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행 청소년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정서인식력

        이강선 ( Kang Sun Lee ),이효신 ( Hyo Shin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2

        본 연구는 비행 청소년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정서인식력에 관한 연구이다. 비행청소년의 경우 최근 정서적 결함과 관련하여 적절히 중재되지 못하는 경우 사회적 인격장애로 발전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들의 문제를 알고 중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정서인식에 관한 탐색을 우선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 년의 경우 최근 20-30년을 전후하여 이들이 정서인지에 어려움을 가진다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어 이와 관련된 탐색적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행 청소년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정서인식력 특성을 알아보는 것을 첫 번째 연구 목적으로 삼았고, 두 번째로는 두 집단 간 정서인식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소년원에 수감 중인 비행 청소년 30명과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청소년 29명이다. 이들의 정서인식력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자기 보고식 측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컴퓨터 기반의 정서인식력검사(ERT-R)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비행 청소년의 정서인식력은 정상수준이었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정서인식력은 경계선 수준이었다. 두 집단 간 정서인식력은 차이가 있어, 자폐스펙트럼 장애 청소년의 정서인식력이 비행 청소년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정서이해와 정서변별 그리고 맥락이해로 나뉘어진 정서인식력의 하위영역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난 영역은 맥락이해였다. 또한 부정적 정서(분노, 슬픔, 혐오, 놀람, 공포) 관련 맥락이해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이해력이 비행 청소년보다 현저하게 낮았으며, 공포관련 맥락이해에서는 두 집단 모두 지극히 낮은 수준을 보였다. This study is about the emotional recognition of delinquenc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ASD) adolescen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explore the emotional recognition features of the delinquency and ASD adolescents. And another one was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delinquency group and ASD group.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30 male adolescents in juvenile prison and 29 male adolescents under autism spectrum disorders diagnosed by professional neuropsychiatric physicians. Two groups, 17 to 21 years old, had IQ higher than 80. This study used ERT-R(Emotional Recognition Test-Revised) to measure emotional recognition and performed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with a statistic program SAS 9.1.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emotional recognition of juvenile delinquency group was normal, while that of ASD group was at the borderline. Second, juveniles delinquency group had a higher emotional recognition than ASD group. Especially, there was dominant differences in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Also contextual understanding related negative emotions was different.

      • KCI등재

        아동학대 경험에 따른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차이

        하혜주(Ha, Hyeju),심은정(Shim, Eun-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아동학대 경험, 특히 학대 유형에 따른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아동기피학대 경험 척도 점수로 아동학대 유형을 학대(n =9), 학대 및 방임(n =10) 및 통제(n =15)의 세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세 집단을 대상으로 상향 및 하향과제로 구성된 몰핑된 얼굴 과제를 실시하였다. 상향과제에서는 정서가가 0%인 중립 얼굴표정에서 100%인 극단 얼굴표정까지 2% 간격으로 몰핑한 네 가지 얼굴표정(i.e., 기쁨, 분노, 두려움, 슬픔) 자극을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정서를 인식한 시점의 정서 강도 및 인식한 정서 유형을 측정하였다. 하향과제에서는 극단 얼굴표정을 제시하여 인식한 정서 유형을 측정한 후, 극단에서 중립 얼굴표정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정서가 사라졌다고 인식하는 강도를 측정하였다. 아동학대 유형에 따른 얼굴표정 정서인식 관련 측정치 분석 결과, 학대집단과 학대 및 방임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슬픔 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정확성이 낮았으며, 이를 분노로 오해석하는 경향이 유의하였다. 더불어 학대 및 방임집단은 학대집단에 비해 기쁨 표정에 대한 낮은 정서인식 정확성을 보였으며, 기쁨을 분노로 오해석하였다. 반면 정서인식 민감성에서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학대를 경험한 성인이 얼굴표정 정서인식에서 보이는 분노에 대한 편향 가능성과 학대와 방임을 함께 경험한 사람들이 더 심각한 양상의 정서인식 편향을 보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얼굴표정 정서인식과 심리사회적 부적응 및 정신 병리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아동학대 경험이 있는 개인에게 나타나는 얼굴표정 정서인식 편향을 다루는 개입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experience of childhood maltreatment affected facial emotion recognition, and whether this impact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maltreatment. Two groups that experienced maltreatment (an abuse only group (n=9) and a group with both abuse and neglect (n=10)) and a control group without the experience of maltreatment (n=15) were classified. These groups participated in ascending and descending morphed facial tasks. In the ascending task, sequences of neutral faces slowly changing to full-intensity happy, angry, fearful, and sad expressions were presented, an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when they identified emotions in facial expression. In the descending task, the same stimuli were presented in reverse order, and participants responded when they recognized the disappearance of an emotion in facial exp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ith a history of childhood maltreatment were less accurate in recognizing sad expressions than the control group, and more likely to misinterpret sad facial expressions as angry ones. Moreover, compared to the abuse only group, the group with both abuse and neglect showed a lower level of emotion recognition accuracy with regard to happy facial expressions, and were more likely to misinterpret happy facial expressions as angry on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emotion intensity.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hood experiences of maltreatment are associated with facial emotion recognition biases in adulthood, especially in terms of anger. Furthermore, adults with a history of both abuse and neglect have more severe biases than individuals with only experiences of abuse. The current results warrant the need for addressing facial emotional recognition biases in individuals with experiences of childhood maltreatment, given it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sychosocial maladjustment and psychopathology.

      • KCI등재

        공감능력에 따른 정서인식 민감성 연구: 안구운동 추적장비를 이용하여

        김보미,이장한,조성근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7 No.1

        본 연구는 공감능력에 따라 정서적 얼굴표정의 미세한 변화를 인식하는 정도와 정서인식의 단서가 되는 안면부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높은 공감집단(18명)과 낮은 공감집단(18명)을 대상으로, 정서가가 낮은 강도(0%)에서 높은 강도(100%)까지 2%간격으로 몰핑한 세 가지 정서적 얼굴표정(분노, 두려움, 행복) 사진을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정서적 얼굴표정이 나타내는 정서를 인식하는 순간에 반응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정서적 얼굴표정의 인식 정확성과 민감성을 측정하였으며, 인식의 단서가 되는 안면부위를 안구운동 추적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정서인식의 정확성 분석에서는 높은 공감집단이 낮은 공감집단보다 행복 얼굴표정을 더 정확하게 인식하였으며, 정서인식의 민감성 분석에서는 높은 공감집단과 낮은 공감집단 모두 행복 얼굴표정을 분노나 두려움 얼굴표정보다 더 낮은 강도에서 인식하였다. 안구운동의 경우, 높은 공감집단이 낮은 공감집단보다 행복 얼굴표정에서 입 영역에 시선을 더 자주, 오랫동안 고정시켰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높은 공감집단이 행복 얼굴표정을 더 정확하게 인식하였으며, 행복 얼굴표정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 입과 입주위의 단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높은 공감능력을 지닌 사람이 긍정 정서를 더 정확하게 인식하고 긍정 정서를 인식할 때 얼굴의 특징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s recognize the facial expressions of increasing intensity and determine which areas of the face stimulates the recognition of emotion by empathy ability using an eye-tracker. The participants who were high empathy group (N=18) and low empathy group (N=18) viewed sequences of pictures of neutral faces (0% expression) that changed to happy, fearful, or angry faces of full-intensity (100% express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the facial expression as soon as they were able to recognize what it was and were measured eye movements for determining which areas of the face provoke the recognition of emotion.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empathy group recognized happy face more accurately and displayed significantly increased fixations and dwell time on the mouth area in happy face than the low empathy group. The findings of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ividual with higher empathy ability recognize positive facial expression more accurately and use facial features more efficiently when recognize positive emotional face.

      • KCI등재

        동성애자의 얼굴표정 정서인식과 사회불안

        양재원,임민경,양은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6 인지행동치료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동성애자들의 사회불안의 정도를 확인하고, 사회불안과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정확성, 민감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정확성과 민감성은 양재원과 오경자(2009)의 실험패러다임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몰핑 기법을 이용하여 기쁨, 슬픔, 화남, 두려움의 네 가지 정서의 다양한 정서 강도를 가진 얼굴표정 자극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를 중립적 얼굴표정에서 더 강한 정서를 가진 얼굴표정의 순서대로 제시하거나(상향과제), 강한 정서에서 중립적인 얼굴표정으로 변화하는 방식으로 제시하였다(하향과제). 이 과제를 통해 피험자들이 정서가 나타나는 것 혹은 사라지는 것을 인식하는 정서 강도를 측정하여 정서인식의 민감성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그 정서를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여 정서인식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동성애자들은 이성애자들에 비해 더 높은 사회불안을 보였으며, 남성 동성애자들의 경우 이성애자들에 비해 슬픔, 분노, 기쁨 정서인식의 민감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성애자들의 사회불안과 얼굴표정 정서인식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남성 동성애자의 경우에는 사회불안과 분노 정서의 정확성 간의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으며, 여성 동성애자의 경우에는 사회불안과 기쁨 정서 민감성의 부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이런 경향은 우울을 통제하고도 유의하였다. 동성애자들이 높은 사회불안을 보이는 것, 그리고 그것이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민감성, 정확성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그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social anxiety in lesbians and gay men and their relationship with facial emotion recognition compared to heterosexuals. To measure their facial emotion recognition, we used Yang and Oh(2009)’s experiment paradigm. In their experiment, happy, sad, angry, and fearful emotional faces with diverse emotional intensities were created by using morphing technique. In ascending trials, facial emotion stimuli were presented from neutral to more intensive ones. The reverse sequence was used in descending trial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when they noticed a presence of a certain emotion in ascending trials and a disappearance of an emotion in descending trials. Additionally, they judged which emotion they recogniz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social anxiety was higher in lesbians and gay men than in heterosexuals. In particular, gay men recognized sadness, anger, and happiness with lower sensitivity compared to heterosexual men. Moreover, the levels of social anxiety of gay me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ccuracy of recognition of angry facial emotion. On the contrary, social anxiety symptom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ensitivity to happy facial emotion in lesbia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기에서의 역할의 인식과 정서 반응 - 인지주의 정서론의 응용을 중심으로 -

        임유영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3 No.3

        본 논문은 연기에서의 역할의 인식과정에 대한 중요성을 환기하고 이에 대한 합리적 근거의 틀을 마련하고자 인지주의적 정서론의 입장에서 허구에서의 정서 인식과 반응을 고찰하고 이를 역할의 인식 과정에 활용하는 것을 연구한 것이다. 연기에 있어서 역할에 대한 인식은 역할 창조의 출발점이 된다. 배우는 역할을 인식함으로써 역할의 실재와 마주하여 역할의 삶에 참여하고 비로소 창조의 자극을 얻는다. 즉 배우는 역할을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역할의 삶과 정서를 포착하고 역할의 행위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동기를 제공받는 것이다. 그런데 배우가 역할을 인식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미묘한 것이 사실이다. 왜냐하면 허구의 극 세계에서만 존재하는 인물에 가깝게 다가가 그를 느끼고 상호작용을 통해 역할 창조에 요구되는 적절한 정서와 행위를 이끌어내야 하는 과정은 단순하거나 명료하지만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배우는 역할 창조에 있어 늘 배우 자신과 역할이라는 모호한 경계에서 혼란을 겪는다. 이는 배우가 역할이면서 동시에 자기 자신이기도 한 이중적 정체성을 가지는 연기의 속성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역할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역할의 마음과 행동을 불러일으키는 정서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은 연기 행위의 전제로써 배우가 자신에서 역할로 전환 되어가는 경로에서의 혼란과 갈등을 해소하고 역할 창조의 체계를 마련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지주의 정서론을 도입 응용하여 배우가 역할의 정서를 이해하고 인식하는 데 대한 적절한 이해와 합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허구의 인식과 정서 반응의 과정에 대한 적절성과 타당성을 고찰하고 있는 인지주의 정서론은 정서와 허구의 문제를 아울러 다룸으로써 배우가 해소해야 할 문제, 즉 어떻게 허구의 역할을 인식하고 정서 반응을 일으킬 것인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또한 배우가 ‘역할을 연기하는 자’로서의 자신을 자각하여 역할과의 거리를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오히려 역할의 개별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인식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그에 대한 결과로서 역할에 대한 인식 과정을 체계화하여 명확한 역할 인식이 창조의 출발점이며 연기의 기능적 수단으로서도 필수 불가결한 과정임을 논증 하고자 하는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perception of emotion and reaction in fiction which adopted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 with respect to how actors perceive fiction in order to create a role, and can capture and embody the life of the role within the fiction. A role is a fictional character which only exists in a play and an actor completes creating a role through acting behaviors such as enacting a character in a play or transforming into a character in a play. In order to embody a role realistically, an actor approaches the role by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analysis, intuition, imagination and belief and such perception of a role becomes the beginning point of creating a role. An actor faces the reality of a role through perceiving the role and is engaged in the life of the role and finally derives the stimulus for creation. Perceiving a role correctly and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emotion affecting the role’s mind and action is a very important process which resolves confusion and conflict and builds the system of creating a role in the path of an actor switching from him/herself to the role as the premise of acting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perception of a role in acting by providing the frame of rational basis for the process of an actor perceiving a role and forming emotional reaction. This is for making an actor face a role actively and receiving the stimulus for creation within a frame of rational theory. In addition, it intends to demonstrate that clear perception of a role is a beginning point of creating a role and also an essential process as a functional means of acting.

      • KCI등재

        눈과 입의 표상 형태에 따른 유아의 연령별 정서 인식

        박영태 ( Young Tae Park ),하수연 ( Soo Yeun Ha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만 3, 4,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눈과 입의 표상 형태와 주변인의 정서 표현, 사전 정보에 따라 웃는 얼굴과 화난 얼굴의 정서 인식 정도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령별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의 J, K 유치원 만3, 4, 5세 유아 23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웃는 정서의 인식은 눈의 모습보다 입의 모습을 통해 더 정확하게 인식하고, 화난 정서의 인식은 입의 모습보다 눈의 모습을 통해 더 정확하게 인식한다. 웃는 입을 통한 웃는 정서의 인식은 연령별 발달 경향을 보여주나, 화난 눈의 모습을 통한 화난 정서인식의 정확도는 연령간에 차이가 없다. 둘째, 눈과 입의 동일한 정서 정보 제공은 화난 정서 인식이나 웃는 정서 인식 모두 연령의 차와 관계없이 높다. 셋째, 유아들은 눈과 입에서 각기 다른 정서 정보를 제공하면 정서 인식에 혼란을 일으키나 그 정도는 ‘화난 눈-웃는 입’의 정서 정보보다, ‘웃는 눈-화난 입’의 정서 정보에서 더 일어난다. 만3세 유아들은 ‘웃는 눈-화난 입’에서 웃는 정서 인식이 만4, 5세에 비해 정확도가 높음으로서 연령이 어린 유아들은 정서 판단을 입보다는 눈을 통해 먼저 인식하는 경향을 보인다. 넷째, 웃는 정서 인식은 주변 환경에서 제공하는 정서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정서 인식의 정확도가 보다 높으나 화난 정서 인식은 주변의 정서 정보유형과 관계없이 정확하다. 다섯째, 유아들은 사전에 들은 정서 정보에 따라 정서 인식에 큰 영향을 받는다. 영향을 받는 정도는 즐거운 정서보다 화난 정서가 더 높다. 만5세 유아가 만4, 5세유아보다 사전 자기 기분에 더 동조되는 경향을 보인다. The presented study examined differences of children`s perception of a smiling face and an angry face according to the form of eye and mouth, the expression of emotion of people around them, and advanced emotional information. Two hundred thirty one children aged from 3 to 5 years old at J and K preschool in Busan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orm of mouth rather than the form of eye had an effect on children`s perception of smiling emotion. The form of eye rather than the form of mouth had an effect on children`s perception of angry emotion. Children showed the development of cognition of smiling emotion according to a smiling face in ag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accuracy of angry emotion according to an angry face in age. Second, there was no influence of age in children`s angry emotion and smiling emotion according to similar information. Third, children were confused at different emotional expression of eye and mouth: `a smiling eye and an angry mouth`; `an angry eye and a smiling mouth`. Children were more confused at the face of `a smiling eye and an angry mouth` rather than the face of `an angry eye and a smiling mouth`. Moreover, the form of eye was priority when children accepted information of emotion of others because there was high accuracy of children`s cognition according to `a smiling eye and an angry mouth` in age. Fourth, when environment around children showed same emotional information, children cognized smiling emotion more accurately. However, children cognized angry emotion accurately regardless of emotional information around them. Fifth, advanced emotional information around children had a great effect on children`s perception. angry emotion rather than smiling emotion had an effect on children`s cognition.

      • KCI등재

        기혼자의 자아존중감,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과의 관계: 정서인식의 조절효과

        박상화,하창순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arch the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awareness of married person and to verify a moderating effect of the emotional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emotional difference according to sex was examined. For these purposes,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emotional awar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360 married couples in Daejeon and other areas were measured. The emotional awareness difference according to sex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emotional awar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ncluding sub-factors. Furthermore, marital satisfaction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self-esteem and conjugal communication. Second, at the emotional awareness difference according to sex, men appreciated the emotion more clearly than women. Third, as the result of verifying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marital satisfaction,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different influence of self-esteem and conjugal communication to marital satisfaction along with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ong with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when counseling intervention about marital satisfaction, it should differ the considered point about self-esteem which is personal characteristic and conjugal communication which is couple interaction behavior factor. Moreover, it has significances as the basis of intervention for emotional awareness in couple counseling or couple therapy and conjugal communication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a proposal of the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정서인식, 결혼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성별에 따른 정서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대전 및 기타 지역의 기혼자 36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정서인식, 결혼만족 수준을 측정하였고, 빈도분석을 통한 성별에 따른 정서인식 차이를 살펴보았고,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을 통한 정서인식의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정서인식, 결혼만족은 하위변인을 포함하여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은 결혼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정서인식의 차이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인식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서인식 수준에 따라 결혼만족을 위해 상담적 개입에서 개인의 특성인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상호작용 변인인 부부간 의사소통에 대한 고려점을 달리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부부상담 혹은 부부치료 장면에서의 정서인식적 개입과 이를 바탕으로 부부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개입의 근거로써의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조직지원인식과 직장 내 일탈행동의 관계: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기반 자긍심의 조절효과

        오아라,박경규,용현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조직지원인식이 구성원의 직장 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조직지원인식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정서적 몰입이 구성원의 직장 내 일탈행동(조직 일탈행동, 대인관계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조직지원인식과 직장 내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의 매개역할을 밝히고, 정서적 몰입과 일탈행동 간의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조절변수로 조직기반 자긍심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기업체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252부를 수집하였으며 회귀분석을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지원인식과 정서적 몰입 간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조직지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정서적 몰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몰입과 직장 내 일탈행동 간에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몰입이 구성원의 조직 일탈행동 및 대인관계 일탈행동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셋째, 조직지원인식과 직장 내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서적 몰입과 대인관계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의 선행요인임을 검증함으로써 조직지원인식을 정서적 몰입의 발생 동기로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조직지원인식을 통해 발생한 정서적 몰입이 구성원의 직장 내 일탈행동을 감소시키는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조직이 구성원들의 기여와 가치를 인정하고 이들의 복지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도록 노력을 촉구하는 한편 이에 부응하는 조직문화를 구축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조직지원인식이 구성원의 조직 및 구성원에 대한 부정적인 행동의 감소에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는 실증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한국판 정서 인식 수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소연(So-Youn Lee),박기환(Kee-Hwa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정서인식 수준을 실행기반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로 정서인식 수준 척도를 번안하여 한국어판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정서인식수준척도(LEAS)는 개인의 정서인식 수준을 제 3의 평정자가 신체감각, 행동경향성, 단일정서, 복합정서, 그리고 복합정서의 조합이라는 5단계로 평가한다. 방법 임상 및 상담심리 전문가 3인의 번역후 이중언어 사용자의 역번역 및 원저자 확인을 통해 한국판 정서인식척도(K-LEAS)의 시나리오를 확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대학생으로 총 218명의 자료가 분석되었고, 2명의 평정자가 K-LEAS 점수를 평정하였다. SPSS를 이용해 척도의 평정자간 일치도, 내적 일치도를 분석하였고, 타당도 분석을 위해 TAS-20, TMMS, DASS-21, NEO-PI-RS와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과 언어-문화간 LEAS 점수차를 확인하기 위해 t-검증 및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K-LEAS는 높은 평정자간 일치도와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또한 K-LEAS는 TAS-20, TMMS 등 기존의 자기보고식 설문지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고, NEO-PI-RS 중 개방성과만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K-LEAS는 우울, 불안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국가별 비교에서 한국 대학생의 LEAS점수는 미국 대학생의 점수와 비슷하고, 일본의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K-LEAS는 충분한 신뢰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기존의 자기보고식 정서인식 척도와는 수렴타당도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K-LEAS가 자기보고식 척도와는 다른 차원의 정서인식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시사된다. 그동안 한국의 정서관련 연구는 주관적인 자기보고식 설문 연구에 지나치게 의존해 온 경향이 있는 바, 보다 객관적으로 개인의 정서인식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수행 기반의 평가도구로서 K-LEAS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Scale (LEAS) was developed to assess the emotional awareness construct, based on a cognitive-developmental persp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LEAS (K-LEAS) and prov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Through data from 218 university students, inter-rater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K-LEAS were analyzed. Criterion validity were analyzed by the relationships with TAS-20, TMMS, DASS-21 and NEO-PI-RS. Results The results Showed high inter-rater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K-LEAS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ASS-21 and total score of TAS-20, except externally-oriented thinking subscale in TAS-20. K-LEA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nly openness among NEO-PI- RSsubscales. In addition, women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men on K-LEAS, supporting the cross-cultural consistency in gender difference. In comparison between countries, the level of emotional awarenes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as similar to that of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and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s Although K-LEAS has sufficient reliability, it does not show convergent validity with existing self-report scale, which is suggested that K-LEAS measures emotional awareness ability in a different dimension from the self-report scale. Until now, Korean emotional research has tended to rely too much on self-report questionnaire research, and K-LEA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tool to evaluate individual emotional awareness ability not only in a subjective manner but also in objective performance.

      • KCI등재

        아동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컴퓨터 게임중독간의 관계

        이은경,이지연,이경희,이은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9 청소년상담연구 Vol.17 No.1

        This study looked into how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intensity from among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experience are related to computer game addiction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against 404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 Also, the study aimed to seek ways to help children who are experiencing poor adaptation like game addiction by discovering the difference shown in computer game addiction according to the pattern and level of clusters and a profile by cluster in emotional experience, revealed around the average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intensity. With collected data, by using the SPSS 15.0 program, undertook the t-test in order to determine any difference in the average among each of the variables between genders. In addition, so as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among research variables (emotional clarity, emotional intensity, and computer game addiction), the study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Then, the study performed a 2-step cluster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cluster pattern distribution by gender and a cluster profile, focusing on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intensity, and also carried out a one-way ANOVA so that it could discover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emotional experience by cluster, more in depth. A result of reviewing obtained four types of groups including a cerebral group, a cold group, a hot group, and an overwhelmed group. Next, in order to determin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game addiction among clusters separated by a cluster analysis, the study undertook th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An overwhelmed group with higher emotional intensity and lower emotional clarity relative to the other three clusters, was found to be highly probable to experience social isolation due to game addiction and the use of computer games as well as difficulties with scholastic, physical, and emotional problematic behaviors accompanying the use of computer games. Therefor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actically classified a group vulnerable to game addiction that seriously threaten child development, and proposed basic necessary data for use in adequate counseling and guidance for them. 본 연구는 정서경험 특성 중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강도가 컴퓨터 게임중독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성차에 따라 살펴보았으며,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강도가 조합되면서 어떤 자연발생적인 군집이 형성 되는지, 이러한 정서경험의 개인차가 컴퓨터 게임중독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 해 경기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생 총 404명이 연구에 참여했다. 성별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와 관계를 알 아보기 위해 t-test와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인식의 명확성에서는 남녀별 차이가 없었고, 정서강도 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수준의 정서강도를 나타냈다. 각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정서 인식의 명확성과 정서강도는 낮은 정도의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컴퓨터 게임중독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정서강도와 컴퓨터 게임중독 간에는 하위요인에서 낮은 정도의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어서,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강도를 중심으로 성별 군집 유형 분포와 군집 프로파일을 알아보기 위 해 2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군집별 정서경험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 집단(안정적 집단, 무딘 집단, 격렬한 집단, 압도되는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군집의 분포는 성별 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서경험의 수준에서도 군집별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 으로 군집분석을 통해 나누어진 각 집단이 컴퓨터 게임중독의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 기 위해 다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강도가 높고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낮은 압도되는 집단이 다른 세 집단에 비해 컴퓨터 게임중독으로 인한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언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