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젠더갈등은 어떻게 우리 사회의 주요 담론이 되었는가?: 보수언론의 젠더갈등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홍지아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7 No.2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s used by Korea’s major conservative media to create discourse regarding gender conflict in 2021, when the theme of ‘Men in their 20s undergoing reverse discrimination’ rose as a main deciding factor in the elec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which individual or organization is specified to be the reason and agent of conflict when discussing gender conflict, whose voice is represented as the elites of discord who explain and criticize gender conflict while leading the discourse, the context of gender conflict shown in reports about gender conflict, who is pointed out as responsible of generating gender conflict, and whether reports of gender conflict focus on relaying the conflict or suggesting an alternative.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news from Chosun Ilbo, Donga Ilbo, and Joongang Ilbo in 2021.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that discussion of gender conflict in 2021 took place mostly in political circles and online, and the main speakers of gender conflict issues are a small number of elites of discord such as politicians, online male- dominated communities, Jin JoonGwan etc. Also, those who assume systematic sexual discrimination (such a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feminism or feminists) and promote policies preferential to women, which is the premise for reverse male discrimination, are targeted as the main contributor of gender conflict. Those excluded from the discourse of gender conflict are the history of sexual discrimination, discussion of existing sexual discrimination, and the voice of men and women of the real world in their 20s. This study points out the risk of the current gender conflict discourse having a negative effect on solving the social reconstruction crisis that Korea’s society is currently facing, and proposes the necessity of a constructive gender conflict discourse. 이 연구는 2021년 보궐선거 이후, ‘역차별 받는 20대 남성’이 대선을 준비하는 정치권의 주요 캐스팅보트로 소환되는 현상을 배경으로, 2021년 한국의 대표적인 보수언론(조선, 중아, 동아일보)이 생산하는 젠더갈등 담론을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젠더갈등의 주체와 원인으로 어느 개인이나 집단을 특정하는지, 젠더갈등에 대해 설명하고 비판하며 담론을 주도하는 이른바 담론 엘리트로 누구의 목소리를 소개하는지, 젠더 갈등에 대한 보도에서 적시되는 젠더 갈등의 내용은 무엇인지, 젠더갈등을 생산하는 책임은 누구에게로 집중되는지, 젠더 갈등에 대한 보도는 갈등의 중계와 대안제시, 어느 쪽에 비중을 두어 이루어지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2021년 젠더갈등이 발화되거나 논의되는 공간의 대부분이 정치권과 온라인이었으며 젠더갈등 이슈에 대한 주요 발화자는 이준석, 하태경 등 정치인들과 온라인 남초 커뮤니티, 진중권 등 소수의 담론 엘리트임이 밝혀졌다. 정치적 이유에 의한 ‘역차별 받는 이대남’의 전략적 소환은 ‘여성에 대한 구조적 성차별은 존재하지 않음’을 전제로 여성 우대정책을 펴는 여가부를 젠더갈등의 유발자로 비판한다. 또한 온라인 남성 커뮤니티의 게시판과 댓글을 기사화함으로 ‘역차별 받는 남성’과 ‘남성을 혐오하는 여성’의 대립구도를 통해 젠더갈등 담론을 구체화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혐오 발화를 이대남/이대녀를 대표하는 목소리로 과잉재현하는 보도는 현실을 사는 이십대 여성과 남성들의 목소리를 삭제한 채 여혐과 남혐의 선정적 대립구도를 재생산한다. 또한 이러한 대립구도는 젠더갈등 담론을 특정 세대만의 문제로 축소하며 젠더갈등을 ‘그들만의 문제’로 고립시킨다. 이 연구는 현재의 젠더갈등 담론이 한국사회가 당면한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 해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위험성을 지목하며 생산적인 젠더갈등 담론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20대 남성의 역차별에 집중하며 정치인과 온라인 커뮤니티에 의해 주도되는 젠더갈등 담론은 노동 현장에서의 성차별, 돌봄노동의 젠더화로 인한 기혼 여성의 경력단절, 성폭력에 대한 여성의 일상화된 공포 등, 20대 남성의 시각에서는 보이지 않는 젠더갈등의 이슈들을 외면하거나 축소한다. 결국, 남녀가 동등한 기회를 누리는 교육을 제외한 노동, 돌봄, 젠더화된 범죄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구조적 성차별에 대한 논의를 배제하는 기형적 젠더갈등 담론이 생산되는 것이다.

      • KCI우수등재

        한국인의 젠더정체성과 젠더갈등

        김기동(Kim, Gidong),정다빈(Jung, Da Bin),이재묵(Lee, Jae Mook) 한국정치학회 2021 한국정치학회보 Vol.55 No.4

        이 연구는 한국인들의 젠더정체성에 대한 직접적인 측정을 통해 생물학적인 성별이 아닌 사회학적인 젠더정체성을 이용하여 젠더갈등을 분석한다. 특히, 젠더갈등에 대한 간접적인 측정방식에서 벗어나, 사회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내집단 성별과 외집단 성별을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정서적 태도격차로서 표현되는 젠더갈등을 측정함으로써 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한국인들의 젠더정체성은 성별과 소속집단에 따라 그 수준이 상이하다. 둘째, 사회정체성 이론이 제시하듯이, 젠더정체성이 높을수록 젠더갈등의 수준도 높다. 또한, 이러한 패턴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욱 두드러진다. 셋째, 다른 연령집단보다 20대가 더 높은 젠더갈등 수준을 보인다. 넷째, 젠더갈등 수준이 높은 사람들일수록 정당정치에서의 정서적 양극화 수준도 높은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젠더갈등의 정치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We examine gender identity and gender conflicts among South Koreans. By measuring gender identity, we analyze gender conflicts via sociological gender, instead of biological sex. In addition, relying on social identity theory, we provide direct measures of gender conflicts based on in-group and out-group gender. According to our findings, first, the level of gender identity is different depending on one’s sex, income level, residence region, religion, and partisanship. Second,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gender identity a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levels of gender conflicts. And, this pattern is more salient among women than among men. Third, the twenties are more likely than other age groups to have higher levels of gender conflicts. Lastly, as individuals have higher levels of gender conflicts, they a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levels of partisan affective polarization as well, which implies the possibility of politicization of gender conflicts.

      • KCI등재

        한국사회 젠더갈등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류연규(Yunkyu Ryu),김영미(Young-Mi K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9 한국사회정책 Vol.26 No.4

        이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에서 증폭되고 있는 젠더갈등 현상에 주목해, 젠더갈등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수준, 인식의 지형과 균열지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적 차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누가 젠더갈등을 심각하게 인식하는지 분석한 결과, 2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보수성향이 중도성향에 비해, 평등하고 진보적인 성역할태도를 가질수록, 젠더불평등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성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젠더갈등을 심각하게 인식했다. 둘째, 젠더불평등인식, 성차별경험과 젠더갈등인식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남녀를 구분해 분석한 결과, 여성은 젠더불평등인식이 높을수록, 성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젠더갈등을 심각하게 인식했다. 이에 반해 남성의 젠더갈등인식은 젠더불평등인식, 성차별경험과 무관했고, 20대, 대졸이상, 보수적 정치성향, 평등한 성역할태도를 가진 남성이 젠더갈등을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현재 증폭되고 있는 젠더갈등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개인의 젠더불평등인식, 성차별경험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성별에 따라 다른 갈등해소 전략이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influencing gender conflict perception in Korea, where amplifying gender conflict has been experienced rec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gender conflict perception are gender inequality perception, experiences of sexual discrimination, conservative ideology, and young generation of twenties. Secondly, gender is a moderator of gender inequality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sexual discrimination. Women perceive more gender conflict as they perceive more gender inequality or experiences more sexism. On the other hand, men perceive more gender conflict as they are in 20s while gender conflict perception and sexu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reveal the factors of gender conflict perception are gender conflict perception and sexu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to suggest the strategies to settle the gender conflict being differed by gender.

      • 젠더갈등에 대한 상호지향성 연구: 20대 남녀를 중심으로

        김봉철 한국PR학회 2022 한국PR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

        본 연구는 최근 20대 대선 과정에서 핵심 이슈로 떠오른 젠더갈등 현상에 주목해 남녀의 젠더갈등에 대한 인식과 상호 이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최근 우리 사회에서 더욱 심화되고 있는 젠더갈등 현상을 이해 및 진단하고, 그에 맞는 합리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맥로우드와 채피(McLeod & Chaffe, 1973)가 제안한 상호지향성 모델을 이용하여 첫째, 젠더갈등 관련 이슈에 대한 남녀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고 둘째, 젠더갈등에 대한 남녀의 합의정도, 다른 쪽의 인식에 대한 예측의 정확성, 다른 쪽의 인식에 대한 반응의 일치 정도를 확인하였다. 사전 인터뷰를 통해 얻은 총 11개의 이슈(여가부 존속 필요, 군 가산점 제도 부활, 여성할당제/여성 가산점 필요, 여성 혐오적 발언/표현, 디지털 성범죄 형량, 성별 임금 격자, 성관련 무고죄 처벌 강화, 20대 남성 특권, 병사 월급 200만원 지급, 대선 기간 남녀 갈등 증폭, 정치인들의 남녀 갈등 조장)에 대해, 응답자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응답한 후 상대(여성은 남성, 남성은 여성)의 생각을 유추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20대 남성 163명과 여성 162명, 총 325명의 응답에 대한 분석 결과, 객관적 일치도에서 전반적으로 남녀 간 인식 차이가 나타났고, 주관적 일치도 역시 남성은 10개 이슈, 여성은 11개 이슈 전체에서 자신의 인식과 상대의 인식에 대한 추정에 차이가 있었다. 정확도에서도 대다수의 이슈에서 실제 남녀의 인식과 상대의 추정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국내 20대 남성과 여성의 젠더갈등에는 인식의 차이와 서로에 대한 오해, 불신 등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본 젠더파트너십 강화방안

        김영화(Kim, Young-Hwa)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 No.-

        여성과 남성의 역할 갈등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갈등은 많은 부분에서 소모적이고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성별갈등이 개인 간의 관계, 가족, 직장, 지역사회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성별역할고정관념으로 인한 역할 배분은 개인이 가진 능력과 잠재력을 개발하고 발굴하지 못하게 만든다. 이 논문은 “지역사회 젠더파트너십 강화방안”에 관한 것이다. 젠더파트너십은 성인지적 시각과 성 평등 의식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논할 수 없는 주제이다. 젠더파트너십은 전통적 성역할고정관념을 타파하고, 남녀로서가 아니라 개인의 성향과 능력을 존중함으로써 강화되기로 하고, 또한 젠더파트너십이 강화됨으로써 이러한 성별갈등이 감소되기도 한다. 따라서 젠더파트너십은 성 주류화를 이끌어 내고 성 평등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데 필수적인 전제가 된다. 특히 대구지역의 보수성과 폐쇄성은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이에 남녀 갈등적 요소는 다른 지역보다 더욱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인적자원을 개발하고, 여성의 잠재인력을 활용하는데 매우 심각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젠더 파트너십은 단기적으로 여성의 경력 단절 현상을 막고 재취업의 길을 모색하는 데, 장기적으로는 남녀 모두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데 매우 중요한 기반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젠더파트너십에 대한 이해를 위해 전제되는 몇 가지 중요한 개념과 성별 갈등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 젠더파트너십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조사, 파트너십연구과제, 정책적 제안 등으로 전개된다. 대구지역사희 젠더파트너십의 모색은 각 영역별로 나누어 개인 및 가족적 차원, 직장 및 조직적 차원, 지역사회 차원으로 살펴보고 있다. Social conflicts generated role conflicts between men and women are unproductive and inefficient in many fields in a society. And gender conflicts might influence enormously on the personal relationship, family, working places and community, directly and indirectly. Moreover the role distribution through a traditional fixed idea of sex roll has kept away from using one"s own abilities and potentialities. This article is about “the idea for enforcement of gender partnership in Daegu-community”. Gender partnership is one of the topics which can not discussed, unless gender sensitive perspectives and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re premised. Gender partnership breaks down traditional fixed idea of sex roll and is enforced by respecting individual character and abilities not by treating as men and women, in turn these gender conflicts are reduced by enforcement of gender partnership. Thus gender partnership is the key of gender-mainstreaming and the gender equal society. In particular Daegu area is very famous for conservative and closing locality within Korea. So the factors of gender conflicts could be appeared much more serious than other areas and function in developing human capital and utilizing potentialities of women"s power as an obstacle. Gender partnership is the most important basement for protecting from job-interruption for women and trying to be reemployed in short period, and to build a “happy” society for both, men and women, in a long run. In this research, some important concepts for better understanding gender partnership are examined and then, the factors of gender conflicts, the concrete ideas of partnership, at the last, the future tasks of research on the gender partnership are studied. The research for gender partnership in Daegu-community is divided into three level, personal and family level, working places and organizations, community level.

      • KCI등재

        한국사회 젠더 갈등과 ‘사회 통합’

        이재경(Jae Kyung Lee) 한국법학원 2013 저스티스 Vol.- No.134

        이 글은 사회통합 논의에 대한 두 가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현재 사회통합 논의에서 주목하고 있지 않은 젠더문제를 해결해야 할 사회적 갈등의 하나로 규정하고, 둘째, 사회통합의 논의가 기존의 사회질서나 통합의 주체를 변혁하려는 의지 보다는 기존질서를 보완·유지하려는 전략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소극적 사회통합의 전략은 가족, 노동, 섹슈얼리티의 영역에서 심화되는 젠더문제와 갈등을 풀기 어렵다. 이러한 배경에서 젠더 갈등이 사회적으로 표출되어온 사례의 ?호주제, 군가산점제도, 적극적 조치, 성매매, 일·가족 갈등- 배경과 쟁점을 논의하고, 궁극적으로 젠더갈등을 약화시키고 ‘사회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원칙과 전략을 제안하였다. 젠더갈등을 약화시키는 방식은 가부장적 질서나 남성 규범에 맞추는 ‘통합’이 아니라 가부장적 질서를 변혁(trasnform)하는 성평등(gender equality)의 전략이어야 한다. 즉 기회의 평등을 지양하고 남성중심의 사회규범이 아닌 새로운 젠더 규범을 만드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begins to raise critical issues on the present political discourse on ‘social cohesion’ in South Korea. First, gender issues need to be considered one of the important social conflicts in policy process. Second, political and economic approach on social cohesion do not transform an existing social(patriarchal) order and change hegemonic power group, but make passive modification without challenging established social system. The passive strategy for social cohesion cannot solve conflicts between gender in such areas as family, the labor market, sexuality, and so on. In this paper, we discuss gender issues which has bring hot debates in recent years ? the family head system, the incentives for discharged soldiers, the affirmative action, and work family conflict. This paper proposes the paradigm shift from social cohesion to gender equality, and the new gender norm as a principle of social organizations and society at large, that enables to reduce conflicts between gender in future.

      • KCI등재

        젠더갈등 이슈에 대한 상호지향성 연구: 20대 남녀를 중심으로

        김봉철,신별 한국광고PR실학회 2022 광고PR실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20대 대선 과정에서 증폭된 젠더갈등 현상에 주목해 젠더갈등에 대한 남녀 간의 인식과 상호 이해 및 오해의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현재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젠더갈등의 현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합리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9개의 젠더갈등 이슈와 2개의 정치 관련 이슈 등 총 11개 항목에 대해 상호지향성 분석을 실시했다. 청년층 남성 163명, 여성 162명 등 총 325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객관적 일치도에서 두 집단은 대부분 인식의 차이를 보였고, 주관적 일치도에서도 남녀 모두 자신의 인식과 상대방의 인식에 대한 추정에 대부분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정확도에서도 남녀 모두 자신의 인식과 자신의 인식에 대한 상대방의 추정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20대 남성과 여성들은 젠더 갈등에 있어 상호 인식 차이와 오해, 상대방에 대한 불신 등이 팽배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활용해 20대 남녀의 젠더갈등 지형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갈등 당자사자 간의 적극적인 의견 공유와 이들의 의견을 구체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함을 제기한다.

      • KCI등재후보

        젠더갈등 이슈가 20대 대통령후보 평가와 투표에 미치는 영향

        강주현 한국국회학회 2023 한국과 세계 Vol.5 No.6

        최근 우리사회에서 젠더갈등이 지역, 이념, 세대와 더불어 새로운 갈등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20대 대통령선거를 통해 유권자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세대 남녀 간 갈등으로 취급되었던 젠더갈등 이슈가 20대 대통령선거에서 쟁점으로 부각되면서 유권자의 주요 정당 대통령후보에 대한 평가와 투표선택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당시 논쟁이 되었던 젠더갈등 이슈로 여성가족부 폐지를 비롯해 여성할당제 폐지, 여성 병역의무화, 남성 육아휴직이며, 주요 정당의 대선후보 평가를 후보 호감도와 국정운영 능력 평가로 분석한 결과 윤석열 후보와 이재명 후보의 호감도와 국정운영 능력 평가 전반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 젠더갈등 이슈는 여성가족부 폐지였다. 또한 여성가족부 폐지 외 두 후보의 평가에 영향을 준 젠더갈등 이슈는 여성 병역의무화와 남성 육아휴직이었다. 마지막으로 두 후보에 대한 유권자의 투표결정에 영향을 준 젠더갈등 이슈는 여성가족부 폐지로, 여성가족부 폐지가 유권자의 대선 후보자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물론 투표 선택에도 결정적 영향을 준 선거의 쟁점 이슈임을 여실히 증명했다. Gender conflict has regarded as the major conflict between male and female in 20’s. However, gender conflict emerges one of the social cleavage which influences election and politics in Korea regardless of gender and 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gender conflict issues which related to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bolition of women’s quota system, women’s mandatory military system, and paternity leave affect the evaluation about presidential candidates of major parties and vote choice between them. The empirical result show that the gender conflict issue related to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has a signigicant impact on feeling thermometer and the evaluation of both candidates from major Parties. In additions, issues related to women’s mandatory military system and paternity leave also affect the evaluation of candidates. The issues related to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s the only factor which influences the vote choice between two presidential candidates in the election.

      • KCI등재

        한국 사회 내 젠더갈등과 편향성의 동원

        구본상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23 현대정치연구 Vol.16 No.2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mobilization of gender conflict, a topic that gained prominence in the milieu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Drawing upon data from a series of surveys conducted during the campaign of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immediately in its aftermath, and at a subsequent point in time, this study analyzes the gender gap in policy attitudes, gender-based perceptions of conflict, and their sustained presence within the South Korean societal context. The empirical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distinct differences in policy attitud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ir 20s were observed, and a politically conservative cluster was detected among young men. Second, in the April 2022 survey,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al variables and gender-based perceptions of conflict were observed, but these relationships disappeared in the January 2023 survey. In particular, the strong association between gender-based perceptions of conflict and political polarization no longer appeared. Third, while the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has already become a distinct political issue, separate from sexist perceptions, other issues, such as the physical fitness standards for women police officers, remain on the periphery of political debate. In conclusion, the manifestation of gender conflict observed in Korean society appears less a reflection of deeply-rooted cleavages, and more indicative of a political mobilization of the gender disparity observed among the younger generationthrough targeted issues. 본 연구는 대선과정에서 주목받은 젠더갈등이 정치적으로 동원되었을 가능성에 주목한다. 제20대 대통령선거 과정, 선거 직후, 그리고 선거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의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우리 사회에서 젠더 간 이념적 차별성, 젠더갈등 인식에서의 성차, 젠더갈등 인식의 지속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경험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거운동 과정에서 20대 남녀의 정책이념 간 차별성은 뚜렷해졌고, 청년 남성층 가운데 정치적으로 보수성이 강한 군집이 감지되었다. 둘째, 성별, 연령, 세대 외에도 다양한 정치변수와 젠더갈등 인식 간 연관성이 2022년 4월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나, 2023년 1월 조사에서는 사라졌다. 특히, 젠더갈등 인식과 정치적 양극화 간 강한 연관성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여성가족부 폐지는 성차별주의적 인식과는 별개로 이미 정치 쟁점화된 반면, 여경 체력검정 기준과 같은 쟁점은 아직 정치적으로 동원되지는 않았으나 정파적 변수와도 연계를 보임으로써 향후 정치적 동원 가능성이 감지되었다. 결국, 현재 한국에서 드러난 젠더갈등 양상은 근본적인 균열에 기반을 두고 있다기보다 청년층에 존재하는 성차가 특정 쟁점을 통해 정치적으로 동원된 것이라고 추론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젠더 갈등과 반페미니즘의 문법

        김보명 ( Kim Bo-myu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6 No.-

        페미니즘의 가시화 및 대중화와 더불어 젠더 갈등에 대한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다. 페미니즘을 일상적으로 접하면서 보다 직접적으로 그 영향을 경험하는 청년 세대에 있어서 젠더 평등은 세대 및 계층간 재분배의 문제와 맞물리면서 치열한 논쟁과 갈등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 디지털 공간과 언론보도 등에서 부각된 젠더 갈등의 사례들을 통해 현재 한국사회의 (반)페미니즘 담론과 실천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본다. 성평등 (채용)정책의 (불)공정성에 대한 문제제기, 남성 피해자 서사와 역차별 주장, 그리고 유사-페미니즘으로 부상하는 ‘젠더 이퀄리즘’ 현상 등은 반페미니즘(antifeminism)의 새로운 문법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반페미니즘 담론은 탈맥락화된 공정성 주장과 만나거나(양)성에 대한 본질주의적 접근을 재활용한다. 우리 시대의 ‘젠더 갈등’은 신자유주의 시대의 삶의 불안과 경쟁을 배경으로 하여 등장하지만 단순히 ‘헬조선’과‘삼포세대’의 부산물로만 취급될 수는 없다. ‘젠더 갈등’은 변화하는 젠더 질서가 한국사회의 계층적ㆍ세대적 불평등의 중층적 구조와 맞물리면서 일어나는 현상이자 이러한 중층적 불평등 구조 위에 더해지는 신자유주의적 개인화 과정의 단면을 보여준다. As feminist activism has regained prominence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ere have been recent increases in emotional tension and social conflict between young women and young men. In this paper, I consider cases of antifeminism discourse that view feminist activism as unfair and a selfish abuse of state power. It appears that such antifeminist discourse does not simply reject feminism, but additionally places it in an oppositional and contradictory relation to other categories of social justice, such as fairness. In so doing, antifeminist discourse not only undercuts the political radicality of feminism but also deprives the notion of fairness of its sociohistorical significance. Further, antifeminist discourse also replaces gender as a sociocultural structure of oppression and replaces the critical lens of social analysis with a naturalized and essentialized notion of biological dif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