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서울의 도시성과 사회적 전유의 문제-박태순의 196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김정남 ( Kim Jeong-nam )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7 No.-

        본고는 사회적 전유(專有, appropriation)의 문제가 중핵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1960년대 박태순의 소설을 대상으로 당대 문학 속에 나타난 서울의 도시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박태순의 소설은 1960년대 사회에 있어 소시민적 일상성 안에서 발견되는 전유의 문제, 근대의 사회적 문화적 전유 상황 속에서 나타나는 떠돌이 의식의 문제, 정치적 폭압과 데몬스트레이션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전유의 양가적 의미, 도시의 확장과 도시 난민의 발생에 따른 공간의 서열화와 전유의 문제 등 근대 도시의 다양한 정치적·사회적·문화적 전유와 재전유의 문제의식을 담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도출된 1960년대 서울의 도시성과 사회적 전유에 대한 해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일상성의 차원에서는 세대 폭력의 맥락에서 관료주의와 권위주의로 무장한 1960년대 불통의 사회상(「생각의 시체」), 범죄와 윤리의 배반 그리고 도피적 염원으로 점철된 도시성(「동사자」), 1960년대의 질곡 속에서 비(非)성장의 젊음을 겪는 청춘들의 실존적 방황(「연애」), 소시민적 일상성 위에 구축되어 있는 초라한 안정과 관계성의 문제(「뜨거운 물」, 「하얀 하늘」)라는 의미를 도출했다.둘째, 문화적 차원에서는 근대의 전유와 방랑의 문제에 대하여 접근 하였다. 「서울의 방」에서는 외화내빈의 질곡을 안고 있는 근대의 흉물인 양옥집이라는 공간의 상징을 통해 근대 기획의 허술함과 한국적 근대의 기만성을, 「이륙」에서는 천민(賤民)들의 세계가 현대의 세계라는 사유를 바탕으로 소시민성에 대한 자각과 자기실현의 불가능성을, 「도깨비 하품」에서는 자본의 전유 공간에서 경제적 동물이라는 편벽한 세계가 팽창하게 되는 사회상을 각각 이끌어냈다.셋째, 정치적 강제와 전유의 맥락에서는 4·19혁명의 과정에서 나타난 전유와 재전유에 담긴 정치적 함의와 혁명의 이면을 읽어냈다. 「무너진 극장」에서는 평화극장이라는 공간에 대한 시위대와 주민 그리고 군인들 사이의 입장을 둘러싼 전유의 정당성 논란과 함께, 시위의 과정에서 나타난 냉혹한 도취 혹은 무질서라는 왜곡된 광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혁명의 이면적 의미를 도출했다. 혁명과 그 실패에 따른 후일담이라고 할 수 있는 「당나귀는 언제 우는가」는 미완의 혁명인 4·19와 5·16군사 쿠데타 이후 나타난 소화불량증에 걸린 사회에 진입하지 못한 채 낙오된 젊은이들의 숨죽인 비극을 그려냈다고 할 수 있다.넷째, 근대 도시 공간의 팽창에 따른 공간의 서열화와 강제적 전유의 문제는 외촌동 연작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정든 땅 언덕 위」와 옴니버스 소설「삼두마차」에서 잘 나타난다. 먼저 「정든 땅 언덕 위」는 인간 쓰레기라고 할 수 있는 난민들을 강제 이주시킨 외촌동을 배경으로 그곳에 살고 있는 인간 군상들을 만화경적으로 관찰하고 이들의 인생유전 속에 담긴 끈질긴 생명력에 주목하였다. 「삼두마차」중 ‘쥐꼬리 장사’는 서울중심주의에 기초한 농촌의 황폐화를 풍자의 기법으로 형상화했으며, ‘팔금산으로 가자’는 지방에서 서울로 다시 서울에서 외촌동으로 이어지는 전락의 구조를 통해, 한국의 현실에 끼어들 자격조차 상실한 최후의 인간 쓰레기장 혹은 게토(ghetto)로서의 외촌동의 형성 과정에 주목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ovels of Park Tae-soon in the 1960's, that the problem of social appropriation occupies a core part. Park Tae-soon’s novel has various appropriations and re-appropriations based on everyday, cultural, political, and spatial contexts in modern city. These are question of appropriation found in the everydayness of petit bourgeois, the problem of wandering consciousness emerging in modern social and cultural appropriation situation, the ambivalent meaning of appropriation in the process of political intimidation and demonstration, expansion of the city and the occurrence of urban refugees in 1960s society and so forth. The result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urbanity and social appropriation of Seoul in the 1960s are as follows.First, in the dimension of everydayness, the following meaning was derived. It is in the context of generational violence, the 1960s interruption societies armed with bureaucracy and authoritarianism (「The dead body of thought」), urbanity as a result of crime and ethical betrayal and fugitive desire(「A person frozen to death), the existential wandering of youths who are experiencing unseasonable youth in the vagaries of the 1960s(「date」), The problem of poor stability and relationship built on the everydayness of petit bourgeois(「Hot water」, 「White sky」).Second, in the cultural dimension, approached the question of modern appropriation and wander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or this purpose; through the symbol of the western-style house, the infamous of the modern, the laxity of modernity project and the degeneracy of Korean modernity(「Room of Seoul」), awareness of petit bourgeois and the impossibility of self-realization based on the idea that the world of the lowest class of people is a modern world(「Take-off」 ), the aspect of society in which the one-dimensional world of economic animals expands in the appropriation space of capital(「Yawning of the goblin」).Third, in the context of political enforcement and appropriation, read the political implications and the reverse of the revolution of the appropriation and re-appropriation in the process of the 4·19 revolution. In the 「Theater of the Fallen」, there is a debate on the legitimacy of the appropriation of the position between the demonstrator, the residents and the soldiers in the space called the ‘Peace-theater’, and how to evaluate the distorted plaza of ruthless intoxication or disorder in the process of demonstration. 「When the donkey cries」 which can be called reminiscences due to the revolution and its failure is described the tragedy of the young people who had fallen into a society that had suffered from dyspepsia since the unfinished revolution of 4·19 and 5·16 Military Coup d'etat.Fourth, the problem of the ranking of the space and the compulsory appropriation due to the expansion of the modern urban space can be seen in the 「Land of become attached on the hill」 and the omnibus novel the「Tree-horse carriage 」. First of all, the 「Land of becoming attached to the hill」 was observed with kaleidoscopic human beings living there in the background of the ‘Oechondong’ which forced refugees who could be called ‘human waste’ and paid attention to the persistent vitality contained in them. In the 「Tree-horse carriage」, ‘Business of rattail’ symbolizes rural degradation based on Seoul-centrism as a technique of satire, and ‘Go to Mt. Pal-Gum’ attention was paid to the process of forming the ‘Oechondong’ of the country as a final human garbage dump or ghetto that even lost the right to engage in the reality of Korea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tumble that from rural district to Seoul, from Seoul to Oechondong.

      • KCI등재

        K-pop 아티스트의 패션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전유

        유해민,전재훈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3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3 No.4

        K-pop은 전 세계에서 인기를 얻으며 동시대의 청춘의 소리이자 정체성으로 자리 잡았다. 패션은 음악과 긴밀히 상호 작용하면서 글로벌 문화의 중심에 선 K-pop 아티스트의 창작 활동에 시각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타문화권의 유산을 도용하는 행위로 간주하는 문화적 전유의 문제를 지적받고 있다. K-pop이 다양한 문화권의 젊은 세대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그 어느 때보다 성찰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 다. 본 연구는 뉴스 기사와 유튜브 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K-pop 아티스트의 패션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전유 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했다. 뉴스 기사를 통한 사례분석에서는 문화적 전유의 대상과 방식을 분석했다. 첫째, K-pop 아티스트의 패션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전유의 사례에서는 인종의 전형화와 희화화, 전통의 비맥 락화와 환상 및 낭만화, 역사의 비맥락화와 환상 및 낭만화 그리고 종교의 환상 및 낭만화로 총 7가지 유형으 로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유형의 사례에서는 블랙피싱이나 블랙페이스를 통해 타인종을 모방하거 나 희화화하고, 복식이나 헤어 관습을 무분별하게 차용하고 미적으로 소구하며, 역사적 사실과 다른 맥락에서 왜곡하고, 종교의 영적인 의미를 무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으로 삼은 유튜브 영상 콘텐츠는 개념 및 사례 소개, 비판 및 의견 전달 그리고 리액션 콘텐츠의 세 가지 유형이 있었다. 유튜브 영상 콘텐츠 창작자의 견해를 종합한 결과 K-pop 아티스트의 패션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전유 사례는 해당 인종에 대한 선입견 초래, 인종차별 담론 형성, 전통에 대한 존중 결여 및 가치 절하, 역사적 사실 왜곡 및 식민주의 착취 재현 그리고 종교에 대한 모독이라는 위험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K-pop 패션과 문화에 대한 종합적 논의를 통해 비판적 시야를 제공했다. 또한, 문화적 전유를 방지할 수 있는 제언을 다문화 감수성 교육, 크리테리아 개발 및 활용 그리고 문화 당사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으로 제언하고 K-pop 산업 기여를 꾀했다. K-pop has gained popularity worldwide, becoming both the identity and voice of the contemporary youth. Fashion is closely intertwined with music and visually contributes to the creative activities of global K-pop artists. However, the issue of cultural appropriation, an act of stealing the heritage from other cultures, is being pointed out simultaneously. Given K-pop’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younger generation from various cultures, it is crucial to conduct reflective studies. This paper conducted a case study on cultural appropriation in K-pop artists’ fashion based on news articles and YouTube video content. Types of objectification and methods of cultural appropriation were examined i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articles. First, seven types of cultural appropriation are identified through K-pop artists’ fashion: typicalization and caricature of race; non-contextualization and fantasizing-romanticization of tradition; non-contextualization and fantasizing-romanticization of history; fantasizing- romanticization of religion. In each type, K-pop artists imitated and caricatured race through blackfishing or blackface, borrowed costume and hair traditions out of context, misinterpreted historical facts, and ignored religious meanings. YouTube videos are categorized into three: introduction of concepts and cases, criticism and opinion, and reaction content. YouTube creators criticized problems of cultural appropriation in K-pop artists’ fashion, who posed risks such as creating stereotypes for certain races, causing racial discrimination discourses, lacking in respect for tradition, misinterpreting historical facts, reproducing exploitation of colonialism, and insulting religion. This study provided a critical perspective through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K-pop fashion and culture.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d multi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criteri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nd economic contributions to cultural stakeholders, as a possible way to prevent cultural appropriation, thereby aiming to enhance the contribution of the K-pop industry.

      • KCI등재

        사회적 공간 사유와 전유로서의 브랜드 공간

        신혜원,김주연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3

        오늘날 사회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산물이 ‘브랜드(공간)’ 임을 부인할 수 없으며, 현대 사회의 소비의 중심에서 끊임없 이 생성되고, 유지되며, 때로는 소멸된다. 게다가 한국은 급 성장한 경제 발전과 한류의 영향으로 종전의 브랜드(공간)의 수용자 측면에서 보급자 측면으로 그 입지가 바뀌고 있다. 이 에 본 연구는 일상적, 공생적 관계에 놓인 브랜드 공간을 복 제된 잉여공간으로 파편화하거나, 마케팅 전략 위주로 바라 보기 보다는 사유를 통하여 참여하는 각각의 주체로서 상호 작용하고, 무장소성(Placelessness)이 아닌 토포필리아(Topo philia)의 장(場)으로써 전유(Appropriation)의 관점을 모색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산업 브랜드와 장소 브랜드이며, 선행 연구 의 배경은 르페브르와 하비의 ‘변증법적 공간론’, 투안과 렐프 의 ‘현상학적 장소론’, 짐멜의 ‘상호작용 문화론’으로 분석하 였다. 이러한 사유는 브랜드 공간의 ‘공간-생산하기’와 ‘장소-만들기’의 원천이 되며, 주체에 따른 병렬구조와, 맥락에 따 른 순환구조로 종합된다. 연구의 결과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생산의 수행자가 주체가 되는 실천으로서 양식, 기억, 지역성, 문화정체성 등이 상호 침투되는 다원적·창조적 전유이다. 둘째, 장소의 사용자가 주체가 되며, 장소에서의 현 상적이고 경험적인 행위와 활동은 곧 장소애(愛)로 이어지는 현상적·경험적 전유이다. 셋째, 수행자-매개자-사용자가 서 로 상호작용하는 공유적·문화적 전유이다. 이 세 가지 측면은 상업적인 전략 보다는 전유의 관점으로 접근될 때, 산업사회 와 도시사회에서 서로 소외되지 않으면서 상보적으로 나아가 는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K-Culture 신한류 3.0 시기’에 도래한 지금 유산으로서의 가치와 자산을 가진 브랜 드 공간의 생산에 있어서 방향 설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Brand (space) is one of the products of modern society, being generated and disa ppeared continuously in the center of modern consumptio n life. Moreover, as a result of succeeding in economic an d cultural development, Korea has been changed the stat us from the importer of brand space to exporter of it. Th us, in thes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rand space, which is laid on daily life, sh ould not be a placelessness but be a true topophilia by int eraction between the principal agents and by practical ap propriation, being away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ven tional marketing strategies focused look. The range of this study is industrial brand and space br and, and this thesis is based on major preceding researc h: the theoy of Dialectical Theory of Space by Henri Lefe bvre and David Harvey, phenomenological place theory b y Yi-Fu Tuan and Edward Relph, and book of Interactio n and Sociological Aesthetics by Georg Simmel. These cognitions are based on the resources of space-producti on and place-creation of brand space, and the cognitio ns can be parallel structure by the principal agents, but have integrated clue for realizing brand space. The integr ated clues are followings. Frist, the brand space is both pluralistic and creative appropriation where the space pro viders can be the principal agents and the style, memory, locality, and cultural identity can be interacted each othe r. Second, the brand space is both usual and unusual exp eriential appropriation where the space users can be the principal agents and the action and activity can become topophilia. Third, the brand space is sharing and cultural appropriation and the space providers, intermediaries, and users can be interacted, These three aspects can be valua ble not from the viewpoint of commercial strategy but fro m the viewpoint of appropriation. By this point of view, I expect, when K-culture has become populated and ‘new Korean wave 3.0’ has been emerged, this research to be at least a methodology to create a brand space where hu man beings are not alienated in modern industrial, urban society, but human begins can have complementary appr opriation of the space.

      • KCI등재

        기술,조직,개인 특성요인이 해군 장비정비정보시스템 전유와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도흠 ( Do Heum Jeon ),백승령 ( Seungnyoung Baek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5 로지스틱스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해군 장비정비정보시스템의 전유와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들을 조사하고 전유와 사용자 만족이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성공이론과 적합구조화이론을 통합하여 장비정비정보시스템 활용을 높이기 위한 결정요인과 활용의 성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장비정비정보시스템 전유와 사용자 만족의 결정요인으로 기술적 특성(시스템 확장성, 군수흐름 가시성)과 조직 특성(상사의 지원), 그리고 사용자 개인특성(시스템 자기효능감)을 고려하였고, 정보시스템 전유와 사용자 만족이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가설로 설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시스템 확장성.상사의 지원.시스템 자기효능감이 정보시스템 전유에, 시스템 확장성.상사의 지원.군수흐름 가시성이 사용자 만족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정보시스템 전유가 사용자 만족에, 정보시스템 전유와 사용자 만족 역시 개인성과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군수흐름가시성과 정보시스템 전유와의 관계와 시스템 자기효능감과 사용자 만족과의 관계는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정보시스템 성공모형과 적합구조화이론을 통합하여 정보시스템 전유와 사용자 만족의 결정요인과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개인 차원의 정보시스템 활용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시사점이 있다. 실무적으로는 조직구성원의 군수정보시스템 활용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관리자들이 주목할 필요가 있는 기술적.조직적.개인적 특성요인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appropriation and user satisfaction of the Defense Logistics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DELIIS) used for the Korean Navy and identify the effect of appropriation and user satisfaction on individual performance. Using an integrated model of IS Success Model and 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this study considers technological factors(system extensibility, logistics flow visibility), an organization factor(supervisor support), and an individual factor(system selfefficacy) as the determinants of explaining appropriation and user satisfaction. Also, we hypothesize appropriation and user satisfaction lead to individual performanc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system extensibility, supervisor support, and system self-efficacy is significant on appropriation. Also, the influence of system extensibility, logistics flow visibility, and supervisor support on user satisfaction is significant. Appropriation increases user satisfaction and both appropriation and user satisfaction enhance individual performance. Theoretically, our study suggests an integrated model of explaining the determinants of appropriation and user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individual performance. This study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 on how organizational managers intervene employees`` DELIIS usage in order to increase their use and performance.

      • KCI등재

        산복도로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공적 공간구성의 특징에 관한 연구

        신병윤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모던 공적 공간사회의 페러다임 속에서 산복도로 르네상스 1차년도 사업의 결과로 만들어진 건물들과 가로환경정비사업에 나타난 공적 공간구성관계의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분석대상 프로젝트들은 10년 예정의 연속사업 중에서 2011년의 1차년도 산복도로 르네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19개 프로젝트의 물리적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시설에 한정하였다. 이들 시설들은 크게 테마형 공적 시설, 각 지구의 주민거점 커뮤니티 시설, 그리고 가로의 보행성 향상을 위한 가로환경개선시설과 같이 크게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설들의 공적 공간관계의 분석 틀은 크게 다섯 가지의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첫째는 알트만의 프라이버시의 경계조절유형을 참조하여 내부의 주민과 외부 방문자 간의 공적 공간을 매개로 한 프라이버시의 만족정도를 도식화 하였다. 둘째는 도시·사회학적 차원의 포용과 배제의 관점에서 배제 유형을 참조하였다. 셋째의 통합과 분리는 시설의 위치, 접근성, 프로그램, 가변성 등을 기준으로 한다. 넷째의 공적 전유와 사적 전유(專有)는 생활환경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주거지의 흔한 풍경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 다섯 번째 마지막 분석틀의 기준은 상호교류와 고립의 관점이다.

      • 팀 풍토와 조직압력이 정보시스템 전유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과업성과

        민경의,백승령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정보기술의 발달로 정보시스템의 활용은 어느 조직 에서나 보편화되었으며 조직의 과업성과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국방을 책임지는 군에서도 정보시 스템의 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화력 분야에서는 화력지원능력의 향상을 위해 포병 전술 사격지휘시스템(BTCS-A1)을 활용하고 있다. BTCS -A1은 포병부대의 사격지휘절차를 간소화하고 자동 화하여 사격시간을 단축하는 등 효과적인 정보시스 템으로 인식되는데, 그럼에도 여전히 시스템의 효과 성과 조직의 성공적인 임무수행에 기여하는 정도에 대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다. 실무차원의 문제점 분석 은 지속적으로 시행되어 제한사항을 보완하고 있으 나 학문적 차원의 실증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BTCS-A1의 활용이 과 업성과(task impact: 사격시간 및 절차 단축, 임무수 행 만족도 증가, 화력지원 수행방법 개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적 특성(technological feature) 요인인 정보시스템품질(information system quality) 과, 팀 내부 환경(team internal systems) 요인인 팀 권한위임풍토(team empowerment climate)으로 팀 학습풍토(team learning climate), 과업 및 조직 환경(task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요인으 로 상급자/조직제도의 압력(supervisors/institutional pressure)을 사용자의 사격지휘시스템 전유(appropr iation: 사격지원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의 사격지휘시스템 활용)활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팀의 권한 위임풍토와 학습풍토 그리고 상급자/조직제도의 압력 이 사용자들의 시스템 전유활동을 촉진하였으며, 이 러한 시스템의 전유활동이 과업성과(task impact)를 개선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반면 정보시스템이 갖는 기술적인 품질은 사용자들의 시스템의 전유(ap propriation)활동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토의 와 이론적∙실무적 시사점, 향후 연구방향 등을 제시 하였다.

      • KCI등재

        성경에 나타난 ‘전유를 통한 적용’에 관한 해석학적∙설교학적 연구

        김대혁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0 복음과 실천신학 Vol.54 No.-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은 기존의 성경적 설교의 적용을 위한 원리화 과정에서 보편적 명제를 추출하는 방식이 지닌 약점에 대한 보완책으 로써, 전유를 통한 적용의 방식에 대한 성경적 근거를 확인하여 해석 학·설교학적 타당성을 확립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우선 ‘전유를 통한 적용’에 관한 개념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를 토대로 신 약의 성경 저자들이 인용하거나 인유한 구약의 본문을 어떤 방식으로 해석하고 적용했는지를‘전유를 통한 적용’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 다. 특별히 이 연구는 사도행전 2장 14-36절, 고린도전서 10장 1-13 절, 히브리서 3장 7절-4장 14절의 본문을 각각 베드로, 바울, 히브리 서 저자의 설교로 이해하고, 각 본문을‘전유를 통한 적용’의 관점에서 자세히 연구한다. 끝으로 이러한 성경에 나타난 전유를 통한 적용의 사 례들이 가져다주는 해석학적·설교학적 함의들을 제시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hermeneutical and homiletical validity of ‘appropriated application’ with the biblical examples, which can be a supplementary model for overcoming the deficiencies of the existing principalizing model for sermon application. To do this, this study first provides a brief notion about ‘appropriated application.’ With the perspectives from ‘appropriated applic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N.T. authors have interpreted and applied the O.T. texts, which they have quoted or alluded. In detail, this study deals with Acts 2:14-36, 1 Corinthians 10:1-13, and Hebrews 3:7-4:14, considering them as the ‘sermonic’ texts and providing their uses of ‘appropriated applications.’ Finally, with these biblical examples of ‘appropirated application,’ this study offers hermeneutical and homiletical implications towards today’s preachers.

      • KCI등재

        현대패션에 나타난 문화적 전유와 문화다양성 가치추구

        김지은 ( Ji-eun Kim ),박주희 ( Ju-hee Par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2

        연구배경 급변하는 사회 환경과 소비자들의 의식 변화는 패션의 문화적 전유 문제를 공론화시켰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의 영감의 다양성이 현대 사회가 추구하는 포용성과 다양성에 위배되는 현실에 주목하였으며, 이러한 다양성의 논란이 된 문화적 전유의 사례를 찾아 분석하고 패션업계의 문화다양성 실천을 찾아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로서 문화와 문화다양성의 이론적 고찰과 18세기 시누아즈리에서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타문화의 영향에 이르는 사적고찰을 하였으며, 사례연구로는 문화적 전유와 문화다양성을 주제로 한 기사를 수집, 분석 및 분류하여 현대패션에 나타난 문화적 전유와 패션산업의 문화다양성 실천의 사례를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패션산업의 문화적 전유의 문제는 인종, 전통, 종교, 역사로 분류되었으며, 사례분석의 결과 인종주의를 기반으로 한 몰이해와 왜곡, 민족고유의 장인정신과 역사적 가치의 도용, 종교적 신성함 왜곡과 몰이해, 서양우월의식과 식민주의 사상 기반의 왜곡과 비하문제가 논의되었다. 패션산업의 다양성 추구로는 다양한 인종 포용, 민족과 지역성 존중, 디자이너 정체성 인정 등의 실천이 논의되었으며, 다양성 전문위원회와 같은 특별기구나 부서 설치가 파악되었다. 논의의 결과로서 본 연구는 패션산업이 야기한 문화적 전유 문제와 문화다양성 가치 추구 사이의 관계성을 밝혔다. 결론 본 연구는 오늘날 패션산업에 나타난 인종, 전통, 종교, 역사의 문화적 전유와 이에 대한 기업의 문제의식과 해결책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패션기업의 문화다양성 가치 추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인식과 함께 지속적으로 실천되어야 할 과제이다. Background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changes in consumers' consciousness made the issue of cultural appropriation of fashion public. This study focused on the reality that the diversity of inspiration of contemporary fashion violates the inclusiveness and diversity pursued by the modern society, and it seeks and analyzes the controversial cultural appropriation cases of such diversity, and discusses the practice of cultural diversity in the fashion industry. I have a purpose. Methods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in parallel. First of all, as a literature study, a theoretical re view of culture and cultural diversity and historical considerations ranging from chinoiserie in the 18th century to the influence of other cultures in fashion in the 20th century were conducted. As a case study, we collected, analyzed and classified articles on the subject of cultural appropriation and cultural diversity, and discussed cultural appropriation in modern fashion and examples of cultural diversity practice in the fashion industry. Results The cultural appropriation problem of the fashion industry was classified into race, tradition, religion, and history.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distortion caused by racism, theft of ethnic craftsmanship and historical values, distortion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religious divinity, Western superiority and The issues of distortion and conduct based on colonialism were discussed. In order to pursue diversity in the fashion industry, practices such as embracing diverse races, respecting ethnicity and locality, and acknowledging designer identities were discussed, and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organizations or departments such as the Diversity Professional Committee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this study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transfer problem caused by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pursuit of cultural diversity values.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s the cultural appropriation of race, tradition, religion, and history in today's fashion industry, as well as corporate consciousness and solutions to these issues. The pursuit of cultural diversity values of fashion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s a task that must be practiced continuously along with the recogni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KCI등재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 小考

        柳秀旼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中國小說論叢 Vol.50 No.-

        본 연구는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을 중국 명대 神魔小說 《封神演義》의 번안소설로 보고,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을 ‘전유(appropriation)’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함으로써 번안 메커니즘의 일면을 밝히고 한중 양국의 고소설문화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선의 소설독자들은 많은 중국소설들을 원작 그대로가 아니라 자국소설인 양번안하여 ‘전유’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강태공전》도 그러한 작품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을 형식적 전유의 측면, 내용적 전유의 측면, 그리고 여성독자층의 영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형식적 측면의 전유 양상은 다음의 두 가지로 파악되었다. 첫째, 작자는 《封神演義》를 영웅 일대기적 서사구조로 재구성함으로써 조선 영웅소설의 문법을 따르고자 하였다. 둘째, 작자는 축약 번안을 통해 작품 독해의 대중성과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다음으로 내용적 측면의 전유 양상은 다음의 두 가지를 논의하였다. 첫째, 작자는 원작의 환상적 요소들을 축소시키고, 독자들의 역사의식 고취를 통해 현실적인 정치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둘째, 작자는 번안에 있어 충효 이데올로기의 원칙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독자층의 영향에 대해 다음의 두 가지 측면을 고찰하였다. 첫째, 《강태공전》은 장편국문소설의 정실(선)-첩(악) 대비구조 차용 및 마씨고사의 강조를 통해 여성독자들에게 선과 내조의 덕목을 권하고자 하였다. 둘째, 소설의 주요독자층이었던 규방 여성들의 분노심을 투사하여 雪冤의 효과를 거두고자 하였다. 조선의 《강태공전》은 중국의 《封神演義》를 ‘다시쓰기(rewriting)’함으로써 원작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였다. 중국소설이 조선에 전파된 후 번역 및 번안되어 조선독자들에게 실질적으로 향유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의 지점들에 대한 궁금증에 착안하여 진행된 본고의 연구가, 비슷한 듯 하면서 엄연히 다른 한중 양국의 고소설문화에 대한 상호이해의 증진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regards Gangtaegongjeon(姜太公傳) as an adaptation from Fengshenyanyi(封 神演義) and examines the adaptation aspect. The novel readers in late Joseon had a strong tendency to share Chinese novels which were not original texts but rather adaptations, being gone through their own ‘appropriation’ process. Gangtaegongjeon was one of them as wel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perspectives. Firstly, I discussed the form. I argued that the author of Gangtaegongjeon had attempted to follow the typical narrative structure of Joseon heroic novels including a biography of the one hero. I also investigated that the author had tried to provide convenience for Joseon readers by contracting the original text, resulting in popularization of the text. Secondly, I considered the content. I indicated that the author had attempted to minimize the fictional element and to make the readers have realistic political nature. I also examined that the author had tried not to be against the ideological principle, ‘filial piety(忠孝).’ Thirdly, I investigated the aspects of female readers’ influence to the text. I discussed that Gangtaegongjeon showed the female moral which advised readers to do good and to assist their husband well by means of borrowing the contrastive structure of Korean long piece novels, “legal wife-the good” and “concubine-the evil” and emphasizing on the story of Mrs. Ma(馬). I also indicated that it not only carried the female moral, but also reflected their resentment, resulting in alleviating the chagrin of them. Gangtaegongjeon reorganized Fengshenyanyi by ‘rewriting’ and created a new meaning. I tried to figure out how Joseon readers had actually shared the Chinese classical novels, by investigating the ‘manipulation’ which had been occurred while they had adapted the original text. I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enhancement of mutual understanding about classical novel culture between Korea and China.

      • KCI등재

        <고등래퍼>에 나타난 교과서 시 전유 양상의 문학교육적 의의와 한계

        이윤희 한국문학교육학회 2022 문학교육학 Vol.- No.7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literature education by analyzing the aspects of textbook poetry in the ‘textbook rap competition’ of the TV program <Highschool Rapper>. To this en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ttention was paid to the productivity and enjoyment of the adaptation and appropriation raised in Julie Sanders’ adaptation and appropriation discourse. As a result of analyzing using the frames Julie Sanders suggested, ‘near and latest’, ‘transmedia interpretation’, ‘recontextualization’, and ‘alternative perspective composition’, three results were found. First, all the songs of “Textbook Rap Competition” were transforming the original poem at the level of appropriation, but all four analysis frames appeared. However, there was such hierarchy in the degree of appropriation. Second, as an exceptional case, ‘refraction of the original work’ appeared. Third, how they appropriate the original poems was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genre and the rap genre was more important. Through the above appropriation of rap on textbook poems, literature educational implications such as ‘productive possibility of textbook cannon using appropriation’, ‘expansion of literary reconstruction activities’, and ‘shift of perspective on literature reading’ were obtained. 본 연구의 목적은 TV 프로그램 <고등래퍼>의 ‘교과서 랩 대결’에서 교과서시가 랩으로 전유된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문학교육적 의의와 한계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줄리 샌더스의 ‘각색과 전유’에서 제기된 전유의 생산성과향유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또한 줄리 샌더스가 제시한 ‘근접⋅최신화’, ‘장르횡단적 해석’, ‘재맥락화’, ‘대안적 관점 구성’ 개념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결과 첫째, ‘교과서 랩 대결’의 곡들은 줄리 샌더스가 제시한 네 가지 방식이 모두 나타났으며, 그 전유의 정도에서 위계가 있었다. 둘째, 예외적인 경우로 ‘원작의 굴절’로서 전유되는 방식이 나타났다. 셋째, 시 장르와 랩 장르의 특성 중 어느 쪽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느냐에 따라 전유 방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문학 재구성 활동의 확장’, ‘전유를 활용한 교과서 정전의 생산적 가능성’, ‘문학 읽기에 대한 관점 확장’이라는 문학교육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