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elf-assessment for the Middle Aged

        노경란(Roh Kyung Ran),조영일(Cho Young Il)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3

        빠르게 진척되는 인구구조의 고령화, 미흡한 공식적 노인부양시스템 등이 초래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를 완화하고 개인의 경력에 있어서의 자기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장년층이 자신의 경력개발 수준을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수검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중장년층의 경력개발 준비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중장년층의 경력개발 특성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중장년층 및 중장년층에게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수행된 면접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문항 후보군을 마련하였다. 후보군 중 타당한 문항을 도출하기 위하여 중장년층(유효표본: 9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법과 탐색적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문항 및 척도의 특성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중장년층의 경력개발 준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요인으로 구직태도, 구직기술, 직무능력이 도출되었다. 둘째, 중장년층의 경력개발 준비도를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문항으로 각 요인별 5개 문항씩 총 15문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중장년층의 경력개발준비 수준 측정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복잡한 구인과 많은 문항으로 중장년층의 수검 접근성을 낮췄던 기존 도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이 연구에서 개발된 자가진단도구를 활용함으로써 중장년층 스스로 자신의 경력개발 수준을 진단하고 향후 해야 할 활동을 결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iddle aged need to understand their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in order to decide on their career in a self-directed way as well as to alleviate social problems which come from demographic aging and the care of older peopl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elf-assessment for the middle aged. To achieve this purpose, candidate questions were developed by reviewing literatures and analyzing qualitative data from interviews with the middle aged and career counsellors respectively. These questions were surveyed for the middle aged(valid sample, 938) and analyzed with 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SEM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 that, firstly, job-seeking attitude, Skills for job-searching, and vocational competency are suggested as subscales. Secondly, each subscale consists of 5 questions. On the one hand, this developed inventory can give researchers to have the middle aged centered perspective from the career counselor centered. On the other hand, the middle aged can decide on what to do for their career with utilizing this self-assessment tool.

      • KCI등재

        중장년층을 위한 라이브 커머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

        윤해람,류한영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1 No.3

        Background :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live commerce, middle-aged people are becoming its new users. However, there are a lot of problems when they use live commer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s in designing live commerce applications for middle-aged people. Methods :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were reviewed, and the live commerce applications in Korea was investigated. The changes of the middle-aged people and the design values they expect were also understood. Based on such understanding, a user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middle-aged people while they are using the live commerce applications. Finally, the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s for middle-aged people were suggested in order to support to design live commerce applications. Result : As a result of study, 11 design guidelin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middle-aged people’s usage behavior. With these guidelines, it is expected to achieve the design values that the middle-aged people expect. Conclusion :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e guidelines for designing live commerce applications for middle-aged people’s convenience were suggested. 연구배경 : 라이브 커머스의 발전과 더불어 중장년층이 새로운 사용자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인터페이스의 한계로 인해 실제로 라이브 커머스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층을 위한 라이브 커머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라이브 커머스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이해하였고 국내 라이브 커머스 애플리케이션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중장년층의 변화와 이들이 기대하는 디자인적 가치에 대하여 문헌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장년층의 라이브 커머스 사용 행태를 이해하기 위해 중장년층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FGI를 진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장년층을 위한 라이브 커머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 중장년층의 라이브 커머스 사용 행태와 이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총 11개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이 기대하는 디자인적 가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결론 : 중장년층이 사용하기 편리한 라이브 커머스를 디자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중장년층의 모바일 쇼핑 특성, 지각된 가치, 만족 간의 관계 연구 -불확실성 회피 성향의 조절효과-

        김경희,정재석 대한경영정보학회 2022 경영과 정보연구 Vol.41 No.1

        사회의 고령화 현상으로 인하여 현재의 중장년층은 미래의 핵심 구성원이 된다. 최근 중장년층의 디지털 접근성과 모바일 이용률의 증가로 인하여 유통업계에서는 중장년층을 지속 가능한 고객으로 확보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특성에 대한 중장년층의 지각된 가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모바일 쇼핑 경험이 있는 41세부터 64세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409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상기 연구 목적에 대한 실증 분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모바일 특성과 중장년층의 지각된 가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개인화,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가치(정서적, 경제적, 편의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각된 가치와 만족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중장년층의 정서적, 경제적, 편의적 가치는 모바일 쇼핑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래의 핵심 구성원이 될 중장년층 소비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쇼핑 특성에 따른 중장년층 소비자들의 지각된 가치의 특성을 파악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해 보았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치유의 숲을 이용한 중장년층의 성공적 노화 인식과 치유관광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김정환,김남조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6

        Middle-aged people in their 40s and older are found to be primary visitors of healing forests in South Korea. The present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of middle aged healing forests visitors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 of healing tourism. Using systemic sampling method,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the Bongsan Healing Forest visitors in their 40s to 65, and a final sample of 312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 found that the more the participants think daily welling is important in their successful aging, the better they are likely to have positive attitude and perceived control on healing tourism. Results also show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awareness of importance on psychological welling in the successful agin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of healing tourism.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healing forest visitors' awareness of importance on the self efficacy in the successful aging is significantly impact on their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control on healing tourism.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healing forest visitors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of healing tourism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behavior intention of healing tourism.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expansion of tourism sciences by introduc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uccessful aging that is relatively new in the field of tourism sciences and has been mostly studies in other fields such as gerontology, nursing, and physical education. 100세 시대가 다가오는 가운데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이 치유의 숲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 연구는 치유의 숲을 이용한 중장년층의 성공적 노화 인식과 치유관광 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중장년층의 성공적 노화 인식을 일상의 안녕, 심리사회적 안녕, 자기효능감으로 구성한 후 계획행동이론에 추가하여 확장하였다. 설문조사는 치유의 숲을 이용한 만 40세부터 만 64세까지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312부의 유효 표본을 바탕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치유의 숲을 이용한 중장년층은 성공적 노화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층의 성공적 노화 인식 중 일상의 안녕은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사회적 안녕은 태도와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치유관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공적 노화 인식의 일상의 안녕, 심리사회적 안녕, 자기효능감은 치유관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주로 노년학, 간호학, 체육학 등에서 다루고 있는 성공적 노화와 관광학의 치유관광을 대상으로 학제 간 접근을 시도하여 관광학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가 개인적·정책적으로 부족한 현시점에서 중장년층이 건강하고 성공적인 노후를 보내기 위하여 치유관광지에 대한 접근성 증진, 프로그램 지원과 참여 유인 등의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장년층의 재취업의지에 관한 경로분석

        윤미,김형빈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1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5 No.2

        우리사회의 중장년층은 50대 전후로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을 하게 되지만, 산업구조의 변화, 기업의 임금부담, 연령제한 등으로 중장년층이 질 좋은 일자리로 재취업하는 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에 중장년층의 재취업의지에 영향요인을 사회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으로 설정하고 전국 40~64세의 중장년층 200명을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총 8개의 경로 중 2개의 경로를 제외한 6개의 경로는 통계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경로계수가 가장 큰 것은 노화불안→경제스트레스(0.539**), 이어서 사회참여→긍정심리(0.323**), 경제스트레스→재취업의지(0.227**), 긍정심리→재취업의지(0.220*), 노화불안→긍정심리(-0.197**), 사회규범→긍정심리(0.16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참여와 사회규범은 긍정심리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긍정심리는 노화불안과 재취업의지 간의 완충역할을 하였으며, 긍정심리와 경제스트레스는 재취업의지를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화불안과 경제스트레스는 부정성을 내재하는 변수로서 두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부정성이 더 강화되어 재취업의지를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재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과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중장년층의 재취업정책은 심리적 특성과 욕구가 반영된 다양한 일자리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기업이나 고용주, 일자리기관 등에서는 중장년층의 심리적 이해를 돕는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언한다. Middle-aged people in our society will retire from their main jobs around their 50s, but it is not easy for middle-aged people to re-employment high-quality jobs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corporate wage burden, and age restrictions. In response, factors affecting the will of the middle-aged to re-employment were set as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200 middle-aged people aged 40 to 64 across the country were analyzed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and derive implications. The analysis shows that six out of a total of eight paths, excluding two, were significant at the statistical level. The largest coefficient of seniority was aging anxiety → economic stress (0.539**), followed by social participation → positive psychology (0.323**), economic stress → reemployment willingness (0.227**), positive psychology → reemployment willingness (0.220**), aging anxiety → positive psychology (-0.197**), and social norm → positive psychology (0.166**). In addi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norms served as factors that boosted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sychology served as a buffer between aging anxiety and reemployment willingness, and positive psychology and economic stress were found to increase reemployment willingness. In particular, aging anxiety and economic stress are variables that inherent negativity, which have been shown to increase the willingness to re-employment by strengthening negativity when the two variables work in combin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integrated empirical analysi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s factors affecting the will to re-employment of middle-aged people and reveale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reemployment policies for middle-aged people need to establish various job policies that reflec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ants, and that companies, employers, and job institutions need to provide various education, training and programs to help middle-aged people understand psychologically.

      • KCI등재

        중장년층의 외로움이 유튜브 이용동기와 중독에 미치는 영향

        배승주,이상호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4 기업과 혁신연구 Vol.47 No.1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외로움 경험이 미디어의 이용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이용동기가 몰입과 중독에 이르는 과정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경로를 분석하였다. 중장년층의 범위를 50-79세 남녀로 특정하고 외로움의 4가지 관점(정신역동학, 실존주의, 인지주의, 상호작용주의)을 기반으로 중장년층의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정리하여 중장년층의 유튜브 이용동기를 정보탐색, 인지된 즐거움, 사회자본과 자아실현의 추구의 4가지를 추출하였다. 실증을 위해 중장년층 유튜브 이용자 233명을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중장년층의 인지된 외로움이 유튜브 이용동기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유튜브 이용동기는 적극적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튜브 이용동기는 몰입과 중독에 이르는 과정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장년의 현실적 대인관계 감소를 포함한 삶의 질 변화의 경험이 실존적, 창조적 동인으로 기능하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결론은 궁극적으로 자아실현의 기대에 대한 긍정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유튜브 의존이 과도한 경우에 미디어 중독으로 이어지는 폐해를 보였다. 이는 사회문제로 부각되는 외로움, 특히 중장년층의 외로움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motivation for using media in the middle & older adults, and deals with whether the motivation for using media acts as a mediator in the process of immersion and addiction. Based on the four perspectives of loneliness (psychodynamic, existentialism, cognitivism, and interactionism), the middle & older adults motivation for using YouTube was extracted into four categories: information search, perceived pleasure, social capital, and pursuit of self-realization. For demonstration, 233 middle & older adults YouTube users were survey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ived loneliness of the the middle & older adul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motivation for using YouTube.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for using YouTub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actively use i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for using YouTube acts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process of immersion and addicti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hanges in quality of life, including realistic interpersonal reduction experienced by the middle & older adults, function as existential and creative drivers. The results show that, despite ultimately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ctations of self-realization, excessive dependence on YouTube cannot overlook the harm that leads to media addiction. This is expected to provid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inding ways to solve the loneliness problem of the middle-aged in a situation where loneliness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 KCI등재

        중장년층의 경제적 노후불안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시온,강소랑,문상호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middle-aged people's anxiety about economic well-being in old age affects problem drinking and to verify whether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bout economic well-being in old age and to examine the problem drinking could be mitigated by social supports. We used the 2015 Korean Adults’ Psycho-Social Anxiety Survey data. To detec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we employed a method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anxiety about economic well-being in old age among middle-aged adults, the higher was the likelihood of problem drinking.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bout economic well-being in old age and problem drinking could be moderated by social supports. Based on the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 to deal with middle-aged people's anxiety about economic well-being in old age should be developed and recommends that counseling and community programs for social supports to be implemented as a preventive approach.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경제적 노후불안이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중장년층의 경제적 노후불안, 사회적 지지, 문제음주 간의 관계를 이론적 내용에 근거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2015년 한국사회의 사회⋅심리적 불안 실태조사 자료를 토대로 주요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평균중심화한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장년층의 경제적 노후불안이 높을수록 문제음주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적 노후불안과 문제음주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문제음주를 낮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장년층을 위한 예방적 방안을 강조하였다. 중장년층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도움이 되는 교육 확대 및 사업의 방향을 제시하였 고 그들의 사회적 지지를 위한 상담 및 커뮤니티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끝으로 중장년층의 생애설계를 논하면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장년층 취미레저 관련 특성이 지각된 삶의 질과 O2O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운해,박상철,김동진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1

        Nowadays, the elderly are actively using technology and sharing their daily activities online. As Korean society is rapidly aging, there are many business opportunities for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ho have a lot of online activities. As the quality of life becomes a social topic, the elderly also want to get a satisfactory experience through participation in hobby and leisure related activities. The expectation of life after retirement among the elderly will inevitably expand the tendency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by searching and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and the intention to use O2O (online to offline or offline to online) service in relation to hobby and leis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s, 50s, and 60s living in Korea,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Google Link. A total of 406 responses were collected during a ten-day survey period and analyzed using IBM SPSS 22.0 program.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dopted. Among four personal characteristics (i.e., innovativeness, price sensitivity, self-efficacy, trust) included in the study, innovativ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perceived quality of life. Also, it was found that intention to use O2O service was affected by innovativeness, trust, and self-efficacy in order. 오늘날 중장년층은 적극적으로 디지털 기기들을 활용하고 있으며 일상적인 활동을 온라인상에 공유하는 것이 보편화 되었다. 한국사회는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 활동이 왕성한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기회가 많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삶의 질이 사회적인 화두가 되면서 중장년층 역시 여가 활용을 위한 취미레저 활동의 참여를 통해 만족스런 경험을 얻고자 한다. 중장년층은 은퇴 후 삶에 대한 기대감으로 취미관련 정보의 탐색과 참여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높이려는 경향은 더욱 확대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취미레저 관련 중장년층의 개인특성이 삶의 질과 O2O(online to offline 또는 offline to online) 서비스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국내거주 40대, 50대, 60대이며, 자료 수집은 구글 링크를 활용해 이루어졌다. 10일 간의 조사기간 동안 총 406개의 유효한 응답지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4가지 개인특성(혁신성, 가격민감성, 자기효능감, 신뢰성) 중 혁신성은 지각된 삶의 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2O서비스 이용의도는 혁신성, 신뢰성 및 자기효능감의 순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지각된 삶의 질과 O2O서비스 사용의도에 혁신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혔다.

      • 중장년층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한준(Park Han Jun),김보기(Kim Bo Ki) 한국복지실천학회 2015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6 No.2

        본 연구는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주거복지 문제가 심각함에 따라, 중장년층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거만족도가 단순히 물리적인 특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형태, 심리요소 및 기능적ㆍ사회 경제적 환경요소의 영향을 받게 되는 총체적 성격을 갖는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주거만족도는 주거환경의 물리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ㆍ행태적 측면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 기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중장년층 439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중장년층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종속변수로는 현재의 주거만족도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중년층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일부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없었다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볼 때, 중장년층이 가진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변인으로서 영향이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주거만족도를 연구함에 있어서,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n middle-aged Adults' housing satisfactio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on the assumption that the housing has an overall satisfaction simply character type that is affected by the person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and functional elements is not limited only to the physical properties. In this context housing satisfaction can be seen that the critical criteria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and behavioral aspects as well as the physical aspects of the home environment. This study was to survey targeted the Welfare, middle-aged Adults 439 people living in Seoul.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by setting the current residential satisfaction. In conclusion, analysis of the influence on housing satisfaction of middle-aged adults in this stud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s in some of the items, as a whol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could be inferred that the influence as a variable. Hence the study as a residential satisfaction, it can be said that the ne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 KCI등재

        중장년층 재취업의지에 미치는 변인들 간의 경로분석

        윤미 ( Mi Yun ),김형빈 ( Hyungbin Kim ) 한국심리유형학회 2021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재취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중장년층 성인 200명을 대상으로 재취업의지, 사회자본, 긍정심리자본, 노화불안, 경제스트레스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사회자본이 높을수록 노화불안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높을수록 노화불안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화불안이 높을수록 경제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넷째, 노화불안이 높을수록 재취업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제스트레스는 재취업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재취업의지에 영향요인을 자본적 개념(사회자본과 긍정심리자본)과 비교적 잘 다루지 않는 심리적 요인(노화불안과 경제스트레스)를 통합적으로 실증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사회자본은 사회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 수준이 일치했을 때 효과가 있다는 점과 미래의 잠재적 걱정이나 우려에서 나타나는 노화불안은 예측이 가능한 경우 긍정적인 동기로 작용하여 장래의 취업을 위한 재취업의지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범위를 40세~64세까지 넓게 설정함으로써 연령대, 성별, 수득수준 등에 따른 세부적 차이를 상세하게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는 중장년층을 위한 재취업 정책수립과 재취업 등의 관련분야에서 실천적 개입방안과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ables that affect the willingness of middle-aged people to re-employment and to establish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m.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00 middle-aged adults nationwide, consisting of reemployment will, social capita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ging anxiety, and economic stress measures.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the higher the social capital, the higher the aging anxiety, and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lower the aging anxiety. Third, the higher the aging anxiety, the higher the economic stress, and fourth, the higher the aging anxiety,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re-employment. Finally, economic str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reemployment inten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tegrated the capital concept (social capital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ging instability and economic stress) that do not deal with the reemployment will of middle-aged peopl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capital works when social and economic levels match and aging anxiety arising from potential future concerns or concerns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can serve as a positive motivation for future employment.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it did not reflect detailed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group, gender, and level of acquisition in detail by setting the range of middle-aged people from 40 to 64 years old.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and basic data in related fields such as establishing policies for reemployment and reemployment for middle-aged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