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A Study on the Potentiality of World Religions for Peace in Relation with the Increase of the Religious “Dones”

        안연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9 평화학연구 Vol.20 No.2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recent flow of Religious “Dones” is related to the individualization of religion deepening globalization and deepened by it, the distrust of institutional religion, and the increase of anti-religious discourse. And, through Ulrich Beck's insight of cosmopolitanism not imperialistic universalism, or “peace rather than truth” it tries to reconsider on the religion’s potentialities for peace to overcome the modern distrust and stigma that religion is an obstacle of peace. World religions have the experience and wisdom to acquire a new dimension by accepting and integrating differences and diversity beyond ethnic and national boundaries. However, each religious tradition has been maintained as institutional religion through the boundary between believer and non-believer in the name of truth, so it has a tendency to express conflict rather than coexistence with other religions in a globalized modern society where various religions and cultures face each other. The deepening of glob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is causing new conflicts between religion and non-religions. Therefore, in contemporary society, which is globalized and personalized, whether world religions can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religion and religion,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religion and non-religion, is the key to religion's potentiality for peace, that is religious cosmopolitanism. It is also a measure of whether religion can answer the questions of this age.

      • KCI등재

        [서평] 트로브리안드 민족지의 향연과 ‘살아있는 종교’연구

        안연희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3 종교문화연구 Vol.- No.20

        평소 초기 종교학 저작들을 현대적인 시점에서 탐색하는 작업에 관심이 있던 필자에게 말리노프스키의 민족지 번역은 퍽 반가웠다. 그래서 더 많은 독자들이 말리노프스키가 펼쳐 보여주는 트로브리안드 민족지의 향연을 즐길 수 있기를 기대하며, 민족지의 완결판 『산호섬의 경작지와 주술』의 배경과 그 구성 및 특징적인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려 한다. 또 말리노프스키의 민족지 인류학이 종교학사에 끼친 영향과, 어떤 점에서 현대종교학과 다시 소통하고, 비판적으로 재논의될 수 있을 지와 관련해 종교학 연구자로서 그의 민족지를 접한 소회를 밝힌다.

      • KCI등재

        종교적 주체, 평화의 주체로서의 여성

        안연희 한국평화종교학회 2020 평화와 종교 Vol.0 No.10

        이 글은 종교사의 남성중심주의가 여성운동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온 ‘평화’에 어떤 문제를 제기하는지 살펴보고, 여성의 종교적 주체성 회복이 여성평화운동의 흐름에 중요한 전기가 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종교사의 남성중심주의는 종교경전 및 텍스트에서 여성의 목소리와 기록/기억의 결여, 그리고 종교 의례나 지도체제와 같은 종교적 권위의 장에서 여성을 배제함으로써 여성을 차별하고 억압하는 문화의 요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남성중심주의, 젠더위계주의가 두드러졌던 종교사 속에서 발휘되지 못하였던 여성의 종교적 주체성은 여성의 공적인 말하기, 권위 있는 기록과 기억의 주체되기, 종교적 지도력 발휘를 통해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전 세계 교단과 조직, 신자들을 이끌고 있는 종교지도자이며, 세계평화여성연합의 창설자이기도 한 한학자 총재의 종교적 언설과 리더십은 그러한 여성의 종교적 주체성 회복에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종교적 권위의 장에서 말하는 주체, 실천적 주체로서 드러난 한학자 총재의 종교적 리더십과 평화운동은 종교적 주체로서 평화의 주체가 되는 여성의 모습을 종교사에 회복시키는 의미 있는 사례이다. 이를 통해 종교사 속에서 대상화되고 주변화된 여성이 종교적 주체로서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고, 궁극적 실재관 및 종교교리와 상징에서도 양성평등적인 차원을 회복하여 균형을 맞추는 여성 종교지도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한학자 총재의 종교적 언설과 실천이 보여주는 종교적 주체성은 종교사적으로 중요한 일보라고 평가된다. 또한 이는 여성이 이 시대 평화의 주체로서 이상적 미래와 평화문명을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여성의 적극적 평화운동을 촉진하는 행보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s what issues the androcentrism and gender hierarchy in religious history raises to the “peace” that the women’s movement has ultimately pursued, and discusses that the restoration of female subject in religion can be an turning point in the flow of the women’s peace movement. Androcentrism in religious history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ulture that discriminates against and oppresses women by excluding women from their voices and lack of record/memory in religious scriptures and texts, and from areas of religious authority such as religious rites and leadership systems. come. Therefore, the religious subjectivity of women, which was not exerted in the religious history in which androcentrism and gender hierarchy were prominent, could be restored through women’s public speaking, being the subject of authoritative records and memories, and exerting religious leadership. The religious statements and leadership of co-founder Han Hak-ja, who is currently leading organizations and believer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FFWPU) all over the world, and the founder of Women’s Federation for World Peace(WFWP), are remarkable in terms of the recovery of such women’s religious subjectivity. The religious leadership and peace movement of Han Hak-ja, revealed as a speaking subject and acting subject in the field of religious authority, is a meaningful example of restoring the image of a woman who becomes the subject of peace as a religious subject in religious history. Through this, we can confirm the image of a female religious leader who makes a positive voice as a religious subject, and restores and balances gender equality in the ultimate view of reality and religious doctrines and symbols, escaping from the position of an objectified and marginalized woman in the history of religion. Religious subjectivity shown by these religious statements and practices of Han Hak-ja is an important trajectory in religious history,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driving force for active peace movements of women who take the lead in realizing an ideal future and a peaceful civilization as the subject of peace.

      • KCI등재

        고대 디아스포라 종교 사례로 본 지구화 시대 종교성에 대한 전망

        안연희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9 디아스포라 연구 Vol.13 No.1

        Recently, as the global diaspora and globalization deepen, diaspora researches in various fields are active, and globalization theorists are paying more attention to religion than secularist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iaspora religiosity in relation to religious changes in the globalization process. Therefore, this thesis attempted to offer prospects for a new religiosi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rough two cases of ancient diaspora religion. First, I defined ‘diaspora religiosity’ as three aspects of cultural hybridity,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cultural mediating and dynamic creativity, and discussed what new cultural creativity the ancient diaspora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exercised through ‘diaspora religiosity’ respectively. The Jewish Diaspora, scattered throughout the ancient empire cities, created a new religious culture from diaspora religios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ranscendental monotheism, the religiosity of holy life through Torah(law), and the synagogue as a center of cross-regional networks and cultural exchanges. Early Christianity, using this Jewish Diaspora network, abolished the signs of national identity such as circumcision etc. with universal love, and developed it as a universal religion, creatively appropriating the cultural resources of the Hellenistic and Roman empire. These examples show that Diaspora religion dynamically created transcendental and universal religious ideas and frameworks beyond nationalism through de-territorialization, re-territorialization and cultural hybridity. In globalization, religions face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re-leap as cosmopolitan religions that can cooperate and coexist to solve global problems and risks and have a non-violent open identity to others. The past examples of diaspora religion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rospects for religious change in the globalization era promoted by global diasporas. 최근 글로벌 디아스포라와 지구화가 심화되면서 다양한 분야의 디아스포라 연구가 활발하지만, 지구화 국면의 종교현상들과 관련한 국내의 디아스포라 종교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이 논문은 고대 디아스포라 종교의 두 사례를 통해 지구화 시대의 새로운 종교성에 대한 전망을 시도하였다. 먼저 ‘디아스포라 종교성’을 문화적 혼종성,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문화적 매개와 역동적 창조성의 세 측면으로 규정하고, 고대 디아스포라 유대교와 초기 그리스도교의 디아스포라 종교성에 의한 새로운 문화창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대 제국 도시들에 흩어져있던 유대인들은 디아스포라 종교성을 역동적으로 발휘하여 초월적 유일신관 정립, 토라 집성과 율법을 통한 거룩한 삶의 종교성, 범지역적 네트워크와 문화교류의 구심점인 시나고그를 발전시켰다. 또한 초기 그리스도교는 이러한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기반을 이용하면서, 할례, 율법엄수 등 민족적 경계와 정체성의 표지들을 보편적 사랑으로 폐지하고 헬레니즘 및 로마 제국의 문화적 자원들을 창조적으로 전유하여, 범세계적인 보편종교로서 발전하였다. 이러한 사례들은 디아스포라 종교가 탈영토화와 문화적 혼종성을 통해 일국주의를 넘어 초월성, 보편성에 대한 사유를 역동적으로 창출했음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검토는 지구화시대 종교들이 직면한 새로운 위기와 기회, 즉 지구적 문제와 위험들에 대해 실천적으로 연대하고 공존할 수 있고, 타자에 대해 비폭력적인 열린 정체성을 가진 세계시민성 종교로서 재도약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오늘날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 KCI등재후보

        그리스도교의 성물의 신학과 물질의 종교

        안연희 한국평화종교학회 2019 평화와 종교 Vol.0 No.7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theology of ‘Holy Matter’, noticing the limitations of research trends centered on notions, ideologies, and subjective meanings, and focusing on the materiality of religion or ‘material turn’ of religious studies. I first looked at the concept of Christian ‘holy matter’, centering on the divine body(hostia) in Christian Eucharist, and then, referring to Bynum’s study of Christian materiality, and examined Christian doctrine and theology of holy matter,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edieval Christian devotional life.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Christian soteriology centering on the concept of incarnation, the theology of creation, and the theology of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works not only for man, but also for the soteriology of material that converts corruptive material into salvational material. And that the salvation of such material is the code of salvation of the whole human being as a material being as well as spiritual being. Thus, Christianity forms a paradoxical meeting point between material and spirituality through the theology of holy matter. Therefore, the theology of the holy matter of Christianity and its associated phenomena can be better understood by recent religious studies by ‘material turn’. It is because the attitude of religion research that sees matter and religion as conflicting dichotomies, or only regards material culture as a secondary product of religion, can not grasp medieval religions as a whole. In addition, the case of medieval Christian holy matter will be an interesting example of revitalizing the direction of new religious studies to capture and adequately describe the phenomenon of religion, in which spirituality and materiality as human phenomena can not be separated. 이 글은 그리스도교의 성물의 신학이 종교학의 ‘물질적 전환’ 및 ‘물질의 종교’에 대한 최근연구동향에 시사하는 바에 주목한다. 먼저 성체성사를 중심으로 그리스도교의 ‘성물’의 개념을 검토하고, 그리스도교의 물질성(Christian materiality)에 대한 바이넘(Caroline W. Bynum)의 연구를 통해, 중세 그리스도교의 신심생활의 중요한 요소였던 성물의 그리스도교 신학적 근거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창조, 육화, 부활의 신학이 보여주는 그리스도교의 구원론이 인간의 구원뿐 아니라, 타락의 물질을 구원의 물질로 변환시키는 물질의 구원론으로도 작동하고 있으며, 그러한 물질의 구원이 다시 물질적 존재로서의 인간 전체의 구원론의 코드가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물질과 영성이 역설적으로 만나는 지점을 보여주는 그리스도교 성물의 신학의 의미는 ‘물질적 전환’을 주장하는 최근 종교연구를 통해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물질과 종교의 대립시키는 이분법적 틀, 혹은 물질적인 종교문화를 부차적으로만 여기는 관점으로는 중세 그리스도교의 역동적이고 다양한 신심생활을 온전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중세 그리스도교 성물의 사례는 역으로도 종교현상의 불가피한 구조 안에서 인간적 현상으로서 영성과 물질성이 분리될 수 없는 현장을 포착하고 기술하려는 새로운 종교연구의 방향에 활기를 불어넣는 흥미로운 사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종교기반 평화교육에 대한 고찰

        안연희 한국평화종교학회 2022 평화와 종교 Vol.- No.14

        This study argued that religion-based peace education can contribute to peace education at the global level fundamentally and continuously, and considered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religion-based peace education and the issues to be solved. There are various views on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the public role of religion. For example, the functions of healing and consolation, and social contribution through service and charity are often suggested. Peace education can also be a field that can contribute to the public good and public interest with its unique potential for religions, which are experiencing more crises due to the decline in social trust and reputa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corona crisis in some societies. At the same time, religion-based peace education can be a good way for religion to answer contemporary agendas. However, there are necessary conditions for religion-based peace education to serve as a good model for peace education in a meaningful way while complementing other secular peace educations, including public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in a multi-religious context. Religion-based peace education needs to have a clearer sense of purpose: education for peace as a universal value, not education for a specific religion. In conclusion, religion-based peace educ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as a comprehensive peace education to ensure universal values beyond the institutional and doctrinal differences of religion. Specifically, it should be based on the concept of ‘peaceful character’ as the ideal of education, and move towards peace education that aims for universal common good through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peaceful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본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심화된 난제들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으로서 지구적 차원의 포괄적 평화교육의 지속적 실시가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그와 관련하여 종교기반 평화교육의 가능성과 의미, 나아가 해결해야 할 점들을 고찰하였다. 종교의 공적 역할의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있고, 종교의 치유와 위로의 기능, 봉사와 자선을 통한 사회적 기여 등이 주로 제시되곤 했다. 이에 더하여 평화교육도 몇몇 사회의 코로나 위기 상황에서 사회적 신뢰도와 평판이 저하되고 더욱 위기를 겪고 있는 종교가 특유의 잠재력으로 공공선과 공익에 기여하면서 동시에 동시대적 의제에 답하는 좋은 방식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 논지이다. 그러나 종교적 평화교육이 국가 차원의 공교육을 비롯한 다른 세속적 평화교육을 보완하면서 평화교육의 좋은 모델로 유의미하게 기여하기 위해서는 선결조건이 있다. 즉 종교기반 평화교육이 특정종교에 대한 교육이 아니라 보편적 가치로서의 평화를 위한 교육이라는 목적의식을 명확히 하고, 구체적인 교육내용도 그에 부합하게 체계화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종교사상에 입각한 평화교육은 다른 어떤 평화교육보다는 지구적 평화실현을 위해 포괄적이고 근본적인 가치를 지속적으로 교육하는 종교의 공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종교기반 평화교육은 종교의 제도적 교리적 차이를 넘어 보편적 가치를 담보하기 위한 포괄적 평화교육으로 정립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교육의 이상으로서 ‘평화인성’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면서, 평화적 통일교육, 생태평화교육 등을 통해 보편적 공공선을 지향하는 평화교육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