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관광 경쟁우위를 위한 음식치료 개발의 필요성 고찰

        임영관,고미애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3 산업혁신연구 Vol.39 No.1

        ABSTRACT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necessity of new competitiveness for Korea to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increasing global medical tourism market. In order for Korea to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industry, it needs to develop new medical technologies and services and infrastructure rather than relatively cheap medical water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Based on this research,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and derived data on the necessity, development plan, and expected effect of food treatment in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Based on the need for development in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in terms of prevention and management, an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development into one content, the government will unify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customize patients and users,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medical tourism industr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food therapy in the Korean medical tourism industry has been conducte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and through such research, it can be expected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medical tourism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세계의료관광시장에서의 한국이 경쟁우위를 갖기 위한 새로운 경쟁력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이 국제의료관광산업에서 경쟁우위를 갖기 위해서는 기존의 높은 기술력을 앞세운 의료기술과 상대적으로 선진국대비 저렴한 의료수가가 아닌 서비스 및 인프라적 부분에서의 새로운 개발이 필요하고, 여기에 음식치료는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 이후 치료 중심의 관점인 예전의 건강관리가 아닌 예방차원의 건강관리로의 인식의 변화에 적합한 건강관리에 대한 접근방식으로, 단기치료 중심의 의료관광서비스에서 중장기적인 관리와 치료 이전과 이후에도 꾸준히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으로 한국의 새로운 의료관광상품으로서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음식을 이용한 건강관리에 대한 추세와 세계적인 음식치료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의료관광산업에서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의료관광산업에서의 음식치료에대한 필요성, 개발 방안, 기대효과에 대하여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시대의 흐름에 맞게 예방 및 관리 측면에서의 음식치료에 대한 의료관광산업에서의 개발 필요성과 한국의 의료관광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음식치료 및 하나의 콘텐츠로의 개발 확장에 대한 가능성을 기반으로 개발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이와 같은 개발에 대하여 현재의 한국 의료관광산업에서의 정부부처 통일, 환자 및 이용자 대상의 맞춤화, 한국형 음식치료 개발 모델에 대한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의 의료관광산업의 경쟁력 및 차별화가 강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의료관광산업에서의 음식치료 개발에 대하여 실무적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낮아지는 한국 의료관광산업 평가에 대하여 다시 경쟁력 확보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산업기술 분야 정부 연구개발투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노영진,조윤애,성열용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8 산업혁신연구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산업기술 분야에서의 정부 연구개발투자가 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 로 분석하였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의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기술 분야의 연구개 발투자와 성과자료를 구축한 후, 과제의 연구개발투자가 국내외 특허, 기술료 수입, 사업화 여부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NTIS 자료는 국가연구개발 차원에서 수행된 과제별 미시적 정 보와 특징, 그리고 성과를 보유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자료로, 정부의 연구개발예산으로 진행되 는 모든 사업들을 포괄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분석 결과 산업기술 분야의 연구개발투자가 국 내외 특허 성과와 기술료 수입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사업화 여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은 과제 특성별로 상이하게 나타났 는데, 연구개발단계가 개발단계인 경우, 연구수행 주체가 기업인 경우, 산학연협력 과제가 아닌 경우에, 국내외 특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기술료 수입과 사업화 성공 여부에는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 산업기술 R&D가 보다 사업화의 성공에 초점 을 두어야 하며, 국내 산업기술 분야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사업화를 성공적으로 이끌 기 위한 다양한 환경 조성과 수요자 중심의 산학연협력 등이 보다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government R&D on its performance in the area of industrial technology. Using the raw data from the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we construct the R&D investment and its outcome data by project level in industrial technology area, and estimate how R&D investment of project affects its outcome variable such as patent, income from royalty, and the possibility of being commercialized. Our estimation suggests that R&D investment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domestic and foreign patent, yet a negative effect on the commercialization. Also, we found that this relationship would depend on the project specification. As the project would be performed in the stage of development, or by firms, or by an industry-academy-research cooperation, R&D investment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its patents, yet negative effects on royalty income and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rime purpose of public R&D in industrial technology should be more focused on commercialization, and industry-academy-research cooperation should be led by a firm that needs a technology the most.

      • KCI등재

        공급 네트워크와 중소기업 연구개발투자

        남종석,홍장표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7 산업혁신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대중소기업간 거래관계가 중소기업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비협력기업의 연구개발투자를 표준으로 하여 대중소기업간 거래관계에 참여하는 협력중소기업의 연구개발투자를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중소기업간 거래관계에 참여하는 협력기업의 연구개발집중도는 비협력기업의 연구개발집중도 보다 1% 유의 수준에서 더 적었다. 둘째, 거래단계별로 보면, 연구개발집중도는 비협력기업, 1차 협력기업, 2차 협력기업 순으로 나타났다. 1차 협력기업보다 2차 협력기업의 연구개발집중도가 더 낮았다. 이는 거래단계의 아래로 내려갈수록 기업규모가 작아지고 협력기업에 대해서는 높은 기술수준을 요구하지 않는 중간재의 납품을 외주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셋째 산업별로 보면, 고위기술산업, 중위기술산업, 첨단 기술산업에서는 1차 협력기업과 2차 협력기업 모두 비협력기업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연구개발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기업들의 연구개발투자가 줄어든다면 장기적으로 대기업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협상력을 약화될 것이며 중소기업의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협력 중소기업들의 연구개발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이유이다. This study compares the R&D Investment of the SMEs participating in supplier networks with the R&D Investment of the non-supplier companie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upplier networks on the RDI of SM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RDI of the sub-contracters participating in the suppliers networks is smaller than that of non-participants. Second, in terms of transaction stages, the RDI was in the order of non-cooperating companies, primary sub-contracters and secondary sub-contractors. The R&D Investment of secondary suppliers was lower than that of the primary suppliers. Third, in the high-tech industry, the medium high-tech industry and the medium low-tech industry, both the primary sub-contracters and the secondary sub-contractors showed a lower level of RDI than that of the non-cooperating firms. If the R&D Investment of SMEs is reduced, the bargaining power of the suppliers will be weakened in the long run and the growth of SMEs will be negatively affected. This is why we need the new industrial networks to promote SMEs' R&D Investment.

      • KCI등재

        부산경제 산업구조의 서비스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이연정,윤성민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1 산업혁신연구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전국, 세계 주요국, 제조업 등과 비교하면서 부산경제 산업구조의 서비스화 현황과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부산경제 산업구조의 서비스화가 지역고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부산경제 산업구조의 서비스화가 고용 증가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몰의 성장 질병가설의 설명과는 반대의 결과이고, 그보다는 서비스화가 진행되면 전문기술직이 증가하지만 단순노동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고 설명하는 탈산업사회론자들의 견해를 지지하는 것이다. 둘째, 부산경제의 서비스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유통서비스업과 사회서비스업)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생산자서비스업과 개인서비스업)가 세부 산업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산경제 산업구조의 서비스화가 고용 증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여성의 경우에서 남성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통념적인 기대와는 매우 다른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부산경제 일자리 창출정책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고, 또 향후 고용정책 수립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DEA-SBM을 이용한 국내 로봇산업의 경영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기술혁신요소를 중심으로

        박현준,하정석,강연지,심우중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7 산업혁신연구 Vol.33 No.2

        최근 4차 산업혁명이 이슈가 되면서 로봇을 활용한 제조업의 스마트화 등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양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로봇산업의 기술혁신요소를 중심으로 기업의 경영효율성을 분석하고, 효율성 개선을 위한 우선 고려요소를 제시하였다. 투입요소로는 인건비, 무형자산, 유형자산, 경상연구개발비를 설정하였고, 산출요소는 매출액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은 국내 로봇기업 32개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효율성 분석방법인 DEA-SBM(Data Envelopment Analysis-Slack Based Measure)을 이용하였다. DEA-SBM 분석결과 로봇산업의 경영효율성은 평균적으로 57.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무형자산 효율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로봇산업의 비효율 개선을 위해서는 무형자산 측면의 효율 개선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능형로봇 개발이 강조되는 최근 로봇산업의 트렌드와 연결된다. 무형자산은 기업의 지식자산 및 지식기반역량과 밀접하게 연관되며, 이는 지능형로봇 구현을 위한 핵심적 요소이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비교적 많은 국내 로봇기업이 지식기반역량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향후 국내 로봇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식기반 및 무형자산 역량 강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recently been a major issue, the smart manufacturing with robotics has been pursued. Against this backgrounds, this study strived to analyz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businesses focused on a technology innovation factor of the domestic robotics industry, and suggested efficiency improvement as a major factor to consider. Inputs are labor costs, intangible assets, tangible assets, and ordinary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se, while output is sales proceeds. The analysis targets are 32 firms in the domestic robotics industry. And DEA-SBM(Data Envelopment Analysis-Slack Based Measure) was chosen as an efficient analysis measure. As a result, management efficiency of robotics turned out to be 57.6% on average, and multiple firms demonstrated low intangible asset efficiency.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intangible assets in order to enhance efficiency of businesses with inefficient operation.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has relations with a recent trend of the robotics industry that highlights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robots. Intangible assets are closely related to knowledge assets and knowledge-based capacity of businesses, because they are core elements to realize intelligent robots. Relatively many domestic firms in the robotics industry have not secured knowledge-based capacity, so far. Therefore, it is urgently needed to establish a strategy to step up a knowledge-based and intangible asset related capacit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in the domestic robotics industry in the future.

      • KCI등재

        연구개발투자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송영조,김종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8 산업혁신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06-2015년 기업활동조사 패널을 이용하여 R&D가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고용의 탄력성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R&D가 증가함에 따라 고용의 R&D 탄력성이 변화하는 비선형 관계가 관찰되었고, R&D의 고용효과는 산업별, 기술수준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경우 기술 수준이 낮은 중기술산업에서 고용과 R&D 간 U자형 관계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R&D가 일정 수준을 넘어야 당기 고용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고기술산업에서는 R&D의 고용효과가 R&D가 증가함에 따라 체증하였고, 첨단기술산업에서 이러한 체증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의 경우 전통서비스업에서는 R&D가 고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지식서비스업은 당기의 경우 R&D 탄력성이 매출액 증대에 따라 점점 감소하였다. 이는 고용의 측면에서 볼 때, R&D 지원 정책이 제조업의 경우 중기술 이상의 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지식서비스업에 대한 R&D 지원정책은 중·소규모 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This research aimed to estimate the elasticity of employment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R&D upon the employment by utilizing a Panel Analysis from the Korean Firm Level Data of Statistics Korea from 2006 to 2015. According to the result, non-linear correlation was observed as the increase of R&D and the impact of R&D upon employ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the sector of industries and the level of technologies. In terms of manufacturing industry, the ‘U’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employment and R&D, especially in the mid-tech industries. This clearly proved the fact that R&D can cause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ment in the term in case of reaching a certain level. Whilst, in the high-tech industries, the impact of employment was increased as the rise of the R&D, and this congestion rate was relatively rapid. In the sector of Service Industries, R&D did not show significance in traditional service industries. However, in terms of knowledge service industries, the elasticity in the term showed decrease as the increase of net profit.

      • KCI등재
      • KCI등재

        ICT 산업 R&D 투자의 파급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김규남,정현준,오승환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6 산업혁신연구 Vol.32 No.3

        본 논문은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발표하는 연구개발활동조사를 활용하여 2004∼2011년까지 42개 산업의 연구개발활동 데이터를 산업 패널 형태로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ICT 산업 R&D의 생산성증가 및 파급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T 산업의 R&D 자본스톡의 노동생산성 개선효과는 ICT 제조업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ICT 산업 내에서도 R&D투자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시사한다. 둘째, ICT 산업의 R&D 스톡은 타 산업에 강한 파급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ICT 산업의 R&D는 일차적으로 자기 산업의 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궁극적으로 타 산업 기술과 보완적 형태로 작용해 타 산업에도 혁신적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ICT 산업 R&D 스톡의 파급효과는 제조업에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서비스업에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이처럼 ICT 산업의 R&D로 나타나는 파급효과가 양의 값을 갖는다는 의미는 ICT 산업의 R&D에 대한 투자를 증가시키면 타 산업의 노동생산성이 증가함을 시사하고 산업 전체로 보면 사회적 보수율이 사적 보수율보다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Based on panel data constructed by the Surve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this paper has analyzed the spillover effect of ICT R&D and the effect of ICT R&D on labour productivity.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is followings. First, the effect of ICT R&D on labour productivity is larger in ICT manufacture industry. This means that the effect of ICT R&D can be discriminative in ICT industry sector. Second, it turns out that ICT R&D has the strong spillover effect to other industries. That is, ICT R&D give a positive effect in ICT industry at first, and then it can lead the innovative performance in other industries. Lastly, the spillover effect of ICT R&D is larger in manufacture industry than service industry. That is, the increase of the ICT R&D investment can lead to growth of labour productivity, and consequently, the social rates of returns can get higher than the private rates of returns through ICT R&D investment.

      • KCI등재

        뿌리산업의 고용기여 및 생산성 파급효과 연구

        김원규,김상훈,김진웅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7 산업혁신연구 Vol.33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position of a root industry with respect to value-added, employment, and productivity, in a manufacturing industry, and also estimates the contribution effect on employment and the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 of a root industry, using 1999-2012 industry data in Korea.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the contribution rates of a root industry to productivity growth to a manufacturing industry is 6.07% by labor productivity and 2.01% by total factor productivity. The employment contribution rate of a root industry is, however, 17.69%, which is the third largest rate among 25 manufacturing industries. Lastly, empirical results for the inter-industrial spillover effect of productivity using dynamic panel analysis provide that 1% change of productivity in a root industry effects on a manufacturing productivity by 10.43% growth in the short run and by 23.56% growth in the long-run. 본 연구는 1999-2012년간 산업별 자료를 사용하여 뿌리산업의 제조업 내 위상을 부가가치, 고용, 그리고 생산성 측면에서 살펴 본 후, 고용에 대한 기여 및 생산성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뿌리산업은 2012년 현재 부가가치 측면에서는 제조업의 약 5% 그리고 고용측면에서는 약 8%를 차지하고 있으며, 제조업 평균보다는 낮은 생산성(수준 및 증가율)을 보이고있다. 해당 기간 중 뿌리산업의 제조업 노동생산성(총요소생산성) 증가에 대한 기여율은6.07%(2.01%)로 나타난 반면 제조업 고용증가 기여율은 17.69%로 자동차(18.93%)와 전자제품(18.39%) 다음으로 높게 나타나 그동안 생산성 증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에 더욱 중요업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뿌리산업의 산업 특성상 전방효과를 통한 산업연관효과를 중심으로동태적 패널 모형을 이용하여 산업간 총요소 생산성 파급효과를 추정해본 바에 따르면, 뿌리산업의 총 요소생산성이 1% 증가할 경우 이의 전방효과로 인해 뿌리산업을 포함(제외)한 제조업의 총 요소생산성은 단기 및 장기적으로 약 10.43%(5.88%)와 23.56%(19.67%) 증가하는 것으로나타났다.

      • KCI등재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

        임응순,정군오,김의범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1 산업혁신연구 Vol.27 No.1

        1997년 이후 한국의 영화산업은 비약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산업인 문화산업의 한 범주에 속해있다. 문화산업의 발전과 함께 영화산업도 함께 발전하고 있다. 영화산업은 크게 영화상영, 영화제작, 영화배급으로 나뉜다. 특히 영화제작부문은 수많은 재화와 서비스가 연쇄적으로 필요하다. 이것은 영화제작을 포함하고 있는 영화산업이 다른 산업들과 직·간접적으로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외생화 기법을 이용하여 수요유도형 모형을 분석할 것이며, 2009∼2014년까지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의 결과를 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