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WOT 분석을 통한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발전 전략 연구

        신승용 ( Seung Young Shin ),이문호 ( Moon Ho Lee ),김상연 ( Sang Yon Kim ),이신희 ( Shin Hee Lee ),김미량 ( Mi Rya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자 SWOT 분석을 시행하였다. SWOT 분석은 해외 사례 분석과 전국 713명에 이르는 교사와 각 시도 교육청별 교육정보 공유체제 관리자를 중심으로 한 설문과 협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해외 사례 분석을 위해 iTunes UK-12외 6개에 이르는 주요 교육정보 공유 사이트들의 우수사례를 교육정보 수집, 공유 분배 등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고, 교사와 관리자 중심 설문과 협의회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정보 공유체제를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를 근거로 현행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 및 개인 미디어의 확산, 소셜태깅기술의 대두를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개선 기회요인으로 제시했고, 저작권에 대한 낮은 인식과 수동적 교육정보컨텐츠 소비층, 중앙집중적 교육컨텐츠 관리방식을 위협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안정적 확산을 위해 기술의 변화와 더불어 개방, 공유, 소통 및 참여의 키워드 수용, 콘텐츠의 일방적 제공, 관리체제에서 공유와 협력으로의 인식 전환, 콘텐츠 증가에 따른 원활한 소비 유통을 위한 저작권 문제 등을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SWOT analysis for the purpose of seeking a developmental strategy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Korea. SWOT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survey and consultation centering around analysis on the foreign cases, 713 teachers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administrators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roughout the nation. As for the analysis of foreign cases,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n the excellent cases of 6 main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ites including iTunes UK-12 in accordance with phases of collection, sharing and distribution and analyz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and conference conducted focusing 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drawn from the foregoing, this study produc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Meanwhile, this study suggested expansion of digital textbook and personal media, and the rise of social tagging technology as opportunity factors for improvement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but suggested low understanding of copyright, passive consumers of educational information contents and centralized management method of educational contents as threat factor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opening, sharing, cooperation and acceptance of participatory keywords, unilateral supply of contents, conversion of understanding from management system into sharing and cooperation and the problem of copyright for smooth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contents tasks to be solved on the preferential basis for stable expans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 KCI등재

        개인정보 보호와 공유자원 관리

        이항우(Hang-woo L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17 No.1

        본 연구는 최근 커뮤니티 포털 산업의 발전에 따라 그 필요성이 점점 더 제기되고 있는 사이버공간 속 개인정보의 성격변화와 그 보호방안에 대한 고찰의 일환으로 씌어진 논문이다. 이 논문은 우선 개인정보를 인권, 사적이고 개인적인 재산권 혹은 상품, 그리고 공유재로 파악하는 관점을 비교한다. 다음으로, 공유자원 체계의 관리방안과 공유재와 연관된 재산권 유형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개인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개인정보 침해유형으로 간주하는 사항들을 공유자원 체계의 관리방안과 공유재와 연관된 재산권 행사범위와의 관련성 속에서 논의한다. 이 논문은 오늘날 다양한 추적ㆍ감시 기술이 사회적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개인정보가 점차 경제적 재화 혹은 상품으로 취급되고 있는 상황에 주목하여, 우리는 더 이상 개인정보를 순전히 개인의 재산으로 간주하고 프라이버시를 순수하게 사적인 권리로만 파악할 수 없으며, 사이버 공간에서 개인정보는 공유재로 이해해야 한다는 관점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개인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개인정보 침해유형으로 지정한 사례들을 인터넷 커뮤니티 포털을 비롯한 회원에 바탕을 둔 기업들이 축적한 회원정보에 대한 재산권 행사의 범위와 한계를 명시한 것으로 이해한다. 위의 법률이 개인정보라는 공유재와 인터넷이라는 공유자원 체계를 심각하게 훼손하거나 파괴하는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공유자원 디자인 원리를 공유재와 관련된 재산권 행사의 범위와 한계에 대한 법률로 더욱 엄밀하게 설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밝힌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natur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ts design principles in cyberspace. In so doing, it, first, compares personal information as a private and individual property or goods with one as a common goods. Second,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principles of common-pool resources and property rights most relevant for the use of common-pool resources. Third, it discusses the types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under the Encouragement of the Use of Communication Networks and the Secur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Act of 2001 in a close connection to the design principles of common-pool resource systems and the property rights relevant for the use of common-pool resources. As more and more surveillance technologies are adopted into various fields of our everyday social life, our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are more and more becoming vulneralbe to eyes of multiple surveillant agencies including Internet community portals. Yet peoples' interests in protecting their personal information are paradoxically loosing momentum. Given that, we may need to employ, instead of considering personal information as a pure private and individual property, a viewpoint that regards personal information as a common goods. To some extent, the law mentioned above can be interpreted as an effort to prescribe the scope and the limit of property rights that member-based industries such as Internet community portals may use personal information of members they collected in their sites. Although the Act of 2001 legally supports the effort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s a common goods and the Internet as a common-pools resource system from seriously violated and destroyed, there have still been reported many cases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regarding it as a pure personal and private property at the owner's disposal.

      • KCI등재

        온라인상에서 정보공유 의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보 중요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정보화정책 Vol.20 No.1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서 신뢰와 상호성 규범이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오프라인의 면대면 정도를 선행요인으로, 정보 중요성을 조절변수로 설정한 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오프라인의 면대면 정도는 온라인상의 동일시기반 신뢰와 상호성 규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대면 정도로부터 영향을 받는 동일시기반 신뢰와 상호성 규범 중에서 상호성 규범이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동일시기반 신뢰는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의 관계에 유의적 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호성 규범은 정보공유 의도가 매개된 경우에 정보공유 행동과 유의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중요성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조절변수의 개입이 배제된 상태보다 개입된 경우에 더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정보의 중요성 정도에 따라 상호성 규범과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의 관계가 변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face-to-face offline on identification-based trust and reciprocity norm in online world, and the effect of identificationbased trust and reciprocity norm on the intention and behavior of sharing information in online world.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rol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was established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undergradu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face-to-face in offline world affects identification-based trust and reciprocity norm in online positively. A reciprocity norm of identification-based trust and reciprocity norm in online world affected by interpersonal face-to-face in offline worl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and behavior of sharing information in online, but showed that identification-based trust does not affect them significantly. And reciprocity norm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through th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It was found to be a partial moderating effect of importance of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reciprocity norm and the intention and behavior of sharing information.

      • KCI등재

        공급사슬내의 정보공유가 ERP 도입에 미치는 영향 : 자동차기업 사례를 바탕으로

        송장근,김광석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0 산업혁신연구 Vol.26 No.4

        정보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ERP는 전자상거래 및 공급사슬관리와 연계되면서 확장된 ERP시스템으로 나아가고 있다. 다양한 거래업체와 거래부품종류가 방대한 자동차부품산업에서 ERP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업외부와 정보공유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ERP 도입이 기업 간 정보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례기업(현대모비스)을 선정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모비스의 구매업체와 협력업체의 인터뷰, 업무관찰, 각종 데이터 분석 통해 양 조직 간의 정보공유와 관련된 업무의 큰 틀과 각 업무들의 세부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각각의 프로세스에서 공유되어지는 정보 분석 한다. 협력업체간 정보공유의 정도와 요구정보, ERP 도입에 따른 정보공유의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ERP의 기능 중 정보공유와 관련된 공급사슬을 중심으로, 정보공유성과가 ERP 도입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공급사슬 내에 공유되는 정보의 수준이 높을수록, 그것으로부터 높은 성과가 기대되고, 그러한 공급사슬 내 정보공유성과와 미래에 요구되는 정보공유수준이 ERP 도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설명해주는 통합적인 모델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모델은 공급사슬 내 기업들이 어떠한 동기로 ERP를 도입하는 것인지를 정보공유측면에서 설명해주는 학문적·실무적 공헌을 하고 있다.

      • KCI등재

        소비자의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정보요구의 영향요인 연구

        이영희,류미현,이승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4

        세계적으로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유경제라는 경제시스템이 등장하였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공유경제 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관련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용만족 과 불안 및 불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비자정보 측면에서의 연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소비자들의 공유경제 서비스 관련변수인 지각된 위험, 지각된 인식, 주관적 지식, 이용 편의성에 대해 파악 하고,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정보요구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공유경제 서비스 관련변수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소비 자들의 공유경제 서비스 정보요구에서는 직접적인 이용과 관련된 이용방법, 결제, 가격에 대한 정보요구가 높았 으며, 개인정보보호, 피해구제관련 정보요구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공유경제 서비스 정보요구에 대한 관련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공유에 대한 신뢰관련 지각된 위험, 지각된 인식, 이용 편의성, 주관적 지식과 월평균소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향후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용이성 및 유용성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며, 기업에서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공유경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 new economic system, sharing economy, has emerged to overcome the worldwide economic crisis, and with the recent increased interest in the sharing economy in South Korea,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Accordingly, the need of research in terms of consumer information is highlighted to ensure consumer satisfaction with and reduce consumer anxiety and complaints about sharing economy services. Thu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onsumer variables in relation to sharing economy services, which are perceived risk, perceived awareness, subjective knowledge, and ease of use, and analyzed information needs for and factors influencing such services.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variables in relation to sharing economy servi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among consumers’ information needs for sharing economy services, the information needs for method of use, payment, and price that are involved in direct use of these services were at a high level, while thos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damage relief were relatively at a low level. Third, when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variables were examined, perceived risk to confidence in sharing, perceived awareness, ease of use, subjective knowledge, and average monthly income were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These findings may be helpful in increasing the ease of use and usefulness of sharing economy services and assist companies in systematically building and providing sharing economy services-related information that meets consumers’ needs.

      • KCI등재

        정보교류체제, 지식공유와 지식활용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문중,권기환 한국기업경영학회 2015 기업경영연구 Vol.2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 and knowledge sharing/knowledge application influence on performance within a general team system by means of empirical analysis.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related effects of team learning behaviour on transactive memory system and the latter on performance. Also, it verifies the role of transacitve memory system as a mediator between team learning behaviour and performance, while recognizing its effect on team cohesive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manufacturers based on the Seoul Capital Area and were analyzed to find out both correlation and causation among variables by using SPSS Ver.18.0 and AMOS Ver.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of professionalism and task coordination of TMS have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Second, both of professionalism and task coordination of TMS have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application. Third, knowledge sharing influences on knowledge application. Fourth, task coordination of TMS have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Fifth, only knowledge applic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erformance, but not in the case of knowledge sharing. The result implicates that knowledge sharing per se does not have to do with performance, but that knowledge should be shared and applied in order to ameliorate performance. Last but not least,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application shows that knowledge application, knowledge sharing and the indirect effect of knowledge application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professionalism and task coordination of TMS.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problem with the generalization of results, constraining of time and cost, sampling is limited in metropolitan manufacturer by applying the extraction method opportunistic. Second, as collection of data was done by survey method and self-report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 there is a risk on the data by the respondent’s social desirability in this research. 현대기업조직에서 팀제가 보편화되고 팀 역량의 향상을 위해 정보교류체제와 지식의 공유와 활용이 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정보교류체제는 구성원간에 지식교류를 사회적 네트워크로 인식하고 구성원간 지식과 정보가 어떻게 공유되는지를 설명하는 유용한 개념이 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팀제 구성원을 대상으로 정보교류체제와 지식공유/지식활용이 팀 성과와의 관계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교류체제와 지식공유 간의 검정결과에서 정보교류체제의 전문성과 지식공유(가설1.1), 과업조정과 지식공유(가설1.3)는 정(+)의 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성원들의 전문적 지식과 다양한 지식의 조합능력은 팀구성원들이 직무를 수행하거나 목표달성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지식, 경험 등을 상호간 공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둘째, 정보교류체제의 요인들과 지식활용간의 검정결과에서 정보교류체제의 전문성과 지식활용, 과업조정과 지식활용은 정(+)의 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종업원들의 역량을 높이고 조직에 공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원들의 지식공유와 지식활용을 강화하려면 정보교류체제의 전문성과 과업조정요인에 초점을 맞추어야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지식공유는 지식활용에 정(+)의 효과를 미치고 있어 이는 구성원간 지식이 활용되려면 지식공유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정보교류체제와 팀 성과간의 관계에서는 정보교류체제의 과업조정만이 정(+)의 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식공유와 지식활용의 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에서 지식활용만이 성과에 정(+)의 효과를 미치고 있다. 이는 구성원들간 지식의 공유가 공유만 될 뿐 성과와 무관하며, 공유된 지식보다는 지식활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지식공유와 활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에서 지식공유의 간접효과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지식활용, 지식공유/지식활용의 간접효과 영향은 정보교류체제의 전문성과 과업조정요인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6, 가설7, 가설8의 매개효과검증에서 가설6의 지식공유요인이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은, 이는 단순히 구성원들의 지식공유(knowledge sharing)는 지식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는 과정으로, 구성원사이에 지식의 공유 자체로 끝나기 때문으로 해석되어진다. 그 반증으로 지식활용과 지식공유/지식활용은 전문성과 과업조정요인에서 매개역할이 존재하는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므로 정보교류체제와 성과사이에서 구성원들이 보유한 기존 지식이 활용될 때 조직공헌도가 높아지며 성과도 개선되므로, 지식의 공유가 아닌 활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공공기관 간 정보공유에 대한 태도

        왕재선(王載善),문정욱(文晸郁)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3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정보공유에 대한 장애요인과 편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그들의 정보공유에 대한 태도를 유형화하였다. 먼저 정보공유에 대해서 중앙부처 공무원들은 정보공유의 장애요인 중 보안상의 장애요인을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조직적 장애요인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정보공유의 편익에 대해서는 기술적 편익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반면 정치적 편익은 가장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즉 정보공유는 업무처리의 단축과 같은 조직 내부의 관리적인 편익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 받는 반면 타 기관과의 업무조정이나 갈등완화 등의 편익은 낮게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정보공유를 통해 업무상의 효율성 뿐 아니라 기관간의 협력을 제고시키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전자는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 받는 반면 후자는 아직도 정보공유의 역할이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공유의 장애요인과 편익에 대해서 높게 인식하는 집단과 낮게 인식하는 집단을 구분하여 확신형, 의심형, 회의형, 무관심형 등 네 가지로 유형화 하였다. 중앙부처 공무원의 정보공유에 대한 태도는 의심형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무관심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공유에 대한 태도에서 무관심형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중앙부처 공무원들이 정보공유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보공유에 대한 교육과 함께 이를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인센티브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정보공유에 대해서 확신하는 집단이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으로써 정보공유에 대한 태도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공유의 시행과정에서 근본적으로 정보공유의 활용주체들의 인식 및 태도전환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surveyed government officials over the losses and benefits of information sharing and then categorized their attitude towards information sharing. Those working for the central government regard security vulnerability as the most serious loss in information sharing and structural barriers as the second most serious one. In terms of benefits of information sharing, technological benefit is considered the largest and political one the smallest. That is, information sharing is believed to create more benefits in managing organizations such as speedy handling of government affairs but less benefits in cooperating with other agencies and settling disputes. The objective of information sharing is to enhance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and increase efficiency of tasks but information sharing highly contributes to the former objective but still not to the latter one. In this study, there are two groups in terms of the views on information sharing: those who believe losses and benefits of information sharing are high and those who believe they are small. These groups are sub-categorized into four: Positive Group believes information sharing brings large benefits and small losses; Doubtful Group considers both benefits and losses to be huge; Negative Group believes benefits are small and losses are large; Indifferent Group considers both benefits and losses to be small. Among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Doubtful group was the largest and Indifferent Group was the next largest. The large number of officials who belong to the Indifferent Group means many of them do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haring. Therefore, information sharing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along with system and incentives designed to promote the education. Furthermore, Positive Group was the smallest, indicating generally negative views on information sharing. It means that the mind-set and attitude towards information sharing should change before they engage in information sharing.

      •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감정 전이(emotional contagion)에 따른 정보 공유 활성화 정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

        박민정,이한솔,채상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6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1

        온라인 커뮤니티의 등장은 온라인 환경에서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자기 표현 기회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상호간의 활발한 정보 공유를 가능하게 하였 다. 과거, 사용자의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의 주된 목적이 개인의 감정 및 의사표현 기반의 친목과 사교 활동이었다 면, 최근 지식 획득 중심으로 변화하며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정보 공유 활동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이 변화된 사용자의 온라인 커뮤니티 주된 사용 목적과 타인의 정서를 무의식적으로 인지 및 공감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감정의 전이 현상에 주목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나타나는 구성원의 감정 전이는 타인은 물론 전체 커뮤니티의 분위기 형성까지 영향을 주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원들의 감정 전이가 전체 분위기를 형성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특성이 실제 구성원들의 정보 공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있 다. 이는 오늘날 지속적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구성원들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보이는 차별화된 감정 상태와 이러한 개인의 심리가 다른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들어,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커뮤니티 및 소통 채널이 빠르게 등장함에 따라 향 후, 구성원들의 원활한 정보공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온라인 커뮤니티 기반의 정보 공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구성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전파 및 전이하는 감정의 종류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 공유의 활성화 정도를 파악하고자 다음의 가설을 제시한다. H1.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긍정적인 감정의 전이 정도가 증가할수록, 이들의 정보 공유 정도는 증가할 것이 다. H2.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부정적인 감정의 전이 정도가 증가할수록, 이들의 정보 공유 정도는 증가할 것이 다. H3.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중립적인 감정의 전이 정도가 증가할수록, 이들의 정보 공유 정도는 증가할 것이 다. 앞서 제시한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특정 온라인 커뮤니티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다. 선정된 커뮤니티의 게시글에 감성 분석을 실시하여 구성원들이 주로 전이하는 감정의 종류를 긍 정/부 정/중립의 세 가지로 분류한다. 추가적으로 실제 정보 공유의 목적을 가지는 게시글을 파악하여 구성원들의 감정 전이로 인하여 형성된 온라인 커뮤니티 전체의 분위기가 구성원의 정보 공유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종적으로 도출하게 된다. 해당 연구 가설에 대하여 본 연구는 긍정, 부정의 감정 전이가 높을수록 정보 공유 활성화 정도는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감정의 전이 종류와 상관 없이 전이 정도가 증가하는 것은 구성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정도가 높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기반으 로, 구성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의지 증가는 정보 공유 활동을 유도하는 선행 단계로 보기 때문이 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또한 긍정적인 감정의 전이보다 부정적인 감정의 전이가 높은 상태에서 구성원들의 정보 공유 활성화 정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하며 해당 부분에 주목하고자 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도입 초기에 는, 제한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구성원들의 부정적인 감정이 만연될수록 이들의 참여 의지를 감소시키는 등, 부정적 감정의 전이는 커뮤니티 참여 기피의 주요 원인이었다. 하지만 최근, 사용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사용이 보다 늘어나며, 온라인 환경에서 구성원들의 부정적인 감정의 표출이 수월해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변화된 온라인 커뮤니티의 분위기는 타인의 의견에 쉽게 반박을 할 수 있는 논쟁의 장으로 변모되며, 과거와는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사용 패턴을 나타나게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의 전이는 사용자의 의사를 쉽게 표출할 수 있는 환경을 형성하게 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온라인 환경은 더욱 능동적인 사용자의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의지와 구성원들의 정보 공유 활동을 더욱 증가시킬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구성원이 직접적으로 감정을 표출하는 ‘자기표현’ 에 따른 정보 공유 의지를 밝히는 것에 집중되어 있 다. 하지만 본 연구는 구성원들이 게시하는 글의 어조를 우선적으로 분석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된 온라인 커뮤니티 분위기가 이들의 정보 공유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는 점에서 관련 연구 범위를 확장시킨다. 또한 감정 전이 및 온라인 커뮤니티 관련 선행 연구 대부분은 개인의 인지수준에서 측정이 가능한 긍• 부정에 초점을 둔 반면에 본 연구는 개인이 표현한 중립의 상태를 실증적으로 분석 가능한 연구 대상으로 포함하여 관련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향 후, 본 연구 결과는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활발한 정보 공유 장려 및 친사회적인 행동(prosocial behavior)의 원인을 파악하여 건전한 커뮤니티 분위기 형성 마련의 토대를 제공한 다.

      • KCI등재

        정보공유의 장애요인에 대한 분석

        왕재선(王載善),문정욱(文晸郁)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7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0 No.1

        현대 사회에서의 행정은 환경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의 증가로 인해 부처가 단독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업무영역이 축소되고 있다. 이는 곧 부처 간의 협업을 통한 업무처리가 더욱 강조되는 이유가 되며, 부처 간 협력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처 간 협력을 위해서 정보공유는 핵심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왜 정보공유의 시작과 유지가 어려운 것인가?’, ‘정보공유를 어렵게 만드는 원인은 무엇인가?’, ‘정보공유의 장애요인은 무엇인가?’ 의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것을 통해 정보공유의 촉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부처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이 정보공유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정보공유의 장애요인과 정보공유 자체가 유발하는 편익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또한 정보공유의 주체를 공공기관 간, 공공-민간 간으로 구분하여 주체 간 차이에 따른 정보공유 촉진과 장애요인상의 차별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정보공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핵심적으로 보안, 조직적 장애요인의 제거가 시급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정보유출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조직 간의 신뢰와 협력 관계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보공유의 주체와 유형, 긍정・부정 집단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해서 집단을 구분하여 차별적인 장애요인 제거 전략도 병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Public administrations of ministry alone in modern society are being reduced by the complexity of the environment and increasing uncertainty. This is the reason why the cooperation between ministries is more emphasized and the necessity of collaboration among ministries is becoming more urgent. Information sharing is a key issue for these ministries to work toge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rategy for promoting information sharing through seeking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of ‘Why is it difficult to start and maintain information sharing?’, ‘What makes information sharing difficult?’, ‘What are the barriers to information shar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ception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perceptions of these barriers by dimension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rriers of each dimens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benefits of information sha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fferentiation of barriers between promoting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subjects by dividing the subject of information sharing between public agency and public - private sectors. As a result of analysis, in order to activate information sharing, it is necessary to remove security and organizational barriers urgently.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information leakage should be solved, and the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should be formed.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discrimination groups should be separated by various criteria such as subject and type of information sharing, affirmative or irregular group, and discriminatory factor should be eliminated.

      • KCI등재

        정보공유를 통한 성과형성모델 : 자산전용성과 정보공유가 공급사슬 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송장근(Jang-gwen Song),김광석(Gwang-suk Kim) 韓國生産管理學會 2010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erformance Formation Model through Information Sharing.’ In the model, asset specificity is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an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haring play roles of the mediators, and SCM (Supply Chain Management) performance is the dependent variable. In Preliminary Stud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and SCM performance was identified using the data from Delphi Korea Corp. In Study1, which extended the Preliminary study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HYUNDAI Mobis, not only the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but also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haring was verified 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SCM level. In Study2, we examined ‘the Performance Formation Model through Information Sharing’using the data from Kyeryong Construction Corp. Finally, we statistically proved (1) asset specificity affects (2) the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and (3) the important of information sharing, and then (2) & (3) affect the SCM performance.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통합적 정보공유 성과모델’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정보공유(information sharing)를 통하여 SCM (Supply Chain Management)내 성과를 향상시켜 줌을 증명하고, 그 현상을 설명해 주는 요소로 자산전용성(asset specificity)을 선정하여 그간의 이론적 관계를 가설로 설정하였다. 즉, 자산전용성이 독립변수로서, 정보공유수준과 정보공유중요도는 매개변수로서, 종속변수 SCM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로 설정하고, 이를 증명하는‘정보공유를 통한 성과형성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 정보공유를 통한 공급사슬의 효율적 관리에 관한 연구를 제고시키는 학문적 공헌과 함께, 국내외 기업들에게 공급사슬관리를 위한 설명력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 실무적 기여가 크다고 할 수 있다. Preliminary Study에서는 정보공유수준과 SCM성과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Study1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정보공유 수준과 함께 정보공유중요도가 SCM성과를 설명해주는 유의한 요소인지를 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Study3에서는 (1)자 산전용성은 (2)정보공유수준과 (3)정보공유중요도에 영향을 주고, (2)정보공유수준과 (3)정보공유중요도는 완전매개변수 로 SCM성과에 영향을 주는 관계를 확인하였고, 이를 ‘정보공유를 통한 성과형성모델’로 확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