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축제참여의 마음챙김이 정서적 연대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김정헌,고동완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7

        Festivals presuppose interaction. Festivals interact with many people in special spaces, so people and places in festival research are very important. Through festival participation, emotional solidarity can be formed through interaction with people, and place interaction can be formed by interaction with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influences of mindfulness, emotional solidarity, and place attachment. For the study purpose, literature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mindfulness, emotional solidarity, and place attachment proved to be organic influences. In the festival, it was confirmed that mindfulness was an independent variable that formed emotional solidarity and place attachment. In other words, emotional solidarity and place attachment were formed through participating in festivals, and mindfulness in festivals strengthened emotional solidarity and place attachment. 축제는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고 있어 다양한 사람들과 특별한 공간에서 함께하는 것으로 축제연구에서 사람과 장소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즉 축제참여를 통한 상호작용은 사람과의 상호작용과 장소와의 상호작용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사람과의 상호작용으로 정서적 연대가 형성될 수 있고, 장소와의 상호작용으로 장소애착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마음챙김, 정서적 연대, 장소애착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로 구조적인 영향관계인지를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통하여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의 분석을 실시하여 마음챙김, 정서적 연대, 장소애착은 유기적인 영향관계로 축제에서 마음챙김은 정서적 연대와 장소애착을 형성시키는 선행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즉 축제 참여를 통하여 정서적 연대와 장소애착이 형성되며, 축제 참여자가 축제참여 전 축제에 대한 마음을 챙기는 “정념(正念)의 의식화 과정”은 정서적 연대와 장소애착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축제에 대한 정교하고 다양한 정보제공으로 축제 참여자들이 축제참여에 앞서 축제에 대한 의식화 과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의식화 과정은 결과적으로 축제에서 축제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인 정서적 연대와 축제장소와의 상호작용인 장소애착을 강화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남북의 정서적 연대와 통일문화콘텐츠 개발방향

        김기덕(Kim, Ki Duk),김승(Kim, Seu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77 No.-

        이 글은 남북의 정서적 연대를 통한 통일문화콘텐츠 개발방향에 대하여 천착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남북의 정서적 연대와 통일문화콘텐츠가 갖는 의미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문명사적 차원에서 공동체와 개인의 주체성의 합일이라는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관을 담은 통일문화콘텐츠 구현은 실로 전세계에 새로운 가치관을 제시해주는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문화콘텐츠의 범주는 대단히 넓으며, 그 실현방법도 한반도 정세의 변화에 따라 대단히 차이가 많을 것이다. 따라서 본 글에서 검토한 구체적인 통일문화콘텐츠 개발방향 논의는 다음과 같이 한정하였다. 첫째, 남한만의 시도가 아니라 남북한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따라서 남한의 지자체에서 시도할 수 있는 통일관련 콘텐츠 개발 제시나 탈북민을 대상으로 하는 논의는 검토대상에 넣지 않았다. 둘째, 차후 문화콘텐츠산업으로 확장될 수 있는 것을 염두에 두고 고찰하였다. 그 결과 통일교육과 관련된 것은 연구대상으로 삼지 않았다. 셋째, 불확실한 통일시대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현단계에서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단계 통일문화콘텐츠 개발 방향을 3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콘텐츠 개발의 시작이자 가장 중요한 기획과정의 핵심인 창작소재의 문제는 무엇보다 전통문화에서 찾는 것이 좋으며, 이와 관련된 제반 유의사항과 정책을 제안하였다. 둘째, 활용매체로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남북한 문화콘텐츠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되, 더 나아가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AR, VR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남북한이 자유로이 왕래할 수 없는 현실에서는 가장 적합한 기술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셋째, 실행 프로그램은 쌍방향 개발방식으로 진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현단계 통일문화콘텐츠 개발은 산업적 차원에서가 아니라 공감(共感)의 차원에서 전개되어야하기 때문이다. The recent situ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s has been somewhat unstable in the stream of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relations but presents a possibility of expanding traffic and exchang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future. Naturally, this possibility has the concern of expanding the discord and conflict more in the process of its realization at the same time. In this situation, it is thought that the effort required at the current stage is to get away from total dependence on the political means and consider a possibiliy of forming the true united South and North Korean community from various angles. This is an intention to plan the symposium entitled 〈The Construction of the Integrated Narratives of Koreans and the Formation of the Solidarity-based Community〉.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direction for construction of the unifed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emotional solidarity of South and North Koreas with this critical mind. First of all, chaper 2 attempted to interpret the meaning inherent in the emotional solidarity of South and North Koreas and unified cultural contents from a perspective of civilizational history. Herefrom was extracted the key word of the unity of identity of the community and the individua. And it made clear that the implementation of unifed cultural contents containing this value view would really present a new value view to the whole world. In the second place, this study described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unifed cultural contents at the current stage in three respects. First, it proposed that it would be better to find the problem of material for creation, the core of the most important planning process as well as the beginning of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from the traditional culture and mentioned all its related matters and pollcies to be attended to. Second, it proposed the need to make use of diverse media of actively used South and North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furthermore of AR and VR currently drawing the most attention. This is the most appropriate technology without free traffic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Third, it proposed that the executive program should be run in a two-way development mode.

      • KCI등재

        장소애착과 정서적 연대와의 관계

        박용순(Park Yong Soon),심원섭(Shim Won Seop)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5

        본 연구는 농촌관광을 위해 특정 농촌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을 농촌관광 참여기간에 따라서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장소애착과 정서적 연대와의 영향관계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고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 수집은 총 35일간 농촌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77부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소애착을 구성하고 있는 4개의 요인 중 장소의존성과 장소정체성은 공히 두 집단에서 정서적 연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장소애정성과 장소사회결합성은 정서적 연대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에 집단별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특정 농촌마을을 방문하는 관광객은 농촌마을이 가지고 있는 환경적 및 물리적 특성 등의 기능적 특성 외에 농촌마을 구성원과의 사회적 관계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농촌마을이 가지고 있는 공동체적인 고유한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특정 농촌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은 해당 마을의 구성원이 자신을 호의적으로 대하더라도 감정적으로는 여전히 지역주민과 동화되지 않는 타자로서의 자신을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농촌관광의 방향설정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parated into two groups in specific rur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rural tourism, where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ttachment to emotional solidarity, and also explored the differences of influence among the two groups. A total of 177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urban residents who visited the specific community for 35 days. As a results, Among the four factors of place attachment, place dependency and place identity was not identified influence on emotional solidarity. On the other hand, place affection and place social bond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onents of emotional solidarity,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following: Rural community visitors regard social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members as the most important as well as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in rural communities. The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confirming that visitors to rural communities perceive themselves as others who do not assimilate with community members emotionally even though members of the community treat themselves positively, and it will be able to provide very useful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 of community based tourism development in South Korea.

      • KCI우수등재

        관광자에 대한 지역주민의 정서적 연대가 관광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 홍대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이재현,정철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7

        As domestic tourism gains prominence today, local tourism is also undergoing change. When a community is established as a tourist destination, its members diversify, resulting in a variety of situations. Before becoming tourist destinations, communities are inhabited by the local populac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motional solidarity between locals and tourists on tourism development support. It was conducted from January 7 to February 28, 2022 via an online/offline survey of 302 Hongdae-area residents, an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hypothesis, emotional solidar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costs, and community attachment, and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costs, and community attachment had both positive (+) and negative (-) effects on government trust. Third,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costs had a positive (+) effect on supporting tourism development, but the research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because of the negative (-) effect of community attachment. Finally, it was discovered that government trust and emotional solidarity have a positive impact on supporting tourism development, and th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tourism development in the Hongdae region. 오늘날 국내관광이 주목받음에 따라 지역관광도 변모하고 있다. 지역사회가 관광지로 조성되면 구성원이 다양해져 수많은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관광지는 관광지이기 이전에 지역주민이 거주하는 고향이자 삶의 터전의 장소이다. 이 연구에서는 관광자에 대한 지역주민의 정서적 연대가 관광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홍대 인근에 거주하는 302명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서적 연대가 지각된 혜택, 지각된 비용, 지역사회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지각된 혜택과 지각된 비용, 지역사회 애착은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혜택, 지각된 비용은 관광개발 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지역 사회 애착이 부(-)의 영향을 미쳐 연구가설이 지지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정부신뢰와 정서적 연대는 관광개발 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을 기반으로 홍대 인근 지역 관광개발을 계획하고 있는 마포구 행정기관과 마을 공동체 지원센터 등은 홍대 인근 지역 관광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박인환 시에 나타난 연대 의식 연구

        송현지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2 No.-

        박인환은 끊임없이 예술 공동체를 구성하고자 하였던 자신의 삶의 이력과 같이, 타자와의 결속을 추구하는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창작하였던 시인이다. 박인환의 시에서 화자는 계속하여 ‘우리’를 호명하며 ‘우리’가 상호간의 우애를 바탕으로 함께 뜻을 모아 공동의 행위를 할 것을 촉구한다. 좌⋅우와 같은 이데올로기의 대립이 극심하였던 해방기 시절부터, ‘우리’의 단결을 통해 그가 꿈꾸었던 연대는 이데올로기와 무관하게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인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대의 대상으로 상정되는 ‘우리’의 범위와 결속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목표에는 차이를 보인다. 처음 박인환은 예술 공동체를 통해 시인을 비롯한 예술가들이 새로운 예술에 대해 논의하며 이를 위해 협력을 도모하는 좁은 범위의 ‘공동 의식의 집단’을 결성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격변하는 시대에서 순수한 이상만을 추구하는 것의 한계를 체감한 그는, 곧이어 한국전쟁까지 겪으며 보다 넓은 범위의 타자들과 상호 의지하여 힘을 합쳐야 함을 깨닫는다. 그것은 전쟁이 지나간 폐허에서 전란의 상처를 가진 모든 이들과 정서적 유대를 공고히 하는 방향으로의 결속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는 단결을 통해 갈등이 해결된다거나 상황이 전복되는 등의 목표가 쉽게 달성될 것이라는 기존의 관념적인 낙관론에서 벗어나는 한편, 연대를 목표의 창출을 위한 수단으로 보지 않고 유대감 자체가 주는 정서적 가치에 주목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1950년대 이후 박인환이 현실에 대해 더욱 예민하고 실질적인 감각을 갖게 되었음을 증명하는 한편, 후기에 이르러 그가 연대에 속한 자이자 시인으로서 사회 내 자신의 역할에 대해 첨예한 고민을 이어갔던 행보를 설명해준다. The work of Park, In-hwan has been unfairly underestimated in the earlier studies. The main logic of their comments was Park's work had ended up having no sense of realism after the Korean war. This paper starts with this question if Park has lost his awareness of reality. To figure it out, this study tracks his consciousness especially his feeling of solidarity. His passion about solidarity has been secured, but the range and the goal of it has been adjusted. Since Park was arrested for viola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experienced the Korean war, he began to concern about the way of unity realistically and did not draw an optimistic conclusion. Instead of that he values the emotional union and contemplate his poetic vocation. These variations are resulted from his perception of reality. It shows us Park faces up more to the reality after all. Therefore, the hasty conclusion about his awareness of reality should be reconsidered.

      • KCI우수등재

        지역관광종사자의 고객접촉 수준에 따른 관광지에 대한 공유된 믿음과 관광객과의 정서적 연대 관계의 차이 연구

        김용희,박운정 한국관광학회 2018 관광학연구 Vol.42 No.6

        본 연구에서는 2,300여개의 불교 사원으로 구성된 미얀마의 대표적인 불교문화 유적지인 미얀마 올드바간 내에서 관광객과 접촉 수준이 높은 지역관광종사자와 올드바간 외 지역에서 관광객 접촉 수준이 낮은 지역관광종사자 간의 공유된 믿음과 관광객에 대한 정서적 연대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올드바간 내 관광객 접촉 수준이 높은 지역 관광종사자의 경우, 관광객과의 공감적 이해와 친밀감에 대한 의지가 관광객 접촉 수준이 낮은 종사직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관광객과의 접촉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관광종사자의 경우, 관광객이 지역의 편익과 경제에 기여한다는 관점에서 관광객을 더 환영하는 감정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문화 유적지 내에서 관광객과 접촉 수준이 높은 지역관광종사자는 관광객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정서적 친밀감을 통한 정서적 연대를 느끼기 때문에 이를 좀 더 적극적으로 표현하게 하는 지역 차원에서의 교육이 필요하고, 반면 관광객 접촉 수준이 낮은 문화 유적지 외부의 일반 관광 서비스직의 지역 관광종사자는 관광객을 이익적인 측면에서 환영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관광객과 공감할 수 있는 긍정적인 경험을 줄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Emotional understanding between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has been one of the new research approaches in community-based tourism. This study analyzed tourism employees’ emotional solidarity (ES) toward tourists, focusing on the hypothesized interaction effects of ES between tourism employees’ shared beliefs (SB) about the local tourism destination and the two different levels of interaction with tourists. Empir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etween tourism employees (the high customer contact group) who directly encountered tourists in Old Bagan (a cultural tourism destination famous for 2,300 Buddhist temples) in Myanmar and those (the low customer contact group) who worked in general hospitality service industries outside of the Old Bagan area. The high customer contact group exhibited higher sympathetic understanding and emotional closeness toward tourists, but the low customer contact group showed higher welcoming nature than the other group. This result implies that tourism employees who have direct contact with customers within cultural heritage sites tend to communicate their emotional intimacy with tourists. On the other hand, tourism employees engaged in low contact tend to appreciate tourists because of the economic benefits from having them in the area. Therefore, educational and consulting support are needed to guide employees to understand tourists sympathetically and build emotional closeness.

      • KCI등재

        할리우드 영화의 여성 연대에 관한 연구 - 조디 딘의 연대 개념을 중심으로 -

        김성은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5

        This paper analyzed how female solidarity is represented in Hollywood films and its characteristics. Three classifications of Conventional Solidarity, Affectional Solidarity, and Reflective Solidarity suggested by Jodi Dean are used as theoretical frameworks in order to explain this. Before the fourth wave feminism, female characters were often portrayed as holding each other in check and keeping their distance from others. However, since 2011, when the fourth wave feminism bega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in movies has been represented differently than before. Women share value norms to accomplish common interests, have conventional solidarity, and sometimes get together in affectional solidarity in which they internally cooperate with each other through mutual consideration and love and they also unite in reflective solidarity that can coexist even in the differences. Solidarity is a driving force that may achieve something; in a male-centered society, female solidarity was regarded as difficult one to be formed however relationships between women are being rebuilt through solidarity.

      • 임선규의 〈새벽길〉 연구

        이주연(Lee Juyeon)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 세계한국어문학 Vol.1 No.-

        이 글에서는 임선규의 희곡 〈새벽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의 희곡이 지나는 멜로드라마적 극작술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임선규는 친일극으로 간주되는 〈새벽길〉에서도 멜로드라마적 극작술을 통해 대중성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당대의 상황을 우회적으로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새벽길〉에서는 임선규 희곡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멜로드라마적 구조인 ‘잘 짜여진 극’의 공식을 통해 사건 진행의 흥미를 이끌어내고 있으며 상황의 반전을 통해 관객의 긴장감을 유도하고 있다. 또한 이 작품에서는 멜로드라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도덕적인 결말을 통해 기존의 가치를 승인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미해결의 결말을 통해 당대 지배 이데올로기의 균열을 드러내고 있다. 더불어 인물설정에 있어서는 극심한 시련을 받는 비극적 운명의 가련한 여인을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관객의 동정을 사도록 만들면서 비애감을 자아내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효과를 위하여 극단적인 선악 이분법적 인물 대립구도를 사용하는 모습을 살필 수 있다. 그러나 〈새벽길〉에서는 이분법적 대립구도를 보여주고 있지만 단순히 선ㆍ악의 이분법으로 도식화될 수 없는 혼종적인 인물을 형상화함으로써 중층적인 해석이 가능하도록 극화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작품에서는 당대 현실에 대한 불만이 굴절 반영되어 있으며, 당대의 현실이 변화되기를 바라는 대중들의 정서 구조를 반영함으로써 대중성을 확보하고 있다. 국민연극 시대 작품인 〈새벽길〉은 일제가 주도하는 파시즘 체제를 수용하는 입장에서 창작되었지만 관객 대중이 공감할 만한 인물이나 그 인물들이 처한 현실의 갈등을 통해 관객 대중들이 자신들의 위치를 깨닫고 식민지 망국민이라는 정서적 연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Saebyukgil(a road of dawn) of Lim Sun-gyu, Korea's representative popular playwriter in the 19305 and 19405,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melodrama-styled dramaturgy. First, This work shows the composition of 'well-made play', securing a consistent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induce the continuous interest of viewers through variations the technique. Moreover, unlike melodrama that approves the existing values through moral ending, they present the cracks of ideologies of the time, showing different-type endings. Second, This work has an outstandingly antagonistic structure : good person and bad person. Lim Sun-gyu set ordinary persons whom the public can identify with them as good heros, bur set westerners, persons bad characters. Through such a setting of characters, Saebyukgil(a road of dawn), the dramatist created dichotomous antagonistic structures and mixed characters, and the works can be analyzed in terms of varying aspects. Lastly, This work secures popularity by reflecting the complaints on the reality of the time and the emotional structure of the public who wanted the reality of the time to be changed. In particular, Saebyukgil(a road of dawn) which is one of the works in the period of national drama was created in the position in which the dramatist accepted the fascism system led by Japan, they made viewers realize their situations and form an affective alliance, the ruined people of a colony, through characters whom viewers could empathize with or the situations that characters faced. The popular theatre of Lim Sun-gyu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 of his time in which he could not directly describe the contradiction of colony reality, he cried to tide over the situation of the time by borrowing the dramaturgy of melodrama.

      • KCI등재

        청소년의 정보추구 정치참여 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정서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0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 of political conversation and use of mass-media on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 Independent factors are political conversation and the mass-media use as information-seeking mode in political participation. Dependent variables are the membership, influence, integration and fulfillment of needs, and emotional connection, which are elements of the sense of community according to the concept of McMillan & Chavis.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he sample was 688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youths have more frequent political conversation with their family in comparison with peers and teachers of school. Youths contact newspaper(including internet news) and TV in similar level for getting political information. Secondly, multiple regression shows that political conversation and mass-media use affects all elements of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 These results show political conversation and the mass-media use on political issues have effects to improve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치참여 경험 중에서 일상적 정보추구 유형에 속하는 정치적 대화와 매스미디어 사용의 현황과 이러한 정치적 대화와 매스미디어 사용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독립변인은 19대 총선에 관한 정치적 대화와 매스미디어 사용이며, 종속변인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으로서 구체적으로 McMillan & Chavis의 개념에 따른 소속감, 상호영향력, 필요의 충족, 정서적 연대의 4가지 요소이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정치적 대화는 동료나 학교 선생님보다는 가족과 더 빈번하게 하고 있었으며, 매스미디어 사용에 있어서 정치에 대한 TV 시청의 빈도가 신문이나 인터넷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정치적 대화와 매스미디어 사용은 소속감, 영향력, 필요의 충족, 정서적 연대 전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시민교육의 중요한 방안으로서 정치적 대화와 매스미디어 접촉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문학치료학과 문학교육학 사이(in-between): 따로 또 같이 그리는 미래

        염은열 한국문학치료학회 2024 문학치료연구 Vol.70 No.-

        This study, authored by a researcher in literary education who has closely observed the academic growth and clinical effectiveness of literary therapy, proposes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solidarity and collaboration to the collaboration to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Therapy> at Twenty. This research examines what literary therapy, from both perspectives of the study of humanity and counseling, can achieve, and what tasks must be prioritized for this purpose. First, while literary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conscious, cognitive, public, and social practice, literary therapy is distinguished by its unconscious, personal, and emotional natur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both are essentially and structurally similar, centered around the triad of teacher [or counselor], literary works, and learners [or clients]. The paper argues that literary education and therapy must eventually simultaneously operate separately and together, focusing on students as both social and individual entities. It emphasizes the need to focus on student agency and assets for collaboration and solidarity, suggesting that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and an approach based on storytelling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and enhancing the emotional assets of learners in classrooms. Post-pandemic, there is a dire need for literary-educational approaches and literary-therapeutic support in our schools and classrooms, which have lacked sufficient consolation and reflection time. As a researcher in literary education, there is hope that literary therapy, while expanding its scope, will internally pose introspective questions and eventually collaborate with literary education in the school setting. 이 연구는 문학치료학의 학문적 성장과 임상적 효과를 가까이에서 지켜본 문학교육연구자로서, 성년이 된 한국문학치료학학회를 상대로, 연대와 협력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한 논문이다. 인간학이자 상담학으로서의 문학치료학이 무엇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떤 과제가 선결되어야 할 것인지 살펴보았다. 우선, 문학교육이 의식적·인지적·공적·사회적 실천의 성격을 지니는 반면에 문학치료는 무의식적·개인적·정서적 실천의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구별되지만, 교사[혹은 상담가], 작품, 학습자[혹은 내담자] 셋을 축으로 하는 문학경험이라는 점에서는 본질적으로 그리고 구조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점에 주목했다. 사회적 주체이자 개인적 주체로 살아가는 학생들을 중심에 두고 보면, 문학교육학과 문학치료학이 때로는 따로 결국에는 같이 할 수밖에 없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협력과 연대를 위해 학생 행위주체성과 자산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피력했으며, 구체적으로 문학치료학의 관점과 설화를 바탕으로 하는 접근 방법이 교실에서 학습자들의 정서적 자산을 파악하고 확충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팬데믹 이후 충분한 위로와 성찰의 시간을 갖지 못한 우리 학교와 교실에 문학교육적 접근과 더불어 문학치료적 지원이 절실하다. 문학교육연구자로서, 문학치료학이 외연을 확장하는 한편 내적으로 성찰적 질문을 던짐으로써, 결국에는 학교 현장에서 문학교육학과 만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