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해 대륙붕 PZ-1 시추공 주변 현무암 대지 구조의 CO<sub>2</sub> 지중저장용량 평가

        신승용,강무희,신영재,정순홍,Shin, Seung Yong,Kang, Moohee,Shinn, Young Jae,Cheong, Snons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1

        CO<sub>2</sub> 지중저장은 현재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CCS(Carbon Capture & Storage) 저장기술 중 가장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지중저장 대상 염대수층은 일반적으로 CO<sub>2</sub>가 초임계상태로 저장될 수 있는 지하 800 m 이상의 심도에 위치하고, 그 상부에 지표로의 CO<sub>2</sub> 누출을 막는 광역적인 불투수성 덮개암층이 분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남해 대륙붕 탄성파 및 시추공 자료를 해석하여 덮개암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현무암층과, 하부 염대수층이 발달하고 있는 현무암 대지 구조를 CO<sub>2</sub> 지중저장 유망구조로 제시하였다. 연구지역 주입대상 염대수층의 지중저장용량을 평가하기 위해 총 공극률은 시추공 감마 및 음파검층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염대수층 구간의 온도/압력 조건을 고려하여 CO<sub>2</sub> 밀도를 계산하였다. 정확한 주입대상 염대수층의 체적을 산정하기 위해 x, y, z 축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3차원 지질 격자 모델을 구성하였고, 염대수층 3차원 공간의 물성 분포를 지구통계학적 기법으로 예측하는 물성 모델링을 수행하여 총 공극률 값을 지질 격자에 할당하였다. U.S. DOE 방법을 이용하여 남해 대륙붕 현무암 대지 구조의 CO<sub>2</sub> 지중저장용량 평가 결과 평균 약 8,417만 CO<sub>2</sub>톤(최소 4,207만 ~ 최대 1억 4,379만 CO<sub>2</sub>톤)이 주입대상 염대수층 구간에 저장 가능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CO<sub>2</sub> geological storage is currently considered as the most stable and effective technology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The saline formations for CO<sub>2</sub> geological storage are generally located at a depth of more than 800 m where CO<sub>2</sub> can be stored in a supercritical state, and an extensive impermeable cap rock that prevents CO<sub>2</sub> leakage to the surface should be distributed above the saline formations. Trough analysis of seismic and well data, we identified the basalt flow structure for potential CO<sub>2</sub> storage where saline formation is overlain by basalt cap rock around PZ-1 exploration well in the South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To evaluate CO<sub>2</sub> storage capacity of the saline formation, total porosity and CO<sub>2</sub> density are calculated based on well logging data of PZ-1 well. We constructed a 3D geological grid model with a certain size in the x, y and z axis directions for volume estimates of the saline formation, and performed a property modeling to assign total porosity to the geological grid. The estimated average CO<sub>2</sub> geological storage capacity evaluated by the U.S. DOE method for the saline formation covered by the basalt cap rock is 84.17 Mt of CO<sub>2</sub>(ranges from 42.07 to 143.79 Mt of CO<sub>2</sub>).

      • KCI등재

        SWOT 분석을 통한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발전 전략 연구

        신승용 ( Seung Young Shin ),이문호 ( Moon Ho Lee ),김상연 ( Sang Yon Kim ),이신희 ( Shin Hee Lee ),김미량 ( Mi Rya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자 SWOT 분석을 시행하였다. SWOT 분석은 해외 사례 분석과 전국 713명에 이르는 교사와 각 시도 교육청별 교육정보 공유체제 관리자를 중심으로 한 설문과 협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해외 사례 분석을 위해 iTunes UK-12외 6개에 이르는 주요 교육정보 공유 사이트들의 우수사례를 교육정보 수집, 공유 분배 등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고, 교사와 관리자 중심 설문과 협의회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정보 공유체제를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를 근거로 현행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 및 개인 미디어의 확산, 소셜태깅기술의 대두를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개선 기회요인으로 제시했고, 저작권에 대한 낮은 인식과 수동적 교육정보컨텐츠 소비층, 중앙집중적 교육컨텐츠 관리방식을 위협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안정적 확산을 위해 기술의 변화와 더불어 개방, 공유, 소통 및 참여의 키워드 수용, 콘텐츠의 일방적 제공, 관리체제에서 공유와 협력으로의 인식 전환, 콘텐츠 증가에 따른 원활한 소비 유통을 위한 저작권 문제 등을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SWOT analysis for the purpose of seeking a developmental strategy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Korea. SWOT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survey and consultation centering around analysis on the foreign cases, 713 teachers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administrators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roughout the nation. As for the analysis of foreign cases,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n the excellent cases of 6 main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ites including iTunes UK-12 in accordance with phases of collection, sharing and distribution and analyz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and conference conducted focusing 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drawn from the foregoing, this study produc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Meanwhile, this study suggested expansion of digital textbook and personal media, and the rise of social tagging technology as opportunity factors for improvement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but suggested low understanding of copyright, passive consumers of educational information contents and centralized management method of educational contents as threat factor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opening, sharing, cooperation and acceptance of participatory keywords, unilateral supply of contents, conversion of understanding from management system into sharing and cooperation and the problem of copyright for smooth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contents tasks to be solved on the preferential basis for stable expans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 KCI등재

        로봇 활용 STEAM 교육에 참가한 초등학생들의 학습지속 요인분석

        신승용 ( Seung Young Shi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로봇을 활용한 STEAM 수업에서 ``도전과 기술의 조화``와 같은 플로우 요인이 학습자의 학습지속 태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TAM 모형을 적용해서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과학교과의 ``에너지와 도구`` 단원을 재구성했으며 모두 189명에게 적용하여 유효한 174명에 대한 설문만을 분석에 활용했다. 분석결과 학생들의 학습 몰입요인(도전과 기술의 조화 요인)은 학습의 유용성 보다는 학습의 용이성 요인에 영향을 더 주었고 이는 다시 학습의 가치성 요인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학습의 지속의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의 결과 파악된 시사점으로는 로봇을 STEAM 수업에서의 학습지속의도는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적절한 적극적인 태도와 로봇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STEAM 수업에 로봇이 도움을 주며 학습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치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학습의 용이성 및 도전과 기술의 조화 요인은 각각 학습지속의도 및 학습의 가치성 요인에 직접적인 (+)의 영향을 주지 못했다. 다만 두 요인은 유효한 범위 안에서 각각의 종속변수에게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것에 대한 분석결과도 포함시켰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pplying TAM model the process that flow factors such as ``harmony of challenge and technology`` exert effects on learners attitudes of keeping learning in STEAM class employing robots. For the study, the ``Energy and Tools`` chapter of the science textbook for the 6th grade`s second semester was re-arranged, and applied for 189 students, and among them, only the 174 usable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students`` learning immersion factor (factor of harmony of challenge and technology) had deeper effects on the factor of ease of learning than usefulness of learning and this in turn, had an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keep learning ultimately through the factor of value of learning as the study found. As a result of research, it was found that for indications identified, in order to use robots in STEAM class, for the students`` intention to keep learning, it`s essential for learners to have proper and active attitudes towards learning and basic knowledge of robots, and aspects of values should be considered that based on this, robot can assist in learning and affect results of learning in STEAM class.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of ease of learning and the combination of the challenge and technology do not gives direct (+)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and the value for learning, respectively. However, each of the two factor has indirect influence on each of the dependent variable within the significant range, which is the reason the author includ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 KCI등재

        프로그램교육 목적의 로봇게임 프로젝트 학습 구안에 관한 연구

        신승용 ( Seung-young Shin ),유상미 ( Sang-mi You ),김미량 ( Mi-ryang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9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활용이 가능한 학습도구로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로봇의 활용 방안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로봇은 다른 디지털 교구와는 달리 프로그래밍과 이를 통한 조작이 쉽다는 점에서 교수-학습목적의 차별화된 매체적인 특성을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컴퓨터 프로그램의 핵심인 알고리즘을 가르치기 위한 도구로서 로봇게임프로젝트 개발을 통해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구로 사용한 레고는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중앙제어장치, 센서 및 모터세트를 기계적으로 조합하여 로봇을 만들 수 있다. 개발한 프로젝트는 학생들이 6차시 수업을 통해 3개의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이들 각각은 알고리즘의 기본적 원리들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프로그램을 교실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하고 몰입의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인 초등학교 교실에서 직접 로봇을 조작하는 활동이 학교교육활동에 새로운 가능성을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하겠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 method to utilize a programmable robot, as a potential learning tool in the elementary school`s curricula. Due to their programmability and operational ease of use, programmable robots are among digital toys that today offer specially instructive features.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the robot game-based project contents as a tool for teaching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learn the algorithm, the essential part of computer programming. The LEGO material, selected as the construction kit for robot, consists of a mechanical assembly system, a set of sensors and actuators, a central control unit, a programming environment. The project requires the children to complete 3 separate tasks, each of which is develop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algorithm. The classroom feedback supports that the robotic experiences provided the children with fun and absorption. It is likely that implementing learning with robot in regular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 can bring new possibilities to the educational system, provided that a thorough preparation backs up the plan.

      • KCI등재

        로봇프로그래밍 학습참여자의 학습의도 구조모형 분석

        신승용 ( Seung Young Shin ),김미량 ( Mi Rya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를 통해서 시도하려는 학습자 분석은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활동에 참여한 학습자의 수업 참여 의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수업 참여 의도 분석을 위해서는 비즈니스영역에서 구매자 혹은 신기술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구매 또는 사용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한 분석틀인 TAM을 기반으로 하였고 여기에 플로우(flow)이론을 접목하여 학습자가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을 양적 분석 방법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의 한 방법인 PLS 분석을 통해서 양적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결과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및 ``플로우`` 요인 모두가 학습자의 수업 참여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했다. 종합적인 분석 결과 프로그래밍 수업에 대한 가치성에 대해서 학습자가 속한 집단 혹은 사회적인 공감대 형성과 더불어 교수-학습지원조직, 학습자를 고려한 학습과제 제시 등이 학습자의 프로그래밍 수업 참여의도에 실제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analysis on learners made through the study focuses on the intent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robot programming. Therefore, for the analysis of the learners` intention, which is tried in the study, TAM, the analysis tool used for understanding buying acts or buying intention of buyers in the business sector, is basically utilized, and the Flow theory is additionally applied, trying to know, through the quantum analysis methods, the factors to g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for learners to take part in the robot programming lesson. For this, a quantum analysis was made by PLS analysis, a kind of structural equation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such factors as ``recognized utility`` and ``recognized readiness`` and ``Flow`` gi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lesson. As the result of the synthetic analysis and in regard with the value of the programming lesson, it is found that the following factors give actual influence to the intention of learners: the group where learners belong or teaching-learning organizations together with creating social rapport, learning tasks given for learners, etc.

      • KCI등재

        컴퓨터교과교육 : 초,중등 학생의 로봇교육을 위한 수학,과학과 교육과정 연계 로봇 소양 교육과정 개발

        신승용 ( Seung Young Shin ),조혜경 ( Hye Kyung Cho ),김미량 ( Mi Rya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에서는 로봇 교육의 지속 발전성을 제고하고 지원할 목적으로 로봇 소양 교육과정을 구성해서 제안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로봇 소양 교육을 기존의 문해력에 관한 내용을 참고하여 정의했으며, 아울러 로봇 소양의 요소들도 모두 다섯 가지로 나누어 제시했다. 여기서 제시한 로봇 소양 교육의 영역은 로봇의 기초 영역과 로봇 공학의 세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한 로봇과 함께하는 측정, 관찰, 로봇으로 만드는 운동과 표현, 나만의 로봇 설계 그리고 종합적 활동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한편, 로봇 소양 교육과정 개발 단계는 Tyler(1949)의 고전적인 교육과정 개발모형을 적용하여 로봇 소양 교육과정 구성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 초, 중학교의 수학, 과학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로봇 소양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redesign a robot curriculum and proposed it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supporting sustainable development of robot in educations. For doing so, this study referred relevant existing literacy contents at robot literacy educations, and defined a robot literacy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elements of robot literacy by dividing them into five kinds. In relation with the scope of robot literacy education suggested here, this study proposed basic robot area, measurement and observation along with robots based on three elements of robotics, movement and expression made by robots, my own robot design, and comprehensive activity area. Regarding to development stages of robot literacy, the study applied the classical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by Tyler (1949), and intended to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on the curriculum composition, and then developed a curriculum after analyzing mathematics and science curriculums in existing elementary, middle schools accordingly.

      • KCI등재

        스마트 에듀테인먼트 앱 사용자 몰입 요인 분석 연구

        신승용 ( Seung Young Shin ),이신희 ( Shin Hee Lee ),김미량 ( Mi Rya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와 이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앱(App)의 사용이 날로 증가추세에 있고 이와 함 께 교육분야에서 활용되는 에듀테인먼트 앱의 활용 또한 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 앱 개발의 효 율성을 제안하고자 학습자의 학습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본 연 구에서는 스마트 에듀테인먼트 앱을 활용한 학습자들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앱의 디자인, 시스템 신뢰성, 제공받는 정보의 만족도, 학습결과와 같은 외생 변인과 지각된 용이성, 도전과 기술의 조화 그리고 즐거움과 같은 내생변인 등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증 분석했다. 분석의 대상은 서 울과 강원도지역 대학생 152명과 경기도지역 고등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수행했다. 경로 분석을 위한 도구는 SmartPLS 2.0 M3 버전을 사용했으며, 기초 통계 분석을 위한 도구로는 SPSS 11.0버전을 사용했 다. 분석한 결과 연구모델의 복합신뢰도는 모두 0.9 이상, 구성개념의 측정 요인 신뢰도와 복합신뢰도 역시 각각 0.9이상 그리고 평균 분산추출값은 0.8이상으로 수렴타당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또한, 연구 모형의 적합도 지표 R2 값은 최소 0.582로 매우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 서 가설로 제시한 모든 요인들로부터 몰입경험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이 결과를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을 나누어 경로 분석하여 남, 여학생 차이 분석을 시도했다. 남여 집단 별로 형성된 경로계수의 차이분석을 위해서 Teo 등(2003)이 집단사이의 경로계수 차의 유의성 분석을 위해 사용한 방식을 적용했고 결과적으로 남학생과 여학생 두 집단은 ‘즐거움’ 요인을 중심으로 남학 생이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In a situation where the use of smart devices and apps based on them is constantly increased and the growing number of edutainment apps is also applied to the education field, this study would like to find factors making an impact on the learning immersion of learners to suggest efficiency of developing these app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ssumed the factors of being able to make an impact on the learning immersion of learners who use smart edutainment apps as external variables such as apps` design, system reliability, satisfaction of information provided and learning outcomes and internal variables such as perceived easiness, harmony of challenges and technologies, and pleasure, and it analyzed them empirically. The analysis was targeted at 152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angwon province and 160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SmartPLS 2.0 version M3 was used as the path analysis tool, and SPSS version 11.0 as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too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m, all the compound reliabilities of the study model were above 0.9, the measurement factor reliability and the compound reliability of the construct were also above 0.9, respectively, and the mean variance extraction value was above 0.8, so the convergent validity was secured. In addition, the study model`s goodness-of-fit index, R2 value was at least 0.582, so it was proved as a very suitable model. It could be verified that these factors could make a positive impact on the immersion experiences, and a between-group difference analysis was attempted by dividing into male and female student groups to conduct a path analysis. To analyze a difference of the path coefficients formed for each male and female group, it was applied the method used to analyze significance of the path coefficie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by Teo et. al. (2003). Consequently,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except the ‘pleasure’ factor. In the case of the ‘pleasure’ factor which showed a difference, male students statistically indicated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than female on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레이다 시스템 실시간 적용을 위한 OS CFAR 연산 시간 단축 방안

        공영주(Young-Joo Kong),우선걸(Seon-Keol Woo),박성호(Sungho Park),신승용(Seung-Yong Shin),장윤희(Youn Hui Jang),양은정(Eunjung Yang) 한국전자파학회 201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9 No.10

        CFAR(Constant False Alarm Rate)는 레이다 시스템에서 표적 탐지에 주요 사용된다. 그 중에서 OS(Ordered Statistic) CFAR는 비균일 잡음환경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OS CFAR는 참조 셀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임계값을 계산하므로 많은 연산량이 필요하다. 이로 인하여 실시간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OS CFAR의 연산량을 줄이는 방안을 서술한다. 단순 표적 유무만 판단하기 위하여 참조 셀들을 오름차순 정렬하는 대신 참조 셀과 크기 비교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그리고 3개의 테스트 셀을 묶어 구역을 나누고, 구역 내에서 공통 참조 셀을 구하였다. 공통 참조 셀과 테스트 셀과의 크기 비교를 우선 수행함으로써 연산시간을 단축한다. The CFAR algorithm is mainly used for target detection in radar systems. In particular, OS CFAR is used in a non-uniform noise environment. However, it requires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because it should sort reference cells in ascending order. This makes it difficult to apply the radar system in real time. In this paper, we describe how to reduce the computational burden of OS CFAR. We compared the power of the test cell and reference cell to determine on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arget detection. The common reference cells overlapping in the reference cells of the three test cells are obtained. We first compare the test cell with the highest power value among the three test cells to the common reference cells. Next, we compare each test cell to general reference cells, excluding the common reference cells. The computation time is shortened by reducing the power comparison computation amou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