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정효황후 주칠나전가구의 제작기법적 고찰

        이선주 미술사연구회 2019 미술사연구 Vol.- No.36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 순정효황후 주칠나전가구는 국가민속문화재 제227호로 의걸이장 2점, 삼층장, 침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구는 순정효황후(1894~1966)가 사용한 궁중유물로 김진갑이 제작한 것이다. 이왕직미술품제작소에서 칠 기법을 배운 김진갑은 조선다운 의장에 새로운 제작기법을 접목한 칠기를 제작하였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주칠나전가구라 할 수 있다. 이 가구는 형식·구조적인 면과 장식기법의 변화에서 근대적 특징을 보인다. 특히, 기존의 나전도안에서 벗어나 화가의 도안을 채용하고 전통적인 나전기법과 일본의 마끼에(蒔絵) 기법을 사용하여 회화적으로 표현한 점이 그 대표적 예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적 분석과 장식기법 등을 통해 칠기제작에 쓰인 재료와 기법, 공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칠단면 분석과 육안 관찰을 통한 제작과정을 살펴본 결과, 침대의 경우 먼저 목재(백골)에 천과 종이를 바르는 심 바르기를 하였다. 넓은 판재의 경우 천을 바르고 측면부의 좁은 면은 종이를 발랐다. 그다음으로 면을 평탄하게 하기 위해 토분을 섞은 골회를 발랐다. 그 후. 옻칠을 3회 하여 완성되었다. 주칠의 안료는 석간주로 밝혀졌으며, 흑칠은 검은색의 산화철을 섞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침대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가구도 같은 제작과정을 통해 제작되었으리라 추정된다. 가구의 문양으로는 김규진과 이도영 등의 조선 금강산 풍경이나 사군자, 십장생의 도안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문양을 표현하는 기법으로는 나전기법과 마끼에 기법을 사용하였다. 나전기법은 실톱의 유입으로 섬세한 문양으로 가공하는 줄음질이 사용되었다. 학이나 사슴 등 입체감을 살려야 하는 문양은 칼로 조각하는 조패법이 사용되었다. 재료적인 면에서는 조선시대까지 전복패를 가공한 색패를 사용한 것과 달리 인도, 필리핀, 인도네시아, 일본 등지에서 수입해야 하는 야광패와 진주패가 문양의 곳곳에 사용되었다. 산, 바위, 물결들의 표현에 있어서 외곽선은 자개로 하고, 안쪽으로는 가루를 뿌려 명암을 표현하는 마끼에기법으로 원근감을 주었다. 마끼에 기법 중에 여기서 사용된 기법은 부분적으로 가루를 뿌려 표현하는 다른 방법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칠을 하고 가루를 뿌린 다음 갈아서 표현하는 토기다시마끼에(硏出蒔絵)가 사용된 것으로 밝혀졌다. 여기서 파도 부분에 사용된 가루는 은분임이 확인되었고, 바위나 산 표현에서 보이는 색을 띠는 가루는 건칠분으로 추정된다. 이 가구 제작에 사용된 재료로 판단했을 때 칠기에 쓰이는 재료는 일본이나 다른 국가를 통해서 들어온 수입재료로서 그 당시 재료의 수입이 가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인들이 들어와 공방을 인수하고 칠기를 제작했던 정황으로 판단컨대 일본에서 생산되는 마끼에 재료의 수급은 그리 어렵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입된 재료에서 보이듯 근대는 여러 문물이 왕래하고 여러 양식이 흡수되는 시기였다. 기법과 장식적인 면에서 일본 기법을 사용하여 일본식이라는 인식을 가질 염려도 있다. 하지만 그에 앞서 순정효황후의 주칠나전가구는 조선의 풍경을 나타낸 회화적인 도안의 시도이며, 전통적인 나전기법과 일본 마끼에기법을 절충한 옻칠기법은 김진갑의 새로운 기술적 표현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사료된다. Empress Sunjeonghyo’s set of red lacquered furniture with inlaid mother-of-pearl designs, now part of the collection of Seokdang Museum at Donga-A University, is officially listed in South Korea as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277. The set comprises two wardrobes, one three-tier cabinet, and one bed. These royal court artefacts, formerly used by Empress Sunjeonghyo (1894-1966), were made by craftsman Kim Jin-gap. Kim, who learned lacquering techniques at the Yiwang-jik Artwork Manufactory, produced lacquerware that fused new manufacturing techniques with Joseon-style designs; red lacquer furniture inlaid with mother-of-pearl can be described as one of these new types. This furniture shows moder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orm, structure and changes in decorative technique. Prime examples of this are the way it moves away from existing mother-of-pearl designs and employs painting-style motifs, and the way it combines traditional mother-of-pearl techniques and Japanese maki-e techniques to create a painting-like style. In this study, I use scientific analysis and observations of decorative technique to examine the materials, techniques and processes used to produce the lacquerware. Examin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through analysis of lacquer cross-sections and visual observation shows that the bed was made by sticking fabric and paper onto bare wood. Fabric was applied to wider boards, while paper was applied to narrower side pieces. Next, a mixture of clay and bone ash was applied to make each surface of the bed even. Finally, three successive layers of lacquer were applied. The pigment used in the red lacquer was found to be red ocher, while analysis showed that the black lacquer contains black iron oxide. Based o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bed, it is assumed that the other items of furniture in the set were made using the same technique. The patterns on the furniture use designs from Mt. Geumgang landscape paintings, Four Gentlemen paintings and Ten Longevity Symbol paintings by artists such as Kim Gyu-jin and Lee Do-yeong. Mother-of-pearl and maki-e techniques were used to depict these patterns. To inlay the mother-of-pearl, a coping saw was used to create fine patterns, in a method known as jureumjil. For elements such cranes and deer, where a sense of depth was required, a method known as jopaebeop, in which patterns are carved with a knife, was used. When it came to materials, Kim used shells from green snails and oysters, which had to be imported from countries such as India, the Philippines, Indonesia and Japan, rather than the abalone shells used in the Joseon period, for various parts of his patterns. To depict mountains, rocks and waves, he created a sense of perspective by rendering the outlines in mother-of-pearl and using a maki-e technique of sprinkling powder inside them to create light-dark contrasts. It was determined that the particular maki-e technique used here is a method known as togidashi maki-e. Unlike other types of maki-e, in which powder is applied only to parts of the design, this particular method involves applying lacquer to the whole design, sprinkling powder on it, then rubbing it down. This study confirmed that silver powder was used to depict the waves, while the powder used to depict rocks and mountains is presumed to be dry lacquer. The nature of the lacquer materials used on this furniture suggest that they were imported from Japan or another country, indicating that importing such materials was possible at the time. Given that some Japanese immigrants in Korea were taking over workshops and producing lacquerware, acquiring Japanese-made maki-e materials is presumed not to have been difficult. As shown by these imported materials, the modern era in Korea was one that saw the intermingling of diverse culture and the absorption of various styles. The use of Japanese decorative techniques risks creating the impression that this is Japanese-style furniture. But I beli...

      • KCI등재

        慶州地域新羅蓮花文수막새 製作技術의 展開過程

        노수민 영남고고학회 2013 嶺南考古學 Vol.- No.65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Silla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largely had into four stages from the time of using roof-end tiles in the 6th centur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can be represent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bonding technique and design. The bonding techniqu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echnique A is Cylinder-type Bonding, Technique B 周緣Bonding and Technique C Round Tile Process Bonding. The first stage during the period of only A1 Technique before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shows the roofend tiles of round protrusion type. In the early stage, manufacturing of roof-end tiles is found to have begu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n the ground. During Stage 2-1, the technique of previous stage got completely extinct and main bonding technique is Technique B, which has already been found in Nakrang, Baekje and some other areas. It is thought to have been the most complicated stage with introducing, sharing and spreading of roof-end tile manufacturing.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of the design at Stage 3 is, needless to say, the decoration of pearl rounded motif at Ju-Yeon bu, which had effect on the roof-end tile manufacturing technique, too. Such decoration of Ju-Yeon buand Technique C, both of which are related to each other inseparably, are thought to have led to the standardization of roof-end tile manufactur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 increasing demand of tiles at that time.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iques due to mass production of roof-tiles and the design of roof-end tiles must have had effect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 innovative change of manufacturing technique from the era of Unified Silla Kingdom was accompanied by the design change of roof-end tile with lotus design. 신라연화문수막새는 6세기 초반 수막새 사용의 시작을 기점으로 제작기술은 크게 네 단계로 변화한다. 제작기술은 접합기법과 문양과의 조합관계로 대표할수 있는데 접합기법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된다. A기법은 원통접합법, B기법은 주연접합법, C기법은 수키와가공접합법으로 구분된다. 1단계는 6세기 중반 이전의 A1기법의 단독기로 주요문양은 원형돌기형 수막새로 나타난다. 초기 수막새 제작과정에서는 토기제작에서 사용되었던 재지적 제작방법을 도입하여 수막새의 제작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1단계는 이전 단계의 기법이 완전히 소멸되고 주요접합기법은 B기법으로 이 기법은 이미 낙랑과 백제 등지에서 확인 되었다. 2-2단계의 수막새 제작은 적어도 3가지 이상의 문양적 모티브와 3가지 이상의 제작기술이 유지되었음을 상정할 수 있다. 수막새 제작기술의 도입과 공유가 가장 복잡하게 이루어진 단계로 생각된다. 3단계는 C기법의 주도하에 동일한 기법아래에서 공인 개개인의 방식에 따라 제작기술이 다르게 적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3단계의 문양에서 가장 특징적인 요소는 역시 주연부의 연주문 장식이며 이는 수막새의 제작방식에도 영향을 끼친다. B기법은 수키와부를 수막새의 주연부로 쓰는 방식인데 이 기법으로는 주연부의 연주문 장식을 시문할 수 없다. 수막새의 주연부에 연주문을 장식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와범에 주연부의 문양까지 음각하여 장식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위해서는 필연적으로 C기법이 사용되어야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연부장식과 C기법은 불가분의 관계로 당시 기와수요에 맞추어 수막새 제작기술의 정형화를 가져 왔다. 기와의 대량생산으로 인한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함께 수막새의 문양이 기와 제작기술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통일신라를 기점으로 한 제작기법의 획기적인 변화는 연화문수막새의 문양적 변화와도 그 궤를 함께 하고 있다. 또한 백제수막새의 전개양상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신라공인의 재지적 기술의 주도를 추정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도검 패용 광다회의 제작기법 분석

        백지선,정광용 국립문화재연구원 2017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0 No.3

        Dahoe is a traditional braid in Joseon Dynasty, which are many artifacts Dahoe which is delivered various costume, culture and history. The study of Dahoe is necessary to study in various fields, but it is difficult because this manufacturing technique has been passed down from hand to hand so it is not clear the terminology until now. This research shows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KwangDahoe which is passed down by Madedeupjang (Decorative Knotting) and is generally used for knotting and/or tying objects. Tie-KwangDahoe made of the same method as WonDahoe, mainly characteristic is hollowed square type. It cannot re-do making origin braid even if confirmed number of the strand. Especially it is very difficult to do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n serious degradation state of the fiber. Therefore build up the base data of manufacturing techniques method for Dahoe and proceeding non-destructive analysis of Dahoe for next study. First, a database of Dahoe’s manufacturing technique built including illustration, manufacture and analysis shape of the restored Dahoe for analyzing artifacts. And then, X-ray CT scans were perform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DB. These results of scanning were interpreted based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The selected Tie-KwangDahoe on the sword for the study are artifacts include artistic value and symbolism in Joseon Dynasty. As a result of manufacturing technique, both artifacts are made 20-strand braid of one time cross according to measure length ratio. It is manufactured using 8-strand on left-right side, 12-strand on front-back side by the braiding manufacturing technique method 20-strand of one time cross (2).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non-destructive analysis method of Dahoe’s manufacturing technique based on the constructing database and the analyzing results. I hope to be useful this research in various professional fields of Dahoe in the future. Moreover, I want to keep our culture heritage. 조선시대 끈을 일컫는 다회는 우리의 복식사, 문화사, 생활사가 녹아있는 산물로서 지역과 계층을 불문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국내외 다수의 유물이 현존하고 있으나 연구의 주요대상으로 선정되지 못하여 연구가 미흡하고 기법 전승 등에서도 접근성이 낮아 연구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도검의 패용(佩用)을 위해 사용된 광다회의 제작기법을 분석하여 다회의 비파괴적인 제작기법 분석 방안을 마련하고, 다회의 올바른 보존 및 계승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패용 광다회는 물건의 패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끈이며, 매듭을 맺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여 현재는 매듭장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제작원리는 원다회와 동일하고 다회틀 상판의 심지가 지지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작된 다회의 중앙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다회는 3차원적으로 제작되어 제작기법이 복잡하고 현재까지 올의 개수와 배열에 따라 제작되는 다회에 관한 기초자료가 마련되어있지 않아 제작기법의 규명에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제작기법의 추정을 위해 올을 해체하는 경우가 존재하지만 제작기법의 규명에는 어려움이 있고, 본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다회의 비파괴적인 제작기법 분석 방안 마련과 실제 유물에 대한 적용 가능성 평가의 필요성이 크다. 유물의 제작기법 분석은 다회 제작기법의 DB구축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고, DB구축을 위하여 다회의 도식화 및 복원샘플 제작, 형태적 특징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DB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물의 X-ray CT 촬영으로 분석결과를 뒷받침할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촬영결과는 다회치기기법에 근거하여 제작기법을 해석하였다. 제작기법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한 패용 광다회는 경인미술관 소장 도검(녹칠어피갑금동장별운도, 어피갑금동장곡병환도)의 패용을 위한 것으로 다회의 예술성, 기능성과 상징성을 겸비한 유산이며 광다회가 온전히 남아있어 띠돈과 패용장식 모두 확인 가능한 유물이다. 유물의 제작기법 분석결과를 토대로 짜임형태를 관찰하였고 2점 모두 좌우측면에서 1회 교차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짜임형태 길이비 측정을 통해 20개의 올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X-ray CT 촬영결과 DB의 분석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어 차후 국내외에 산재되어있는 다회의 분석 및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미력하게나마 소중한 전통문화의 보존 및 계승,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한국 전통목가구 제작기법을 활용한 생활가구에 관한 연구

        유진경(Yoo, Jin Kyung),박유정(Park, Yu Jeong),최경란(Choi, Kyung Ra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1 No.-

        한국 전통목가구 제작 기법 중 특히 구조적 측면의 짜임기법에 치중하여 생활가구를 제작하는 것은 직선과 직선이 만나 이루는 면 이외에 다른 요소가 없기때문에, 선과 면의 조화와 어울러 선과 선의 구조적 결합구조, 즉 목재 접합의 결구 부분이 중요하다. 짜임기법을 활용한 현대 가구에서 구조적 측면의 견고성을 담보로 가구를 제작한다는 것은 목재의 성질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 도구를 다루는 기술이 숙련되어 있어야 하며, 구조적 역학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잘 갖추어 졌다는 것을 뜻하며, 건습의 변화로 인해 목재가 늘거나 줄면 결합 부분이 빠지는 등의 결점이 바로 드러나기 때문에 가구 제작에 있어 짜임 기법의 활용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전통목가구 연구로써 전통목가구 제작 기법 중 구조적 측면의 핵심요소인 짜임기법을 활용하여 제작 되어진 견고하고 실용적인 생활가구 사례에 대해 연구하고 여기서 보여지는 장점을 잘 활용하여 세계의 현대화 속에서 한국의 창의적인 현대생활가구를 디자인할 수 있는 방향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 및 범위,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통목가구의 제작기법에 대한 역사와 종류, 기술 등을 조사하여 기법에 대해 이해하고 짜임기법의 활용으로 구조적 측면의 견고성을 확보한 생활가구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통가구제작기법의 유형인 재료, 구조, 의장의 관점 제작기법에 대해 이해하고 전통목가구 제작기법의 유형 중 중요한 한국 짜임중심의 제작기법에 대해 이해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및 향후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한국 전통목가구 제작기법 중 짜임기법을 활용한 작업의 의의를 역사 속에서 찾아보며 이러한 작업이 가구의 견고성을 확보하는 조건인 짜임기법임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부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짜임기법이 구조적 견실성 이외에 시각적 효과를 더 좋게 하기 위해 필요한 디자인적 요소 도출과 그에 따른 기술과 그 적용범위, 그리고 한계점 등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Among Korean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Mokgagu) production techniques, the process of making living furniture shows tendency to especially stress woven technique in structural aspects of the scheme. It is because harmony of lines and planes and as well as structural bonding structure of lines, that is, framing part of wood bonding become important as there are no factors other than the surfaces formed by straight lines meeting each other. To produce furniture keeping the robustness of structural aspects as collateral means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in the nature of timbers, to be well trained in dealing with the technical tools, and to be well equipped with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structural dynamics. Actually it is most important to use woven technique on this part because a drawback such as loosening of bonding part can become obvious according to expanding or shrinking of wood under wet and dry condition. Thu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history, the type, and the techniques of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making, then derived the techniques to utilize them in production and searched how to apply the techniques to ensure the robustness in structural aspects. 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utilizing weave production technique among Korean traditional technique of wooden furniture making and investigated mainly about the weave technique as a condition for ensuring the robustness of furniture making process. This study of conclusion might go as follows. It is expected in further additional studies possibly to investigate how weave technique can derive the design elements needed for a better visual effect in addition to the structural robustness, technology in accordance with it, and the scope of such application as well as limitation.

      • KCI등재

        목조형실습에 필요한 교육보조자료 개발

        윤봉기(Bong Ki Youn),박병호(Byung Ho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3

        현대의 목공예와 가구는 다양한 재료와 각종 공작기계에 의해 양산되고 있으나 가장 기본적이며 필수적인 목공예기법이 도외시 된 채 제작되어 견고함과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으며 학교 교육의 내용도 이론과 실제제작기법이 연결성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목조형 실습에 필요한 기초적인 내용과 이를 응용한 다양한 교육 보조 자료를 연구·개발함으로써 목공예, 가구제작에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한국의 전통적인 목공예 기법 및 가구기법의 우수성을 기초로 한 교육 보조 자료의 개발을 통하여 피교육자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짧은 시간에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교육 보조 자료를 연구, 개발하고자 하였다. 목공예, 가구제작에 필요한 기본적인 교육보조 자료는 이론적인 배경으로 역사적인 고찰과 목공예 교육자의 종류와 특징, 기법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여 분석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구체적인 목공예, 가구제작기법을 연구, 개발하였다. 구체적인 목공예, 가구제작 교육보조 자료의 개발은 조각 기법, 상감 기법, 구조제작 기법으로 나누어 연구하였고 가장 많이 활용되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응용기법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교육보조 자료는 실제로 단계별 제작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학습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하였고 새로운 모형의 개발로 제작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단계별 완성 모형에 의한 교육보조 자료의 개발은 목공예와 가구의 제작 시 형태, 재질감, 기법, 제작방법, 제작순서를 구체적이고 현실감 있게 학습하게 해 줌으로써 목공예에 입문하는 이들에게 합리적인 교육보조 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앞으로도 목재관련 공예분야 전반에서 보다 나은 교육보조 자료들이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추후 제2, 제3의 교육보조 자료의 연구와 개발을 하고자 한다. In modern wood furniture and woodcraft ar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by various materials and woodcraft machinery but that is made ignoring basic and essential woodcraft technique. Finally, firmness and durability of works are falling remarkably and the fact is that theories are connected with practical production techniques in the contents of school education . This study is studied and developed for various educational support data that applied form including basic woodcraft, furniture production technique that educators must teach fundamentally in each educational institute the present and they can directly to production of wood furniture and woodcraft. Especially, it is researched with the object of educational support data development that educatee can heighten the dramatic learning effect for a short time as well as improve the power of understanding through educational support data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raditional woodcraft and furniture technique excellency of Korea. This study is considered, analyzed and showed the point at issue about historical study, a kind and character of woodcraft educators and contents on technique in theoretical background for fundamental educational support data of wood furniture and woodcraft. Also this research was studied and developed about concrete woodcraft and furniture production as the means for such question solution. Definite educational support data development for woodcraft and furniture production was studied that divided into three parts such as carving technique, inlay technique and structure production technique and it is possible to make a work through applied technique on the focus basic contents that are used extremely. Educational support data can help that learning effectiveness of students is reached an extreme by really step-by-step production and production time is shortened by new model development. Inconclusion,educational support data development that present in thisstudy by step-by-step completion model is a help concrete and real learning of that form, the quality of the wood, technique,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order for woodcraft and furniture production and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can be reasonable educational support data for the people who start woodcraft learning. In addition, educators must study and develop the better educational support data in future continually on general field of craft in connection with wood and I will make an effort to do study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support data of the second and the third.

      • KCI등재

        익산 입점리 고분 출토 금동식리 복원제작 연구

        강민정(Kang Min jeong),이현상(Lee Hyun sang),정광용(Chung Kwang yong)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1

        백제시대 금동식리는 한성기 초반부터 웅진기에 걸쳐 주요한 위세품으로 제작당시의 사회상과 예술성, 그 시대의 공예기술 수준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금동식리에는 단조기법, 투조기법, 조금기법, 타출기법, 도금기법 등 각종 금속공예기법이 포함되어 있다. 금동식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는 투조, 조금, 영락 등 장식적 특징이 많은 금동식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익산 입점리 고분 출토 금동식리와 같이 타출기법으로만 제작된 식리의 기법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전면(全面)에 타출기법만으로 장식된 입점리 금동식리의 복원제작을 통해 백제시대 금동식리의 새로운 공예기법양상을 연구함으로써 그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작에 앞서 유물실측을 바탕으로 복원도면을 제작하고 모델링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평면가공은 복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모의실험을 통한 기법 관찰을 실시하였다. 현재까지 출토된 백제시대의 금동식리는 일반적으로 바닥판과 양측판을 포함한 3장의 금속판으로 제작된다. 입점리 금동식리는 형태와 바닥판 스파이크 또한 완형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우측식리의 측면이 일부 훼손된 상태이나 좌측판과 비교를 통해 형태 추정이 가능하다. 입점리 금동식리의 복원제작은 크게 유물 실측, 도면 제작, 외형절단, 평면가공(문양타출), 입체가공(형태성형), 스파이크 제작, 아말감 도금, 결합 순서로 진행하여 복원품을 완성하였다. 입점리 고분 출토 금동식리는 이전시기에 제작된 금동식리와는 달리 표면장식기법이 타출(打出)기법으로만 제작되는 새로운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변화하는 당시 식리문화의 단면을 볼수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본 연구를 통해 고대기술을 재현함으로써 제작기법 규명 및 문화재 복원제작의 진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Baekje gilt-bronze shoes is the crucial relic to show the craft technique of Baekje dynasty. Gilt-bronze shoes is fabricated by a variety of the metal craft techniques which are forging, repousse, metal carving, plating etc. The gilt-bronze shoes excavated in the ancient tomb, ibjeom-ri, iksan, which decorated by repousse technique, can inform the newly generated craft technique trend. First of all, the restoration drawing was made, and then the process modeling was proceed through actual survey. And the simulation of the surface manufacturing have done to improve reliability of the restoration. The gilt-bronze shoes in ibjeom-ri, iksan is the one maintained well among the Baekje gilt-bronze shoes, The restoration of the gilt-bronze shoes excavated in the ancient tomb, ibjeom-ri, iksan is completed by actual survey, drawing, cutting, surface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manufacturing, spike manufacturing, amalgam plating in sequence. Relic is the one that shows the life style of the ancient period exactly. This study can find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restoring production process of cultural heritage by analyzing repousse techniques and reproducing ancient technology

      • KCI등재

        栢栗寺 金銅如來立像을 통해서 본 통일신라시대 대형 금동불 製作技法

        鄭富美(Jung Bumi)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255 No.255

        일정한 유형의 금동불은 일정한 형식의 제작기법을 가지고 있으며 제작기법상의 특징은 상의 양식 및 조형성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시대가 흐름에 따라 제작기법과 기술도 변화와 발전, 쇠퇴의 과정을 보이므로 제작기법적 특징의 구명은 금동불 편년에 있어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불상 조각의 연구에 있어서 양식ㆍ형식적 특징뿐만 아니라 제작기법적 특징의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우리나라 고대 금동불 주조기술은 5세기경 通鑄式 失蠟法에서 시작하여, 6세기 전반 中空式 失蠟法의 기술적 수용기를 거쳐 6세기 후반에는 일정 수준의 기술력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7세기 말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서는 중공식 실납법의 기술적 발전이 축적되어 중공식 금동불 제작이 일반화된 것으로 생각된다. 통일신라시대에 8세기 중ㆍ후반 성덕대왕대에서 혜공왕대에 이르는 시기는 전제왕권의 강화와 대형 주조사업이 꾸준히 진행되어 대형 금동불 주조기술이 가장 성숙한 때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고에서는 栢栗寺 금동여래입상(이하 백률사상)을 통하여 통일신라시대 중공식 실납법에 의한 대형 금동불의 제작기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백률사상을 통해서 본 통일신라시대 금동불 주조기술의 특징은 내형과 외형 사이의 간격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들에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내형에 철심을 설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내형을 외형까지 연장시킨 幅置를 적극적으로 고안하고 型持를 좀더 계획적으로 설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栢栗寺像의 뛰어난 조형성은 ‘十’字 구조의 철심, 총 7군데의 폭치와 36여 개의 원통형 土型持를 이용하여 내형과 외형의 간격을 성공적으로 유지하는 등 기술적인 발전에 기인한 것 이었다. 더 나아가서 이러한 기법적 특징들은 통일신라시대 철불의 제작에서도 나타나는 것이어서 그 영향관계가 주목된다. 제작기법의 구명이 궁극적으로 像의 편년 자료가 될 수 있기 위해서는 금동불 개개 작품에 대한 기법적 분석이 선행되고 시대적 변천과정 속에서 개개 불상의 기법적 특징이 구명되어야 한다. 또한 방사선동위원소촬영을 비롯한 과학적인 연구방법이 병행되어 동의 전반적인 두께와 균일성, 기포의 분포 상황, 균열과 접합상태 등이 밝혀져야 제작기법상의 발전적 선후관계가 더욱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 밝혀낸 통일신라 금동불의 제작기법적 특징이 상의 편년에 실질적인 자료로서 활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금동불의 제작기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자료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현전하는 금동불은 대부분이 소형의 것이어서 栢栗寺像과 같은 대형 상의 제작기법과의 비교자료로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 금동불의 제작기법에 대한 연구가 축적되고 특히 불국사의 두 금동불좌상과 같은 대형 금동불뿐만 아니라 철불의 제작기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다면, 본 연구에서 살펴본 제작기법적 특징들이 편년 자료로서의 구체적인 역할 수행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다. The lost-wax casting of gilded bronze images started in Korea around the filth century. In the first half of the sixth century, the casting technique with hollow inside was transmitted. It became widely employed by the end of the seventh century. In the period from the reign of King Seongdeok to the reign of King Hyegong, which spans the mid to late eighth century, the technique reached the most mature phase. This paper examines the casting technique of bronze images in the Unifed Silla period focusing on a Buddha statue from Baengnyulsa. The characteristic of the Unified Silla casting technique was diverse devices to susta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form and the inner form. The exquisite plasticity of the Baengnyulsa image was achieved by securing the space through installing cruciform iron supports, altogether seven space sustainers, and thirty-six cylindrical clay buttresses matrix. These technical innovations were also used in the casting of iron imag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 KCI등재

        고대 금속상감에 관한 시론

        임지영(Lim, ji-young) 부산고고학회 2016 고고광장 Vol.- No.18

        금속상감은 바탕 금속에 홈을 만들어 홈 속에 바탕 금속과는 다른 금속을 물리적인 힘으로 감입하는 금공장식 기법이다. 본고는 상감홈과 상감선 등 제작에 관련된 여러 요소를 바탕으로 삼국시대와 일본 고분시대 출토 유물을 분류하고 기법상 차이와 유사점 등을 비교함으로써 고대 한일 금속상감의 제작공방과 그 계보를 상정하기 위한 시론이다. 금속상감은 연마라는 최종 제작과정과 부식이라는 금속의 특성으로 인해 육안관찰만으로는 제작 기법의 특징 파악이 곤란하다. 따라서 필자는 마이크로스코프와 X선 장치를 이용하여 상감유물의 기술적 특징을 파악하고 제작실험 비교를 통해 고대 금속상감 기법의 복원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상감홈의 경우 기존의 금공 연구를 통해 지적되어 왔던 축조와 모조기법의 양자가 존재하는 한편, 이제까지 언급되지 않았던 상감선의 제작기법에 있어서 단조 이외에 감기나 꼬기, 접기와 같은 다양한 제작기법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기법의 사례에서는 시기와 지역차가 확인된다. 상감홈과 상감선 제작기법의 기술적 특징은 유라시아 대륙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다. 이는 백제, 신라, 가야, 그리고 일본열도에 이르는 세선세공 기법의 전파루트와 상응하고 금제 보요의 기원과도 관련된다. 근년 발굴 조사된 러시아 초기철기 시대 상감유물, 그리고 후한대 중국 상감명문대도와 비교하여 각 기법 조합의 시기차와 지역차를 통해 고대한일 상감에 이르는 계보가 모조기법의 홈과 감기나 꼬기기법의 선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루 트>, 그리고 축조기법의 홈과 단조선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루트>의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metal inlaying technique is to putting gold or silver into a carved wire of the based metal with physical power. In this paper, based on the various elements such as quality of metal, inlaid groove and inlaid wire, presume the manufacture of workshop of the metal inlaying and its system by classifying the artifacts of the Three-Kingdom Period of the Korean Peninsula and Kofun Period of Japan and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It is hard to apprehend the feature of its technique with the naked eye because of polishing and corrosion. Therefore, I grasp the technical character by observing them with macroscopy as well as microscope, X-ray and restore the metal inlaying technique with comparing it with production experiment. As a result, in case of inlaid groove, there are lined-carving and triangled-carving that is commonly indicated in bronze artifacts. In case of inlaid wire, there are various technique such as winding, twisting, folding except hammering that is not indicated so far. It has got time and regional differences in example of each techniques. The feature of the technique of inlaid groove and inlaid wire is found in Eurasia. It corresponds to the diffusion route of the filigree technique to Baekje, Silla and Japan. By comparing its route connected with the origin of the golden ornament with the inlaid artifacts of Russian Early Iron Age and Chinese inlaid inscription sword in West Han Dynasty, abstract time and regional differences of the combination of the technique. Based on this, I propose a hypothesis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routes to the ancient Korea and Japan, one in the Northern-route; groove of the lined-carving and winded or twisted wire, the other in Chinese route; groove of triangled-carving and hammering wire.

      • KCI등재

        볏짚제품 제작의 기법과 의미변화

        엄정웅(M.A Um, Jeong-U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전통사회에서 봉새기는 볏짚으로 만든 용기로써 곡물을 퍼 담거나 보관하는 용도사용 되었으며, 1960년대까지만 해도 일반적인 농촌마을의 농부들은 봉새기를 제작?사용하였다. 하지만 산업화의 진행에 따라 1970년대 이후 신소재 제품이 등장하면서 봉새기의 제작과 사용은 점차 쇠퇴되어갔다. 조사대상지인 경북 문경시 문경읍 고요1리도 여느 농촌마을과 마찬가지로 봉새기의 제작과 사용의 쇠퇴되어갔다. 이런 현상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던 중, 문경시는 석탄산업의 쇠퇴로 인한 경제침체와 인구유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1990년대 중반이후 관광산업에 투자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고요1리 노인회 회원들의 의지가 문경시의 정책과 상호작용 하면서 1999년 짚공예회가 결성되었고, 볏짚제품 만들기 전통이 재등장하게 되었다. 짚공예회 회원들은 볏짚제품을 다시 만들면서 봉새기를 제작하는데 이렇게 제작된 봉새기는 과거의 것과는 분명히 다른 기술적?문화적 맥락을 가진 것이었다. 전통사회의 봉새기는 아무리 작더라도 곡물 몇 되는 보관할 수 있도록 만들어 졌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다시 등장한 봉새기는 과거의 것을 그대로 재현한 것과 어린아이의 손바닥만큼 작게 축소시킨 것이 공존한다. 과거의 것을 재현한 봉새기는 제작기법이 달라지지 않았지만 축소형 봉새기를 만들면서 봉새기 제작기법이 달라진다. 축소형 봉새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대개 전통사회의 제작기법을 생략하거나 변형, 간소화 하여 봉새기를 만들었을 때 형태만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봉새기 제작의 기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인 의미도 과거와는 달라진다. 전통사회의 농부의 입장에서 봉새기 제작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머슴의 입장에서는 생활필수품을 만듦과 동시에 주인과의 계약을 이행하여 세경을 받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청장년층 남성들이 제작의 핵심주체였으며, 농업력과 기후, 필요에 따라 제작자가 주도적으로 실천할 수 있었던 하였다. 그러므로 전통사회의 봉새기 제작은 생업활동과 많이 연관되어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 등장한 봉새기 제작은 부업, 교육자료, 관광자료화 되고, 70대 이상의 노인들이 기법실천의 핵심 주체가 된다. 또한 소비자의 취향과 제작자의 의도가 상호작용하면서 제작되는 봉새기의 크기나 개수, 그리고 제작 장소와 제작시기가 과거와는 달라진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경제의 변화에 따라 현대사회에서 볏짚제품의 실용적인 기능이 사라지고 그 외에 다른 가치들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지방정부차원의 지원과 고요1리 짚공예회 노인들의 의지가 상호작용하였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며, 지방정부의 지원 없이는 현상이 지속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요컨대 봉새기 제작의 기법과 의미의 변화는 거시적인 사회?경제 변화 속에서 고요1리 노인들의 적응을 통해 나타났다. 이들은 상황에 따라 봉새기 제작기법을 단절시키기도 하였고 전통적인 봉새기 제작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그것을 변화시키기도 하였다. 이렇게 다시 나타난 전통은 완전히 새로운 것이 아니라 지속과 변화가 공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 KCI등재

        X선투과촬영장치를 이용한 목조불상의 제작기법 연구

        林南壽(Lim Namsu)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 No.253

        이제까지 한국의 목조불상은 양식과 도상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고, 제작기법에 대해서는 풀어야 할 연구과제로 남아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과제에 대한 접근법의 일환으로, x선장치를 이용한 목조불상의 조사방법을 소개하고, 그 실례로 고려시대의 작품인 안동 봉정사 관음상의 조사 성과를 분석 검토하며, 제작연대와 동아시아 불교조각사에서의 의의에 대하여 중국의 양귀비관음 상과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봉정사 관음상은 머리의 너비를 기준으로 머리에서 복부까지를 하나의 목재로 마름질하고, 그 좌우에 측면재, 뒷면에는 등을 상하로 나누어 덮개를 대었으며, 하반신에는 무릎재와 허벅지 부분에 해당하는 중간재를 접합시킨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양귀비관음상과의 비교를 통하여, 봉정사 관음상이 제작기법상 양귀비관음장과 유사한 점을 밝히며, 양식적인 면뿐만 아니라 제작기법의 측면에서도 중국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작기법상 봉정사 관음상이 양귀비 관음상보다 선행하는 형식임을 지적하고, 봉정사 관음상의 제작연대는 〔현판〕이 기록하는 1199년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고려시대의 목조보살상에 대한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므로 봉정사 관음상의 제작기법이 언제 부터 나타났는지, 그리고 이 기법이 보편적인 것이었는지 아니면 일부에 국한된 특수한 것이었는지 등에 대해서는 지금 당장 언급하기는 어렵다. 이 점은 앞으로 더 많은 불상을 조사하여 자료를 축적하지 않으면 안 될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고려시대 이후의 한국과 중국, 일본 불상 간의 관계, 특히 제작기법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앞으로는 한ㆍ중ㆍ일 삼국 불상의 제작기법 비교연구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리라 생각한다. 다만, x선투과촬영조사가 목조불상의 제작기법 연구에 유용하기는 하지만, 취득한 화상은 2차원 평면사진이므로 사진 분석이 완벽할 수 없다는 한계도 엄연히 존재한다. 이러한 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개금이나 해체수리 때에 불상에 대하여 투과촬영을 행하고 실물과 사진의 분석결과를 대조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조사 성과가 축적되어야만 보다 정확한 조각사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To date, many studies on Korea's wooden Buddhist imag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ir style and iconography while their manufacturing technique still remains a subject to be addressed. As part of efforts to address this subject, this paper has introduced a research methodology using an X-ray machine, analyzed and examined the research results of an Avalokitesvara image in Bongjeongsa (鳳停寺) in Andong, made during the Goryeo dynasty (918-1392). With respect to its period of production and its implications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Buddhist sculpture, I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ongjeongsa image with the Yang Guifei (楊貴妃) Avalokitesvara image in China By fluoroscoping the wooden statue of Buddha using an X-ray machine, I could identify the interior structure of the statue and understand its manufacturing technique. In the case of the Bongjeongsa image, one timber was used from head to abdomen and side timbers were used for each side. Covers were plac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its back separately. For the lower half of its body, timbers for its knees and thigh were joined together. The comparative analysis revealed that Bongjeongsa image is similar to China's Yang Guifei Avalokitesvara image In terms of its manufacturing technique. It also discovered that Buddhist statues manufactured during the Goryeo dynasty were influenced by China not only in their style but also in manufacturing technique. Also I noted that the style of the Bongjeongsa image precedes that of Yang Guifei Avalokitesvara. Hence, it is estimated that Bongjeongsa image was manufactured in the year of 1199 as recorded In the tablet. Since this research on wooden statue of Buddha from the Goryeo dynasty is the first of its kind, it is too early to mention whe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Bongjeongsa image first appeared and whether this technique was widespread or limited to certain statues. To address this matter, further research on more statues need to be carried out going forward. Given that there has been littl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Buddha statues of Korea, China. and Japan after th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I believe comparative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se three nations will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future. Although the X-ray fluoroscope methodology is useful to the study of manufacturing technique of wooden Buddha statues, there dearly exists some limitations: it generates a plane, two-dimensional picture, making the pictorial analysis less perfect.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fluoroscoping should be performed while re-plating or dis-assembling the statue, so that the actual object can be compared against the result of the pictorial analysis. Only when the results of this kind of research are accumulated enough, the study of the history of sculpture can be more sound and cert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