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과 개신교 통일교육

        류삼준 한국종교교육학회 2020 宗敎敎育學硏究 Vol.64 No.-

        본 연구는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의 취지와 개신교계 종립학교의 비판 및 요구 사이의 접점을 찾는 작업의 하나로, 최근에 이뤄진 개신교 통일교육 및 종교교육의 연구 중 매우 드물게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과 개신교 통일교육 사이의 '비판적 (실천) 상관관계'를 시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본 연구는 '비판적 (실천) 상관관계'에 앞서, 통일과 통일교육의 중요성이 상당한 바, 개신교 통일교육과 공교육이 각각의 특성과 장점을 바탕으로 종교학 교육과정에 대해 '통일이란 주제를 중심으로 서로 대화할 가능성과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어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이 '다종교·다문화 감수성'의 함양, '비판적 성찰 능력'의 증대, 통일의 필요성에 있어서의 보편성, 다른 통일교육과의 대화 가능성으로서의 보편성, 또 학습자의 상황 및 특성을 반영하는 보편성의 확대라는 측면에서개신교 통일교육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런 후에, 역으로 개신교 통일교육의 관점에서 종교학 교육과정의개선을 지향할 때, 향후의 종교학 교육과정은 그 내용에 '북한의 종교'를 포함할 것과, 평화와 갈등 해소의 추구를 포함한 종교의 사회적‧공적 역할을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할 것, 그리고 환대, 돌봄, '평화 지향의 세계 시민'과 같은 종교와관련된 '통합역량'을 추가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종교와 평화 그리고 통일-종교적 화합을 통한 통일전략-

        이명권 한국종교학회 2019 宗敎硏究 Vol.79 No.2

        This paper has begun with questions as to how religion can contribute to peaceful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Looking back at the history of modern Korea, as shown in the 3⋅1 movement, religion contributed to the peace and independen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ra of Japanese imperialism. Therefore, this paper is the study of peaceful reunification strategy through harmony between religions. In Chapter 2,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we cannot ignore peaceful reunification, considering the meaning of studying religion or living as a religious person in the unique situation of Korea, whilst referring to the attitude of studying religion on the Korean peninsula. As an example of this, I have looked into the “Samdong(三同) ethic” idea of the Won Buddhism(圓佛敎)’s great monk, Jeong-San(1900-1962) who had suffered under Japanese rule and expressed the desperate necessity of “founding theory of nation” in view of East Asian tradition. This was also an attempt to test how religious thought applied to peaceful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Chapter 3, I asked how religion can contribute to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exploring this question, I looked at its ideolog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In terms of its ideological contribution, I examined the idea of peace in each religious tradition and, based on this, I tried to find out the methodology of in-depth dialogue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religions and cooperate in peaceful reunification. The center of the conversation is not a superficial and exclusive doctrinal dialogue, but rather a dialogue between the core and the core, emphasizing the need to learn a good tradition of mutual religion in openness and to promote harmony and solidarity amongst religions. Thus, I have suggested some proposals of unification policy that religion could make, such as creating a religious unity of peace and unification, as well as educating people on the benefits of unification. In addition to the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it was considered that the religious alliance, as a private organization, could be a voice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denuclearization, the North Korea-US peace treaty,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and the resumption of tourism in Mount Kumgang. Religious people should aim to influence public opinion through actively promote things that are not led by the government, such as private-sector support for North Korea an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We must go a step further and take the lead in disarming and reconciling social divisions such as the South-South conflict, and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peace-keeping institutions such as the DMZ UN peace university. In this era of transition, the spirit of reconciliation, forgiveness, love, and cooperation among religious people is more urgently required. 이 논문은 종교가 한반도 평화 통일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근대 한국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3⋅1운동에서 보듯이 종교는 일본 제국주의 시대에 한반도의 평화와 독립에 기여했다. 따라서 본고는 종교 간의 화합을 통한 평화통일 전략에 대한 연구가 골격을 이룬다. 2장에서 한반도에서 종교를 공부하는 자세를 언급하면서, 분단 한국의 독특한 상황 속에서 종교를 공부하거나 종교인으로 산다는 것의 의미를 고찰하면서, 평화통일을 외면할 수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 실례로서 일제 치하에서 고난을 겪으며 ‘건국론’의 절실한 필요성을 제시한 원불교 2대 정산종사의 ‘삼동윤리’ 사상을 동아시아의 전통에 비추어 고찰해 보았다. 이것은 종교 사상이 한반도 평화통일 논의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시험해 보는 시도였다. 3장에서는 종교가 한반도 평화통일에 어떻게 기여 할 수 있을지를 물었고, 그 대안으로서 이념적 기여와 실천적 기여로 나누어 고찰했다. 이념적 기여에 대해서는 각 종교전통이 지니는 평화사상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종교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평화통일에 협력하기 위한 심층적 대화의 방법론을 모색해 보았다. 대화의 중심은 피상적이고 배타적인 교리적 대화가 아니라, 핵심과 핵심의 대화로 이어져서 열린 자세로 상호 종교의 훌륭한 전통을 배우며 종교 간의 화합과 연대를 도모해야 함을 역설했다. 그리하여 범종교적인 평화통일 연합체를 구성하여 종교단체가 통일편익교육 등을 강화해야 하는 등 종교가 할 수 있는 통일 정책의 몇 가지 제안들을 제시해 보았다. 정부가 할 수 있는 통일 정책 이외에 민간단체로서의 종교연합체는 비핵화를 포함하여 북⋅미간 평화협정이나,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 등 다양한 방면에서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것을 검토하였다. 더 나아가 남남 갈등과 같은 사회 분열을 극복하고, DMZ 유엔 평화 대학과 같은 평화 유지기구의 건설을 장려하는 일이 요구된다. 변화의 시대에 한반도 통일을 위해 종교인들 사이의 화해, 용서, 사랑, 협력의 정신이 절실히 필요하다.

      • 통일사상의 공의주의로 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종교평화운동

        안연희 통일사상학회 2023 통일사상연구 Vol.25 No.-

        본 논문은 종교간 대화운동의 효시라 할 수 있는 1893년 시카고 세계종교회의의 정신과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종교평화운동의 접점으로 인류 공통의 윤리와 가치 모색을 위한 종교간 대화와 협력의 역할 강조에 주목하고 이를 통일사상의 공의주 의의 구체적 실현사례로 고찰하였다. 나아가 참사랑을 중심한 가정 뿐 아니라 종교 의 역할을 강조하는 공의주의가 초종교적 연대와 종교평화운동의 이념적 기반이 될 수 있으며, 초종교적 종교평화운동이야말로 21세기 다종교적 지구공동체의 상황에 서 종교가 나아갈 필연적 길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통일사상의 공의주의는 하나님의 참사랑을 중심한 가정윤리를 모델로 삼는 3대 주체(참부모, 참스승, 참주인)의 역동적인 참사랑의 실천으로 공동윤리사회가 이루 어지면 더 이상 종교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고 한다. 본 논문은 그와 동시에 통일사 상의 공의주의 서술이 도의세계 실현을 위한 종교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음에 주목 하였다. 통일사상의 공의주의는 참사랑의 역동적 운동이 일어나는 보편적인 조건으 로서 부모와 자녀의 사랑과 생명과 혈통이 연결되는 가정이 윤리의 거점임을 명확 히 한다. 그러나 타락한 현실세계의 가정은 공의주의의 요람으로서의 이상가정과 간극이 있으며, 쉽게 편협하고 이기적인 가정주의로 축소될 위험도 있다. 따라서 공의 주의적인 이상사회의 실현 과정에서 타락한 세계를 본연의 이상으로 회복하기 위해 등장한 종교의 역할이 있는 것이다. 현실 가정의 한계를 넘어 개인의 보편적 양심을 자극하고 더 큰 우주적 가정을 지향하게 하는 종교는 인류 공통가치와 윤리를 찾아 가게 하는 커다란 연대를 이루는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종교의 차이를 넘어 초종교적으로 인류 공통의 가치와 윤리를 함께 모색 하여 인류의 평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종교평화운동은 가정연합의 공생공영공의주의 의 근간인 공의주의의 이론적 함의와 구체적 실천의 방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 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section of the 1893 Chicago Parliament of the World's Religions and the religious peace movement of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noting the emphasis on interreligious dialogue for the search for common ethics and values and the role of religion for global peace, as a concret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Co-righteousness in Unification Thought.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religious peace movement through interfaith solidarity can be the Principle of Co-righteousness of Unification Thought, and that the religious peace movement through such interfaith solidarity is the way forward for religion in the 21st century multi-religious glob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o-righteousness in Unification Thought, when a common ethical society is established through the dynamic practice of love by the three Great subjects of Parents, Teachers, and Leaders, modeled on a family ethic centered on God’s true love, religion will no longer be necessary. At the same time, this paper notes that Unification Thought's description of the Principle of Co-righteousness emphasizes the role of religion in realizing the highly ethical society. It clarifies that the family, where the love of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connection of life and lineage are the universal conditions under which the dynamic movement of true love takes place, is the base of common ethics. However, the reality of families of the fallen world is far from the ideal family as the cradle of Co-rigtheousness and can easily be reduced to narrow-minded and selfish familism. Therefore, the role of religion, which emerged to restore the fallen world to its original ideal, become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realizing a co-righteous and ethical society. By stimulating the universal conscience of individuals and promoting their orientation towards the larger cosmic family, religions can create a great solidarity that leads to the search for common human values and ethics. Therefore, the religious peace movement, which seeks to contribute to the peace of mankind by searching for common human values and ethics together on a trans-religious basis beyond religious differences, has value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understanding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concrete practice of the Principle of Co-righteousness at the center of th idealism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KCI등재후보

        한반도 통일에서 종교의 역할

        정용길 한독사회과학회 2004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4 No.2

        북한은 이념상 종교를 허용할 수 없는 나라이다. 그러나 통일되기 전 월맹이 남베트남의 공산화를 위해서 종교에 대해 포용정책을 취하며 적절히 이용하였던 것처럼 북한정권도 1980년대 이후 종교에 대해 관대해 졌다. 또한 독일 통일과정에서 독일교회의 역할이 컸다고 한다. 그러나 동독의 교회는 동독체제에 대한 개혁이나 저항운동을 한 것이지, 통일과정에는 직접적으로 기능을 하지 않았다는 분석도 있다. 즉 독일통일은 베를린 장벽의 붕괴, 동독자유총선거의 결과 그리고 독일통일에 책임과 권한을 갖고 있던 4대 연합국들과의 합의를 이끌어 낸 “2+4 회담” 등 여러 과정의 결과라는 것이다. 그러나 동독의 교회가 동독의 변화에 기여를 한 것은 사실이고, 그 변화는 어느 정도 통일과도 연관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동서독과 남북한의 종교교류에서 세 가지 큰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는, 동서독 교회들은 ‘교회의 날’ 행사를 함께 하면서도, 그것을 반전․반핵․평화운동이라고 했지, ‘통일운동’이라고 표현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반도의 남북한 종교 지도자들은 종교교류를 하면서 ‘통일운동’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동독의 개혁. 저항운동의 주도세력은 기독교인들이었다. 그러나 북한에는 동독에서처럼 개혁․저항운동을 수행할 만한 종교조직과 종교인이 아직 없다는 것이다. 또한 북한은 대남 종교교류의 창구가 사실상 하나인 단일 창구인데 반하여, 남한의 대북창구는 불교, 기독교, 천주교 등 각 종교, 종파, 조직 그리고 기구 별로 다양하다. 그러므로 남한 내 각 종교, 종파들간의 경쟁과 분파주의도 극복되어야 한다.남북한간의 종교교류가 더 활성화되면 북한 주민들의 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차츰 바뀌게 되어 남북화해와 협력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통일에 기여도 할 것이다. 그리고 분명한 것은 통일된 한반도는 종교의 자유가 있는 곳이어야 한다. 종교의 자유가 있는 곳은 다원주의 사회이다. 한반도 통일과정에서도 종교의 역할이 있다면, 그것은 다원주의적인 사회로 통일이 될 때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남북한간의 종교교류는 더욱 활성화되어야 한다. Die Untersuchungsergebnisse meiner Studie über die Grundzüge der Rolle der Religion bei dem Vereinigungsprozess bestehen aus folgenden wesentlichen Punkten: Nordkorea ist ein Staat, der aus ideologischen Gründen die Religion in seinem Land nicht erlauben kann. Trotzdem strebt die nordkoreanische Regierung seit 1980 an, die Religion strategisch zu verwenden, so wie das kommunistische Nordvietnam die Religion beim Vereinigungsprozess als Versöhnungspolitik benutzt hat.Man glaubt, dass die evangelische Kirche bei der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eine große Rolle gespielt hat. Aber die Kirche in der ehemaligen DDR trug nicht direkt zu der deutschen Wiedervereinigung bei, sondern eher durch ihre Beihilfe zu der Reformations- und Protestbewegung gegen das System der DDR. Das heißt, die deutsche Wiedervereinigung ergibt sich durch den Fall der Berliner Mauer, die freie Wahl im März 1990 in der DDR und den “2+4 Vertrag”, der von den Außenministern der beiden deutschen Staaten und den vier Siegermächten unterschrieben wurde. Besonders darf die Dynamik des deutschen Vereinigungsprozesses nicht darüber hinweg täuschen, dass die Frage der nationalen Einheit nicht ohne Zustimmung des Auslandes und hier vor allem der Siegermächte des 2. Weltkrieges, die nach wie vor die Verantwortung für Deutschland als Ganzes trugen, möglich gewesen wäre. Aber der Beitrag der evangelischen Kirche in der DDR zu der dortigen Reformbewegung bereitete trotzdem die deutsche Wiedervereinigung mit vor. Aber wenn man die Rolle der Religion, besonders der evangelischen Kirche in der ehemaligen DDR, auf die koreanische Situation bezieht, findet man folgende Unterschiede: Erstens bezeichnen die Vertretern der koreanischen Religion die Annährungs- und Aussöhnungsprozesse von süd- und nordkoreanischen Religiösen als “Bewegung für die Wiedervereinigung Koreas,” während der deutsche evangelische Kirchenbund, EKD und BEK gemeinsam die Kirchentage veranstalteten, sie aber nicht “Bewegung zur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sondern “Friedensbewegung” nannten. Zweitens ist heute Nordkorea im Gegensatz zur ehemaligen DDR noch unfähig und unreif, so dass die gesellschaftliche Reformation oder die Protestbewegung innerhalb des Staates von selbständigen religiösen Gruppen oder Einzelkämpfern nicht durchgeführt werden kann. Außerdem kontrolliert die nordkoreanische Regierung die nordkoreanischen Delegierten, während die verschiedenen religiösen Institutionen in Südkorea nach Religionen, Sekten und Organisationen unterschiedlich gegliedert sind. Dadurch verursacht die diffuse Verschiedenheit der Institutionen in Südkorea eine ineffiziente Konkurrenz und Aufsplitterung untereinander und gegeneinander im Annährungsversuch mit Nordkorea. Die zukünftige Aktivierung der Zusammenarbeit im religiösen Bereich von Süd- und Nordkorea kann das negative Verständnis der Religion der Nordkoreaner sukzessiv verändern. Und darüber hinaus kann sie doch zur Kommunikation und zur Versöhnung Koreas führen. In diesem Sinne spielt die Religion eine wichtige Rolle für die koreanische Wiedervereinigung.Was nicht vergessen werden darf ist, dass das vereinigte Korea eine “Freiheit der Religion” haben muss. Die Annährung an das Konzept der pluralistischen Demokratie ist der Anfang auf dem Weg zur Wiedervereinigung in Korea. Deswegen müssen die Annährungs- und Aussöhnungsprozesse im religiösen Bereich auch in Korea aktiviert werden.

      • KCI등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창시자 작사 성가에 관한 연구

        문선영 ( Sun-young Moon ) 한국신종교학회 2016 신종교연구 Vol.35 No.-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기독교계 신종교이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앙은 기독교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기독교와 구별된 독자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성서 해석과 기도 마무리의 방식 등에서 전통적인 기독교와 차이가 있다. 그러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예배 시간에 한국 기독교의 찬송가를 수용하여 부르기도 한다. 그렇다고 하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종교적 노래가 없는 것은 아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는 성가라고 칭하는 종교적 노래들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창시자 문선명에 의하여 작사되었다. 본 논문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앙을 다각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창시자가 작사한 성가를 살피고자 한다. 창시자가 작사한 성가는 그가 겪은 종교적 수난이 주로 작사 배경이 되고 있으며, 창시자의 고백적 신앙의 내용이 대체적으로 담겨 있다. 즉 그가 유일신으로부터 받은 종교적 사명을 성취하기 위한 그의 소명 의식과 의지가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소명 의식과 의지는 궁극적으로 그가 지상에 실현하려는 종교적 이상세계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앙의 정체성은 곧 창시자의 신앙의 정체성과 동일시 될 수 있다. 따라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창시자 작사 성가에 나타난 종교적 이상세계 추구와 실현이라는 창시자의 신앙의 정체성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앙의 정체성이라고 이해될 수 있다. 창시자가 작사한 성가에 묘사된 종교적 이상세계는 부모로서의 인격적 유일신과 자녀로서의 인간이라는 관계성 인식을 기반으로 인류 한 가족의 이상세계 원형을 그리운 부모가 있는 본향(本鄕)이라는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기도 하다.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is a new Christian religion. The faith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is based on Christianity, but it displays independent characteristics distinguishing it from existing Christianity. For instance, it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its way of ending prayer differ from those of traditional Christianity. However,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has adopted and sings hymns from Korean Christianity during worship. This does not mean that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does not have religious songs of its own.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has religious songs that are called holy songs, and some of their lyrics have been written by the founder Sun Myung Moon.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holy songs whose lyrics have been written by the founder in order to promote understanding, in various dimensions, of the faith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since much research has yet to be carried out on this subject. The holy songs whose lyrics were written by the founder deal with the religious suffering he experienced and usually contain the content of his confessional faith. In other words, they reveal his consciousness of his calling and his will to fulfill the religious mission he received from the one God. Such consciousness of his calling and his will ultimately contain his hope for the ideal world which he attempts to realize on this earth. The identity of the faith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can be considered identical to the identity of the faith of the founder. Therefore, the identity of the faith of the founder, which is the pursuit and realization of the ideal world appearing in the holy songs written by the founder, can be understood as the identity of the faith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e ideal world described in the holy songs written by the founder characteristically provides, as the concept of the original homeland where one`s longed-for parents are, the original form of the ideal world as one family of humankind based on the relational perception of human beings as the children and the one personal God as the parent.

      • KCI등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문화콘텐츠 현황

        문선영 한국신종교학회 2018 신종교연구 Vol.38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current state of cultural content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at is leaving traces in the new religion history of Korea. Although there are various definitions of cultural contents, generally cultural contents can be explained with the connection between ‘culture’ and ‘contents’. Thus, this study considers the contents including the religious cultural element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as ‘cultural content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e range of this study embraces publication, image, performance, and Cheonji Sunhak Won (Sunhak Garden of Heaven and Earth) currently promoted by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e words and lives of the founders, Sun-Myung Moon and Hak-Ja Han, are the sources and resources of the religious culture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us,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considers the founders’ words and lives important, and has published various types of books containing related contents. In addition, the monthly periodical 《統一世界》 is evaluated to be an important material with which people can look at its developmental process, recent news, and believers’ lives. PeaceTV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is providing various images and audio contents on the Internet related to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Hyojeong Media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is differentiated from PeaceTV in that it provides many programs with which people can easily learn believers’ activities and lives at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Many musicals focusing on the stories of the founders are becoming main cultural content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in the field of performance. In addition, Cheonji Sunhak Won (Sunhak Garden of Heaven and Earth) will play a role of museum, gallery, and educational institute notifying people of the founders’ lives and visions, and also will play a role of tourism attraction that the public can freely visit and where they can understand the religious culture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 역사에서 남다른 발자취를 남기고 있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문화콘텐츠 현황에 주목한다. 문화콘텐츠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문화콘텐츠의 의미는 ‘문화’와 ‘콘텐츠’의 결합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종교문화적 요소가 체화되어 담겨진 콘텐츠를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문화콘텐츠’라고 전제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출판, 영상, 공연 분야, 그리고 현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 추진 중인 천지선학원에 초점을 맞춘다. 신앙의 대상인 창시자 문선명⋅한학자의 말씀과 생애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종교문화의 원천 및 자원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창시자 부부의 말씀과 생애를 중요하게 여기며, 이에 관한 내용을 다양한 형태의 서적으로 출판해 나오고 있다. 그리고 종단의 월간 정기간행물인 《統一世界》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발전 과정과 종단 관련 최근 소식, 종단 신앙인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사료가 된다고 평가된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PeaceTV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관련 다양한 영상과 일부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효정미디어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신앙인의 활동과 그들의 다양한 삶의 이야기와 생각 등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많이 있다는 점에서 PeaceTV와 차별성있는 영상 내용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창시자 부부에 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다수의 뮤지컬은 공연 분야에서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주요 문화콘텐츠가 되고 있다. 그리고 천지선학원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창시자 부부의 생애와 업적, 비전을 총체적으로 알 수 있는 박물관, 전시관이자 교육관의 역할을 할 것이며, 많은 대중들이 자유롭게 찾아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종교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관광명소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전망된다.

      • KCI등재후보

        통일전선전술의 관점에서 중국의 종교통제에 대한 고찰

        마민호(Ma, Min-h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1

        사회주의 중국의 종교 정책은 단순히 사회주의 이념 실현을 위해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정치적 목적에 따라 협력과 통제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통일전선전술의 입장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주의 중국의 종교 정책은 정치가 종교보다 우위에 있으며 정치적 목적을 위해 종교를 통제해 왔던 전통적인 중국의 정치와 종교 관계의 연장이다. 사회주의 건설 시기의 중국의 종교 정책은 근본적으로 종교의 존재를 부정해야 하지만 사회주의 건설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종교의 존재를 잠정적으로 인정하고 사회주의 건설에 유리한 종교 세력과는 협력하고 사회주의 건설에 위협이 되는 종교 세력은 강력하게 탄압히는 통일전선전술의 입장에서 진행되었다. 이후 문화대혁명 시기는 종교의 존재 자체를 인정할 수 없는 이념적 원칙이 강조되었기 때문에 종교 집단을 사회주의 건설에 해가 되는 세력으로 간주하여 정치적으로 철저하게 탄압하는 강경정책 일변도의 통일전선 전술이 사용되었다. 중국의 개혁개방은 통일전선전술의 입장에서 볼 때 사회주의 건설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해외 자본주의 세력과 종교 세력과 연합하여 사회주의 현대화를 이루려는 정책이다. 이 개혁개방 시기의 종교정책은 지금까지의 주요모순이었던 계급모순이 경제모순으로 바뀌면서 이 경제모순을 극복하기 위하여 부차모순인 종교 세력과 연합하는 형태의 통일전선전술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법륜공(法輪功)에 대한 중국 정부의 통제에서 볼 수 있듯이 종교 세력이 정치에 불리하게 작용할 때는 강력하게 탄압하는 이중적인 통일전선전술을 사용하고 있다. 중국이 일관되게 사용하고 있는 통일전선전술에 입각한 종교정책의 관점에서 종교에 대한 정책을 전망한다면 중국은 여전히 주요모순을 극복하고자히는 정치적 펼요에 따라 강경정책과 옹건정책으로 정치적 상황에 맞게 선택되어 진행될 것이다. 이울러 종교에 대한 통제 방식은 기본적으로 동이타(動而打)방식에 의하여 정치적으로 위협을 주는 종교 활동이나 종교 세력에 대하여는 강력한 통제정책을 실시할 것이다. China is a socialist country which still conducts strong control over religion. The aim of the Chinese move is not to fulfill the traditional socialist ideology, but to tactically build "united front", which enables the government to selectively use 'alliance and control' depending on their political purposes. Religious affairs are highly politicised and are part of the continuing priority to maintain 'stability and unity' at all costs. That is,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China's priority was traditionally politics, controlling religion for a political purpose. China's religious policy in socialistic nation building period should deny the existence of religion. However, since china was at an early stage of socialist nation buil이ng, they provisionally admit to the existence of Religion. United Front Tactics let the government form an alliance with religious group which is favorable to socialism building. On the other hand, other religious groups were roundly suppressed daring to oppose chinese communist party.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the ideological principle made the situation even more serious enough to threaten the existence of the Religion itself. In this period, China has become increasingly conservative, even reactionary, in its religious policies. At that time, religious groups were considered as harmful group to construct socialism, and were completely downtrodden. From the united front's point,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is read as China's political strategy to form allied power with foreign powers and religious groups in order to seek to modernize socialism. However, even in this period, some religious groups such as 'Fa run gong(法輪功)' still find themselves circumscribed by a variety of regulations and prohibitions. This shows China's ambivalentㆍattitude towards religious groups. Therefore, the current socialist religious control is not a new policy raised by China's moving into socialist country, but an extension of traditional control policy of China, based on United Front Tactics. From this point, China is expected to selectively carry out both strong and mild policy as the political need arises. Also the religious control method will fundamentally be based on 'dong er da(動而打), Which tighten the control over religious groups that threaten the political system.

      • KCI등재

        구(舊) 동독 종교교육의 변화와 과제, 그리고 시사점

        고원석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1

        한반도 통일시대를 준비하는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통일 후 북한 복음화를 통해 기독교 신앙의 재부흥을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70년이 넘도록 주변 세계로부터 차단된 채 주체사상 아래서 살았던 북한 사람들이 과거 한국교회가 경험했던 신앙부흥의 역사를 일궈낼 수 있을까? 바로 이러한 물음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물음을 가지고 분단의 아픔을 이겨내고 통일의 기쁨을 맛본 독일로 시선을 돌리게 되었다. 특별히 마르크스 사회주의 체제에서 기독교신앙과 거리를 두었던 동독지역의 사람들이 통일 후 기독교신앙을 회복하는데 어려움이 없는지, 만일 어려움이 있다면 왜 그리고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독일개신교연합(EKD)은 통일 후 개신교 그리스도인의 수의 증가를 기대했다. 왜냐하면 구 동독지역이 종교개혁의 중심이지자 구 소련의 지배에 들어가기전까지 프로테스탄트 신앙을 가지고 있었던 지역이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통일 후 개신교 그리스도인의 증가는 그리 많지 않았고, 오히려 무종교인의 수가 크게 증가했다. 구 동독 주민들, 특히 젊은 세대의 비종교성 현상이 두드러졌다. 물론 비종교성의 현상은 동독지역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세부지역별로 구분해 보면 동독지역의 비종교성은 유럽전체 어느 지역과 비교해도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독일 분단 40년의 시간은 마르크스 사회주의 체제안에서 지냈던 동독의 그리스도인들, 그리고 그들의 다음세대들에게 (우리가) 기대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종교적-신앙적 상처를 주었던 것이다. 동독의 젊은 세대들에게 기독교 정신이나 이념은 낯선 것이 되어 버렸고,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비종교성의 성향은 그들에게 기독교에 대한 문맹상태(Analphabetisierung)에 놓여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비종교성은 종교에 대한 반감이 아닌 종교에 대한 무관심의 증거다. 한반도 남북 분단의 역사가 70년을 넘었다. 우리는 북한의 주민들도 비종교성의 성향, 종교적 문맹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고 인정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개신교 신앙의 발현지라는 과거의 기억을 가지고 통일 이후 북한 사회를 향한 선교적, 신앙교육적 태도는 현실을 외면한 환상에 불과하다. 따라서 한국 기독교는 종교적-신앙적 문맹을 일소하기위한 교육적 고민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 통일 한국의 신앙형성을 위해서 우리는 복음에 낯선 자로서 북한 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실존적 절실함이 무엇인지 살피고 그것에 근거한 신앙교육의 원리와 교육방법론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In the era of reunification of Korea, Many Christians are looking forward to the revival of the Christian faith through evangelization of North Korea after reunification. But I wonder, if North Koreans who have lived under the Juche ideology, blocked from the world around for over 70 years, can rekindle the history of revival that the Korean church has experienced in the past. It was at this very question that the study began. I turned to Germany to overcome the pain of division and to taste the joy of reunification.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people in East Germany under Marxist socialism who had a thorough distance from Christianity had no difficulty in recovering Christianity after reunification. And if there were difficulties, I would like to see why and what problems. The Evangelical Church in German(EKD) expect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rotestant Christians after reunification. This was because the former East German region was the center of the Reformation as well as of Protestant church until it was ruled by the former Soviet Union. After the reunification, however, the number of Protestant Christians did not increase very much, but rather the number of non-religious people increased significantly. In particular, the phenomenon of nonreligiousness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was prominent.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East Germany. However, if classified by sub-region, it can be said that the non-religiousness of East Germany is the highest compared to any other region in Europe. In the end, the 40-year division of Germany gave Christians under Marxist socialism a far more serious religious influence than expected. For the younger generations of East Germany, the Christian spirit has become unfamiliar, and the ever-increasing tendency of non-religiousness should be seen as being in the state of an illiteracy to Christianity (Analphabetisierung). Non-religiousness is not a antagonism to religion, but evidence of apathy with religion. The history of the inter-Korean division is over 70 years old. We must admit that North Koreans also have a tendency to non-religiousness and religious illiteracy. In this regard, the missionary and religious educational attitude toward North Korean society based on the past memories of the prosperity of Protestant church is nothing more than an illusion away from reality. Therefore, Korean Christianity should consider the educational strategies to eradicate religious illiteracy of North Koreans. For the formation of faith in the inter-Korean church after unification, we will need to examine the existential desperateness of North Koreans as strangers to the gospel and develop principles and methods of faith education based on it.

      • KCI등재

        사회적 자본으로서 종교계의 통일운동 - 기독교와 불교의 통일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문인철,여현철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공공정책연구소 2023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Vol.9 No.1

        본 연구는 종교계가 사회적 자본으로서 한국사회의 통일운동과 통일 네트워크를 어떻게 형성하고 발전시켜 왔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특히,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신뢰를 이론적 틀로 하여 종교계의 통일관 및 통일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종교계가 통일의 목적 및 역할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계의 통일교육 활성화이다. 둘째, 종교계와 정부와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이다. 셋째, 종교계의 통일연대와 국제적 네트워크 확산 및 활용도를 증대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국내의 종교계가 종교단체와 도모하여 협력 및 지지를 보내줄 수 있는 통일 공공외교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중등학교의 종교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문선영 한국종교교육학회 2015 宗敎敎育學硏究 Vol.49 No.-

        대한민국 교육계는 인성교육진흥법으로 인하여 그 어느 때보다 학교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이 어떤 관련을 맺을 수 있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해 볼 때, 현행 국가 교육과정에서 선택 교양 교과의 하나인 ‘종교학’과 인성교육의 연계성은 검토되어야 할 부분이다. 이에본 논문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중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양 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이 어떻게 인성교육과 연계되며 활성화될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자 한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중등학교의 종교교육과 인성교육이 연계되는 교과 내용의 핵심은 종교가지향하는 보편적인 도덕적 차원의 교훈들과 관련이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중등학교의 종교교육은 이러한 점을 도덕적 삶, 타인을 위하는 삶의 실천을 통하여 개인의 이기적인 성향을 벗고바람직한 타인과의 관계를 지향해 나가는 측면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다양한 종교 이해를 통하여다(多)종교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태도 또한 배워나갈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중등학교의 종교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첫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중등학교의 종교교육이 국가 수준의 ‘종교학’ 교 과 교육과정 범위 안에서 운영되므로 ‘종교학’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의 필요성이 불가피함을 말하고 있다. 둘째, 다양한 인성교육 관련 방법과 자료의 활용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자기 성찰의 기회를 부여하는 차원이 종교교육 수업시간에 수반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종교학’ 교과교육이 도덕과 교과교육과 동일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교양 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을 통한인성교육의 활성화는 한계가 있다는 점도 인식해야 한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