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골사이 수평절개를 통한 최소침습적 기관절개술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연구

        진성민(Seong Min Jin),김홍찬(Hong Chan Kim),양형채(Hyung Chae Yang),남광일(Kwang Il Na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1 No.2

        기관사이 고리인대 수평절개를 통한 기관절개술은 기관연골을 손상시키지 않고 기관절개관을 삽관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를 위한 피부절개 기준점이 불명확하며, 피부절개 후에도 고리인대 절개가 필요한 제 2~3 또는 제 3~4번 기관연골사이의 고리인대가 갑상샘잘록에 의해 가려져 적절한 위치에 절개를 시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고리인대의 절개만으로 연골 자체의 절개나 제거 없이 기관절개관 진입을 위한 충분한 공간 확보가 가능한지 의문시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시신해부를 통해 연골사이 수평절개를 통한 기관절개관 삽관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저자들은 한국인 시신 20구 (남자 12구, 여자 8구)를 이용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피부절개 기준점의 확인을 위해 반지연골에서 갑상샘잘록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갑상샘잘록에 위치한 기관연골 번호를 확인하여 갑상샘잘록과 기관연골의 위치를 분석하고, 갑상샘잘록의 가동성을 확인하여 원하는 고리인대를 절개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으며, 기관절개관 삽입가능성 확인을 위해 연골사이 고리인대 절개 후 최대로 벌어지는 연골사이 거리를 각각 측정하였다. 반지연골에서 갑상샘잘록 아래경계까지의 평균거리는 21.4±5.0 mm였다. 갑상샘잘록 아래경계는 주로 셋째에서 넷째 기관연골사이에 위치하였으나, 위쪽으로 평균 9.0±2.8 mm 들어 올려져 제 2~3 또는 제 3~4번 기관연골사이 고리인대에 절개를 시행할 수 있었다. 연골사이 수평절개 시행 후 최대로 벌릴 수 있는 연골사이의 거리는 평균 10.3±1.8 mm로 기관절개관을 삽입하기 충분하였다. 반지연골을 기준으로 2 cm 아래에 피부 절개를 시행 후 갑상샘잘록을 확인하고, 이를 위로 끌어올린 후 제 2, 제 3 기관연골사이에 연골사이 수평절개를 시행할 경우 무리없이 기관절개관을 삽입할 수 있었다. 영구적인 삽관이 아닌, 일시적 또는 추후 관을 뺄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게 연골사이 수평절개를 통한 기관절개술은 보다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aper describes a minimally invasive tracheostomy technique that uses an intercartilaginous incision without resection of the tracheal cartilage and discusses its feasibility. A total of 20 adult cadavers (13 males and 7 femal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distance from the arch of the cricoid cartilage to the thyroid isthmus, maximal displacement of the thyroid isthmus, number of tracheal rings underneath the thyroid isthmus, and maximally opened distance resulting from an intercartilaginous incision were measured. The mean distance from the arch of the cricoid cartilage to the thyroid isthmus was 21.4±5.0 mm. The thyroid isthmus mainly overlaid the 3rd and 4th tracheal rings. The mean maximal displacement of the thyroid isthmus was 9.0±2.8 mm. Minimally invasive tracheostomy via an intercartilaginous incision is a feasible technique. A skin incision 2 cm below the cricoid cartilage enables exposure of the thyroid isthmus and anular ligament between the 2nd and 3rd tracheal rings. The intercartilaginous incision allows sufficient space for the tracheostomy tube. An intercartilaginous incision without resection of a tracheal ring can be a good alternative tracheostomy technique, especially for patients who require transient tracheostomy.

      • 수술 증 절개창 보호 방법이 수술 후 절개창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

        임진홍,김성수,최원혁,오성진,형우진,최승호,노성훈,Lim, Jin-Hong,Kim, Sung-Soo,Choi, Won-Hyuk,Oh, Sung-Jin,Hyung, Woo-Jin,Choi, Seung-Ho,Noh, Sung-Hoo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4

        목적: 수술 절개창 합병증은 의료진 및 환자에게 많은 노력과 비용을 발생 시킨다. 수술 절개창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노력중 하나로 수술 시 절개창 보호 방법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으나 주로 절개창 감염에 국한된 연구였기 때문에 절개창 보호 방법이 절개창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 절제술을 시행받은 295예의 위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06년 5월부터 2006년 9월까지로 하였다. 수술 전 성별, 나이, body mass index, 음주 및 흡연력, ASA 분류를 조사한 후 환자의 동의를 얻어 무작위로 절개창 보호 방법을 결정하였다. 수술중 절개창을 보호를 하지 않은 비보호군(137명)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보호막으로 절개창을 보호하는 보호군(432명)으로 분류하였으며, 발생한 합병증과 합병증 치료 기간을 조사 하였다. 결과: 수술 중 절개창을 보호하지 않은 비보호군과 절개창을 보호한 보호군 간에 환자의 기본 인자 및 수술 관련인자의 차이는 없었다. 전체 절개창 합병증은 비보호군에서는 42예, 보호군에서는 12예가 발생하여 통계학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장액종은 비보호군에서 29예, 보호군에서 6예(P=0.001), 감염은 비보호군에서 13예, 보호군에서 4예(p=0.030), 열개는 비보호군에서 6예와 보호군에서 2예(P=0.282)가 발생하였다. 재원기간은 절개창 비보호군에서 $12.3{\pm}9.7$일, 절개창 보호군에서 $10.3{\pm}5.4$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40).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폴리에틸렌 보호막을 이용해 절개창을 보호하였을 때 전체 절개창 합병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술 중 보호막을 이용하여 절개창을 보호하여 절개창 합병증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불필요한 치료 기간의 연장을 줄일 수 있다. Purpose: Surgical wound complications remain a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among postoperative patients, and the cost of caring for patients with a surgical wound complication is substa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bility of a vinyl wound protector to reduce the rate of wound complications when used in clean-contaminated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6 and September 2006, 295 patients with a gastric cancer that underwent gastric surgery were studied prospectively, and the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one of two groups: the no wound protector group (n=137) or the polyethylene protector group (n=132). Results: The demographics and operation type and operation time were similar for patients in both groups. The rate of wound complication was different between patients in the no protector group (n=42) and the polyethylene protector group (n=12) (P=0.001) and the rates of seroma (P=0.001), infection (P=0.030) and dehiscence (P=0.282) were different for the two groups.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polyethylene protector group of patients (P=0.040). Conclusion: The use of a polyethylene protector resulted in a reduction of the surgical wound complication rate, and the cost of caring for patients, and morbidity and mortality among postoperative patients could be reduced.

      • KCI등재후보

        내시경 괄약근 절개술, 풍선을 이용한 담석 제거술, 바스켓을 이용한 담석 제거술

        장성일,이동기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2019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4 No.4

        담관 담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선택적 담관삽입술(selective cannulation)에 성공한 뒤 내시경 유두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하게 된다. 내시경 유두괄약근 절개술은 출혈, 천공, 췌장염 등의 합병증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합병증의 발생을 줄이고 시술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내시경 괄약근 절개기와 절개를 위해 사용되는 전류 발생기가 개발되었다. 또한 절개의 방향과 범위, 절개술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정해지고 있다. 괄약근 절개 후 담석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에서 대표적으로 풍선을 이용하는 방법과 바스켓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내시경 괄약근 절개술의 기술적 방법을 소개하고, 효과적으로 담석을 제거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들에 대하여 임상적 적응증과 기술적 방법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Endoscopic sphincterotomy is performed after selective cannulation to remove the gallstone. Endoscopic sphincterotomy can cause complications such as bleeding, perforation and pancreatitis. Various types of endoscopic sphincter incision method and current generators used for incision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incidence of such complications and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the procedure. In addition, guidelines for the direction and extent of endoscopic sphincterotomy and incision technique are established. The method used for the removal of gallstones after the endoscopic sphincterotomy is a method using a balloon and/or a basket. This review introduces the technical methods of endoscopic sphincterotomy and discusses the clinical indications and technical methods for representative methods of effective gallstone removal.

      • KCI등재

        개량형 유두괄약근절개도와 외국산 유두괄약근절개도를 이용한 내시경괄약근절개술의 유용성 및 안전성 검증을 위한 공개, 무작위, 다기관, 전향적 비교 연구

        박세우 ( Se Woo Park ),장성일 ( Sung Ill Jang ),정문재 ( Moon Jae Chung ),조재희 ( Jae Hee Cho ),방승민 ( Seungmin Bang ) 대한소화기학회 202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9 No.1

        목적: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한 기존 유두절개도의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국산 제품(Optimos™, Taewoong, Goyang, Korea)을 개발하여 기존 절개도와 조작성, 편리성 및 안전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21년 4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세 개 기관에서 췌관담관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RCP)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104명의 환자를 전향적으로 모집하여 Optimos™ 및 CleverCut™ 절개도 각 군 당 52명의 환자를 무작위 배정하였다. 연구의 일차 목표는 ERCP 후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급성 합병증(출혈, 천공, 감염 및 췌장염)의 발생 빈도와 중증도의 절개도 간 차이이고, 이차 목표는 담관의 선택적 삽관 성공률과 용이성 비교 평가이다. 결과: CleverCut™군은 최종 51명, Optimos™군은 최종 53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BMI를 제외한 모든 인구학적 항목에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최종 선택적 삽관 성공률은 CleverCut™군 50예(98.0%) 및 Optimos™군에서 49명(92.5%)이었다. 평균 삽관 시도 횟수는 CleverCut™군 1.6±1.3, Optimos™군 2.4±2.7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평균 삽관 시간도 CleverCut™군 2.5±2.3, Optimos™군 3.4±3.0분으로 두 군 간 차이는 없었다. 유두절개술 후 경미한 출혈은 각각 7예(14.3%)와 6예(11.8%) 발생하였다. 췌장염은 Optimos™군에서만 2예(3.8%) 발생하였으며 경증 1예, 중등도 1예였다. 전반적인 시술자 만족도와 기구 조작성은 CleverCut™군이 Optimos™군에 비하여 우월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결론: 국내에서 개발 및 제조한 Optimos™ 절개도는 CleverCut™ 절개도와 비교하여 임상적으로 안전하면서 효율적으로 선택적 삽관 및 유두 절개를 시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추가적인 개선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Background/Aims: Sphincterotomes are essential for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and can also be used for cannulation in ERCP. A domestic new pull-type sphincterotome (Optimos™, Taewoong, Goyang, Korea) provides acceptable technical feasibility and safety, but there are no comparison results. Thus,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performance and safety of Optimos™ sphincterotome to a conventional sphincterotome (CleverCut3™, Olympus, Tokyo, Japan) in patients who underwent ERCP. Methods: From April 2021 to July 2021, a randomized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on 104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ERCP in three medical centers.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clinical performance and safety of sphincterotomes during ERCP. Results: One hundred and four patients were assigned randomly to the Optimos™ group (n=51) or CleverCut3™ group (n=53). 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differ between the groups except the BMI. The technical success rate for cannulation, performance of EST, and total procedure time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The adverse events did not differ, even though two cases of post-ERCP pancreatitis occurred in CleverCut3™. On the other hand, in questionnaire analysis, CleverCut™ showed a better user’s convenience (median [interquartile range] 4.0 [3.0-4.0] vs. 3.0 [3.0-4.0], p=0.013) and manipulability (median [interquartile range], 4.0 [3.0-4.0] vs. 3.0 [3.0-4.0], p=0.039) than Optimos™, even though the other profiles did not reveal any differences. Conclusions: New domestic pull-type sphincterotome can offer comparable clinical performance and safety profiles to conventional sphincterotome, but it needs refinements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and manipulability. Further improvement and innovation will be required to advance domestic medical devices. (Korean J Gastroenterol 2022;79:22-30)

      • KCI등재

        대장내시경 소용종절제술에서 자동조절절개장치(Endocut)와 기존 혼합 절개파의 조직소견 비교

        이시형,장병익,김태년,최준혁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3

        목적: 대장내시경 시술의 증가에 따라 대장 용종의 발견이 증가하고 있다. 대장내시경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용종은 10 mm 이하의 작은 용종이며, 작은 용종에서도 대장암과 고도이형성이 발견될 수 있어 정확한 조직검사가 치료방향 결정에 중요하다. 이에 본 저자들은 대장 용종절제술을 시행할 때 자동조절절개장치(automatically controlled cut system, Endocut-Q, ERBE, VIO 300, Endocut)와 기존 혼합 절개파의 사용이 조직 판정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4월부터 8월까지 대장 용종절제술을 실시한 환자 중 Endocut을 사용한 56예(34명)와 기존 혼합 절개파를 사용한 53예(32명)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직결과는 경험이 많은 한 명의 병리학자가 맹검법으로 판독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나이는 60.2±9.2세이었다. 두 군간에 나이, 성별, 용종의 크기, 위치, 조직소견 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소작 양(cautery amount)에서 2도 이상은 Endocut군에서 22예(39.2%), 혼합 절개군에서 27예(50.9%)로 Endocut군에서 적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소작 정도(cautery degree)에서 2도 이상은 Endocut군에서 19예(33.3%), 혼합 절개군에서 15예(28.3%)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장자리 감별성(margin evaluability), 점막근층의 존재유무, 전체적인 조직의 질은 양군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작은 용종을 대상으로 한 대장용종절제술에서 자동조절절개장치와 혼합 절개파의 사용은 조직 판정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 SCOPUSKCI등재

        최소 피부 절개술을 이용한 선천성 심장 질환 수술

        박충규,박표원,전태국,박계현,채헌,Park, Choung-Kyu,Park, Pyo-Won,Jun, Tae-Gook,Park, Kay-Hyun,Chae, Hur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4

        배경: 선천성 심장 질환에서의 최소 피부 절개에 대한 보고는 매우 적다. 저자등은 수술상처를 최소화하면서 통상적인 수술수기 및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등은 1997년 4월부터 1997년 9월까지 선천성 심장 질환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최소 피부 절개술과 정중 전 흉골 절단을 통해서 개심술을 시행하였다. 환자 질병 분포는 성인 환자가 5명(남:여=1:4)이며 이중, 심방 중격 결손증 3명, 심실 중격 결손증 1명, 부분 심내막상 결손증 1명이었고, 소아 35명(남:여=17:18)에서는 심방 중격 결손증 4명, 심실 중격 결손증 30명, 발살바 동맥류 1명이었다. 정중 피부 절개는 흉골 두번째 늑간하부에서 검상돌기 1~2cm상방까지 실시하였다. 흉골 하부 절단에는 일반 전기톱을, 흉골 상부 절단에는 특수 전기톱을 피부 밑에 삽입하여 전장의 흉골을 절단하였다. 그리고, 흉골 견인은 좌우 & 상하 양방향에 2개의 견인기를 각각 직각으로 거치하여 수술시야를 확보하였다. 결과: 흉골길이대비 피부절개의 길이는, 성인에서는 55.0$\pm$3.5%로 절개길이가 평균 12cm(10~13.5cm)였고, 소아에서는 63.1$\pm$3.9%로 평균 7.3cm(5.2~11cm)였다. 모든 증례에서 체외 순환시 필요한 동정맥 삽관을 추가적인 서혜부 피부 절개 없이 직접 대동맥 및 상하공 대정맥에 시행할 수 있었으며 좌심방벤트관은 필요시 삽입하였다. 전 례에서 수술사망이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최소 피부 절개술에 따른 창상 감염 및 피부 괴사, 혈종 형성, 출혈에 의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최소 피부 절개술과 정중 전 흉골 절개를 이용한 선천성 심장 질환 수술은, 통상적인 체외 심폐 순환을 할 수 있으며, 외관상 미용의 효과가 뚜렷하였고, 다양한 선천성 심질환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Background: Although there have been few reports about minimal skin incision for the repair of congenital heart lesions, minimizing an unsightly scar is a particularly important factor in growing children. We have adopted a technique that permits standard full sternotomy, conventional open chest cardiopulmonary bypass, aortic cross-clamping, left atrial vent, and antegrade cardioplegia with minimal surgical scar. Material and Method: With minimal skin incision and full sternotomy, 40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underwent open heart surgery from April 1997 through September 1997. Defects repaired included 30 ventricular septal defects, 4 atrial septal defects, and 1 sinus Valsalva aneurysm in 35 children(M:F=17: 18), and 3 Atrial septal defects, 1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1 partial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in 5 adults(M:F=1:4). Midline skin incision was performed from the second intercostal space to 1 or 2 cm above the xiphoid process. For full sternotomy, we used the ordinary sternal saw in sternal body, and a special saw in manubrium under the skin flap. During sternal retraction, surgical field was obtained by using two retractors in a crossed direction. Result: The proportion of the skin incision length to the sternal length was 63.1${\pm}$3.9%(5.2∼11cm, mean 7.3cm) in children, and 55.0${\pm}$3.5%(10∼13.5cm, mean 12cm) in adults. In every case, the aortic and venous cannulations could be done through the sternal incision without additional femoral cannulation. There was no hospital death, wound infection, skin necrosis, hematoma formation, or bleeding complication. Conclusion: We conclude that minimal skin incision with full sternotomy can be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method for the repair of congenital heart diseases in children and adults.

      • KCI등재

        유한요소법과 동물실험을 통한 난시교정술의 고찰 및 개발

        신정욱,한태원,김수향,김재호,이성재,박효순,Sin, Jeong-Uk,Han, Tae-Won,Kim, Su-Hyang,Kim, Jae-Ho,Lee, Seong-Jae,Park, Hyo-Su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9 의공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동물실험과 유한요소법을 병행하여 난시교정을 위한 각막 절개 수술시 관련되는 다양한 인자의 변화가 수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난시 교정술 중 각막절개에 의한 방법으로는 각막의 정점으로부터 일정거리에서 호선(arcuate)으로 절개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연구에서는 직선(straight), 그리고 역호선(inverse arcuate) 절개방법도 시도하여 그 결과를 역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막절개를 이용한 난시교정은 arcuate 방법이 가장 예측 가능하였으며, 수술의 효과는 각막의 정점과 가장자리 중간위치에서의 절개가 가장 효과적인 것이 실험과 유한요소에서 공히 검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유한요소 방법으로 arcuate 절개술에서 절개길이를 변화시킨 결과 90도 만큼의 절개가 120도 혹은 150도까지 절개한 것보다 더 큰 굴절률 변화를 보여주어 최대 굴절률 변화를 위한 절개 각도는 90도라는 결론을 얻었다. 하지만 시술결과 각막의 점탄성 성질과 자가치유 효과에 의한 수술효과는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 앞으로의 연구는 점탄성의 성질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in keratotomy for astigmatism correction on surgical outcomes by finite element method as well as animal experiments. Three kinds of surgical techniques were mechanically investigated : arcuate, straight, and inverse arcuate keratotomy. Among the three techniques the arcuate keratotomy is the most popular one while the other two techniques are being investigated in this area. The arcuate keratotomy was found to be more controllable and effective in reducing the refractive power than the others. In arcuate keratotomy it was found most effective when the incision was located in the middle position between the apex and the edge of the cornea from the results of experiment as well as finite element study. Regarding to the range of the corneal incision in arcuate keratotomy, the incision angle of 90$^{\circ}$ was found th be most effective in reducing refractive power than other angles even it was incised up to 150$^{\circ}$.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90$^{\circ}$ of incision angle results in the largest decrease in refractive power in arcuate keratotomy. However, other important findings were that the effect of the surgery decreased with time so the visco-effect of the cornea and auto-healing process. Therefore,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제왕 절개 자궁적출술의 임상적 고찰

        최성훈(Sung Hoon Choi),김민정(Min Jung Kim),최원석(Won Suk Choi),김태영(Tea Young Kim),길명도(Moung Do Kil),백경돈(Kyoung Don Baik),정우철(Woo Chul Ju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7

        목적 : 10년 동안 부산 성분도 병원에서 시행한 제왕 절개 자궁적출술을 조사 분석하여 그 치료와 결과 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1990년 1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 시행된 33예의 제왕 절개 자궁적출술에 대해 분 만대장 및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 이 기간동안 제왕 절개 자궁적출술의 빈도는 1건이었고 제왕 절개술 시 빈도는 0.44%, 질식 분만시의 빈도는 0.08%이었다. 산모가 고령시, 경산부시 제왕 절개 자궁적출술의 빈도는 증가하였고 제왕 절개 자궁적출술의 적응증은 태반이상 (57.2%), 자궁 무력증 (33.3%), 자궁 근종 (6.0%), 자궁 파열 (3.0%) 순이었다. 열성 이환율, 파종성 혈관내 응고질환, 요로계 손상 등의 합병증이 나타났고 임산부 사망은 1명 있었다. 결론 : 제왕 절개 자궁적출술의 술 후 합병증은 모성 이환율의 원인이 되고 즉각적 수술 시각의 결정, 신선 전혈 수혈, 짧은 수술 시간이 모체의 생명을 구한다. 제왕 절개 기왕력이 있는 산모가 태반 이상으로 인한 응급적 제왕 절개 자궁적출술의 첫 번째의 위험요소가 된다. 따라서 제왕 절개 자궁적출술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 필수적이며, 모든 산과의는 이에 익숙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article was to review 10 years experience of cesarean hysterectomy at our hospital. To review risk factors, management & outcome of emergency peripartum hysterectomy performed in last 10 years at our hospital. Material & Methods : The outcome of 33 cases of cesarean hysterectomy performed at St. Benedict hospital during 10 years from Jan. 1990 to Dec. 1999 was discussed & evaluated. Results : During this time, there was 16014 deliveries, of which 5640 were cesarean section and 25 were cesarean hysterectomies, an incidence of 0.44%, and of which 10374 were vaginal deliveries 8 were. Cesarian hysterectomies are incidence of 0.08%. The age of patients varies from 18 to 42. The higher the age and the parity of patients, the higher incidence of cesarean hysterectomy was noted. The most common indication of cesarean hysterectomy was placental abnormal presentation [placenta accreta (30.3%), placenta previa (27.2%)], uterine atony (33.3%), uterine myoma with pregnancy (6.0%) and Uterine ruture (3.0%). The complication were febrile morbidity,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 and urinary tract injury. There was one maternal death. Conclusion : Postoperative complication still remain the causes of maternal morbidity. There careful prenatal care momentary judgement of right operation time, fresh whole blood transfusion and reduction of operation time must be conjunction with maternal life saving. Cesarean delivery, prior cesarean delivery placenta accreta and uterine atony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for emergency peripartum hysterectomy and abnormal presentation was the primary cause of cesarean hysterectomy. Still, cesarean hysterectomy remains a potentially life saving procedure with which every obstetrician must be familiar.

      • MDF 절개성능 향상을 위한 대리모델 기반 노치평판 최적설계

        형성필(Seongpil Hyeong),한지훈(Jihoon Han)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4

        본 연구에서는 MDF(Mild-detonating Fuse)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평판 절개 전산모사를 수행하였다. MDF 평판 절개 기초 연구를 참고하여 평판의 자유 표면에 충격파가 반사되어 발생하는 스폴 현상이 절개에 유리하도록 노치를 모델링하여 MDF 평판 절개 해석을 수행하였다. 노치의 영향으로 절개 위치에 스폴 현상에 의한 파손을 가속했으며, 이로 인해 알루미늄 평판이 보다 짧은 시간에 절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화약 양으로 보다 두꺼운 알루미늄 평판의 절개가 가능함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리모델을 구성하고 이로부터 노치 형상의 최적 설계를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결과는 보다 두꺼운 평판을 절개하기 위해 MDF의 화약 량을 늘리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 신뢰성과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a computer simulation of an aluminum plate cutting was conducted by using the MDF (Mild-detonating Fuse). Referring to the MDF plate cutting foundation study, MDF plate cutting analysis was performed by modeling the notch so that the spalling generated by the shock wave reflection on the free surface of the plate is advantageous for cutting. It was identified that the damage caused by the spalling accelerated at the cutting loc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notch, and thus the aluminum plate was cut in a shorter time. We also confirmed that a thicker aluminum plate could be cut with the same amount of explosives. An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 surrogate model is constructed and the optimal design of the notch shape is proposed from thi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efficient in terms of structural reliability and cost, as the gunpowder of MDF does not need to be increased to cut an even thicker plate.

      • KCI등재

        전방 전치 태반 임신에서 태반절개를 통한 태아 만출의 안전성

        김용구 ( Yong Gu Kim ),김루미 ( Ru Mi Kim ),임지현 ( Ji Hyun Lim ),최진영 ( Jin Young Choi ),정은환 ( Eun Hwan Jeong ),김학순 ( Hak Soo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8

        목적: 전방 전치 태반 임신에서 태반을 절개하고 태아를 만출시키는 수술 방법이 신생아와 산모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수술 방법의 안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전치 태반 진단하에 제왕절개를 실시한 단태아 임신 74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고 태반의 위치에 따라서 태반절개군과 비절개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제왕절개를 할 때 전방 전치 태반 산모는 모두 태반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켰다. 두 군 사이의 수술 후 산모의 혈색소 수치변화와 신생아의 혈색소 및 적혈구용적, 수술 중이나 수술 후의 수혈량, 신생아중환자실 입원기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태반절개군과 비절개군 간의 임상적 특징은 차이가 없었고, 산모의 수술 전후 혈색소 수치의 변화 및 수혈량도 차이가 없었다. 신생아의 혈색소 수치와 입원 기간도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1분과 5분 아프가 점수는 태반 절개 유무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제대동맥 가스 분석 결과 pH 7.20 미만의 산혈증을 보이는 경우는 한 건도 없었다. 결론: 전방 전치 태반 임신에서 태반 절개를 통한 태아 만출은 산모와 신생아의 출혈이나 신생아중환자실 입원기간을 증가시키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of cesarean delivery through transplacental incision in anterior placenta previa and its effect on mother and neonate. Methods: We examined 74 cases of placenta previa retrospectively who underwent cesarean section from May 2006 to December 2009, i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lacental incision. Transplacental incision was made in all cases of anterior placenta previa. We compared postoperative maternal hemoglobin change, neonatal hemoglobin and hematocrit, intra and/or postoperative transfusion volum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dmission day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aternal characteristics, hemoglobin changes, transfusion volume between the two groups. Nor the neonatal hemoglobin and hematocrit level, Apgar score and admission days were different. There was no neonatal acidosis below pH 7.20. Conclusion: The cesarean delivery through transplacental incision in anterior placenta previa seems to be safe because it did not increase maternal and fetal blood loss nor NICU admission d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