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朝鮮名勝詩選』의 구성 방식의 특징과 자료적 가치 연구 -「京畿道 京城」을 중심으로-

        강수진 한국고전번역학회 2022 고전번역연구 Vol.13 No.-

        Joseonmyeongseungsiseon(Collection of poems on scenic sites of Joseon Dynasty, 『朝鮮名勝詩選』) is a collection of poems compiled by Narushima Sagimura in 1915, and it is composed to introduce the scenic spots in Joseon at the time and the poems about them. In the 1910s when the material was compiled, it was the early days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Japan tried to develop tourism resources in Joseon under the leade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ith the development of railroads. Joseonmyeongseungsiseon was compiled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Joseon's scenic spots by a Japanese official who worked in Joseon,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What distinguishes Joseonmyeongseungsiseon from tourist-related books compil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s that it contains the scenic spot-themed works which were created under the title of ‘siseon(詩選)’. In other words, it has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books in that it selects scenic spots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m,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s of potes in that it collects and contains the poems related to scenic spots. Narushima organized the content of Joseonmyeongseungsiseon in such a way that the upper part contains information about scenic spots, especially based on the circumstances in the 1910s, whereas the lower part contains poems about scenic spots - mostly, the works creat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ince Narushima selected scenic spots at the time of compilation and brought the relelated poems from old books such as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the placeness of scenic spots described in the upper part does not match the placeness expressed in the poems. The reason Narushima organized the book in this way was because he wanted to compile a book different from the geography books and tourist books written around the same time. Narushima’s Joseonmyeongseungsiseon was intend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 collection of poems and a geography book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scenic spots while compiling a collection of poems with a focus on wayu(臥遊). Its value as the material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he compiled a book that reflects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 geography book and a collection of poems. 『朝鮮名勝詩選』은 나루시마 사기무라(成島鷺村)가 1915년에 편찬한 시선집으로, 당시 조선의 명승과 이를 소재로 창작된 시를 소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자료가 편찬된 1910년대는 일제강점기 초기로, 당시 일제는 철도의 발달을 토대로 조선총독부의 주도하에 조선의 관광자원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朝鮮名勝詩選』은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춰 조선에서 근무했던 일본 관료가 조선의 명승을 소개하려는 목적으로 편찬한 것이다. 『朝鮮名勝詩選』이 조선총독부 주도하에 편찬된 관광 관련 책자와 구분되는 점은 ‘詩選’이라는 제목을 붙이고 명승지를 소재로 창작된 작품을 수록하였다는 것이다. 즉, 이 책은 명승을 선정하여 그곳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리지의 특징을, 그리고 명승과 관련된 시를 모아서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詩選集의 특징이 있다. 『朝鮮名勝詩選』의 내용을 살펴보면 본문은 상하단으로 나뉘어 있는데, 상단에는 명승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하단에는 명승에 대한 시를 수록하는 방식으로 그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상단에 기록된 정보에는 일제강점기 초기의 조선 상황이 반영되어 있으며, 하단에 수록된 시는 대체로 조선 전기에 창작된 작품이다. 이처럼 나루시마가 1910년대에 식민지 본국 관료의 입장에서 조선의 명승을 선정하고, 이와 관련된 시는 『新增東國輿地勝覽』과 같은 고서에서 가져왔기 때문에 상단에서 설명하는 명승의 장소성과 시에서 표현하는 장소성이 일치하지 않는다. 나루시마가 이러한 방식으로 책을 구성한 이유는 비슷한 시기에 편찬된 지리지, 관광지와는 성격이 다른 책을 편찬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나루시마는 자신이 선정한 명승의 경관을 이미지로 전달하기 위해 명승을 소재로 창작된 시를 모아서 詩選集을 편찬하되, 명승과 관련된 역사적ㆍ지리적 정보를 제공하는 지리지의 특성을 차용하는 방식으로 『朝鮮名勝詩選』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는 당시 일제의 관광 정책을 수용하여 地理志의 특성을 포괄한 詩選集이라는 측면에서 당시에 나온 지리지, 관광지와 구별되는 특성이 있다. 더불어 이 책을 통해 일제강점기 초기의 지리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자료적 가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시선집 『靑丘詩鈔』의 편찬과 문학사적 의미

        구지현,최재원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lucidate the background and process in the compilation of selected poems, Cheonggusicho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its meaning in Korean Chinese literature history. Because Kim, Taejun made a diachronic stud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history to describe ancient parts of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by using a lot of Cheonggusicho. The Competitive Exhibition of Local Products for the Fifth Anniversary of New Politics’ hel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provided an occasion to publish Cheonggusicho. It was held to commemorate the fifth year of Japanese rule of Joseon and to make Joseon merged as a colony of Japan. Though Cheonggusicho was published to commemorate the fifth year of Japanese rule of Joseon, it was not a local product. It seems that its aim was for some Japanese to enjoy Korean folk culture, due to the words in the preface, “to give the books printed by the typographic culture of Joseon to the ‘persons interested in the same subject’”. It is doubtful why Cheonggusicho was taken to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Cheonggusicho consists of 176 poems stemmed from Gojoseon, the first Korean kingdom, to the Goryeo dynasty. Over 130 poems in it were recorded on Dongmunseon. The poems representing each historical era a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with a poem a poet. It is different from other anthologies. So the origin of Joseon poetry dates back to the earlier era. According to the preface of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it does not belong to Chinese Literature because it is the translated Chinese character version of native Korean words. At that time when Kim, Taejun wrote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Samgukyusa(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began to spread and the literary approach to Hyangga(old Korean folk songs), Korean myths and folktales emerged in the academy. That Chinese Literature in Korea should belong to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was under discussion. In conclusion, though Cheonggusicho was published for some Japanese to enjoy Korean folk culture, it is a clue to spread the origin of old Korean literature by Kim, Taejun at that time when the concept of literature began to change. 본 연구는 일본인에 의해 간행된 시선집 『靑丘詩鈔』의 편찬 배경과 그 특이성을 통해 한문학사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녔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1931년 김태준은 우리나라 한문학사를 통시적으로 체계화한 『朝鮮漢文學史』의 상대편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청구시초』를 상당 부분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청구시초』가 발간된 계기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개최된 ‘始政五年紀念 朝鮮物産共進會’였다. 공진회는 조선총독부의 5년간 新政 체제가 이뤄낸 실적을 대대적으로 선전하는 데 목적이 있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조선을 동화시키고자 하였다. 『청구시초』가 이러한 공진회를 계기로 만들어지기는 하였으나, 전시된 물품은 아니었으므로 정책상의 목적과 차별되는 점들을 찾아볼 수 있다. 단순히 조선의 활자로 찍은 책을 ‘同好’에게 나누어주기 위해 책을 간행했다고 서문에 밝혔으니, 조선의 물산을 내보이려는 목적보다는 소수의 일본인이 즐기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점들로 미루어볼 때, 왜 『청구시초』가 『조선한문학사』에 수용되었는가에 대해서는 의아하지 않을 수 없다. 시선집에 실린 시는 단군조선부터 고려까지 총 176수로 구성되어 있다. 130여 수 이상이 『동문선 』과 일치한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시들이 시체의 구분 없이 시간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를 띠고 있으며, 1인당 한 수의 시가 실려 있다. 이러한 형태는 이전의 시선집과는 다른 지점이다. 특히, 시가의 범주를 느슨하게 설정함으로써 역사서를 수용하는 동시에 한역시의 시대를 고증하여 시대순으로 정돈・배열하면서 조선 시의 기원을 기존보다 앞선 시대에서 찾고자 하였다. 『조선한문학사』의 서론에 의하면, 이는 본래 우리말로 되어 있던 것을 한역한 것이므로 한문학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시들이다. 고대 한문학이 아닌 고대문학으로 분류될 수밖에 없는 것들이다. 그러나 김태준이 『조선한문학사』를 저술하던 당시 교감본 『삼국유사』가 보급되어 주목받았으며, 향가나 신화, 설화에 대한 문학적 접근이 이루어지면서 조선문학사에 한문 문학을 포함해야 한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을 때이다. 그러므로 상대편의 첫 장을 고대 한문학이 아닌 ‘고대문학의 감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다. 요컨대 『청구시초』는 일본인 호사가들의 조선 취미를 위해 인쇄된 시선집이지만, 문학 개념이 변화되어 가는 시기에 김태준이라는 학자에게 주목받아 고대문학의 기원을 넓히는 하나의 단서로 작용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재일조선인 표상과 시선의 주체: 이마무라 쇼헤이 〈니안짱〉(1959)을 중심으로

        하정현(Ha, Jung-hyun),정수완(Jung, Soo Wa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2 씨네포럼 Vol.- No.41

        본 연구는 일본영화의 재일조선인 표상과 시선의 주체 문제에서 이마무라 쇼헤이의 〈니안짱〉이 원작과 다른 시선을 구축하는 것에 주목했다. 재일조선인 문학사적 관점에서 원작은 화자로서 재일조선인 아동의 주체성 문제와 일본 대중사회의 내셔널리즘적 소비의 문제가 있다. 이마무라의 〈니안짱〉은 원작의 이러한 문제와 거리를 두기 위해 가상인물들을 조형하여 원작을 재구성 및 재창조 했다. 이에 본 연구는 〈니안짱〉이 새롭게 조형한 일본인 복지사 가나코와 재일조선인 노파 사카다의 의의와 재일조선인 아동의 자의식 형성에 관계된 지정학적 조건을 살폈다. 〈니안짱〉이 탄생시킨 가상의 인물들은 원작의 재일조선인 아동 시선에서 구체화되지 못한 어른들의 문제, 즉 재일조선인을 둘러싼 일본사회의 차별적 시선을 담지한다. 〈니안짱〉은 가나코와 재일조선인, 가나코와 일본인 사이의 거리를 표상하여 재일조선인의 삶에 전제된 일본의 역사를 반추시킨다. 이때 가나코와 대조되는 사카다는 일본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직접적으로 표명한다. 〈니안짱〉은 재일조선인의 삶이 일본이라는 지정학적 조건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사카다의 대사와 동선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1세의 삶에서 벗어나려는 다카이치의 의지는 보타산에 오르는 상승성을 통해 반복된다. 그러나 다카이치의 자의식에서 발생한 상승적 역동성은 일본인에 의해 저지되고, 회귀되기를 반복한다. 〈니안짱〉의 엔딩은 그럼에도 굴하지 않는 다카이치의 강인한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그것을 일본사회가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 관객에게 되묻는다. As a matter of the representation of Zainichi (ethnic minority in Japan) in Japanese cinema, This study focused on Shohei Imamura’s Second Brother (1959) bears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original work. There are several fictitious characters and new, related episodes in Second Brother. Following the difference, this study notices Kanako-Japanese social worker- and Sakada-old Zainichi woman- as fictitious characters and also surveys Japan as a geopolitical condition for Zainichi children’s identity. The fictitious characters from Second Brother connote Japanese ethnic discrimination or the perspective of the adult which cannot reveal itself because the original work had written by children. A gap between Kanako and Zainichi and between Kanako and other Japanese in Second Brother makes rumination on the history of Japanese imperialism that brings about the Zainichi and also there’s today. Sakada, another fictitious, expresses her stance directly as a Zainichi woman who has no choice but to live in Japan. And Takaichi, who is the second brother or the second generation of Zainichi, climbs Bota-Yama (slag heap of coal mine) repeatedly for the sake of getting over the closed conditions of selection. Whenever he expresses the will himself, the Japanese block him and sends him back to the place where they accord to Zainichi as implicit bias. Imamura asks back to Japan, how it is possible and what have to do now in the last scene.

      • KCI등재

        시선집 『靑丘詩鈔』의 편찬과 문학사적 의미

        구지현(Jea-hyoun Koo),최재원(Jae-won Choi) 대동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본 연구는 일본인에 의해 간행된 시선집 『靑丘詩鈔』의 편찬 배경과 그 특이성을 통해 한문학사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녔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1931년 김태준은 우리나라 한문학사를 통시적으로 체계화한 『朝鮮漢文學史』의 상대편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청구시초』를 상당 부분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청구시초』가 발간된 계기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개최된 ‘始政五年紀念 朝鮮物産共進會’였다. 공진회는 조선총독부의 5년간 新政 체제가 이뤄낸 실적을 대대적으로 선전하는 데 목적이 있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조선을 동화시키고자 하였다. 『청구시초』가 이러한 공진회를 계기로 만들어지기는 하였으나, 전시된 물품은 아니었으므로 정책상의 목적과 차별되는 점들을 찾아볼 수 있다. 단순히 조선의 활자로 찍은 책을 ‘同好’에게 나누어주기 위해 책을 간행했다고 서문에 밝혔으니, 조선의 물산을 내보이려는 목적보다는 소수의 일본인이 즐기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점들로 미루어볼 때, 왜 『청구시초』가 『조선한문학사』에 수용되었는가에 대해서는 의아하지 않을 수 없다. 시선집에 실린 시는 단군조선부터 고려까지 총 176수로 구성되어 있다. 130여 수 이상이 『동문선 』과 일치한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시들이 시체의 구분 없이 시간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를 띠고 있으며, 1인당 한 수의 시가 실려 있다. 이러한 형태는 이전의 시선집과는 다른 지점이다. 특히, 시가의 범주를 느슨하게 설정함으로써 역사서를 수용하는 동시에 한역시의 시대를 고증하여 시대순으로 정돈·배열하면서 조선 시의 기원을 기존보다 앞선 시대에서 찾고자 하였다. 『조선한문학사』의 서론에 의하면, 이는 본래 우리말로 되어 있던 것을 한역한 것이므로 한문학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시들이다. 고대 한문학이 아닌 고대문학으로 분류될 수밖에 없는 것들이다. 그러나 김태준이 『조선한문학사』를 저술하던 당시 교감본 『삼국유사』가 보급되어 주목받았으며, 향가나 신화, 설화에 대한 문학적 접근이 이루어지면서 조선문학사에 한문 문학을 포함해야 한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을 때이다. 그러므로 상대편의 첫 장을 고대 한문학이 아닌 ‘고대문학의 감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다. 요컨대 『청구시초』는 일본인 호사가들의 조선 취미를 위해 인쇄된 시선집이지만, 문학 개념이 변화되어 가는 시기에 김태준이라는 학자에게 주목받아 고대문학의 기원을 넓히는 하나의 단서로 작용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lucidate the background and process in the compilation of selected poems, Cheonggusicho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its meaning in Korean Chinese literature history. Because Kim, Taejun made a diachronic stud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history to describe ancient parts of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by using a lot of Cheonggusicho. The Competitive Exhibition of Local Products for the Fifth Anniversary of New Politics’ hel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provided an occasion to publish Cheonggusicho. It was held to commemorate the fifth year of Japanese rule of Joseon and to make Joseon merged as a colony of Japan. Though Cheonggusicho was published to commemorate the fifth year of Japanese rule of Joseon, it was not a local product. It seems that its aim was for some Japanese to enjoy Korean folk culture, due to the words in the preface, “to give the books printed by the typographic culture of Joseon to the ‘persons interested in the same subject’”. It is doubtful why Cheonggusicho was taken to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Cheonggusicho consists of 176 poems stemmed from Gojoseon, the first Korean kingdom, to the Goryeo dynasty. Over 130 poems in it were recorded on Dongmunseon. The poems representing each historical era a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with a poem a poet. It is different from other anthologies. So the origin of Joseon poetry dates back to the earlier era. According to the preface of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it does not belong to Chinese Literature because it is the translated Chinese character version of native Korean words. At that time when Kim, Taejun wrote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Samgukyusa(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began to spread and the literary approach to Hyangga(old Korean folk songs), Korean myths and folktales emerged in the academy. That Chinese Literature in Korea should belong to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was under discussion. In conclusion, though Cheonggusicho was published for some Japanese to enjoy Korean folk culture, it is a clue to spread the origin of old Korean literature by Kim, Taejun at that time when the concept of literature began to change.

      • KCI등재

        신유한의 『해유록』에서 일본의 기대와 조선의 시선 읽어내기

        이 호 욱(Howook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0 문화 역사 지리 Vol.32 No.1

        『해유록(海游錄)』은 제9차 조선통신사로 다녀온 신유한이 일본을 방문한 여정과 일본에서 경험한 사실에 대해 기록한 사행록이다. 『해유록』에서 일본이 통신사에게 기대하는 시선과 통신사가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에 주목하여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 방문은 일반 관광이나 여행과는 달리 일본 막부에서 통신사를 초정하여 여정을 주관하는 사행이었으므로, 이동 경로에서 통신사의 시선에 영향을 미친 일본의 의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일본은 조선의 사신을 성의를 다해 환대하고, 번화한 시가지와 산수의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는 일본의 이미지를 통신사의 시선에 투영하여 일본에 대한 긍정적 시선을 가지길 기대하였다. 이에 반해 통신사는 일본을 화이론(華夷論)적 시선으로 바라보고 여기에 반일의식과 부정확하고 왜곡된 사전지식을 더하여 전반적으로 일본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강하게 나타내었다. 여정을 기획한 막부의 의도와는 다르게 신유한은 일본의 문물이 발달해 있더라도 교화되지 못한 사람들로 인해 사회적 부조화가 나타난다고 인식하였으며, 일본이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차지한 사실을 못마땅해하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비록 신유한의 서술에서 긍정적으로 표현된 부분을 찾을 수 있더라도 간접적인 경우가 많았고 일부에 불과하였다. 이렇게 당시에 일본의 기대와 조선의 시선 사이에 존재하던 간격은 근원적으로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부족한 데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러나 상호문화주의 입장에서 이분법적인 타자 인식을 극복하고 어느 한쪽의 고정된 프레임을 초월하면서 역동적인 대화와 교류를 진행한다면, 우리나라와 일본 사이에 존재하는 문화 간 이해의 간격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기대한다. 조선통신사의 파견이 서로 다른 문화를 인정하고 상호 이해하려는 시도라고 한다면, 오늘날에도 이 역할을 이어나가야 할 것이다. Haeyurok(海游錄) is the book in which Yuhan Sin, a member of 9th Joseon Tongsinsa (Joseon’s diplomatic missions to Japan) recorded his itinerary and experiences in Japan. This paper focused on analyzing the gaze that Japan expected from Tongsinsa and the gaze of Tongsinsa looking at Japan in Haeyurok. Japan hoped that Tongsinsa would have a positive gaze of Japan by treating them hospitably and projecting the image of Japan, which had prosperous urban areas and beautiful nature, onto their gaze. On the other hand, Tongsinsa showed a negative gaze of Japan in general, because they looked at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Sino-Barbarianism (華夷論) and had anti-Japanese consciousness and an inaccurate and distorted prior knowledge about Japan. The gap that existed between the Japanese expectations and Joseon’s gaze at that time was ultimately caused by the lack of efforts to understand the other party. If we overcome the dichotomous perception towards other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and engage in dynamic dialogue and cultural exchanges going beyond the fixed frame of either side, we possibly expect to resolve the gap of cross-cultur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조선동요연구협회의 동요운동 연구

        강영미(Kang, Young-Mi)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3 No.-

        이 연구는 조선동요연구협회가 동요운동의 차원에서 발간한 『조선동요선집-1928년판』이 식민지 시기 동요 정전 형성의 계기가 됐음을 밝히는 데 목표를 두고, 조선동요연구협회의 결성 취지 및 구성원의 면면, 『조선동요선집-1928년판』의 구성 방식 및 수록곡의 특징을 살폈다. 1927년 9월 결성된 조선동요연구협회는 전국에서 투고한 작품을 선별하여 1929년 1월 1일 『조선동요선집』을 출간하는 기획력과 실천력을 보였다. 운동의 이념과 관념적인 슬로건을 앞세우는 방식이 아니라 창작동요 선집을 발간하는 구체적 실천을 통해 당대의 계몽적, 관념적인 창가와는 다른 창작 동요를 보급했다. 조선의 어린이가 우리말과 글의 리듬, 동요와 동시의 감각을 익히며 성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실천적 활동 방식이 조선동요연구협회가 전개한 조선소년문화운동이었다. 『조선동요선집』에 수록된 작품은 이후 악곡이 붙은 노래로 만들어져 대중적으로 향유되며 식민지 시기 동요 정전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the “Chosun Children s Song Anthology” published by the Chosun Children s Song Research Association for the Children s Song Movement was an opportunity for the formation of the children’s song can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e formation of the Chosun Children s Song Research Association, the aspects of its members,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Chosun Children s Songs Antholog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s included were examined. The Chosun Children s Song Research Association, which was founded in 1927, planned and published the “Chosun Children s Song Anthology” the following year using works submitted from around the nation. Through the concrete practice of creating children s rhymes, rather than putting the ideology and ideological slogan of the movement ahead, they created and distributed creative children s rhymes that differed from pre-existing slogans based on enlightenment and ideologies. This was to help the children of Chosun grow by learning the rhythm of Korean words and writing in addition to a sense of children s song and poetry. This practical method of activity was the Chosun Boys Cultural Movement developed by the Chosun Children s Song Research Association. The works listed in the “Chosun Children s Song Anthology” were later made into songs enjoyed by the public, and became an opportunity for the formation of the can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호랑이 사냥을 통해 본 식민지 경관의 생산 방식 고찰 -야마모토 다다사부로 『정호기』와 『매일신보』기사를 중심으로-

        신진숙 ( Shin Jin-soo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9 No.-

        본고는 일제강점기 조선의 생태적 환경이 식민화 정책에 의해 급격하게 변해가고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제국과 식민지 거주민의 시선이 경합하고 충돌했는지를 1910년대 한일 호랑이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식민화 과정이란 근본적으로 정치, 경제적 체제의 식민화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식민지 생태환경의 변화를 수반한다. 경관은 바로 이러한 식민지 정책과 구현 과정을 잘 보여주는 시각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 지역의 생태 환경은 본질적으로 그 속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과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식민화된 경관에는 제국의 일방적인 시선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식민지 거주자의 삶의 실천이 투영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논 쟁점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조선의 호랑이 담론이다. 조선에서 호랑이가 사라지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일제의 해수구제정책과 무관하지 않지만 그것은 조선의 포호정책의 연장이라는 시각도 제기된다. 그것은 조선에서 호랑이와 민중의 삶이 분리불가한 역사적 전통을 가지고 있음을 반증한다. 따라서 일제가 해수로 파악한 호랑이와 조선인의 삶에서 호랑이가 갖는 의미는 동일한 대상이지만 재현의 맥락 자체가 다르다. 조선인에게 호랑이가 공포와 숭배의 이중적 감정을 갖는 반면 근대 일본인에게 호랑이는 단순히 제거해야 할 동물일 뿐이었다. 삶의 실천을 통해 구성된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일본인의 시각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호랑이 담론 내부에서 제국-여행자의 시선, 즉 식민지 경관을 시각적으로 소비하고자 하는 제국의 시선과, 경관 자체를 삶의 실천 속에서 생산하는 식민지 거주자의 관점이 충돌한다. 이러한 경관에 대한 시선의 충돌은 호랑이 표상 담론보다는 호랑이를 사냥하는 일상적인 실천과정에서 보다 분명 하게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일제강점기 호랑이와 사냥꾼, 그리고 호랑이 사냥이 라는 실천의 맥락을 복합적으로 보여주는 한일 담론을 비교 분석했다. 구체적인 분석 텍스트 는, 야마모토 다다사부로가 1917년 조선에서 호랑이 정호군을 조직해 행군했던 사건을 담은 그의 책 『정호기(征虎記)』 (1917)와 동일 사건을 다룬 동일 제목의, 심천풍이 쓴 『매일신보』 기사를 주로 다루었다. 분석결과 일본 제국의 식민화 과정에서 변화한 조선의 생태 경관은 제국의 시선에 포섭되지 않는 식민지 거주민의 삶의 실천과 능동적인 경관화(landscaping) 과정이었음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동북아시아 특히 환동해지역에서 자연과 인간, 문화와 동물의 관계를 이해하는 하나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Historically the imperial Japan had transformed the colonialized ecological landscapes not only into sites for leisure of hunting or wildlife tourism but also stages for exhibition of the colonializing the other, the colony Jose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Even though hunting tigers is welcomed as a tactic avoiding from the attack of tigers for the colony Joseon people in 1910s, it was quintessentially associated with the Japanese intention of colonializing Joseon. The representation of the tigers are denoted as wilderness and harmful animals by Japanese tourist and bureaucracy alike during the colonial period. By contrast, inhabitants of colonialized local communities, including Joseon tiger hunters, had explicitly and implicitly respected tigers as the social and cultural important symbol of the Joseon landscapes where in the socio-cultural and ecological contexts of Joseon they themselves are strongly attached to. The imperial-tourist, in terms of a way of seeing, typically looked at the tigers as the part of the colonialized ecological landscapes and regarded those landscapes as the things `out there.` What this means is that not only did Japan intended to exclude the representation of tigers that the Joseon people had have in mind since prehistoric times, but they also intended to replace the image of divine animal tigers with the image of harmful animals. However, in that Joseon people considered tigers sanctified and simultaneously confronted tigers in awe whenever they have to hunt them, the colonized Joseon have still experienced and perceived the tigers as sacred animals. Rethinking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tigers on dwelling perspectives, colonializing and landscaping ecological and cultural landscapes have always readily intertwined with the performative practices of inhabitants of the colony in everyday life.

      • KCI등재후보

        鳥瞰하는 시선×透視하는 시선-이상(李箱)ㆍ후지시마 가이지로(藤島亥治郎)ㆍ라즐로 모홀리-나기(László Moholy-Nagy)-

        송민호 이상문학회 2021 이상리뷰 Vol.- No.17

        본 논문은 이상의 경성고공 시절 그의 선생이었던 후지시마 가이지로가 조선건축회의 기관지 <조선과 건축>에 실었던 서구의 건축예술과 관련된 일련의 글을 검토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이상이 1931~2년에 발표한 초기 일문시들 속에 들어나는 조감하는 시선과 투시하는 시선, 그리고 빛의 속도를 통해 입체파의 중첩된 시선들을 표현하고자 했던 일련의 경향이 시작된 기원을 탐색하고자 했다. 후지시마 가이지로는 1924년부터 평면 조감도를 입체화하는 데 커다란 관심을 갖고 있었고, 이후 구미 유학을 거치면서 표현주의 건축과 바우하우스, 르 꼬르뷔지에에 이르는 서구의 현대건축에 대해 풍부한 관점을 획득하였다. 그는 이러한 결과들을 모두 <조선과 건축>에 번역이나 논문의 형식으로 실었던 것이다. 즉, 이상이 1931년에 보여줄 수 있었던 초기 일문시의 전위성이란 한편으로는 이처럼 후지시마가 보여주었던 서구의 건축예술에 대한 이해에 바탕을 두고 펼쳐진 것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특히 이 글에서는 당시 이상이 초기 일문시에서 보여준 ‘시선’을 크게 두 가지로 파악한다. 하나는 조감하는 시선으로, 3점 투시에 바탕을 둔 조감도의 시선은 2차원의 평면을 입체화하는 시선에 해당한다. 다른 하나는 투시하는 시선으로, 뢴트겐사진이나 모홀리 나기의 포토그램(만레이의 레이요그램) 등으로 실현되는 투시하는 시선은 신체에 대한 해부적 상상과 맞물린다. 이상은 이 두 가지 시선이 서로 절합하며 다중적인 시선을 만들어내는 광경을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근거한 빛의 속도를 바탕으로 실현하고자 했던 것이다. 바로 조감도의 차원에 도입된 동시적 시간 차원 내지 그 중첩이라는 입체파적인 시도와 관계되어 있는 것으로, 바우하우스의 모홀리 나기의 기획과도 연관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이처럼 이상이 그리고 있던 ‘흔들리는 조감도’라는 시선에 대한 연구의 시작점으로, 그 바탕이 되는 후지시마 가이지로의 글들을 검토하여, 이상의 예술적 전위가 시작된 원점의 풍경을 도해하고자 시도하였다.

      • KCI등재

        1914년 치타의 조선인 - 이광수의 여행기를 중심으로

        이동진 도시사학회 2020 도시연구 Vol.- No.24

        Among the Koreans in Russia, probably the Koreans of Chita were the second bestknown to the public next to those of Vladivostok. That was because Chita was where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KNA) was based and its bulletin Daehanin Jeonggyobo (Journal of Korean Russian Orthodox Church) was published. There is another source that let us know about them; it is a series of Yi Kwangsu’s travel essays. His essays on Chita is just one part of his writings on his travel in Shanghai, Vladivostok, Murin and Chita, but among those cities, Chita is where he had the longest stay and he described the Koreans there the most. Yi Kwangsu in Chita was not just a sojourner but an important member of the city as an exile because he was the chief editor of Daehanin Jeonggyobo. This article examines the Koreans of Chita shown in his writings and his perspective on them. Yi Kwangsu was on the borderline between a mere sojourner and an exile and hence he could look at things from both insider and outsider's viewpoint. This position of his being on the borderline his resonated with Chita Koreans who were also on the borderline. That was why he wrote many essays on stay in Chita and why these writings assume importance as a testimony to the Koreans of Chita. 치타의 조선인은 아마도 블라디보스토크의 조선인 다음으로는 가장 많이 알려진 러시아 거주 조선인일 것이다. 그것은 치타가 대한인국민회 시베리아총회의 소재지로서 그 기관지인 대한인 정교보가 발간되었기 때문이다. 치타 조선인에 관한 또 하나의 자료로서 이광수의 일련의 치타 여행기가 있다. 이광수는 치타에서 조선인 망명자, 정주민, 금광 노동자 등 일군의 조선인들을 만났으며, 그들을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이광수의 치타 여행기는 상해, 블라디보스토크, 무린, 치타로 이어지는 여행기의 한 편이지만, 이광수는 치타에서 가장 오래 체류하였기 때문에 그의 여행기 중에서 치타 부분의 분량이 가장 많았으며 자신의 내면과 그가 만난 조선인에 대한 기술도 가장 많았다. 이광수가 치타에서 체류한 시기는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한 시기로서 러시아의 조선인뿐만 아니라 이광수에게도 매우 극적인 순간이었다. 이광수는 치타에서 7개월 가량 머무는 사이에 대한인 정교보의 편집과 주필로서 활동하였다. 이것은 그가 단순한 체류자가 아니라 치타 조선인 사회의 중요한 일원인 망명자의 한 사람이었음을 뜻한다. 곧 이광수는 체류자와 망명자의 경계 위에 서 있었는데, 이것이 이광수로 하여금 치타 조선인의 경계성과 공명할 수 있게 했고, 치타 조선인에 대해서 내부자와 외부자의 이중적 시선을 가질 수 있게 했다. 이것이 이광수가 치타 여행기를 반복해서 서술하는 이유였으며, 이광수의 여행기가 치타 조선인에 대한 증언으로서 중요한 이유이다.

      • KCI등재후보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수학여행 -그 혼종의 공간과 교차되는 식민지의 시선-

        권희주 한일군사문화학회 2013 한일군사문화연구 Vol.15 No.-

        본 연구는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에서 이루어진 수학여행을 비교하여 혼종적인 문화경험의 장에서 교차되는 시선과 자기인식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학여행은 보통의 여행과는 달리 인솔자를 따라 정해진 순서와 장소를 방문하는 기획된 교육여행으로 식민지기 조선과 일본의 수학여행은 대표적인 국민교육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제국 일본이 조선으로 수학여행을 오게 된 것은 일본과는 판이하게 다른 야만적인 조선의 지방색을 대조시킴으로써 일본의 선진화를 선전하고자 하는 의도가 그 저변에 내재해 있었다고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지배와 피지배의 이분법적 구도로 파악하는 이러한 시각은 피지배자인 식민지조선이 제국으로 발신한 내적 에너지를 경시할 가능성을 안고 있다. 수학여행은 지배자가 주입하는 제국의 의도된 시선과 피지배자의 시선이 서로 어긋나 교차하고 충돌하는 혼종의 공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식민지 조선을 방문한 일본의 학생은 내지에서 배워왔던 것과는 다른 교육과 실제 체험 사이에서 생긴 간극을 느끼게 된다. 생각한 것보다 깨끗한 조선인들의 모습과 거만한 일본인의 행동을 보며 반성을 하게 된다. 물론 그것이 위대한 제국 일본을 만들기 위한 자기반성임에는 틀림없으나 제국의 의도 밖으로 분출되는 개인의 시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본으로 수학여행을 다녀온 조선의 학생들은 근대화된 일본의 모습에 압도되면서도 조선의 발전을 염려하고 일본과 다른 교육현실에 눈을 뜨게 되면서 차별에 항거하게 된다. 이러한 양상은 결국 제국의 균열된 시선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本硏究は帝國日本と植民地の朝鮮で行われた修?旅行を比較し、混種的な文化經驗の場において交差される視線と事故認識を捉えることにその目的がある. 修?旅行は普通の旅行とは異なって、引率者にそって決っている順序と場所を訪ねる企畵された?育旅行として、植民地期の朝鮮と日本の修?旅行は代表的な國民?育プログラムであると言える. そのような意味で帝國日本が朝鮮に修?旅行を?るようになったのは日本とはまったくことなる野?的な朝鮮の地方色を對照させることで日本の先進化を宣?しようとする意?がその底?に內在していたと捉えることができる. しかし、支配と被支配の二分的な構?で捉えるこのような視?は被支配者である植民地の朝鮮が帝國に發信した內的エネルギ-を?視する可能性を抱えている. 修?旅行は支配者が注入する帝國の意?する視線と被支配者の視線が互いに交差し、衝突する混種の空間である. 植民地の朝鮮を訪ねる日本の?生は內地で?んできたこととは異なる、?育と本當の?驗の間で生じたギャップを感じるようになる. 思ったよりきれいな朝鮮人たちの姿と自慢している日本人の行動を見て反省することになる. もちろん、それが偉大な帝國日本を作るための自己反省であることは間違いないが、帝國の意?ではない、噴出された個人の視線と言えるだろう. また、日本に修?旅行を行ってきた朝鮮の?生は近代化された日本の姿に?倒されながらも、朝鮮の發展を懸念し、日本とは異なる?育現實に目を?まして、差別に抵抗することになる. このような面は結局帝國の龜裂た視線を見せることであろう.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