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전시하의 만화콘텐츠와 만몽개척 - 『노라쿠로 탐험대』를 중심으로 -

        권희주,성윤아 한일군사문화학회 2017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3 No.-

        본고는 다가와 스이호(田河水泡)의 『노라쿠로 탐험대(のらくろ探險隊)』를 통해 중일전쟁 이후 만화콘텐츠에 표현되는 만몽개척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노라쿠로 탐험대』는 연재보다 단행본의 이야기 전개가 선행된 특이한 작품이다. 기존의 시리즈와 달리 군대를 퇴역한 뒤 대륙으로 진출하는 이야기로, 전쟁을 하는 노라쿠로의 모습은 볼 수 없지만 후방에 있는 신민의 자세를 보여준 작품이다. 특히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일본의 대대적인 만몽개척 의용군 모집에 부흥하는 점에서 국책 만화라고 할 수 있다. 『노라쿠로 탐험대』의 내용적 특징은 크게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모두와 함께라면 전쟁도 즐거움이 된다고 하는 전쟁에 대한 긍정, 국가의 허가가 수반되는 대륙 진출에 관한 정보, 러시아를 상징하는 곰의 위협으로부터 조선, 중국, 만주, 몽골이 힘을 합하여야 된다는 민족협화의 실천, 다른 민족의 능력부재로 사장되었던 자원을 개발할 수 있는 지도자 일본의 능력부각이 바로 그것이다. 이는 무수한 고통 속에서 살아갈 수 밖에 없었던 전쟁과 만주 개척의 참상은 은폐하고 그 이상만을 보여주는 한계를 갖는다고 지적할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에 등장하는 식민지조선 출신 금강은 철저한 2인자이자 협력자로, 능력의 부재로 인해 노라쿠로의 도움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인물이다. 또한 “우리반도 3천만인은 당신의 아군”이라며 적극적으로 노라쿠로의 편에 서기도 한다. 이러한 관계는 동화를 기반으로 하는 차별이 내포되어 있으며 일본이 조선에 요구했던 식민지인의 자세이기도 했다. 本稿は、田河水泡の漫畵作品である『のらくろ探險隊』を通して、日中戰爭以降における漫畵コンテンツにあらわれている滿蒙開拓の樣相と日本國民に對するメッセ一ジはどういったものであったかについて考察を行ったものである。 『のらくろ』は1931年から1941年にかけて發刊された雜誌『少年俱樂部』に11年間連載された漫畵シリ一ズであり、昭和時代に大ヒットを記錄した、子供から大人に及ぶ幅廣い年齡層から愛された國民漫畵といえる。この漫畵では、主人公の野良犬を擬人化し、軍隊へ入營して活躍する姿を描いている。 本硏究の考察對象である『のらくろ探險隊』は、そのシリ一ズの一作であり、發刊時期は中日戰爭の機運が高まっていた1939年であり、當時の國際情勢や日本のアジアに對する外交政策を反映している点から、以前ののらくろシリ一ズとは一線を畵するもものと評價されている。ここには、日本と朝鮮、中國、モンゴル、滿州、ロシアを象徵するさまざまな動物(犬·豚·羊·山羊·熊)が登場し、當時の各國の狀況や立場を直接·間接的に描寫している。特に、日本の開拓精神や興亞と民族協和の精神をわかりやすく描いているのが特徵で、その中でも「滿蒙開拓靑少年義勇軍」の役割について示しており、のらくろという親しみやすいキャラクタ一を通じて、 「滿蒙開拓靑少年義勇軍」の募集にも力を注いでいたことと推察される。なお、日本を象徵するのらくろは賢明でリ一ダ一として資質を備えており、日本以外の能力の劣るアジア諸國を象徵する動物らを指導することにより、アジアを新たに發展させねばならぬ任務を擔っているかのように描いている。これは、日本國民に日本の「植民地支配思想」を正當化しており、こういった思想は國民に抵抗なく浸透されたものと思われる。

      • KCI등재

        코로나시기 한국에서의 유럽 랜선투어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

        권희주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2 EU연구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user perception of the European LAN tour after COVID-19 on Korean portal sites.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text mining against postings on social media to perform frequency and TF-IDF analysis. In addition, network analysis such as Centrality and CONVERGENT CORRelation (CONC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uropea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programs were found to be important. This suggests that in an online environment, enjoying a culture based on storytell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 natural scenery of Europe. The tourism industry is expected to produce faithful content that focuses on cultural and historical stories according to the needs of people who enjoy European LAN tours. It is also important to organize an LAN tour program and expand the role of online travel in connection with the dimension of "education," a keyword derived together. Second, live streaming servic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Enjoying videos transmitted locally in real time can enhance tourists' travel experiences. Direct communication with tour participants is also important to enhance the sense of realism, so it will be necessary to respond quickly to guides and relay travel agencies through chat or voice participation. Third, the importance of tourism experience through LAN tours was revealed. It can be seen that the online tour that appeared after COVID-19 provided an alternative tourism experience to Koreans even if they could not travel abroad in pers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점유율이 높은 포털사이트를 대상으로 COVID-19 이후 유럽 랜선투어에 대한 사용자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게시물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으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빈도수, TF-IDF 분석을 시행했다. 또 중심성, CONVERGENT CORRelation (CONCOR) 분석과 같은 네트워크 분석도 함께 시행하였다.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럽의 역사・문화콘텐츠 프로그램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환경에서는 유럽의 자연경관보다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문화 향유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관광업계는 유럽 랜선투어를 즐기는 사람들의 니즈에 맞춰 문화, 역사 이야기에 중점을 둔 충실한 콘텐츠를 제작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함께 도출된 키워드인 “교육”의 차원과 연계하여 랜선투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온라인 여행의 역할을 확장시켜 가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에서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영상을 즐기는 것은 관광객들의 여행 경험을 고도화할 수 있다. 또 투어 참가자와 직접적인 소통도 현장감을 높이는 데 중요하므로 채팅 혹은 음성 참여를 통한 가이드, 중계여행사의 빠른 응대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랜선투어를 통한 관광체험의 중요성이 드러났다. 코로나 이후 등장한 랜선투어는 직접 해외여행을 가지 못하더라도 한국인에게 대안적인 관광 체험을 제공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의 모형비행기 교육 연구 ― 예능과 공작을 중심으로 ―

        권희주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odel airplane education through Japanese Geinoka crafts during the Asia-Pacific War. In Japan’s compulsory education system, crafts form the main axis of the art education field up to the present together with drawings. However, it is not well known that this subject appeared in the special situation of war. Among them, model aircraft construction was a unique curriculum, which was taught sequentially for eight years in conjunction with other subjects such as national courses, science and engineering courses, and courses from other disciplines. In March 1941, when the National School Order was promulgated, Geinoka “crafts” became an essential subject. During the eight-year compulsory education period, learners received instruction in stages on model airplanes related to a glider and the assembly and establishment of the machine. They also boarded an actual glider. This training can be considered part of their practical education because it emphasized the national knowledge and the development of the machine-related knowledge function. In addition, the nationalization of crafts education for children was found to have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defense and industry.” Model airplane education, which has been discussed as one of the teaching materials of the crafts course, played the role of a preliminary stage for glider training and functioned as a cradle for reserve soldiers. 본고는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의 예능과 공작수업을 통해 모형비행기 교육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전쟁이라는 특수한 시기에 출현한 공작수업은 정신적인 측면을 육성했던 기존의 ‘작업’ 과목이 변화한 것으로, 국책으로 기계 관련 지식기능의 육성이 중시된 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실은 1941년 3월에 공포된 국민학교령과 국민학교령 시행규칙에 따른 것으로, 국민학교령은 “황국의 도에 따라 초등보통교육을 실시하여 국민의 기초적 연성을 이루는 것”이 목적이다. 예능과 공작 수업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로 초등과 3학년에서는 공통교재를 사용하나 4학년부터는 남녀 교과서가 분리되며 남아중심의 교과운영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후의 중등학교 활공훈련과의 연계로 미루어볼 때 실제 후방을 지원하는 소국민 육성에 목적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로 기계 관련 수업에 치중되었다는 것이다. 수업의 교재는 대부분 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 교재로 선정되었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간단한 기계의 분해 및 조립에서 소형기계를 직접 제작하고 조작을 할 수 있는 연습까지 확장되었다. 이러한 커리큘럼은 실제 기계를 다룰 수 있는 이론적인 바탕과 실제를 함께 경험하게 함으로써 숙련된 기술력을 함양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셋째로 시각이미지를 적극 활용했다는 것이다. 실제 아동들이 호기심을 가질 수 있는 실사 그림과 수치와 구조를 알 수 있는 측면평면도, 조감평면도를 다수 이용하여 도면 읽는 법을 친숙하게 한 점을 들 수 있다. 모형비행기 교육의 특징은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로 종이, 수수깡으로 만드는 간단한 비행기부터 대형 활공기(글라이더)를 제작하는 단계까지 8년의 의무교육기간동안 순차적으로 모형항공기를 학습하는 특수한 교과과정이었다. 둘째로 항공관련 사상에 관한 교육이 큰 부분을 차지했다. 항공의 진보는 국방이라고 하는 인식을 다양한 삽화나 항공계의 현재 정세를 가르치는 것으로서 강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셋째로 단체훈련을 대단히 중시하였다. 단체훈련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소형비행기의 경우에도 단체의 중요성을 학습시키고, 본격적인 활공기 탑승을 위한 예행법을 단체훈련 속에서 익히게 하여 공작의 단계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닌 체련과와 연계 가능한 훈련도 함께 학습하였다. 넷째로 활공기 탑승에 필수적인 지식이라고 할 수 있는 상승, 하강기류의 학습을 함께 함으로써 정규교과를 이수한 뒤 실제 활공기 탑승이 가능하도록 필요한 기본지식을 습득하게 했다. 즉 중등학교로까지 연장되는 활공훈련의 예비교육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형항공기 교육의 목적은 항공기를 제작, 수리하여 기계를 숙련되게 다루는 기술력을 갖추는 것, 그리고 실제 모형항공기를 조정하고 비행하는 항공기 탑승의 힘을 키워 실제 활공훈련에 참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었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권에서 전시체제에 부합하는 소국민의 육성에 교육의 목적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교육 가미시바이(紙芝居)와 아동의 사상교육 - 일본소국민문화협회를 중심으로 -

        권희주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5 외국학연구 Vol.- No.33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of syokokumin kamishibai education under the Empire of Japan. In kamishibai (紙芝居), each scene is represented as a story with a picture, and as the scenes are presented, a story unfolds through dialogue and pictures. Kamishibai was designed by a candy vendor and first shown in early 1930. Many are familiar with kamishibai through the famous play Gold Bat. The reasons why the popularity of kamishibai spread rapidly in the public in the 1930s are twofold. First, during the Taisho (大正) period, entertainment industry work emerged as popular culture developed in earnest. Second is the increase in unemployment. Kamishibai can be practiced easily without specialized or technical knowledge, so many of the unemployed found employment in the kamishibai industry. This study focuses on ideological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kamishibai. Why has kamishibai been used for ideological education? First is its strong capacity to transmit information. Even without a large vocabulary, the narrator can easily communicate information, including visually through pictures, which aids understanding. Second is the entertainment aspect of kamishibai, combining stories, pictures, descriptions, and narration which many enjoy together as a group. Third is the Manchurian Incident. When the Sino-Japanese War broke out in 1937, the ideological education of children became more important, as tends to happen during wartime. The Japanese Children’s Cultural Association acted as an umbrella organization for children’s cultural institutions. Kamishibai fell under the organization’s Kamishibai Association, which was responsible for overall control of children’s culture. The association engaged in substantial censorship, deciding the theme and dialogue of kamishibai. They association changed the name of kamishibai to hurue-nihonnshoukokumin and incorporated it into ideological education.

      • KCI등재

        제국일본의 문화산업과 식민지조선의 ‘향토완구’

        권희주 한국일본학회 2014 日本學報 Vol.100 N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Joseon toys' cultural values by reviewing how Joseon acculturated and accepted the 'folk characteristic' given in Imperial Japan's culture industry. Especially, the folk toys', the target of this study means Korean traditional toys showing the folk color and reflecting a local area's folk life or costumes. The campaign of 'Folk Toys Promotion' in such an atmosphere was one of main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Office of Commerce & Industry Encouragement, an organization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Office of Commerce & Industry Encouragement took the responsible collecting, selling and advertising various goods from all regions of Joseon, and especially set specific plans for the campaign of 'Folk Toys Promotion' with setting the improvement of local products in Joseon as the office's primary task and actively carried out job educations in each school and encouraged each home to earn more money through sidelines. Looking at some articles about Joseon folk toys written at that time, they referred the 'folk toys' as Joseon's unique toys. To the Joseon people selling Joseon toys to some western and Japanese purchasers, 'Joseonness' might be an urgent problem to be understood. Such 'Joseonness' might be realized through the pursuit for uniqueness and the 'pure Joseon clothes' at the same time. 본고는 식민지 조선의 ‘향토완구’를 통해 조선 재래의 완구와 신완(新玩)을 비교 분석하고 식민지조선의 ‘향토완구’에 요구되었던 ‘그로테스크의 미’와 조선인이 구현해 내려한 ‘순 조선옷’의 길항관계를 통해 식민지조선의 ‘향토완구’의 생산, 유통, 소비를 다각적으로 검토하였다. 조선을 제국 일본의 서부지역으로 편입시켜 ‘신완’을 조선 완구의 개혁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로 ‘향토완구’의 출발점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식민지였던 조선의 ‘향토’는 ‘지방색’이 가장 중요한 키워드였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로 서구 완구에 대한 비판의 일환으로 수집 취미를 갖는 이들이 ‘향토’를 적극적으로 구입하게 된 것이 조선의 ‘향토’가 유통되게 된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적 특색이 농후한 향토완구’는 생산과 유통이 연계되어 조선의 ‘향토완구’에 ‘엑조티시즘’의 가치를 부여해 간다. 이러한 ‘엑조티시즘’은 ‘그로테스크의 미’로 바꾸어 이야기할 수 있는데 이는 일본인들이 주로 ‘종교적이고 기원적’인 조선의 ‘향토완구’를 유통하고 그 속에서 ‘그로테스크한 미’를 찾아낸데 그 한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에 완구문화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그릇된 완구관은 일본의 시각을 그대로 수한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당시 ‘기성품’을 완구로 보던 일본인의 시각으로 볼 때 완구산업화가 늦은 식민지조선의 완구는 많이 부족했을 것이다. 그러나 다나카 우메키치의 목록집을 통해 조선이 완구가 없는 나라가 아니라는 사실을 명확히 알 수 있었다. 덧붙여 외래품의 이입을 방지하고, 농촌의 부업으로서 효과를 얻기 위해 개시한 ‘향토완구’ 장려운동의 배경에는 재조일본인 사이에서 유통되던 ‘상품’으로서의 ‘향토완구’와 미주로의 인형수출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공장려관이라는 관주도의 측면이 있지만 ‘향토완구’ 장려운동이 일어나기 이전에 이미 다양한 지역과 학교에서 ‘향토완구’의 제조와 판매를 실시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조선에서의 ‘향토완구’는 이미 ‘상품’으로서 자리잡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향토완구’ 장려운동을 통해 조선인은 제국의 시선 속에서 선택된 ‘향토완구’를 양산해내게 되지만 한편에서는 조선인 스스로가 어떠한 것이 조선의 ‘향토완구’인지 재료와 모양에 대한 논의와 고민도 동시에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제국일본의 ‘인형교류’와 식민지조선의 ‘인형환영회’

        권희주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사총 Vol.83 No.-

        Anti-American sentiment reaches a peak in Japan by the aftereffect of the Immigration Reform and Control Act enacted in the United States in 1924. American missionary Sidney L. Gulick will cooperate with Eiichi Shibusawa, will plan goodwill of both countries, and will plan the cultural event which can make anti-American sentiment offset. It was “doll exchange” just performed between both countries. Why was it a “doll”? As reference was made in Chapter 1 of the main subject, Japan entered the Meiji term and transformed the doll from simple “toy”to “goods”. It supported to fashion of Japonisme, and mass production, the “educational effect” that a “doll” hardened the position as “cultural goods” of representing Japan, and raised the heart of awe to the Japanese Emperor was emphasized, and the use of the “doll” was maximized. In addition, since the United States had also fought with Japan for the hegemony of the world toy market by development of doll industry after the 1st times community great war, in both countries, the “doll” was possible goods of exchange simply. Moreover probably, the most suitable thing to be able to make a child’s purity maximize and play the role of the “envoy” who vistis Japan instead of people was a doll. In order to meet 12,000 dolls into which it went in Japan from the United States in 1927, large scale “dol welcome party” is held. Although the doll was distributed to all the islands and the welcome party was again held according to the area, it can be said that these “doll welcome parties” has the following two features greatly. Positive support of the Japanese government can be mentioned at first. By making a state level upgrade doll exchange of a private sector level to sup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purpose of recovering those days the pride of the Japanese who got damaged was able to be achieved. The second was just going to make it promote a doll as a “peace envoy” representing a state. Treating the American form by which it came to Japan with the “special diploma” so that a diplomat may be greeted completely, a “doll” came to change as a character object representing a state. Henceforth, when the head of the state visits in Japan, In may cases, a Japanese doll is given and it came to transcend the position of goods. “Inland Japan” gave the present which such an American form was distributed also to Korea and sent from the United States which is “the great country”, By showing colony Korea where the doll was not commercially developed both Japanese dolls, it can be said that the figure as a cultural strong country compare with the United States was shown off th Korea. Moreover, the figure of the Korean who makes full use of wonderful Japanese is thrown into relief through such a event, an American doll is behind changed to Japanese hina dolls, and it introduce the National Athletic Meet view of Japan which carries out loyalty to the Emperor. 본고는 제국일본과 미국의 ‘인형교류’와 식민지조선에서 이루어진 ‘인형환영회’를 통해 신민화의 단면을 고찰하였다. 1927년 일본과 미국을 중심으로 시작된 인형의 국제교류는 중국, 조선, 만주를 비롯하여 후에는 핀란드, 헝가리, 프랑스, 독일, 브라질 등 서구국가로까지 확산되어 인형의 국제교류가 문화행사의 일익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형교류의 발생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첫째는 1924년 5월 일본인의 이민을 실질적으로 저지한 미국의 ‘이민법’ 개정이다. 이로 인해 미국과 일본의 관계가 급속히 악화되자 관계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 ‘인형교류’였다. 둘째는 1차세계대전 이후 완구 시장의 경쟁자인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문화강대국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하려는 일본의 전략이 내재해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 성립된 ‘인형교류’는 식민지배하에 있던 조선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그것이 바로 ‘인형환영회’이다. 그렇다면 왜 ‘인형’이었을까? 일본은 메이지기에 들어 인형을 단순한 ‘장난감’에서 빠르게 ‘상품’으로 변환시켰다. ‘인형’은 자포니즘의 유행과 대량생산에 힘입어 일본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으로서 입지를 굳혔으며 일본의 천황에 대한 존외심을 키운다는 ‘교육적 효과’가 강조되면서 그 효용성은 극대화되었다. 미국 역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인형산업의 발전으로 일본과 세계완구시장의 패권을 겨루고 있었기에 양국에서 ‘인형’은 손쉽게 교류가 가능한 상품이었다. 또한 어린이의 순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품목이며 사람을 대신하여 국가를 방문하는 ‘사절’의 역할을 하는데 적당한 것이 인형이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이루어진 미국의 ‘인형환영회’는 크게 두 가지의 특징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첫째는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들 수 있다. 문부성과 외무성의 지원으로 민간차원의 인형교류를 국가적 차원으로 업그레이드 시킴으로써 당시 손상된 일본인의 자존심을 회복시킨다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는 국가를 대표하는 ‘평화사절’로서 인형을 격상시켰다는 점이다. ‘특별면장’을 갖고 일본에 온 미국인형을 마치 외교관을 맞이하듯이 대접하여 ‘인형’은 국가를 대표하는 표상체로 변모하게 된 것이다. 이후 일본에서는 국가원수 방문 때 종종 일본의 인형이 선물되어 상품의 위치를 초월하게 되었다. 이러한 미국인형은 조선에도 배포되는데 ‘훌륭한 나라’인 미국에서 보내는 선물을 베푼 것은 ‘내지 일본’으로 인형이 상업적으로 발전하지 못한 식민지조선에 일본의 인형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문화강국으로서의 모습을 조선에 과시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행사를 통해 못난 조선인이 일본어를 매개로 우수한 여학생으로 거듭나는 모습을 부각시켜 일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인형교류는 후에 미국인형을 일본의 ‘히나인형’으로 치환하여 천황에게 충성하는 일본의 국체관을 이입시키려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아동의 사상교육에 관한 연구

        권희주,성윤아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2

        본 논문은 중일전쟁 이후, 아동의 사상교육에 이용된 ‘가미시바이’의 특성을 살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 서는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미디어로 재생산된 <초콜릿과 병대>, 그리고 소년비행병을 주제로 한 <창공의 아이> 두 작품을 대상으로 전쟁이 아동의 일상에 스며드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초콜릿과 병대>는 전쟁이라는 비참한 실상을 있는 그대로 비추기보다 아이들에 대한 아버지의 사랑, 아이들의 초콜릿에 대한 선망을 부각시켜 초콜릿과 병대 를 아이들의 꿈으로 등가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또 “아버지의 뒤를 잇겠다.”는 아들의 발언은 아버지의 희생이 일회적 성격이 아닌 다른 희생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성격을 나타낸다. 전황이 격심해지자 1940년 일본은 ‘육군지원병령’을 제정한다. 이는 15세 이상 17세 미만의 교육생도 ‘소년비행병’으로 채용, 바로 현역대우를 받게 한 조치이다. 일본교육 가미시바이협회에서 제작한 <창공의 아이>도 야스쿠니에 모셔졌기에 ‘나’의 아버지는 훌륭하며, ‘나’도 성장해 ‘훌륭한 국민’이 된다는 미래를 제시하여 소년비행병으로의 참전을 유도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당시 소년들에게 비행기를 조종한다는 것은 일본의 훌륭한 국민으로서 당연히 가져야할, 또 부여된 꿈이기도 했다. In This paper examines how “Kamishibai” was used for ideological education of children during the war. “Kamishibai” wa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s a methodology to “cultivate children's right concentricity. In particular, <Chocolate and Soldiers>, which was produced based on a true story, highlights the father's love sent to children by obtaining chocolate wrappers from comrades, and the children's envy for chocolate. Kazuo's interview, saying, “I will succeed my father,” showed that he has a continuous personality that comes with another sacrifice.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war situation intensified, and in 1940, a new edict decided to enact the “Army Support Corps”. This is a measure to select eligible youth applicants from 15 to 17 years of age, after training for 4 years, and then appoint them to aviation soldiers and sergeants. This is a legal maintenance that can be put into the battlefield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war. Just as Kazuo, a real character in “Chocolate and Soldiers”, also became a “boy flight soldier” after his father's death, flying airplanes to boys at the time was also a dream that Japan's great citizens should have. In the <Child of the Sky>, it is suggested that “the father enshrined in Yasukuni” is a great person, and that “I” will also grow and become a “good citizen”. In particular, the two brothers in the work show the value of eternal sacrifices in Yasukuni as a typical model of the “great people”.

      • KCI등재

        1930년대말 경상남도의 밀항방지대책 연구

        권희주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sures to prevent the cases of stowaway from Gyeongsangnam-do in the southeast of Korea to Japan in the late 1930s and the kamishibai boards used to do so. Since the 1930s, travel regulations have been strengthened, but the number of stowaways continued to increase, and the increased crackdown on stowaways caused side effects, such as the emergence of stowaway brokers. In particular, Gyeongsangnam-do occupied a geographically important position in the people smuggling business, and in the case of Busan, it was at the forefront of the crackdown as the starting point of stowaway where people gathered from all over Korea to smuggle themselves into Japan. Accordingly, the provincial government took strengthened measures to crack down on stowaways in 1940. These measures may b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crackdown on people smugglers and enlightening guidance for the general public. In 1940, the provincial government announced a list of brokers in advance through "Stowaway Broker Inspection Regulations" and "Gyeongsangnam-do Ordinance No. 14" to proactively monitor and foil attempts. Even though people smugglers were given light punishments for their crimes, they were subject to harsher discipline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new laws. In addition, the Gyeongsangnam-do‘s government reinforced its promotional effort for the general people to hold anti-stowaway discussions and lectures once every three months, performing kamishibai shows each time. This is because kamishibai was a very effective medium for spreading information to illiterate people through pictures and stories. It can be said that the purpose of kamishibai was to convey a message in an easily comprehensible way. 본고는 1930년대말 경상남도의 밀항방지대책을 검토하고 이에 이용한 ‘가미시바이’를 고찰하였다. 1930년대 이후 도항규제 정책은 강화되었으나 밀항자의 수는 계속 증가하였고 밀항에 대한 단속 강화는 밀항브로커의 양성 등 부작용을 초래한 면이 있었다. 특히 경상남도는 ‘내지’와의 교통상 요충지라는 지리적 특수성으로 인해 밀항이 다수 발생하여 그에 관한 단속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 곳이었다. 또 1930년대말 ‘내지’ 산업의 호황으로 밀항이 급증하자 경상남도는 도항에만 집중되어 있는 기존의 정책을 ‘재검토’하여 1940년 「밀항단속 강화대책」을 마련한다. 이 대책은 크게 ‘밀항브로커 단속과 일반 민중에 대한 계도’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경상남도는 「밀항브로커 시찰내규」, 「20톤 미만의 선박에 의한 여객운송에 관한 건」을 통해 브로커를 사전에 지정하여 사찰, 감시를 강화하였다. 이는 합리적인 도항제도를 마련하지 못한 ‘제국 일본’의 책임은 소거시키고 밀항브로커에 대한 일상의 시찰, 밀고, 선박규제와 같은 선제적인 단속과 함께 적발시 처벌을 강화하는 다층적인 시스템을 마련, 구축하여 밀항의 책임을 밀항브로커에게 집중시켰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 경상남도는 기존의 계도방침에 ‘가미시바이’를 도입하여 ‘일반 민중’에 대한 계도 교육을 강화하였다. 이는 좌담회, 강연회를 기반으로 대중오락성을 갖고 있는 ‘가미시바이’를 통해 알기 쉽게 밀항의 위험성과 도항소개제도와 같은 정식 도항제도를 전달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실제 밀항사고인 주영환 전복사건을 연상하게 하는 일화를 도입함으로써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밀항의 위험성에 리얼리티를 부여했다. 또 이 작품은 적법한 도항자 김, 밀항실패자 백, 밀항 성공자 원 세 청년의 대조적인 극적 효과를 통해 정식 도항의 이점을 전달하여 매체의 특성을 최대한 살렸다고 파악할 수 있다. 밀항의 목적지 ‘내지’는 여전히 유토피아로 남겨둔 채 밀항의 문제를 철저히 조선인의 문제로 수렴시키고 만연 도항자의 목표를 ‘성전 매진’으로 재설정한 것도 이 ‘가미시바이’의 특징이다. 이는 결국 ‘제국 일본’이 조선인 선별절차를 통해 안정적인 노동력을 확보하고 다시금 전시의 군인 동원이라는 ‘제국 일본’의 전환된 시각을 드러냈다고 파악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