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시대의 돌봄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들 - ‘돌봄 위기’에 대한 <조선>,<중앙>,<한겨레>,<경향>의 기사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홍지아 한국여성연구소 2021 페미니즘 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rticles from four news outlets, the conservative Chosun and Joongang along with the progressive Kyunghyang and Hankyoreh, and find out how the media outlets identify the core of the crisis of care in a pandemic situation and how Korea’s established press identifies the subject and direction care should progress in. To do this I gathered 536 articles from 2020 by using the keywords corona (corona 19), family, care, crisis and so on and chose 141 articles to analyze after dividing into five categories: Introducing the reality of the crisis of care, criticism of care policies, alternatives to the crisis of care, heart-warming cases of care, and gendered pandemic. In result,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s show distinct different awareness on the crisis of care. The conservative media outlets Chosun and Joongang, focusing on family care and based on the traditional gender role standard of women regarding care, points out that the largest crisis of care in reality are double income married couples that cannot perform child care within the family. Rather than worrying about the crisis of care of the parents induced by the closing of care agencies, the two media outlets emphasized the need to close such caring agencies in order to prevent infections and the responsibilities of family care. Articles from Chosun and Joongang also report on social confusion and conflict caused by public care policies such as the disaster support fund, emergency care, and caring leave while showing skeptical tendencies on the effects of social care. On the other hand, progressive media outlets Hankyoreh and Kyunghyang focus on the role of public care. The attention to care outside the family by Kyunghyang and Hankyoreh leads to demands of improved treatment of care workers within the public realm along with expansion of public care systems, while also giving light to those that are out of the normal norm and cannot achieve family care such as single-parent families or lower income families. Also, in articles regarding gendered pandemic, there is a consistent tendency of focusing on the crisis of female labor and the pain of woman caused by the traditional gender role of women as caregivers. What’s interesting is that the conflicting reports of Chosun, Joongang and Hankyoreh, Kyunghyang show that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outlets have a clear position regarding the traditional gender role of women in care and family care standards; the conservative media supports, whilst the progressive media criticizes and looks for improvement. Also, Kyunghyang and Hankyoreh trust in the opinions of feministic civic groups and actively uses them as main sources of information, which shows that the progressive feminism camp and the progressive media are trying to set a joint agenda. The agenda here is the refusal of discussing female roles in care and the expansion of public care policies that transcend family care to social care, including low-income families. 이 글의 목적은 정치적 보수 성향이 강한 조선과 중앙, 정치적 진보 성향이 강한 경향과 한겨레의 네 언론사의 기사 분석을 통해 팬데믹 상황에서 언론이 제시하는 돌봄 위기의 핵심을 파악하고 한국의 기성 언론이 돌봄의 방향과 주체에 대해 어떠한 제안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한 해동안 코로나(코로나19), 가정, 돌봄, 위기 등의 키워드로 536개의 기사를 모집하였고 이 가운데 최종 141개의 기사를 대상으로 돌봄위기의 현장 소개, 돌봄 정책의 비판, 돌봄 위기의 대안 제시, 돌봄 미담 소개, 젠더화된 재난의 5개 유형으로 나누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보수와 진보, 양 진영에 속한 언론사의 보도는 돌봄 위기 전반에 걸쳐 뚜렷한 인식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보수 언론인 조선과 중앙은 가정 돌봄과 돌봄의 여성 성역할 규범을 토대로 가장 큰 돌봄위기의 현장으로 가정에서 자녀돌봄을 수행하지 못하는 맞벌이 부부의 위기를 지목한다. 두 언론사는 공공 교육∙ 돌봄기관의 폐쇄로 인한 부모의 돌봄위기를 걱정하기보다는 감염방지를 위한 돌봄기관 폐쇄의 필요성과 가정의 돌봄 책임을 강조한다. 조선과 중앙의 기사는 또한 재난지원금 지급이나 긴급돌봄, 돌봄 휴가제 등 공적 돌봄정책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이나 갈등을 보도하며 사회적 돌봄의 효과에 회의적인 경향을 보인다. 이에 비해 경향과 한겨레는 상대적으로 공적 돌봄의 역할에 주목한다. 가정 밖의 돌봄에 대한 경향과 한겨레의 관심은 공적 영역에서 돌봄을 실천하는 돌봄 노동자의 처우개선, 공공 돌봄체계의 확산에 대한 요구로 연결되며 가정 돌봄이 불가능한 이른바 정상규범에 속하지 않는 한부모 가정, 저소득층 가정의 자녀 돌봄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다. 또한 젠더화된 재난에 대한 보도에서도 돌봄의 성역할로 인한 여성의 고통과 돌봄의 성역할이 야기하는 여성노동의 위기에 주목하는 일관된 보도의 경향을 보인다. 조선과 중앙, 경향과 한겨레의 상반된 보도는 정치적 보수와 진보 진영의 언론사들이 돌봄의 여성 역할과 가정 돌봄의 규범에 대해 한쪽은 지지, 한쪽은 비판과 개선의 입장을 분명히 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또한 경향과 한겨레는 여성주의 시민단체의 주장을 신뢰하고 주요 취재원으로 적극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며 진보적인 여성주의 운동 진영과 진보 언론이 공동의 의제설정을 시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때의 의제는 돌봄의 여성역할 담론에 대한 거부와 가정 돌봄을 넘어 돌봄의 사회화와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 돌봄정책의 확장이다.

      • KCI등재

        한국 여성 기자/저널리스트의 전쟁 취재 경험에 대한 연구: 걸프전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까지

        홍지아,정사강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8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coverage experience of war reporters and journalists, which has not been mentioned in the history of Korean war journalism for more than 30 years, and explored the impact of their coverage experience on war reporting as women.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analyzing war reports including “women” as a variable. And usually research on war coverage focuses on the mythical stories of military journalists, while the experience of a few female journalists was consumed as an exceptional and unusual interest of “women working as men.” The researchers tried to pay concentrate on what “female” reporters/journalists experience in the war coverage field, and on the point where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reporters/journalists and the sexual/gender identity of are combined, or conflicted. To this end, a total of nine women were interviewed, including two female journalists covering the Gulf War and the Iraq War, four female journalists dispatched to the recent Ukrainian war, and three freelance female journalists. Studies have found that the biological and social femininity of female reporters/journalists conflicts with the masculinity of war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ir age (generation), reporting experience, and organization affilia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y were able to enter places and private spaces where male reporters were not aloud because they were women, and as a result, they discovered more diverse stories of female victims. They also showed consideration, compassion, and empathy for female coverage target forming an emotional relationship more than a general reporter-coverage relationship. Their compassion and empathy, in particular, affect the establishment of a relationship between women affected by sexual violence and mothers caring for their children, because reporters also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 the role of childbirth and care. However, while forming an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he target based on the role experienced/might experience as a woman, women’s perception of women’s gender roles was not single, suggesting the need to look at women’s war coverage experiences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In addition, Korean female war Journalists showed empathy for the weak rather than the strong with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and this sentiment was expected to show the possibility of new war coverage beyond the limits of Korean war journalism, which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West,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At the intersection of women’s and minor citizens’ identities, their location is where new war reporting can be possible, and quest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new war journalism can also vary depending on how they interpret their experiences. 이 연구는 30여년에 걸친 한국 전쟁 저널리즘의 역사에서 거론되지 않은 전쟁 취재 여성기자/저널리스트의 취재 경험에 주목하며 여성으로서 이들의 취재 경험이 전쟁 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하였다. 전쟁보도를 비판하고 분석하는 일련의 연구들에서 ‘여성’을 연구의 변수로 포함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며 특히 전쟁을 취재하는 소수 여성 기자들의 경험은 ‘남성 못지 않은 여성’의 예외적이고 이색적인 흥미거리로 소비되어왔다. 연구진은 ‘남성 못지않은 여성’이 아닌 ‘여성’ 기자/저널리스트들이 전쟁 취재 현장에서 어떠한 일을 경험하는지, 기자/저널리스트라는 직업적 정체성과 ‘여성’이라는 성적/젠더적 정체성이 결합, 또는 갈등하는 지점은 어디인지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걸프전과 이라크전을 취재한 여성기자 2명,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견된 여성 기자 4명, 프리랜서 여성 저널리스트 3명, 모두 9명의 취재 여성을 인터뷰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기자/저널리스트들의 생물학적, 그리고 사회적 여성성은 이들의 연령(세대), 취재 경험, 조직 소속 여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전쟁의 남성성과 충돌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여성이라서 경험하는 전쟁 취재의 어려움 한편으로 이들은 남성기자들은 갈 수 없는 금남의 장소와 사적 공간에 출입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보다 다양한 여성 피해자들의 스토리를 발굴해 내었다. 이들은 또한 전쟁 피해 여성에 대한 배려와 연민, 공감의 모습을 보이며 일반적인 기자–취재원 이상의 정서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이들의 연민과 공감은 특히 성폭력 피해 여성과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와의 관계 설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 이유는 취재 기자들 또한 취재 대상과 마찬가지로 출산, 육아, 돌봄의 성역할을 직간접적으로 수행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하지만 여성의 성역할에 대한 취재 여성들의 인식은 단일하지 않았으며 이 점은 여성들의 전쟁 취재 경험을 보다 다각적인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해주었다. 또한, 한국의 여성 전쟁 취재 기자들은 피식민의 역사적 경험으로 강자보다는 약자에 공감하는 정서를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정서는 서구, 특히 전쟁 당사자국인 미국의 시각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온 한국 전쟁 저널리즘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전쟁 보도의 가능성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여성과 약소 국민의 정체성이 교차하는 지점에 선 이들의 위치는 새로운 전쟁 보도가 가능할 수 있는 지점이며 이들의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새로운 전쟁 저널리즘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 또한 다양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젠더갈등은 어떻게 우리 사회의 주요 담론이 되었는가?: 보수언론의 젠더갈등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홍지아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7 No.2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s used by Korea’s major conservative media to create discourse regarding gender conflict in 2021, when the theme of ‘Men in their 20s undergoing reverse discrimination’ rose as a main deciding factor in the elec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which individual or organization is specified to be the reason and agent of conflict when discussing gender conflict, whose voice is represented as the elites of discord who explain and criticize gender conflict while leading the discourse, the context of gender conflict shown in reports about gender conflict, who is pointed out as responsible of generating gender conflict, and whether reports of gender conflict focus on relaying the conflict or suggesting an alternative.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news from Chosun Ilbo, Donga Ilbo, and Joongang Ilbo in 2021.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that discussion of gender conflict in 2021 took place mostly in political circles and online, and the main speakers of gender conflict issues are a small number of elites of discord such as politicians, online male- dominated communities, Jin JoonGwan etc. Also, those who assume systematic sexual discrimination (such a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feminism or feminists) and promote policies preferential to women, which is the premise for reverse male discrimination, are targeted as the main contributor of gender conflict. Those excluded from the discourse of gender conflict are the history of sexual discrimination, discussion of existing sexual discrimination, and the voice of men and women of the real world in their 20s. This study points out the risk of the current gender conflict discourse having a negative effect on solving the social reconstruction crisis that Korea’s society is currently facing, and proposes the necessity of a constructive gender conflict discourse. 이 연구는 2021년 보궐선거 이후, ‘역차별 받는 20대 남성’이 대선을 준비하는 정치권의 주요 캐스팅보트로 소환되는 현상을 배경으로, 2021년 한국의 대표적인 보수언론(조선, 중아, 동아일보)이 생산하는 젠더갈등 담론을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젠더갈등의 주체와 원인으로 어느 개인이나 집단을 특정하는지, 젠더갈등에 대해 설명하고 비판하며 담론을 주도하는 이른바 담론 엘리트로 누구의 목소리를 소개하는지, 젠더 갈등에 대한 보도에서 적시되는 젠더 갈등의 내용은 무엇인지, 젠더갈등을 생산하는 책임은 누구에게로 집중되는지, 젠더 갈등에 대한 보도는 갈등의 중계와 대안제시, 어느 쪽에 비중을 두어 이루어지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2021년 젠더갈등이 발화되거나 논의되는 공간의 대부분이 정치권과 온라인이었으며 젠더갈등 이슈에 대한 주요 발화자는 이준석, 하태경 등 정치인들과 온라인 남초 커뮤니티, 진중권 등 소수의 담론 엘리트임이 밝혀졌다. 정치적 이유에 의한 ‘역차별 받는 이대남’의 전략적 소환은 ‘여성에 대한 구조적 성차별은 존재하지 않음’을 전제로 여성 우대정책을 펴는 여가부를 젠더갈등의 유발자로 비판한다. 또한 온라인 남성 커뮤니티의 게시판과 댓글을 기사화함으로 ‘역차별 받는 남성’과 ‘남성을 혐오하는 여성’의 대립구도를 통해 젠더갈등 담론을 구체화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혐오 발화를 이대남/이대녀를 대표하는 목소리로 과잉재현하는 보도는 현실을 사는 이십대 여성과 남성들의 목소리를 삭제한 채 여혐과 남혐의 선정적 대립구도를 재생산한다. 또한 이러한 대립구도는 젠더갈등 담론을 특정 세대만의 문제로 축소하며 젠더갈등을 ‘그들만의 문제’로 고립시킨다. 이 연구는 현재의 젠더갈등 담론이 한국사회가 당면한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 해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위험성을 지목하며 생산적인 젠더갈등 담론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20대 남성의 역차별에 집중하며 정치인과 온라인 커뮤니티에 의해 주도되는 젠더갈등 담론은 노동 현장에서의 성차별, 돌봄노동의 젠더화로 인한 기혼 여성의 경력단절, 성폭력에 대한 여성의 일상화된 공포 등, 20대 남성의 시각에서는 보이지 않는 젠더갈등의 이슈들을 외면하거나 축소한다. 결국, 남녀가 동등한 기회를 누리는 교육을 제외한 노동, 돌봄, 젠더화된 범죄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구조적 성차별에 대한 논의를 배제하는 기형적 젠더갈등 담론이 생산되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소프트파워 강화를 위한 국가브랜드 사업과 한류의 역할 -방한 중국인 관광 동향을 통해 분석-

        홍지아,이정환 한중사회과학학회 2014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2 No.1

        進入國際化時代世界各個國家爲自國的軟實力提升實行各種各樣的傳略。 在這樣的國際氣雰和環節下韓國政府也開 始關注軟實力的肯定作用而硏究 其運用方案。這樣的趨勢同是在21世紀國際政治舞台上韓國政府指向的中 等强國 戰略結合日益加强。韓國政府在2009年設立總統直屬的國家品牌委 員會,從此進行提升韓國的國家形象,幷且以此 試圖謀求國家利益極大化。 90年代後期所出現 "韓流(korean wave)",卽是韓國文化在世界範圍內得到 喜愛的文化 現象,也是快速有效地向世界宣傳韓國的重要文化價値。目 前,韓國人與世界各國人以 "韓流"爲媒介進行的交流, 是比過去任何時期 都更加活躍。"韓流"可以說是構建軟實力的壹個必要要素,也是魅力要素之 壹。因此,爲提升 韓國國家形象,韓流活用方案壹直以來多次被提出過。 對于壹國對外國人的吸引力有多大的最佳檢測方法之壹, 可能會是來觀察 外國遊客訪問壹國的遊客量統計數據。據以往的數値,可以觀察到,目前 中國人眼裏韓國是魅力 國家之壹,這種認識表示 "韓流"所做出的作用相當 巨大。然而,從最近訪韓中國人的旅遊趨勢來看,근日本等其 他國家的訪 韓遊客的旅遊趨勢相比,具有壹些不同特點。 2013年時是韓中建交第20周年,建交20年來兩國的民間 交流頻度越來越 高,其物質性交流範也是越來越廣泛。這樣的情況在兩國的外國人出入境 統計上面明顯看得出來。 根據2013年的統計,我們可知道該年度訪問兩國 的最多外國人就越是雙方國家的國民。換句話說,這樣的結果有可 能是放 映兩國人民對互相之間的好感情緖的結。筆者將根據各種相關機構公布的 有關訪韓外國遊客的數據統計,對 訪韓中國遊客的旅遊趨勢進行綜合性分 析。進而,爲吸引更多外國遊客,韓流活用對韓國的國家品牌的提升做出 的 作用不在是單層次的角度上,而在是長期而宏觀的角度上進行硏究,幷探討즘樣才能通過國家品牌建構事業與韓流之 間的互助作用而引導國家品 牌的不斷提升與韓流效果的持續。總之,本硏究將要提出爲了魅力國家的實 現國家品牌 建構事業與韓流互助方案及타們作用。

      • KCI등재

        리얼리티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이 재현하는 아이돌 되기의 자격

        홍지아(Jia Hong),정윤정(Yoon Jung Jeo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8 현상과 인식 Vol.42 No.2

        이 연구는 Mnet 아이돌 데뷔 서바이벌 〈프로듀스 101〉을 대상으로 대중이 아이돌을 선택하는 이유와 기준은 무엇이며 데뷔를 원하는 10대 소년/소녀 연습생들이 대중이 원하는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스스로를 어떻게 통제하고 재현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토도로브(Todorov)의 갈등구조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출연자 가운데 데뷔에 성공한 최종 11명의 갈등서사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걸그룹 서바이벌인 시즌 1과 보이그룹 멤버를 뽑는 시즌 2를 비교해 아이돌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시즌 1과 2 모두 공정한 경쟁에 대한 믿음과 노력을 통한 성장이라는 신자유주의 질서의 주체되기를 충실히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권 연습생의 성장스토리는 두 시즌 모두에서 ‘하면 된다’는 신화를 키우며 연습생들의 발언 및 연습노트, MC 특강, 트레이너들의 질타를 통해 재생산된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강조하는 노력을 통한 성공서사는 소수의 제한된 출연자에게만 적용될 뿐, 대부분의 탈락자에게는 노력이 갈등해결 요인이 되지 못함이 발견되었다. 연구진은 이를 노력의 결과가 성공이라고 주장하지만 같은 논리로 실패의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며 패자를 위한 안전망이나 공정한 경쟁 시스템의 구축을 외면하는 신자유주의의 모순과 닮은꼴로 해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은 구조의 부조리함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며 구조보다 자신에게 책임을 묻는 이른바 ‘인성 좋은’ 출연자를 부각시킴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허점을 은폐하였다. 한편 시즌 1과 2의 비교를 통해 여성 연습생에게 남성보다 더 엄격한 외모와 몸매의 규율이 요구되며 보이그룹에는 없는 걸그룹의 전형화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net idol debut program Produce 101, this study identifies the reasons and standards behind the public"s choice of idols, and how teenage idols restrict and produce themselves to meet those standards. The study also tries to find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between genders during the process of creating an idol. The analysis reports that both season 1 and 2 of the program follows the principles of faith in fair competition, hard work, growth and success to present program contestants as an agent of neo-liberalism. Meanwhile, female contestants are forced to comply with the contradicting characteristics such as innocence and sexiness, while also being subjected to stricter regulations of beauty and figure than that of the male contenders. Also in areas such as dance, songs and behaviors of an idol there was a standardization of certain behaviors in girl groups which did not exist in boy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