space, by the Supreme Court, was irrelevant to public traffic, the original function and purpose of the road, and the purpose of the permit was actually acts similar to leases.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d to make the Supreme Court judgment more clean-cut. First, the road and its underground are all properties of the local government. Second, the underground is outside the validity limit of special use permit of the road, and special use right of the underground must be acquired by making a contract between the user and the district. Third, a special use permit of the road can be also an object of inhabitants’ suit. An administrative agency can give special use rights of road underground spaces to individuals or firms for private interests, but the permission will be less favorable than for public interests. If the special use term is too long, or excessively wide occupation is needed, or the use fee is too cheap, the special use permit or the contract will be illegal. 대상판결에서 대법원은 도로 지하공간에 대한 점용허가행위를 주민소송의 대상인 재산의 관리행위에 해당된다고 봄으로써 하급심판결을 파기하였다. 그 이유로 이 지하공간은 “일반 공중의 통행이라는 도로 본래의 기능 및 목적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다”는 점, “도로점용허가는 실질적으로위 도로 지하 부분의 사용가치를 제3자로 하여금 활용하도록 하는 임대 유사한 행위”라는 점을 제시했다. 이 글에서 필자는 도로와 그 지하공간은 모두 지방자치단체의 재산이라는 점, 도로의 지하공간에는 별도의 공용지정행위가 없는 한 행정재산이아니고 일반재산이라는 점, 때문에 지하공간에 대한 특별이용의 법형식은행정행위가 아니라 사법계약방식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 일반재산에 대한 대부계약은 물론 도로점용허가도 주민소송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도로의 지하공간은 대도시에서 수도관이나 하수관의 설치, 통신선의 매설과 지하철의 건설, 도로표면의 보수를 위한 굴착필요 등으로 점점 그 사용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도로의 지하공간에 대해 공익적 이유가 아니라 사인의 필요에 의해 특별이용권을 부여할 수도 있지만, 그 권리가 장기간 부여되거나 도로 지하공간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거나 또는 점용료나 대부금액등을 등가성원리에 반하여 부과하는 것은 위법하다고 평가해야 할 것이다.

      • 도심 지하도로 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 기반 교통운영 분석연구 – 신월여의지하도로를 중심으로

        박상현(Park, Sang Hyun),이진각(Lee, Jin Kak),고상운(Ko, Sang Un) 대한토목학회 2022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0

        현재 서울과 수도권 등 도시지역은 인구 및 교통량 증가로 인해 심각한 교통혼잡 문제에 직면해 있다. 도시지역 지상공간 여건상 지하 개발사업은 지속적으로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며 도시재생사업, 지역 불균형 해소 및 국민불편 해소에 기여하기 위해 지하도로 등 지하 교통 인프라의 구축·확대 필요성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교통분야에서는 도심 지하 공간을 활용하는 지하도로 계획이 증가하고 있어, 향후 지하도로 인프라 관련 교통 네트워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 시뮬레이션인 VISSIM을 이용하여 현재 운영중인 신월여의지하도로를 구축하였으며, 지하도로에서의 Driver Behavior 특성을 적용하기 위해 VR Drving Simulator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를 VISSIM 내 차량추종모형 입력변수에 적용하여 교통운영 분석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VISSIM과 VR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지하도로 주행행태 분석방안 연구

        박상현,이진각,고상운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2

        In this study, the driving behavior characteristics of drivers in the underground road were analyzed by using a virtual reality (VR) simulator targeting the Shinwol-Yeoui Underground Road, which was built among domestic underground roads and easy to collect related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head distance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 during driving and stopping in the underground road was narrower than that of the ground road, and the driver's response when the preceding vehicle was deceleratin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n the ground roa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reflected in VISSIM (Verkehr In Städten - SIMulationsmodell), a micro-traffic simulation, and the observed values ​​for the actual traffic volume and speed of the Sinwol-Yeoui Underpass and the simulation level of the analysis values ​​analyzed through VISSIM were evaluated. analyzed to be very similar to reality.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related research will be continuously carried out to help prepare design standards that reflect the driving behavior of underpass drivers and furthermore, research for the establishment of laws and standards.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하도로 중 기구축되어 관련 데이터 수집이 용이한 신월여의지하도로를 대상으로 가상현실(VR)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지하도로 내 운전자의 주행행태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지하도로 내에서는 주행중과 정지시 선행차량과의 차두간격이 지상도로에 비해 좁고, 선행차량이 감속시 운전자의 반응도가 지상도로 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당 분석결과를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인 VISSIM(Verkehr In Städten - SIMulationsmodell)에 반영하여 실제 신월여의지하도로 교통량 및 속도에 대한 관측값과 VISSIM을 통해 분석한 분석값의 모사수준을 평가한 결과 실제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에는 본 연구를 기초로 지하도로 운전자의 주행행태를 반영한 설계기준 마련과 더 나아가 법·기준 제정 등을 위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도심 지하도로 유입연결로 합류부 주행행태 분석

        정승원,김수환,이동민,정근기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6

        지하도로의 유입연결로 합류부는 지상도로와 달리 터널로 인하여 시계확보에 제약을 받는 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확보에 관련 설계요소가 합류부 주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 여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가상주행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상주행환경 구축시 시계확보 설 계요소를 시나리오에 반영하기 위하여 갈매기차로 길이와 본선차량 접근속도를 시나리오로 구분하여 운전자 주행행태를 분석하였다. 시나리오간 속도 측면의 분석지표와 차로변경지점, 운전자 주시 비율 분석결과는 일관성 있는 방향으로 도출되었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선 접근속도가 더 높은 시나리오에서 갈매기차로 길이에 의한 특정 시나리오 사이 에 운전자 주행행태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하도로 유입 연결로 합류부의 주행안전성 향상을 위한 설계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Unlike ground roads, the on-ramp merging section of underground roads cannot be seen by drivers of main road due to tunnels. In this study, a driving simulator was used for analysis, and virtual driv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assess the driver’s visibility for different design factors. The driver's driving behavior was analyzed by setting scenarios considering the length of chevron markings and the approach speed from the main roa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used to determine the design factors for ensuring visibility when constructing the virtual driving environment for each scenario. These factors, including speed, lane change points, and driver’s gaze ratios, were reviewed for significance using a statistical approach. As a result, in scenarios with a higher approach speed from the main road,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driver’s behavior between specific scenario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section with chevron marking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and feasible solutions to improve driver safety on the on-ramp merging section of underground roads.

      • KCI등재

        3차원 GIS기반의 소방방재를 위한 지하상가 주소체계 표준화

        하병포(Ha, Byeong Po),강인준(Kang, In Joon),홍순헌(Hong, Soon Heon),박동현(Park, Dong Hy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4

        건설 기술의 발달과 도시지역의 인구증가로 인하여 생활공간은 지상과 지하로 확대되었고 도시 교통난이 증가함에 따라 대중교통수단으로서 지하철건설이 확대 되었다. 이로 인하여 지하상가가 발달하였고 지하도시공간은 생활공간과 문화공간의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지하도시공간은 지상공간과는 달리 화재가 발생 했을 때 조도가 낮아 연기로 인한 시야확보의 어려움, 순간적인 판단오류로 인한 방위감 상실, 열기의 급격한 확산과 외기 획득 제한성으로 인한 산소 결핍 등으로 막대한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을 초래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하상가의 주소체계에 대하여 분석하고 도로명주소와 연계하여 직선의 지하상가와 원형의 지하상가에 대한 주소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지하상가 주소체계표준화를 통하여 화재 발생 시 지하상가 내부에 있는 시민들이 주소만으로 자신의 위치를 알고 대피할 수 있으며, 소방서에서는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Due to population growth and urban development in construction technology has expanded living space, underground construction as public transport as has been extended to the ground and underground urban traffic congestion increases. This underpass Stations sphere of influence this development was the center of the living space, space-time became a cultural space. However underpass ground space and time and space are enormous difficulties in contrast visibility due to smoke when light levels are low fire occurs, momentary loss of judgment errors due to a sense of orientation, rapid diffusion and ambient oxygen deficiency due to acquisition limitations, such as the Open resulting in property damage and personal inj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isting system with respect to the address of the underground shopping center and system for presenting an address to the underground shopping mall in the basement of the straight and circular in connection with the street name address. Also can be known only to evacuate their citizens to address the position in the event of a fire inside the basement through the underground shopping mall address standardization system, the fire department only address exact location is being judged will be identified.

      • KCI등재

        수치해석을 활용한 산지도로의 상향침투수압으로 인한 포장파손방지를 위한 포장기층종류 및 배수형태의 고찰

        임영규,윤찬영,이승우 한국도로학회 2010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2 No.1

        Construction of road closed to mountains is inevitable in Korea because the mountainous region in Korea is more than 70% in area. Recently, due to global warming, typhoons or heavy rainfalls frequently occur, and accordingly, mountain roads are seriously damaged by landslides, debris flows, and uplift pressure below pavement. in this study, damage on pavement by uplift pressure was investigated. Various influencing factors such as slope angle, reinforcement of slope surface, thickness of soil cover underlain by rock, and types of drainage system were considered to evaluate uplift pressure acting on the bottom of pavement. Raising of water table up to the surface of slope may depend on the duration and intensity of rainfall. It shows that the installation of subdrain can reduce the uplift water pressure.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use of subdrain system is effective to decrease uplift pressure and cement treated base is more endurable than typical crushed-stone base. 국토의 70%이상이 산악지인 우리나라 지형적 특성 때문에 도로가 산지를 인접해서 건설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최근 들어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태풍이나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산지 도로의 산사태, 토석류, 상향침투수압 등에 의한 인명, 시설물 피해도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산지 도로의 피해 중 상향침투수압에 의해 발생하는 포장의 들림 현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산지도로 주변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상향침투수압에 의해 포장파손이 발생한 지역특성에 대하여 사면의 경사각, 산지표면의 보강유무, 산지 경사면의 토사층의 두께, 지중 배수관의 설치 유무에 따라 상향침투수압을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상향침투수압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쇄석기층위의 아스팔트포장 및 표면배수형식조건에서 5∼10kPa 범위에서 발생하며, 사면경사각이 커짐에 따라 상향침투수압도 비례하여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사면의 표면을 보강처리 하지 않았을 경우의 상향침투수압은 작게 나타났다. 산지 경사면의 토사층의 두께는 지하수위가 산지표면까지 상승한 조건에서는 상향침투수압에 큰 영향은 없었으나, 지하수위가 산지표면까지 상승하는 것은 강우지속시간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점을 고려하면, 지중배수관의 설치는 도로 표층에 가해지는 상향침투수압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층형식에 따른 상향침투수압에 대한 저항성 측면에서는 비 부착성인 쇄석기층보다 부착성인 안정처리기층이 자중이 증가하여 포장의 들림 현상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고 판단되지만, 안정처리기층만으로는 상향침투수압에 견딜 수 없으므로 지중배수관 및 사면배수공법을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도로 지하화 사업의 신규 편익 발굴

        장수은,엄기종,김선화,배윤경,김상록 한국교통연구원 2021 交通硏究 Vol.28 No.4

        As the personal income has increased and people’s quality of life has been emphasized even more widely than before, the concerns about social costs of urban roads such as noise and community severance have also been grown. Mega-projects that build tunnels to reroute roads have actively been planned and constructed to mitigate these social costs. This paper identified four new benefits that are expected from the rerouting: Noise costs, habitat damage, community severance, and uses of pavement areas. The damage cost approach was applied to quantify the costs of noise and urban separation. The negative effects of transport on habitat was evaluated using the unit value transfer with spatio-temporal adjustments. Lastly, the benefit of uses of pavement areas was monetized employing a meta-analysis. The appraisal of four new benefits was illustrated based on the Seoul-Incheon tunnel road project. This case study shows that the data requirements and assessing difficulties of the new benefits are similar in general compared to those of the existing benefits such as travel time savings. However, the item “uses of pavement areas” should cautiously be interpreted because the benefit is non-transport and runs the risk of doubling-counting. 소득이 증가하고 삶의 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음, 지역단절 등 도시부 지상 도로의 사회적비용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도로 지하화 사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로 지하화로 기대되는 소음, 서식지 피해, 지역단절, 상부 공간 활용 관련 4가지 신규 편익을 발굴하였다. 소음과 지역단절에 의한 사회적비용은 피해비용 접근법으로 계량화하였다. 서식지에 대한 악영향은 시공간 보정을 거친 원단위 이전법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부공간 활용 편익은 메타분석 기반 가치이전법으로 화폐가치화하였다. 새롭게 개발된 4가지 편익을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에 적용하였다. 이 실증사례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신규 편익 항목들의 자료 요구량이나 평가 난이도가 기존 타당성평가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 절감편익 등의 자료 요구량이나 평가 난이도와 대동소이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상부 공간 활용 편익은 비교통 편익이며 다른 편익 항목들과 중복되므로 신중히 해석될 필요가 있다.

      • 지하고속도로 디지털화를 위한 사고사례 분석

        정경자 ( Jung Gyungja ),이일근 ( Lee Il-keu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1

        지하고속도로의 사고는 구조물의 특성상 대형 사상자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불가피한 반면, 인력에 의한 점검과 진단은 지상 도로와 비교할 때 한계를 가진다. 이에 지하고속도로의 합리적인 설계, 안전한 시공,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디지털 정보를 발굴하고 양질의 데이터를 축적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중요하다. 터널 사고 사례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지하고속도로의 디지털화를 위한 주요 정보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