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 경제의 변화에 대한 지각과 중간체계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정서프로파일

        문경숙,김종백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profile among adolescents experiencing home economic status change. Total of 388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included items asking the experience of home economic status change over the past one year, the degree of emotional support from microsystems(family, peers, and teachers), and mood state. Three mesosystem patterns have been identified from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upport from microsystems: secure, uninvolving, and insecure. Adolescents of secure mesosystem have relatively healthy mood state under economic hardship. On the other hand, adolescents of uninvolving and insecure mesosystem showed similar mood state suggesting that not having strong emotional bond with at least one of microsystems or extremely weak emotional bond with teachers lead to negative mood profile under the condition of home economic status chang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bond with microsystems were discussed based on research results. 본 연구는 가정 경제의 악화를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중간체계(mesosystem)의 유형을 찾아내고,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 청소년들이 정서프로파일에서 나타내는 차이를 밝혀보고자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중 고〮등학생 388명(남학생 149명, 여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경제위기 상황에 대한 인식, 가족, 친구, 교사로부터의 지지(support), 정서 상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족, 친구, 교사로부터의 지지에 대한 설문 응답 결과를 군집분석하여 중간체계의 유형을 ‘안정적 중간체계’, ‘미온적 중간체계’, ‘불안정 중간체계’로 분류하였다. 지난 1년간 가정경제가 악화되었다고 인식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정서프로파일의 군집 간 차이를 더 많이 나타내었다. 가정경제가 악화된 집단의 정서프로파일을 살펴본 결과, 화목한 가족분위기와 믿고 의지할 만한 친구가 있는 ‘안정적 중간체계’ 군집은 비록 가정경제가 악화되었다고 하더라도 정서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온적 중간체계’의 경우는 가족, 친구, 교사와 미약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집단으로 이들의 정서프로파일은 ‘불안정 중간체계’ 군집과 비슷한 흐름을 나타냈다. ‘불안정 중간체계’ 군집은 가족 및 친구로부터의 지지는 ‘미온적 중간체계’ 군집보다 높지만 교사와의 관계는 매우 낮은 학생들의 집합으로서 이 두 군집의 정서프로파일이 비슷하다는 것은, 결국 어느 하나의 미시체계에 강한 유착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거나 교사와의 관계가 매우 취약한 경우, 경제위기 상황에서 청소년의 정서 발달은 부정적인 양상을 띠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학교 생태체계 환경 변인이 중3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희경,김성훈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8 청소년상담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crosystem, time system, and mesosystem variables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ninth graders in middle school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theory. Using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the study conducted multilevel analysis of the data of seventh graders in Year 1 (2010) and their data as ninth graders in Year 3 (2012) including 2,225 students from 78 schools. The first level included microsystem and time system variables, and the second level measured mesosystem variables. The microsystem variables wer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one's social and economic status (SES), the life satisfaction, and peer attachment of ninth graders. The time system variable was the school adjustment of seventh graders who experienced an environmental change to middle school. The mesosystem variables were the school type and the school's social and economic status (MS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school adjustment sub-variable of seventh graders and the time system variabl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ninth graders. The learning activities of seventh graders, in particular, recorded the highest regression coefficient at .167.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ut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ositive school adjustment in the seventh grade, which is a transition period, and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school adjustment of ninth graders. 본 연구는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바탕으로 미시체계, 시간체계, 중간체계의 변인들이 중3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아동·청소년종단패널(KCYPS)』인1차년(2010년)도 중1 학년과 중3 학년의 3차년(2012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78개의 학교에 2,225명이 내재된 구조로 다층분석(Multilevel analysis)을 실시였다. 1수준 변인은 미시체계와 시간체계로, 2수준 변인은 중간체계로 설정하였다. 미시체계는 성별, 개인의사회‧경제적 배경(SES), 중3 학년의 삶의 만족도와 또래애착으로 하였으며, 시간체계는중학교라는 전환기적 환경 변화를 경험한 중1 학년의 학교적응, 그리고 중간체계는 학교유형과 학교의 사회‧경제적 배경(MSES)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시간체계 변인인 중1 학년 때의 학교적응이 중3 학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전반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중1 학년 때의 학습활동은 .167의 회귀계수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3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특히 전환기적 환경의변화를 경험하는 중학교 1학년 때의 긍정적 학교생활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김광웅 ( Kim Kwang-woong ),정은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6세 이하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즉,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연구함에 있어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보다 포괄적이고 다양한 상호관계의 맥락에서 파악하기 위해 Bronfenbrenner가 제시한 생태구조에 따라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학적 체계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유기체, 미시체계, 중간체계, 거시체계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적응의 하위요인인 친사회성, 긍정적 정서, 또래간의 적응, 자기조절, 하루일과의 적응에 대한 유기체, 미시체계. 중간체계, 거시체계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에,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변인은 유기체변인 (성별, 연령, 기질, 최초 취원 연령), 미시체계 가정변인(형제수, 월소득, 母의 취업유무, 母의 양육태도), 미시체계 어린이집 변인(한학급의 유아수, 시설, 집과의 거리), 중간체계 변인(母의 어린이집 만족도), 거시체계 변인(교육열)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cological factors on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s. This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on clarifying the troubles of children who are not in adjustment and helping to overcome the obstacles. This study was established in ecological perspective for the inclusive inquiry of the factors affecting on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s. In the first step, the variables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s were selected. They are demographic variables (genders, ages, temperament, and the age of first enterance to the preschool), microsystem domestic variables (number of children, monthly income, mothers’ employment and their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microsystem preschool variables (number of children in a class, facilities,distance from the house), mesosystem variables (mothers’ satisfaction with the preschools), macrosystem variables (enthusiasm for the education). For this study, 206 children of 13 pre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ounggi-do were investigated. Three separate questionnaires were used: one is for mothers, another for teachers, the last for the head of the preschool.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children’s temperament scale, attitude of bringing up scale, satisfaction with the preschool scale, interest on education scale, facilities of the preschool scale, children’s adjustment scale, and background variab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AS program package. The major-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demographic, microsystem, mesosystem, and macrosystem variables with the ecological access results that more female children (than male) and children who have more soothable temperament, more brothers and sisters, and mothers with limit setting attitude in bringing up them showed better adjustment to preschools. Among these, the most explanatory variable was limit setting in bringing up children variable. Second, sub-categorical studies on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s are as follows. More female children (than male) and children who have strongly soothable and attention spanning temperament showed higher sociability. Children who have soothable temperament, more brothers and sisters, and mothers with limit setting attitude in bringing up them showed higher positive emotion. And positive emotion were affected by facilities variables.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that the preschools with better facilities are mostly large ones and therefore children come to have relatively less opportunities of friendship and close relationship with others. More female children (than male) and children who have soothable temperament, more brothers and sisters, and mothers with limit setting attitude in bringing up them showed better adjustment to the peer groups. Children who have strongly sociable temperature and attend to the preschools with better facilities showed better self control. Self control featured being largely influenced by ecological system compared with other sub-factors, especially it was affected by the facilities variable. More female children (than male) and the children who have strongly soothable temperature and mothers with limit setting attitude in bringing up them showed better adjustment to daily task.

      • KCI등재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에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도금혜,최보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7 한국청소년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variables on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Independent variables were organism, microsystem, mesosystem, and exosystem. The subjects were 835-1st and 2nd graders of several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gu.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was affected by sex, age,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social self-esteem, physical self-esteem, prosocial behavior, and dominance of organism variables. Second,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was affected by mother's affectional parenting, attachment to friends, contact with deviant friends, and teacher support of microsystem variables. Third,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was affected by family-peer relationship and family-school relationship of mesosystem variables. Fourth,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was affected by appraisal support of extended family and circle activity of exosystem variables. Fifth, organism variables have great effect on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than any other variables. 본 연구에서는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라는 새로운 개념의 인기도를 도입하여, 생태학적 변인(유기체 변인, 미시체계 변인, 중간체계 변인, 외체계 변인)이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구 지역의 중ㆍ고등학교 1,2학년 805명과 각 해당 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및 평균과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중다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기체 변인 중 성별, 연령, 외현화 공격성, 관계상 공격성, 사회적 자아존중감, 신체적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 및 지배성이, 미시체계 변인 중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 친구에 대한 애착, 비행 친구와의 접촉 및 교사의 지지가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체계 변인 중 가정-또래 관계와 가정-학교 관계가, 외체계 변인 중 확대가족의 평가적 지지와 동아리 활동 실태가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는 유기체 변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미시체계 변인이 중간체계나 외체계 변이보다 상대적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 국가 미래인적자원으로서 재외동포청소년 성장과 지원방안 연구Ⅱ

        김경준,김정숙,이유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재외동포청소년을 글로벌 코리안의 중요한 인적자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5년부터 대륙별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9년도에는 오세아니아 지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재외동포수와 한국과의 관계의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호주와 뉴질랜드 동포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호주 및 뉴질랜드 재외동포청소년들의 주변 환경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생태학적 체계 이론에 기초하여 연구가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근거해서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시간체계의 틀에 따른 조사내용을 구성하여 초 · 중 · 고 학생을 대상으로 호주와 뉴질랜드 각 국가별로 200명씩 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면담조사의 경우에도 국가별 동포청소년의 특성과 생태체계적 환경과 관련한 내용을 조사하였는데, 호주 · 뉴질랜드 각 국가별로 청소년과 성인(전문가) 각각 10여명씩, 총 40여명을 대상으로 동포청소년 및 관련 성인(전문가)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및 면담조사 결과를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등의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정책과제(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문가 적합도 조사와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하여 정책목표와 7개 정책영역별로 총 35개의 정책과제를 개발 ·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ays to support overseas Korean youths as important human resources of Global Korea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 continent basis since 2015, and Oceania was targeted in 2019. Considering the number of overseas Koreans and the importance of their relations with Korea, we conducted a study on young Koreans living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aforementioned Korean Youth, the current study was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s theory. Surveys and interviews were us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400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200 from each of the two countries). Survey detail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s theory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the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macrosystem, and chronosystem. Interview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 adolescents by country and the ecological systemic environment. A total of 40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consisting of ten overseas Korean teenagers and adults (experts) in each country. W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urveys and interviews using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macrosystem, among others, and deduced implications based on which we derived policy tasks. In addition, through expert suitability diagnostics and reviews, we developed and proposed policy objectives and a total of 35 policy tasks in seven areas.

      • KCI등재

        보육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 연구

        이순미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1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도 보육교사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제주지역 사립 보육교육 기관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보육교사는 총 200명으로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20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180명의 자료를 SPSS 2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 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기체 변인 중 보육교사의 연령과 학력은 보육교사의 행복에 차이를 보였다. 즉 35세 이상의 보육교사는 다른 연령에 비해 행복이 높으며, 대졸 이상의 보육교사도 다른 학력에 비해 행복이 높다 는 점이다. 둘째, 미시체계 변인 중 결혼여부만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혼자인 보육교사는 미혼자 보육교사에 비해 행복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중간체계 변인 중 유아-교사 상호작용이 높을수 록, 부모-교사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행복수준이 높았다. 넷째, 외체계 변인 중 근무환경과 직무자체 특성이 좋을수록 보육교사의 행복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행복한 보육교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근무환경 개선, 처우개선 등과 같은 국가적, 행정적 지원으로 현실적인 개선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research is analyzing the ecological variables on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happiness. The data was collected by the survey of the happiness factors and ecological variables of child care teachers.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of organismic variable, the age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child care teacher showed discrimination one's happiness. Second, of micro system variable, the marital status is the only thing that affect the happiness. Third, of meso system variable, the teachers who are highly interact on each other such as, child to teacher and parents to teacher are much happier than others. Finally, of the outside system variable, the teachers who are working at the better working environment and good quality of duty are much happier than others.

      • KCI등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Fear of Crime Based on Ecological Systems Theory

        Byung Gu Kang,Ji Won Jang,Sang Hyun Jo,Byung Soo Jung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7 Crisisonomy Vol.1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범죄두려움에 관한 개인행동과 환경의 상호작용 및 영향력을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중심으로 미시체계, 중간체계, 거시체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영향요인을 일반적 범죄두려움과 구체적 범죄두려움으로 구분하여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각 체계 안에서 구체적 범죄두려움과 일반적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시체계 안에서는 간접적인 범죄 피해경험이 구체적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반적 범죄두려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중간체계에서는 지역사회무질서가 구체적, 일반적 범죄두려움 모두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집합효율성 중 비공식통제는 구체적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일반적 범죄두려움에는 영향을 미쳤고, 집합효율성 중 사회적 유대는 일반적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구체적 두려움에는 영향을 미쳤다. In this paper, we explored the determinants of fear of crime by focusing on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social environments surrounding them.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s theory, this study found some interesting results as follows. It suggests that general fear of crime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specific fear of crime in both microsystem and mezzosystem. More specifically, the factors affecting general fear are not consistent with the ones affecting the specific fear, regardless of the fact that both fears are affected by individuals’ perception of crime trends in macrosystem. For example, indirect experience of crime affects specific fear of crime while it does not affect general fear of crime. Moreover, we found that informal control does affect general fear of crime but social bonding does not, while social bonding affects specific fear of crime but informal control does not.

      • KCI등재

        중간언어 정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신승용 우리말학회 2015 우리말연구 Vol.43 No.-

        L2 학습자의 언어를 중간언어로 부르든, 근접체계로 부르든 용 어의 문제는 자의성의 문제이므로 사회적 약속의 문제이다. 하지만 L2 학 습자의 언어에 대한 정의는 순수 언어학적으로나 응용언어학적으로나 연 구를 위한 출발점이자 근간이다. 연구 대상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한 상태 에서 대상을 제대로 연구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에 서는 L2 학습자의 언어에 대한 기왕의 중간언어 정의에 대해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L2 학습자 언어의 실체를 구명하고자 하 였다. 기왕의 중간언어 정의에 따르면 L2 학습자의 언어는 L1도 아니고 L2도 아닌 제3의 언어이고, 그 제3의 언어는 학습자마다 개별적이어서 동 일한 중간언어를 가진 학습자가 존재할 수 없다. 그런데 아직까지 언어학 적으로 언어를 정의하는 핵심은 랑그인데, 이러한 중간언어는 동일한 중 간언어를 사용하는 언어 집단을 상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랑그 역시 설정 할 수 없는 언어이다. 본고에서는 L2 학습자의 언어 습득을 L1과 L1에 포함된 UG로부터 출발하여 여기에 L2가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덧붙어 가는 과정으로 해석하였다. L2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L1도 아니고 L2도 아닌 제 3의 영역이 존재해야 할 이유도 없고, 또 실제 그러한 영역이 존재한다는 실질적인 증거도 없다. L2 학습자의 언어가 발달한다는 것은 결국 L2가 정교화되는 과정이다. 그렇다면 정교화되기 전의 그것 역시 논리적으로 L2일 수밖에 없다. 다만 발달 과정에 있는 L2는 L2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 의 L2와 달리 부족하고 불완전한 L2일 뿐이다.

      • KCI등재

        쓰시마(對馬)출토 신자료와 그 배경 - 네소(根曾) 2호분 채집 도질토기로 본 도내 지배체계(가설) -

        스즈키 코키 한국문화유산협회 2021 야외고고학 Vol.- No.41

        본 쓰시마는 한반도와 열도 중간에 위치하여 고대부터 한일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온 지역이다. 쓰시마에서 본격적인 고고학 조사가 시작된 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이며, 그 성과가 지금까지 한일 교류사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연구사가 되었다. 일전에 필자는 쓰시마에서 출토된 스에키(須惠器) 및 도질토기를 통해 쓰시마 고분시대의 지배체계에 대해 살펴본 바가 있었다. 이번에는 기존 내용에 더하여 네소 2호분에서 출토된 소가야권역계 도질토기편의 채집위치, 연대, 주변유구 등 기존의 학설에서 유물의 맥락 및 차이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쓰시마의 지배체계를 재고찰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쓰시마 지배체계에서는 쓰시마 전체를 통괄하는 수장과 쓰시마의 각 포구를 통괄하고, 나아가 한반도 각지와 교류·교섭을 담당하는 지역 수장이라고 하는 두 수장의 존재와 두 수장 간의 이해관계 이외에도 쓰시마의 전체 수장1) 아래에서 대외교류를 담당하는 중간수장이라고 하는 일족·집단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상정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위의 가설에 대해 고고학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확실하게 단언하기에는 이르지만, 이 논의가 가까운 미래에 고고자료의 확보를 통해서 고대 한일관계를 규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sushima is located in the middle of Korean Peninsula and Japan and is the area charged with the important role in an exchange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more than antiquity. It’ll be after it’ll be after the war that a real archaeology investigation has been begun at its Tsushima, and when still telling cultural exchange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the outcome is a very important history of research. Last time, the author considered the rule system of Tsushima’s Kofun period from Sue pottery excavated from Tsushima and ceramic pottery.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contents, I reconsidered the rule system in Tsushima from the collection position, age, surrounding remains, etc. based on the ceramic earthenware pieces of the So-gaya area collected from Neso No. 2 burial mound. As a result, in the conventional control system of Tsushima, there are two types of chiefs, the chief who controls the whole Tsushima + the regional chief who controls each coves of Tsushima and who is in charge of exchange and negotiations with various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o the view that the interests between the chiefs were well maintained, it is possible that there was an intermediate chief such as a clan or group who grasped the external relations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chiefs of Tsushima as a whole. However, these cannot be confidently asserted from the number of materials, and are hypotheses from the materials collected this time, and do not go beyond that framework.

      • KCI등재

        청소년의 생태체계요인이 성관계 경험 유무에 미치는 영향

        김주연,양소남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effects of ecological system factors on sexual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This study used 2015 11th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data and used 68,043 respondents that were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adolescents.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Results show that as for individual factors, drinking and smoking experience, depression and stress were; as for microsystem factors, biological parent and one-parent family were; and as for mesosystem factors, received teacher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having sexual experiences. Based on results, prevention about sexual problems among adolescents suggested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생태체계요인이 성관계 경험 유무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년 제11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총 68,043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체계 요인에서는 음주경험, 흡연경험, 우울, 스트레스가 미시체계 요인에서는 친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 중간체계 요인에서는 교사 지지가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성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