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초제 저항성작물에서 잡초관리기술 동향 및 전망

        변종영,장규섭,이증주,박기웅 한국잔디학회 2013 Weed & Turfgrass Science Vol.2 No.3

        This paper reviews current status of weed control practices in herbicide-resistant crops to examine weed management strategies in cope with cropping herbicide-resistant crops in the near future. Herbicide-resistant crops were rapidly adopted weed management technologies due to broad-spectrum weed control without crop injury. Transgenic glyphosate-resistant cultivars in soybean, corn, canola, and cotton were adopted to manage weeds at lower cost in a simplified weed management system. Dual stack crops with glyphosate and glufosinate resistance were developed to control glyphosate resistant weeds in corn, soybean and cotton. New multiple herbicide-resistant crops with resistance to glyphosate and glufosinate, acetolactate synthase (ALS) inhibitors, synthetic auxin herbicides, 4-hydroxyphenyl pyruvate dioxygenase (HPPD) inhibitors or acetyl Coenzyme A carboxylase (ACCase) inhibitors will expended the utility of existing herbicide technologies to manage the evolution of resistant weeds. However, herbicide resistant crops alone cannot solve weed problems and thus studies on diverse weed managements using an array of alternating herbicides of mode of action, mechanical, and cultural practices are needed for integrated weed management systems in the future. 우리나라에서 제초제 저항성작물의 개발과 저항성작물의 실용화 재배가 이루어질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제초제 저항성작물 개발 및 잡초방제 연구현황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잡초방제 방향과 전망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제초제 저항성작물 개발은 작물에 대한 약해 없이 한 가지 제초제만을 사용해서 선택적으로 광범한 잡초방제 효과를나타낼 수 있는 획기적인 잡초관리 기술의 하나이다.Glyphosate 저항성 형질전환 콩, 옥수수, 캐놀라, 면화에서 glyphosate 사용은 단순한 잡초방제법으로 저비용으로 편리하게 잡초를 관리할 수 있다. 한 작물에 glyphosate와 glufosinate에 모두 저항성인 이중저항성작물은 옥수수, 콩,면화에서 개발되어 glyphosate 저항성잡초를 방제할 수 있었으며, 기존 제초제 기술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그리고 glyphosate를 ALS 저해형 제초제, 합성옥신 제초제,HPPD 저해형 제초제 혹은 ACCase 저해형 제초제를 포함한새로운 제초제 저항성작물 개발은 제초제 저항성잡초를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가까운 장래에 개발되기를기대한다. 또한 제초제 저항성작물만으로는 잡초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앞으로 다른 작용기작 제초제의 교호사용, 기계적, 경종적 방법을 통합한 종합적잡초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가 요망된다.

      • KCI등재

        전북지역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 발생분포 및 제초제 사용실태

        조승현,권석주,송영은,이덕렬,송영주,김정곤,이인용 한국잔디학회 2014 Weed & Turfgrass Science Vol.3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s information for effective weed control by the fact-finding survey of herbicidesuse at farmer's level and distribution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 of Jeonbuk province, Korea. The distributionsof major paddy field weeds and frequently used herbicide according to the survey were as follows. The dominant weeds in ricepaddy field were Echinochloa crus-galli, Eleocharis kuroguwai, Scirpus juncoides, Monochoria vaginalis, etc.. Preferred herbicideswidely used by farmers were ranked in the following order, early and middle treatment (48.0%), treatment before transplanting(36.7%) and foliar treatment (15.3%). The occurrence of herbicide-resistant weeds according to collected paddy soils was asfollows. The occurring area of herbicide-resistant weeds was 24,413 ha, approximately 18.4% of rice cultivation area. Herbicideresistantweeds were occurred in four species. The order of occurrence were Scirpus juncoides (39.0%) > Monochoria vaginalis(27.8%) > Echinochloa crus-galli (16.6%) and Cyperus difformis (16.6%). This information could be useful for estimation offuture herbicide-resistant weed and establishment of herbicide-resistant weed control methods in Jeonbuk province, Korea. 전라북도 지역 논에서 발생되고 있는 저항성잡초와 문제잡초의 발생 모니터링을 통하여 효율적인 논 잡초 방제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북지역 논에서의 잡초발생 분포와 재배농가들이 선호하는 제초제 등을 설문조사한 결과, 우점초종은 피,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물달개비등이었으며 재배농가들이 선호하는 제초제는 초·중기처리 제초제(48.0%)>이앙전처리 제초제(36.7%) >경엽처리 제초제(15.3%) 순이었다. 논 토양조사에 의해 전북지역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정도를 조사한 결과,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면적은 총 재배면적의 18.4%인 24,413 ha 였으며 발생초종은 4초종으로 올챙이고랭이(39.0%)>물달개비(27.8%) >강피(16.6%), 알방동사니(16.6%) 순으로 발생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북지역의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을예측하고 이에 맞는 제초제 저항성잡초 관리 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천연잔디학교운동장 조건에서 봄방학 및 여름방학 중 제초제 살포와 주기적인 예초 조합의 제초효과 평가

        장석원,김신후,지재욱,음형주,김호영 한국잔디학회 2023 Weed & Turfgrass Science Vol.12 No.2

        The occurrence of weeds in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is the biggest concern for playground managers. Pesticide use is very necessary because many schools lack the manpower and budget for playground management. Many schools do not use pesticides for safety reasons during the semester, but use manual weeding or use herbicides mainly during summer vacation. In this study, for safer and more efficient weed management in the school playgrounds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 various herbicide combinations during spring break (late February) and summer vacation (late July) and a mowing height treatment of 30 mm once a month and evaluated the herbicidal effect. All herbicide-treated plots showed lower weed occurrence and higher shoot density compared to monthly mowing treatment or non-treatment. Among the herbicide treatments, soil-spraying herbicide (spring break) + foliar spraying herbicide (summer vacation) + mowing once a month showed the lowest value in weed species, weed population, and total fresh weight of weed plants, and the highest shoot density. Mmowing once a month was not effective 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ed species and population reduction compared to no treatment plot. In all treatments of Z. matrella field, the shoot density was higher than that of Z. japonica field and the occurrence of weeds was less. In Z. matrella field, soil spraying herbicide (spring break) + monthly mowing combination showed a similar weeding effect to the herbicide treatments twice. This study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manage weeds by spraying herbicides once each during spring break and summer vacation in Z. japonica and Z. matrella playgrounds. In particular, when the shoot density of turfgrass is high, it is suggested that soil spraying herbicide (spring break) + mowing once a month will be effective. 천연잔디학교운동장에서 잔디 생육기 중에 잡초의 발생은 운동장 관리자들에게 가장 큰 고민거리이다. 많은 학교에서 운동장 관리에 소요되는 인력과 예산이 부족하기 때문에 농약의 사용은 매우 불가피하다. 많은 학교에서는 학기 중에는 안전상의 이유로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인력 제초하거나 주로 여름방학 중에 제초제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들잔디와 금잔디로 된 학교운동장 조건의 포장에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잡초관리를 위하여 봄 방학(2월 하순) 및 여름방학(7월 하순) 제초제 살포 그리고 매월 1회 30 ㎜ 예고의 예초 처리구를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하여 제초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든 제초제 처리구가 매월 1회 예초 처리구나 무처리구에 비해 낮은 잡초 발생과 높은 지상부 밀도를 보였다. 제초제 처리구 중 토양살포형 제초제(봄방학) + 경엽처리형 제초제(여름방학) + 매월 1회 예초 조합에서 발생 잡초 초종, 잡초 개체수, 잡초 생체중에서 가장 낮은 값과 가장 높은 지상부 밀도를 보여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매월 1 회 예초는 잡초 초종과 개체수 감소에서 무처리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어 효과적이지 않았다. 금잔디 포장의 모든 처리구에서 들잔디 포장보다 지상부 밀도가 높고 잡초 발생이 적었다. 금잔디 포장에서는 봄방학 토양 살포형 제초제 살포 + 매월 1회 예초 처리구가 제초제 2회 처리구와 비슷한 제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로부터 들잔디 및 금잔디 학교운동장에서 봄방학과 여름방학에 제초제 각 1회 살포로 잡초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운동장 잔디의 지상부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봄방학 토양 살포형 제초제 살포 + 매월 1회 예초도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 등록 제초제의 제반 특성별 현황

        유진상(JinSang Yu),임태헌(TaeHeon Lim),최성환(SungHwan Choi),이동운(DongWoon Lee)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20 Weed & Turfgrass Science Vol.9 No.1

        우리나라에서 제초제의 공급은 1955년부터 시작하여 1970년대이후로 증가하고 있다. 본 조사는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 등록된 제초제들의 일반적 현황(등록 품목, 독성별 구분, 제형별 구분, 성분별 구분)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982년이후 제초제 등록 품목수는 2014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등록된 제초제의 85.3%가 저독성이었으며 2010년대 이후 등록된 제초제의 86.1%는 어독성 3급이었고, 1.9%만 어독성 1급이었다. 등록 된 제초제들의 제형별 구성은 1990년대 9종에서 2010년대 17종으로 다양성이 증가하였다. 1980년대 이후 등록된 제초제들의 18가지 제형들중 우점순위는 입제, 유제, 액제, 액상수화제 순이었는데 이들 네 제형의 점유비율은 76.2%였다. 등록 제초제들의 계통별 구성은 년대기별로 다양화되었으나 등록 품목수가 가장 많은 계통은 1990년대 이후 sulfonylurea계통이 가장 많았으며 두 번째는 chloroacetamide계통이었다. 전체 등록 제초제의 계통들 중 상위 3개 계통의 점유 비율은 년대기별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평균 점유비율은 39.3%로 높았다. In Korea, the supply of herbicides began in 1955 and has increased since the 1970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general status of herbicides registered in Korea since the 1980s (registration items, toxicity, formulation, and chemical component). Since 1982, the number of herbicide-registered items has declined since peaking in 2014. 85.3% of the registered herbicides were low toxicity, 86.1% of the herbicides registered since the 2010s were fish toxicity Ⅲ, and only 1.9% were fish toxicity Ⅰ. The formulation composition of registered herbicides increased from 9 in the 1990s to 17 in the 2010s. Among the 18 formulations of herbicides registered since the 1980s, the top priority was granules, emulsifible concentrate, soluble concentrate and suspension concentrate. The composition of registered herbicides varied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age, but the sulfonylurea was the largest and the second was the chloroacetamide since the 1990s. The share of the top three lines of all herbicide lines declined by age, but the average share was high at 39.3%.

      • KCI등재

        토양검정법을 활용한 충북지역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 현황

        이채영,최예슬,이희두,김영호,홍성택,우선희,이정란,Lee, Chae Young,Choi, Ye Seul,Lee, Hee Doo,Kim, Young Ho,Hong, Seong Taek,Woo, Sun Hee,Lee, Jeongran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8 Weed & Turfgrass Science Vol.7 No.3

        본 연구는 2017년 2월부터 4월까지 충북지역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11개 시 군 289지점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였다. 충북지역의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을 조사한 결과, 시 군별 최우점 잡초는 물달개비이었고, 그 다음은 강피였다. 충북지역의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비율과 면적은 각각 80.6%, 28,272 ha로 지난 2012년 보다 3배 증가하였다. 옥천군의 저항성 발생율이 93.8%로 가장 높았고, 충주시, 보은군, 영동군, 진천군과 괴산군이 80% 이상, 청주시, 음성군, 증평군이 70% 이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발생면적은 청주시가 6,957 ha로 가장 많았고, 충주시, 진천군, 보은군, 음성군의 순으로 높았다. 초종별 제초제 저항성 비율과 면적은 물달개비 49%, 17,646 ha, 강피 44%, 15,617 ha, 올챙이고랭이 29%, 10,377 ha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충북지역 모든 지역에서 물달개비와 강피는 acetolactate synthase (ALS) 저해제 제초제에 저항성이 40% 이상이므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현재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대부분의 농가가 이앙 후 10일 이전에 제초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앙 후에도 관리가 필요하며, 매년 적용 제초제를 교호 살포하는 방법으로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생을 줄여야 하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an acetolactate synthase (ALS) inhibiting herbicide resistant weed on paddy at 289 sites by soil sampling in Chungcheongbuk-Do of Republic of Korea from February to April in 2017. The most dominant weed was Monochoria vaginalis and Echinochloa oryzicola on each city and county. ALS inhibiting herbicide resistant ratio and occurrence area were 80.6% and 28,272 ha, respectively, in Chungcheongbuk-Do which was 3 times than in 5 years ago. The herbicide resistant ratio, Okcheon-Gun was the highest at 93.8%, Chungju-Si, Boeun-Gun, Yeongdong-Gun, Jincheon-Gun and Geosan-Gun were over 80%, Cheongju-Si, Eumseong-Gun and Jeungpyeong-Gun were over 70%. The herbicide resistant area, Cheongju-Si had the largest at 6,957 ha, Chungju-Si was 4,277 ha, Jincheon-Gun and Boeun-Gun was 3,536 ha and 3,282 ha, respectively. By weed, ALS inhibiting herbicide resistant ratio and occurrence area, Monochoria vaginalis was 49%, 17,646 ha, Echinochloa oryzicola 44%, 15,617 ha, Schoenoplectiella juncoides 29%, 10,377 ha, respectively. In all cities and counties of Chungcheongbuk-Do, Monochoria vaginalis and Echinochloa oryzicola are more than 40% resistant to ALS inhibiting herbicides, intensive management is required. The use of sulfonylurea herbicides is increasing, most farmers use herbicides 10 days after transplanting, so management after transplanting is necessary and the occurrence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should be reduced by alternating herbicide application every year.

      • KCI등재

        논잡초 발생양상 및 논 제초제 사용 실태조사

        김창석,이인용,원태진,서영호,김은정,이순계,조승현,권오도,김상국,정완규,이정란,박태선,문병철,박재읍 한국잔디학회 2012 Weed & Turfgrass Science Vol.1 No.4

        A fact-finding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nation-wide weed distribution and farmer's opinions to weed control strategy in paddy field. Most respondents considered Echinochloa spp., Monochloa vaginalis, Sagittaria trifolia, and Scirpus juncoides etc. as dominate weeds in paddy fields. And herbicide resistant weed species were M. vaginalis, S. juncoides, E. oryzicola and S. pygmaea etc. Purchase guidances for herbicide selection, experience of farmers was 34.0% and dealers recommendation was 33.9% at farmer's level. And paddy field herbicides application frequence were one time 15.6% but twice 75.6%. Preferred herbicides were ranked in the following order: oxadizone 12% EC, butachlor 5% GR, butachlor 33% CS, mefenacet·pyrazodulfuron-ethyl 21.42% SC, and oxadiargyl 1.7% EC etc. in paddy fields. And in most preferred foliar herbicide were bentazone·MCPA 38.6% SL and bentazone·cyhalop-butyl 18.5% ME, 48.5% and 22.3%, respectively. 논잡초의 발생상황 및 농가수준에서 논 제초제 사용을파악하여 농가지도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전국 농업인1,029명을 대상으로 논에서의 우점잡초, 선호 제초제, 논제초제의 사용방법 등을 설문조사하였다. 논에 발생하는우점잡초로는 피, 물달개비, 벗풀, 올챙이고랭이, 올방개순이었으며, 제초제 저항성잡초로 의심되는 초종은 물달개비, 논피(강피), 올미 등으로 응답하였다. 논 제초제의사용 선정은 자기 경험에 의한 것이 34.0%, 농약판매상추천이 33.9%이었다. 농가에서 한번만 제초제를 처리하는경우는 15.6%인 반면에 2회 처리하는 농가는 75.6%이었다. 농가에서 선호하는 제초제는 옥사디아존유제, 뷰타클로르입제, 뷰타클로르캡슐현탁제, 메페나셋·피라조설퓨론에틸액상수화제, 옥사디아길유제 순이었으며, 경엽처리제중에서는 벤타존·엠시피에이액제, 벤타존·사이할로포트뷰틸미탁제가 각각 48.5%, 22.3%로 농가에서 많이 사용되는 제초제이었다

      • KCI등재

        세계 잡초연구 동향 및 전망

        이인용,박태선,최정섭,고영관,박기웅,서현아 한국잔디학회 2016 Weed & Turfgrass Science Vol.5 No.3

        This paper provides the current status of weed science and prospects for the development of weed science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presented at the 7th International Weed Science Conference in 2016. Approximately 520 researchers from 59 countries, including Korea, participated in the conference and presented 625 papers in nine research areas. Major research topics were herbicide resistance, weed ecology, weed management i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lands, herbicide spray technology, and non-chemical weed control. Studies on herbicide resistance presented more than 30% of all papers presented. Particularly, resistance to non-selective herbicides, such as glyphosate and glufosinate-ammonium, and non-target sites of resistance mechanisms were the main subjects of the herbicide resistance research area. Moreover, the conference focused on research concerning herbicide resistant weeds of staple crops of the world (corn, wheat, and rice). Arylex was introduced as a new compound which has a mode of herbicidal action similar to synthetic auxin. Three compounds being developed as HPPD inhibitors were studied for ways to reduce their toxicity and tested as mixed with safeners. Additionally, parasitic weeds, which are not native to Korea, are an expanding research subject in the world. Although 4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irst report of herbicide resistance in 1970, herbicide resistance remains a serious problem in most intensive cropping systems of the world and will continue to be a major area of study in the future. 세계 잡초연구자들이 세계잡초학회에서 발표한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잡초연구 발전방향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 7차 세계잡초학회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59개국 520여명이 참석하였으며, 9개 분야 625편이 발표되었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제초제 저항성잡초, 잡초생태, 농경지 및 비농경지의 잡초관리, 제초제 살포기술, 비화학적 잡초방제 등이었다. 이중 제초제 저항성잡초 연구분야는 전체 30%를 점유하여 향후에도 이들 연구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설포닐우레아계 보다는 비선택성 제초제인 glyphosate, glufosinate-ammonium 저항성 잡초에 대한 발표가 많았다. 신규 제초제 개발은 synthetic auxin 작용기작의 제초제인 arylex, HPPD 저해제로 개발중인 3가지 물질을 safener와의 합제 연구 등이 있었다. 그리고 세계 주곡작물인 옥수수, 밀, 벼 재배지에서 발생되는제초제 저항성잡초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었다. 특히 잡초의 non-target site에 대한 저항성 연구가 집중적이었다. 또한 우리나라에는 없는 기생잡초에 대한 연구 폭이 넓어지고 있으며, 예년에는 취급하지 않았던 비화학적 잡초방제부문도 많았다. 향후에는 제초제 저항성 메카니즘 구명, 기생잡초 연구, 제초제 살포기술, 비화학적 잡초방제 등의 연구가 폭넓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 KCI등재

        아시아 ․ 태평양지역의 잡초연구 동향과 전망

        이인용,김진원,김상수,유홍재,황인성,이계환,조남규,이동국,황기환,원옥재,WeiQiang Jia,고영관,최정섭,염현석,박기웅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4

        This paper provides the current status of weed science and prospects for the development of weed science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presented at the 26th Asian ․ Pacific Weed Science Conference in 2017. Approximately 458 researchers from 25 countries, including Korea, participated in the conference and presented 325 papers in 20 research areas. Major research topics were herbicide resistance, herbicide use, herbicide development, weed ecology, allelopathy, weed management, and exotic weeds. Particularly, there were many presentations and interesting to researchers about the development and use of new herbicides, such as florpyauxifen-benzyl ester, triafamone, fenquinotrione, and tolpyralate. Development of new herbicide formulations and spray methods were suggested as a solution for the population decline in rural area and low labor quality especially in Asia and Pacific regions. In future weedy rice and exotic weeds will be a serious problem in this area so we need to cooperate to make good technical and practical solutions.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잡초연구자들이 모여 각 국의 문제 잡초를 파악하고 토론하여 향후 잡초연구 발전방향과전망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제26차 아시아 ․ 태평양잡초학회는 일본 교토에서 개최되었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한25개국 458명이 참석하여 20개 분야에서 325편의 학술발표가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제초제저항성잡초, 제초제 이용, 제초제 개발, 잡초의 생태, 상호대립억제작용, 잡초관리, 외래잡초 등이었다. 이 중 제초제저항성잡초 분야는 전체 17.0%를 차지하여 가장 비중 있는 연구분야로 나타났다. Florpyauxifen-benzyl ester, triafamone, fenquinotrione, tolpyralate 등과 같은 새로운 제초제의 개발과 이용에 관한 연구들도 발표되었다. 향후 특정국가뿐만 아니라 아태지역에서는 농촌인구 감소 및 노동의 질 저하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초제의 새로운 제형 및살포방법 개발 등이 병행되어야 하며, 각 국에서는 다소 차이는 있지만 잡초성벼와 외래잡초가 미래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될 것이고 해결책을 공동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내 수도용 제초제의 작용기작별 분류

        박재읍,김상수,김영림,김민주,하헌영,이인용,문병철,임양빈 한국잔디학회 2014 Weed & Turfgrass Science Vol.3 No.3

        This review study was conducted to recommend the effective use of herbicide mixtures in Korea. The herbicideingredients by Herbicide Resistancce Action Committee (HRAC) was classified into 23 groupes according to the mode of action(acetyl CoA carboxylase inhibitors, acetolactate synthase, photosystem I and II inhibitors, protoporphyrinogen oxidase inhibitors,carotenoid biosynthesis inhibitors, enolpyruvyl shikimate-3-phosphate synthase inhibitors, glutamine synthetase inhibitors, dihydropteroatesynthetase inhibitors, mitosis inhibitors, cellulose inhibitors, oxidative phosphorylation uncouplers, fatty acid andlipid biosynthesis inhibitors, synthetic auxins, auxin transport inhibitors and potential nucleic acid inhibitors or non-descriptmode of action). The rice herbicide mixtures registered in Korea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guideline of HRAC. Accordingly,such a classification system for resistance management can help to avoid continuous use of the herbicide having the same mode ofaction in the same field. 국내에 등록된 제초제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서 제초제저항성관리위원회에서 제시한 제초제 작용기작별 분류를 기초로 23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세부그룹으로는 acetyl CoAcarboxylase 억제제, acetolactate synthase 억제제, photosystem과 억제제, protoporphyrinogen oxidase 억제제, carotenoidbiosynthesis 억제제, enolpyruvyl shikimate-3-phosphatesynthase 억제제, glutamine synthetase 억제제, dihydropteroatesynthetase 억제제, 세포분열 저해제(mitosis inhibitors), cellulose생합성억제제, oxidative phosphorylation uncouplers, 지방산 및 지질생합성 억제제, synthetic auxins, auxin transport억제제, potential nucleic acid Inhibitors 혹은 non-descriptmode of action으로 나누었다. 이와 같은 그룹화 기준을 토대로 국내 등록되어 사용중인 논 제초제 성분들을 그룹화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약제 작용기작 관련 정보를 농약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특정약제의 연용과 중복사용을 방지하여 국내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 문제를 줄일 수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