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지역사회관계(PCR)의 주민만족도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임창호(Lim chang ho) 한국공안행정학회 201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2 No.3

        경찰-지역사회관계(PCR)는 경찰과 지역사회가 서로의 문제점들을 이해하고, 이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에 관한 것으로서, 경찰이 직면해 있는 어려움에 대해 지역사회가 이해하고, 경찰과 지역사회 양자가 서로 조화롭게 협력하려는 노력을 의미한다. 특히,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성공 여부는 우호적인 경찰-지역사회관계의 형성, 즉 경찰과 경찰활동에 대해서 지역주민이 얼마나 존중하고 지지하느냐에 달려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찰-지역사회관계의 주요요소들 중에서 어떤 요소들이 주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경찰-지역사회관계에 관한 주민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5개 구에서 거주하고 있는 주민 243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고, 독립변수는 경찰과 지역주민간 의사소통, 경찰의 지역사회 봉사활동, 경찰과 지역주민간 범죄정보 공유, 경찰활동에의 주민참여, 경찰-언론관계의 5개 변수이며, 종속변수는 주민만족도이다. 회귀분석의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종속변수인 주민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경찰의 지역사회 봉사활동(β=.466), 경찰과 지역주민간 범죄정보 공유(β=.212), 경찰과 지역주민간 의사소통(β=.141), 경찰활동에의 주민참여(β=.134) 4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제변수인 4개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성별, 연령, 최종학력, 거주기간)은 주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찰-지역사회관계에 관한 주민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찰이 지역주민들에게 적극적으로 봉사활동을 행하고, 지역주민과 범죄정보를 서로 공유해야 하며, 지역주민들과 일상적으로 의사소통할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을 경찰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경찰-지역사회관계에 관한 조사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경찰-지역사회관계를 향상시키고,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여겨지며, 앞으로는 경찰-지역사회관계에 관한 표준화된 설문문항이 개발되어 더욱 타당성있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Police-Community Relations is a police-department initiated program designed to offer an opportunity for police and other public agencies and individuals in the community to discover their common problems, ambitions, and responsibilities and to work together toward the solution of community problems and the formulation of positive community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activation of police-community relations. This study conducts the survey on 243 residen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By factor analysis, communication between police and residents, police service for community, owning together crime information between police and residents, residents participation in policing, and police-media relations are group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is residents' satisfactio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resident's satisfaction is affected statistically by police service for community(β=.466), owning together crime information between police and residents(β=.212), communication between police and residents(β=.141), residents participation in policing(β=.134). But, residents' satisfaction is not affected statistically by police-media relations and demographic variables(sex, age, education level, residential period). Therefore, to activate police-community relations, police department must make the effort for enhancing police service for community, owning together crime information between police and residents, communication between police and residents, and residents participation in policing.

      • KCI등재

        지역사회연구의 시각에서 본 일본의 지장(地場)산업

        임경택 지역사회학회 2003 지역사회학 Vol.4 No.2

        일본의 지장산업이란, 지역자본, 중소영세의 지역집단, 사회적 분업, 광역시장을 특성으로 하는 산업을 의미하는데, 과거로부터 그 지역의 생태적 환경에 적응적으로 선택된 것으로서 대다수의 주민들이 종사하고 있으므로 그 지역의 전통적 사회관계와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어 왔으며, 전체로서 지역사회의 시스템을 구성해 왔다. 따라서, 일본의 지역사회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지장산업은 그 지역의 사회와 문화를 동태적으로 파악하는, 즉 경제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통합하여 전체적인 이해를 하는데 유효한 시점을 제공해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지장산업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지장산업이 지니고 있는 특성 가운데에서 사회적 분업체제에 주목하였고, 그 과정에서 지장산업이 지니고 있는 문화적인 특성-역사성, 이에조직에 의한 생산양식, 이에간의 연계를 통한 산업조직과 그 활동, 도매상과 시장개발이라는 유통의 문제, 확대와 현상유지 사이에서 선택하게 되는 규모에 관한 전략-을 밝혀 낼 수 있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지역활성화운동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 지역사회 내 NGO와 연계한 평생교육 활동의 기반에 대한 고찰

        김창엽;성낙돈 덕성여자대학교 열린교육연구소 2011 열린교육실행연구 Vol.- No.14

        지역사회 평생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NGO를 매개로 하는 평생 교육활동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은 계속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NGO에 대한 실제 연구가 일천할 뿐 아니라. NGO와의 연계 맥락에서 구현되는 평생교육 교육활동에 대한 실질적 이해와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지역사회 내에서 NGO 연계 평생 교육 활동이 실제적으로 증대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 NGO와 연계하는 평생교육 활동의 관점이 정립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지역사회 내 NGO와의 연계 평생교육 활동의 기반 및 전제를 고찰하였다. 먼저, NGP 연계 교육활동 추진의 배경으로, 공적 평생교육 체제와 시민사회 내 NGO가 연계하는 평생교육 거버넌스의 필요성과, 평생교육과 NGO가 지향하는 내용 면에서 공유할 수 있는 요소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지역사회 내 NGO와 연계한 평생교육 활동을 위한 기반으로 교육활동의 이념 • 목적, 교육활동의 방법과 내용, 교육활동의 주체를 제시하였다. 또한, NGO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연계 교육활동 기반에 대한 논의의 미흡이 시민 평생교육의 영역을 소외시킬 뿐 아니라 NGO와의 교류를 소홀이 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요컨대 NGO와 연계하는 지역사회 평생교육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전제되어야 한다. 첫째, NGO 연계 평생교육 활동의 기반을 조성 • 강화하기 위한 평생교육계와 지자체 등이 NGO와의 공감대를 폭넓게 형성하고 교류를 활발하게 하여야 한다. 둘째, 평생교육계와 지자체 등이 평생교육사 양성과목의 하나인 시민교육을 확산하도록 노력하고 이를 위하여 NGO와의 단계별 공동 교육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셋째, 평생교육계와 지자체 등이 NGO와 협력하는 과정에서 전문성 및 행재정 면에서의 우월적 지위와 여건을 이용히여 NGO을 순치시키려고 시도하여서는 안 된다.

      • KCI등재

        초등특수학급교사와 특수학교교사의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실태 및 인식 비교

        조수현 ( Su Hyun Cho ),김은경 ( Eun Kyu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본 연구는 초등특수교사의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ㆍ경기ㆍ인천 지역에 있는 초등특수학교교사 99명, 초등특수학급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태에 대한 교사 집단별 차이는 빈도 분석 및 검정을 하였으며, 교사 집단별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인식의 차이는 평균, 표준편차, t검정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를 보면 지역사회중심교수 실시 계획시 문서의 구성요소, 고려사항, 지역사회 방문 횟수, 학생들의 흥미와 주의력의 정도에서는 초등특수학급교사와 초등특수학교교사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지역사회중시교수 계획 시 참여하는 인적자원,문서작성, 시간배당방법, 교수자료, 지역사회중심교수 수업에 참여하는 인적자원에서 실태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중심교수 인식에서 지역사회중심교수 개념의 이해와 지역사회중심교수 개발 및 실행 요소들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실현가능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초등특수학급교사가 초등특수학교교사에 비해 지역사회내 지역사회중심교수실시 지역선정과 학생 수행에 근거한 과정적 평가에서 실현가능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and perception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 researcher is developed for investigating the practice and perception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ninety-nine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the seventy-eight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are used to get the difference of each teacher group for the practice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M(Mean),SD(Standard Deviation) and T-test are used to get the difference of each teacher group for the perception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s follows,First, on the realities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re was no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document constituent, consideration on devising plan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number of community-based visit, interesting and attention of students. Bu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other parts. Second, on the perception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re is no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ommunity -based instruction - to instruct students on variable and natural community -based environment - and for all constitu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development and action. Bu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the realizable possibility.

      • KCI등재

        칼빈의 제네바에서의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통해 본 한국교회에 주는 통찰

        나경훈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칼빈이 종교개혁운동을 펼쳤던 16세기 제네바는 가난과 혼돈의 도시였다. 이런 제 네바를 칼빈은 지역사회복지실천을 통하여서 정화시켜 나갔다. 구체적인 칼빈이 행한 제네바에서의 지역사회복지를 살펴보면, 첫째, 이전의 가톨릭에서 해오던 주먹구구식 구호방식을 탈피해 구제의 집중화, 운영과 관리의 전문화, 체계적인 구호 활동 이 세 가지를 통하여 전문적인 구호사업이 가능토록 하였다. 둘째, 제네바에 이중 집사직인 재정 운영을 담당하는 집사와 직접적인 돌봄을 당담하는 집사를 두어 이들을 통해서 복지시설에서의 전문적인 사역이 가능토록 하였다. 셋째, 제네바의 지역사회복지사업 을 교회와 시 당국이 상호 협력하여 수행하는 체계를 만들어 제네바의 지역 복지사업 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게 하였다. 넷째, 제네바의 복지시설인 구빈원을 재설계하 여 제도화함으로 다양한 복지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서비스 체계를 갖추었다. 다섯째, 프랑스 구호기금을 설립하여 체계적인 모금과 분배를 통해 제네바의 사회적 약자들의 다양한 복지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였다. 여섯째, 제네바에 사회적기업인 견직공장 을 만들어 피난민들의 생계와 자활을 도왔다. 이와 같은 칼빈의 지역사회복지실천을 통해 한국교회의 시사점을 통찰할 수 있다. 첫째, 제네바의 이중 집사 직분을 통한 복지 사역을 보며 교회의 모든 직분자들이 적극적으로 지역사회에서 복지 사역을 감당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칼빈이 지역사회복지를 위해 시 당국과 협력관 계를 맺은 사실을 보며, 교회와 공적 기관과의 복지를 위한 협력의 필요성을 알게 된 다. 셋째, 칼빈의 제네바에서의 가난한 피난민들과 사회적 약자들의 구호를 위한 자발 적 기금인 프랑스 구호기금을 조성하여 배분하였던 복지 사역을 보며, 한국의 지역교 회들은 교회의 재정을 지역사회의 취약계층들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노력을 위한 사회복지를 위한 추동이 있어야 함을 알게 한다. Geneva in the 16th century, when Calvin campaigned for the Reformation, was a socially unstable and very poor city. Calvin purified Geneva through community welfare practices. Looking at Calvin's specific community welfare practices in Geneva, First, we were able to carry out professional relief projects through relief-oriented, specialized operations and management, and systematic relief activities, breaking away from the rule-of-thumb relief methods previously used in Catholicism. Second, we created two types of deacon positions positions in Geneva so that they could perform their work professionally and efficiently in welfare facilities. Third, a system was established in which churches and city authorities collaborated to carry out community welfare projects in Geneva so that local welfare projects in Geneva could be operated stably and effectively. Fourth, by redesigning and institutionalizing Almshouses in Geneva, a service system that can meet various welfare needs has been established to provide care and treatment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education that helps them become self-reliant, and various welfare services in charge of childcare for children. Fifth, the French Relief Fund was established to help Geneva's poor refugees and solve various welfare problems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hrough systematic fundraising and distribution. Sixth, a social enterprise, a silk factory, was established in Geneva to help poor evacuees who at the time had the skills of sericulture and sericulture make their living and self-sufficiency. Through Calvin's community welfare practice, it was possible to overcome the welfare problems of various scattered communities in Geneva and helped the Reformation succeed in Geneva. We can gain an insight into the implications of the Korean church through Calvin's community welfare practice. First, using the role of a double deacon in Geneva as a lesson, we recognize that all members of the church are responsible for the welfare of the community as well as serving the church, and the church should actively establish a place for members to devote themselves to welfare in the community. Second, using Calvin's public-private cooperation in Geneva as a lesson, we can explore the efficiency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community welfare through cooperation with local churches and public institutions. Third, looking at Calvin's welfare program, which created and distributed the French Relief Fund, a voluntary fund for the relief of poor refugees and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Geneva, local churches in Korea recognize that there should be a promotion of social welfare for institutional efforts to actively utilize the church's finances for the vulnerable in the community.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의 문제점에 관한 구조화분석

        박정미(Park, Jung-Mi),박성현(Park, Sung-Hyun),유동철(Yu, Dong-Chul)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1

        본 연구는 구조모델(structural model)방법론의 하나인 DEMATEL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복지 현장에 존재하는 복잡한 문제(과제)의 전체 구조를 파악함으로, 문제발생의 메커니즘과 본질을 추적하기 위한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지역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복지와 관련된 문제는 어떠한 것들이 존재하고 있는가? 둘째, 지역사회복지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하여 어떠한 의식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셋째, 지역사회복지와 관련된 계획수립, 예산배분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직공무원과 현장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 시민의 입장에서 비판하고 감시하는 시민운동가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관하여 어떠한 인식구조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례지역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로 설정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제1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이 수립된 해인 2005년부터 현재까지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부산진구 지역사회복지의 주된 문제구조는 ‘복지예산 편성이 절차적으로 합리적이지 못함’, ‘구의 외곽지역이 빈민지역의 형태로 격리되고 있음’, ‘지역 불균형 문제가 심각함’, ‘구의 장래 인구구조에 맞는 복지서비스 대응체계가 부족함’이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지역 내 사회적 자원의 빈부격차가 나타나고 있음’의 형태로 나타났다. 직종별 결과를 보면 사회복지직공무원은 ‘지역 불균형 문제가 심각함’ 사회복지사는 ‘구의 장래 인구 구조에 맞는 복지서비스 대응체계가 부족함’와 "지역내 사회적 자원의 빈부격차가 나타나고 있음"으로, 시민운동가는 ‘단기간의 욕구조사로 인해 다양한 복지수요 파악의 한계가 있음’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진구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및 개별 프로그램 수립의 틀(framework)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chanism and essence of problems by understanding the whole structure of the complicated problems that exist in the social welfare field with DEMATEL method, one of structural models. This paper consists of (1) What kind of social welfare problems exist in the community that is related to welfare? (2) What kind of thoughts do people who work in social welfare field have related to these problem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tructure of thoughts among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who take charge of planning and dividing budgets for community welfare, social workers who provide services personally and civic activists who criticize and keep watch on behalf of civilia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in Busan Busanjingu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year of 2005 when community welfare plan was first established up to now. The major structural problems of the community welfare of the Pusan Jin-gu, Korea, are: 1) welfare budget allocation procedure is not logical, 2) the outskirts of the Pusan Jin-gu are isolated as poor areas, 3) geographic imbalance is severe among communities, and 4) the social welfare response system to support future population structure needs to be more developed. All of these problems are the fundamental origin to the social resource disparity within communities. The major problem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n Pusan Jin-gu, Korea were recognized by different perspective in terms of professional career such as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social workers, and civic activists. Majority of the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thought “severe geographic imbalance”; majority of the social workers believed “lack of the social welfare response system to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in the future” and “disparity in social resources within the communities”; and majority of the civic activists said “limitation for understanding various social welfare needs because of short term need assessments” as main issue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t seems that this paper is able to be used as a framework to establish community welfare plans and individual programs in Busan Busanjingu.

      • KCI등재

        프랑스 지역사회 교육공동체 실태 연구: 파리 18구 아미로-쎙프롱 지역의 교육정책과 지역사회개발정책의 구조화된 네트워킹 사례를 중심으로

        이영란 ( Lee Young-ran ),김민 ( Kim Mi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프랑스 지역사회 교육공동체의 실태와 네트워크 작동방식, 교육 네트워킹의 구조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파리 18구 아미로-쎙프롱 지역에 근무하는 지역사회 네트워커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3가지의 특징이 드러났다. 첫째, 지역사회 네트워크 모형은 지역사회센터, 학교, 시청, 지역사회개발팀, 어쏘시에이션 등 거점기관 중심의 네트워킹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네트워커는 전문성과 역할분담, 파트너십을 근간으로 하여 지역사회 의사소통 연계망을 구조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네트워커의 원심력은 인력양성과 지역사회 프로젝트를 실현시키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셋째, 지역사회 프로젝트는 교육정책과 지역사회개발정책, 사회복지정책이 상호 보완되어 협력하는 일종의 다자간 프로젝트 유형을 띠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책적인 협업은 지역주민-네트워커-지역사회 기관과의 네트워킹을 활성화 시키는 한편, 교육협력체계뿐 아니라 지역사회 복지환경 개선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scertain the educational modus operandi, function and networking systems of a local community in France. For this study, 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local networkers who were in charge of different local bases in the Amiraux-Simplon zone of the 18th district in Par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networking characteristic of a local community was an organization-based system which included the social center, the school`s network, City Hall, local development teams, and civic associations. Second, a local networker`s professionalism, sharing responsibility, and partnership contributed to the structuring of community networking. In particular, a networker`s centrifugal force played an intermediary role for residents` participation and local common projects. Third, local common projects showed a multiple project pattern which involved the educational policies, local development policies and social welfare policies. Finally, the political cooperation between residents-networker-local organizations contributes to the active networking in the local community, and It presents common goal as the improvement for the local welfar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ystem.

      • KCI등재

        사회적경제와 지역발전

        이해진(Hae-Jin Lee)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5

        이 연구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사회적경제가 어떻게 작동하며 지역발전에 기여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경제의 원리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이들의 상호 연관성이 지역발전과 연결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지역사회 차원에서 사회적경제의 원리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경제적인 것(혁신), 사회적인 것(협력), 공통적인 것(호혜)으로 구분하고, 이를 각각 지역사회 기업가주의,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 호혜적 분배 개념으로 대응시켜 이들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의 내적 동학과 지역발전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특히, 지역사회에서 협력과 공동체를 어떻게 증진시킬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기존 연구와 다르게 지역사회 기업가주의가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측면과 호혜적 분배의 매개역할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지역사회 단위에서 진행된 사회적경제 사업에 대한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사회 기업가주의가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발견하였다. 둘째, 지역사회 기업가주의가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호혜적 분배의 과정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혀냈다. 셋째, 지역사회 기업가주의, 호혜적 분배,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이 상호연관된 결합과정이 지역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사회적경제가 대안적 지역발전 전략이 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경제를 구성하는 혁신, 호혜, 협력의 원리들 간의 역동적 균형에 기초한 새로운 지역발전 패러다임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와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Whereas concern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conomy and community development have been increasing, there are few researches which concentrate on the role of community entrepreneurship in terms of the reciprocity in distribution and the social capital within the community and finding a substantial amount of empirical research is even more difficul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social economy works at the community level and how it affects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 study categorized three core factors - the social, the economic, and the common factors - which make up the principles of social economy. Each of the core factors, then, was corresponded respectively to community entrepreneurship,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reciprocal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 how to enhance cooperation in the community, the study examined the internal interaction among the three factors and the process that contributed to community development. In order to analyze in an empirical way, this study used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conducted with respondents who took part in a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The statistical analysis reveals that community entrepreneurship is a critical factor in facilitating community social capital. Secondly, it shows that the reciprocity in distribution is required for intermediation in the process so that the community entrepreneurship can facilitate the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the community development. Thirdly, community entrepreneurship, reciprocal distribution and social capital have effects on the success of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According to these results, social economy consisting of community entrepreneurship,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reciprocal distribution as its principles can be regarded as a significant mechanism to make community development possible. Finally, the study pres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agenda for developing a new paradigm of community development based on the dynamic balance among the principles of social economy including innovation, reciprocity, and cooperation.

      • KCI등재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태 및 특수교사들의 지원요구 조사

        한국직업재활학회 2008 職業再活硏究 Vol.18 No.1

        <P>본 연구는 한국 장애학생의 질적인 지역사회적응기술 교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 고등학교 특수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 실행, 평가 및 지원,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필요성 및 지원요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1)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시에 장애학생의 IEP 목표를 참조하거나, 현행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전년도 IEP를 참조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2) 지역사회중심교수 전ㆍ후에 평가를 위해서 생태학적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3) 지역사회중심교수를 나가기 전에 교실중재를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었다. 4)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진행할 때에 중요한 교수전략들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었으나, 시각적 촉진법 사용은 미비하였다. 5) 지역사회현장에서 돈 이용하기지도가 미비하였다. 교사 모두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 시에 지원인력과 재정적 지원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P>

      • 지역사회복지 전개에 대한 평가와 과제

        이인재(In-Jae Lee)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7 비판사회정책 Vol.- No.23

        복지지방화의 본격화에 따라 그동안 개인과 가족 대상의 미시적 실천과,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중심의 사회복지정책으로 양분되어 모색되던 사회복지실천의 추세에서 중범위 실천영역인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확대는 중요한 정책과제가 되었다. 복지지방화의 전개에서 중요한 변화의 과정에 있는 지역사회복지 전달 체계 개편과 제도권 지역사회복지실천과 다른 맥락에서 전개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운동의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주요과제로 세 가지를 검토하였다. 첫째, 지역복지운동의 궁극적인 과제는 지역주민 조직화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에 달려 있다. 주민참여와 관련해서 주민 조직화, 토착지도력 개발, 주민자치조직 결성 등의 구체적 과제를 살펴보았다. 둘째,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성과는 지역복지활동가의 역량강화에 달려 있다. 지역 주민생활서비스 통합과 혁신체제 구축, 그리고 지역복지실천 성공의 상당 부분은 지역복지 활동가의 역량강화에 달려 있다. 셋째, 지역복지 활동가뿐만 아니라 토착 지도자를 비롯한 지역주민들의 교육훈련 체계 구축 역시 평생교육시대를 맞이하여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develop tasks on community welfare in Korea. It has two major dimensions. The one is community welfare delivery system. The other is community welfare movement. Major tasks are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make people join community welfare organizations. And many grassroots leaders must be developed, too. Second, community welfare field-workers have to be empowered as much as possible. They are key factors for community welfare development. Third, it needs to construct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in community. It helps to advance the field-workers’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