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가 치매 노인의 부양 부담과 정신병리 및 부양자의 사회적 서비스 욕구와의 관련성

        이영호,강태민,이상수,김민걸,안동성,윤성환,정청,방남희,이상경,심주철,김용관,김영훈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목 적 : 본 연구는 재가 치매 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부양자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사회적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위의 목적을 위해서 대도시 지역 1개 동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검사를 실시하였고. 재가 치매 노인의 부양부담과 정신병리 및 부양자의 사회적 서비스 욕구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본 연구 대상은 대도시 지역 1개 동의 재가 노인 중 65세 이상 노인들로서 1.2차 방문 조사를 통하여 MMSE-K 24점 이하이면서 DSM-IV의 치매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치매 노인들로 설정하였다. 이들의 정신 병리 평가를 위하여 BPRS(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HDRS( Hamiltons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RS(Hamiltons Rating Scale for Anxiety)를 실시하였고, 부양자의 부양 부담을 측정하기 위하여 Zarit의 부양 부담 척도를 권중돈이 개발한 부양 부담 척도를 사용하였다 치매 노인의 정신병리. 부양 부담 그리고 부양자의 서비스 욕구 조사 모두를 완성한 23명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ANOVA, t-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1) 치매 노인의 BPRS 점수가 높을수록 부양자가 경험하는 부담 차원 중 사회 활동의 제한 차원에서 부담이 높게 나타났다(p<.05). 2) 부양자의 종교와 부양 부담의 하위 변인 치매 노인과 부양자간 관계의 부정적 변화 변인에서 부양자들이 종교가 없거나 불교를 믿는 경우보다 기독교를 믿고 있을 때 치매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가장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3) 치매 노인이 남자일 경우에 부양자의 전체 부양 부담, 치매 노인과 부양자간 관계의 부정적 변화 그리고 부양자와 가족 구성원간의 부정적 변화가 많이 나타났다(p<.05). 4) 노인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부양자의 심리적 부담이 큰것으로 나타났다(p<.05) . 5) 부양자의 전체 부양 부담이 부양자가 원하는 사회적 서비스 종류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6) 부양자의 심리적 부담(p<.01)과 재정 및 경제적 활동의 부담(p<.05)이 클수록 다른 사회적 서비스보다 교육 및 상담 서비스를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재가 치매 노인의 정신병리가 심할수록 부양자의 사회 활동이 제한을 많이 받았고, 남자 치매 노인일수록 부양자의 부양 부담이 높았으며. 가족 관계가 악화되므로 가정봉사원 파견 서비스나 가족 상담, 교육 및 치료의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부양자가 전체 부양 부담, 심리적 부담, 재정 및 경제적 활동의 부담을 많이 느낄수록 교육 및 상담(정보 제공)서비스를 원하고 있으므로 치매 노인 관련 전문가들 이 이러한 점을 참고하여 적절한 서비스 개발을 하여야 하겠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offer the foundation data to develop a specific and practical social service of caregiver-centered. For this purpose we assessed the cognitive functions of a group aged 65 or more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in a Dong area of urban community. And then we re-asse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ring burdens of caregivers and the psychopathology of in-home demented elderlies, and the needs of caregivers for the social services. Methods Subjects in this study were over the age of 65 and resided in a Dong area of urban community. At first, their cognitive functions were screened by MMSE-K Subjects, whose total score of MMSE-K were below 24 and met the diagnostic criteria of DSM-VI for dementi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defined to be the patients with dementia. Their psychiatric symptoms were assessed by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Hamilton's Rating Scale for Depression(HDRS) and Hamilton's Rating Scale for Anxiety(HARS). At the same time, the caring burdens of caregivers and their needs for social services were assessed by caregiver's burden inventory(CBl). Total 23 subjects completed all of the assessments and their data were analysed statistically by ANOVA, X2-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using SAS program. Results: 1) The mean total score of BPRS tended to be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mean score of social activity restriction subscale of caring burden dimensions. 2) Some of religions of the caregivers could affect differently and significantly on the negative change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demented elderlies and their caregivers(p <.05). Especially, the Christians exprrienced less negative change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an the others did. 3) When the demented elderlies were males, total burdens of caregivers and negative change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demented elderlies and their caregivers, and between the caregivers and their relati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burden dimensions were(p <.05). 4)When the demented elderlies were more educated, the psychological burdens of their caregivers were more severe(p <.05). 5) The more were the total burdens of the caregivers, they wanted more social services for them(p<.05). 6) The more were the psychological and financial burdens of the caregivers, their needs for the education and counselling services were more than the needs for the other social services(p <.05). Conclusion : Caregivers living with male demented elderlies, who had more severe psychopathology, had more burdens of caregiving and restricted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income demented elderlies more severely. As a resul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became more worse. Our results suggested that free-home helper services for the severely demented elderlies and education counselling services including information-referral service for their caregivers were in needs. Consequently, we should develop more specific services for in-home elderlies and their: to the needs in their family environments.

      • KCI등재

        재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차수민(Cha Su-Min),이혜진(Lee Hye-Ji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본 연구는 재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재가 치매노인의 맞춤형 주거환경 디자인 개발, 지역사회 재가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정책 수립에 필요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연구 선정기준에 따라 Google Scholar, KISS, RISS,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총 5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모든 연구가 Level Ⅳ(조사연구)에 해당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가 배우자, 자녀, 며느리 등을 포함한 치매노인의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연구 5편 모두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현황 및 개선요구를 큰 주제로 하였고, 주요 세부 주제는 치매 유형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2편(40.0%), 치매증상 단계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 치매 관련 증상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 주거 공간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으로 나타났다. 결론: 향후 효율적인 재가 치매노인의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안이 도출되기 위해서는 주택개조 지원 제도 및 관련 정책의 변화, 다학제적 접근법에 대한 적용방안 마련 및 검토, 치매노인 주거환경 개선 관련 분야에서의 작업치료사 역량 강화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다차원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thereby presenting the research direc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housing environment desig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a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Methods : From 2000 to 2020, according to the research selection criteria,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searching articles registered in the databases of Google Scholar, RISS, KIS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finally selecting a total of five studies.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research, all of the researches corresponded to Level IV(research study), and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All studies conducted a survey on housewiv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cluding spouses, children, and daughter-in-law. As a result of analysis of main themes, 2 studies(40.0%) of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type of dementia, 1 study(20.0%) on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dementia symptom, 1 study(20.0%) on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dementia-related symptoms, 1 study(20.0%) on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by housing space was found. Conclusion : In order to derive an efficient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tailored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changes in the housing remodeling support system and related policies, preparation and review of application plans for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nd improvement of the hous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strengthen the competence and expertis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ield. Multidimensional research for securing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 KCI등재

        재가방문요양기관 운영 현황 검토를 통한 경증 치매노인 대상 미술치료교육의 과제

        장한별(Han-Byeol, Jang),김향미(Hyang-Mi,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2

        오늘날 급속한 인구 고령화와 함께 나날이 늘어나고 있는 치매는 질환 자체의 문제뿐만 아니라, 간병과 관련된 부수적인 문제들도 수반되기 때문에 개인과 가정, 의료 및 복지 차원에서 국가적으로 주목되고 있는 사안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서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된 지 오래이나, 치매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그 진전을 늦출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은 아직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가장기요양기관을 중심으로 경증 치매의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미술치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내용으로서 치매의 증상 및 행동유형별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현행 장기요양보험제도 및 재가방문요양기관 운영현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운영상의 문제점을 진단한 후 그 대안으로서의 미술치료교육의 의의와 기능에 대해 고찰하는 한편, 향후 방안과 과제를 조망하였다. 결론적으로, 재가장기요양기관에 대한 인력기준의 현실화, 치매특별등급에 대한 인식 개선, 치매 전문교육 이수시간 확대 및 교육내용의 질적 제고, 미술치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율적 운용을 위한 전문 인력의 확충 등이 선결되어야 하며, 아울러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재정적인 지원이 증대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Various social problems are emerging as a major issu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as the population ages rapidly. Especially, dementia accompanies not just the problem that this disease has but also other incidental ones related to nursing care, so it is nationally noted on personal, family, medical and welfare levels. Artistic activities view the inner world of the elderly, and they are the expression of characteristics where feelings and thoughts are reflected and the area accompanied with physical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s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rt therapy education programs aimed at alleviating dementia symptoms of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dementia symptoms and behavior types were examined and the current status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nd home visiting care centers were reviewed. Through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art therapy educatio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program operation and then looked out the future tasks.

      • KCI등재

        방문요양보호사를 활용한 재가 치매노인 대상 방문 맞춤형 움직임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홍미성 한국무용학회 2023 한국무용학회지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ustomized movement program developed for home visits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by caregivers applying it at the care site. Each 7 research participants was selected from visiting caregivers, an experimental group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and a control group using the nomadic sampling method, and conducted a total of 36 sessions for 20 to 30 minutes, 3 times a week for 12 weeks, and t-test was perform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Korean version of brief mental state. Second, physical fitness for daily living showed posi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a posi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Fourth, in daily life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posi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movement',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nega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ashing, bathing, and eating.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발된 재가 치매노인 대상 방문 맞춤형 움직임프로그램을 실제로 요양보호사가 돌봄 현장에 나가 치매노인에게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방문요양사, 재가 치매노인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7명씩을 유목적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여 주 3회, 20분∼30분, 12주 총 36회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t-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판 간이정신상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일상생활체력은 실험집단에서 하위요인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삶의 질은 실험집단에서 긍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실험집단이 ‘이동’에서만 긍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통제집단은 세수하기, 목욕하기, 식사하기에서 부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다기능형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역할과 제도적 정립에 관한 연구

        장봉석(Jang, Bong-Seok)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37 No.-

        다기능형 재가노인복지시설은 탈시설화 이념을 바탕으로 지역보호, 치매케어, 보호의 연속성 등을 수행하기 위해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미비로 인하여 아직 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보다 앞서 시행한 일본의 지역밀착형 소규모다기능시설의 배경과 역할, 제도화 과정 등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제도에 있어서 도입취지와 목적을 비교?검토하여 그 역할을 분명히 하며 입법을 통해 제도적으로 정립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일본의 제도 및 현황을 통한 시사점과 우리 법제 즉 노인복지법과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개정방향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Multifunctional In-Home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was adopted in 2005 to work for the community care, dementia care and continuum care, based on the idea of deinstitutionalization. Nonetheless, due to the law and institutional inertia, yet, facility does not adequately carry out their roles in the society.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role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Japan’s Community Based Small Multifunctional Facility and compare it with the aim and the purpose of our own system to clarify the role so that the facility will be systemically established through the reformation of the welfare of the Aged act and the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This study aims to respond to the various needs of the users and at the same time to secure the community care and continuum care based on the idea of deinstitutionalization by presenting new systematic model in welfare of the aged. Also, it is expected to achieve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of elderlyas well as general citizens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재가 치매노인 가족 케어기버의 돌봄 경험

        길태영,조미정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0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7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nd explore the meaning of care experience in family care 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using qualitative interpretive meta-synthesis (QIM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are experienc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from the perspective of 112 family care givers, research in various fields such as nursing, social welfare, home care and child care (child family psychotherapy) were included. As a result of analyzing 12 papers, three themes were newly derived: (1) entanglement in isolated and weary life, (2) intense processes of living with dementia, and (3) expectation and hope for the future in fear. In the future, continuous efforts and exploration are needed to reduce negative effects related to family care givers, and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will be provided so that the need and awareness of formal support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and their families can be enhanced. 본 연구는 질적 해석적 메타통합(Qualitative Interpretive M eta-Synthesis : QIMS)을 활용하여 재가 치매노인 가족 케어기버를 대상으로 돌봄 경험의 의미를 수집하고 탐색하는 것이다. 총 112명의 가족 케어기버 관점에서 치매노인 돌봄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간호학, 사회복지학, 가정관리학 및 아동학(아동가족심리치료)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12편의 논문을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1) 고립되고 지친 삶에 얽힘, (2) 치매와 살아가는 치열한 과정들, (3) 두려움 속 미래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포함한 3개의 주제가 창출되었다. 향후 가족 케어기버와 관련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탐구가 필요하며, 재가 치매노인과 그 가족에 대한 공식적인 지원의 필요성과 인식이 높아질 수 있도록 그들의 경험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사고사례를 통한 재가치매환자의 위험요소 추출 및 그 활용에 관한 연구

        이행운 ( Hang Woon Lee ),엄진섭 ( Jin Sup Eom ),최미현 ( Mi Hyun Choi ),이수정 ( Soo Jeong Lee ),최진승 ( Jin Seung Choi ),문석우 ( Seok Woo Moon ),탁계래 ( Gye Rae Tack ),정순철 ( Soon Cheol Chung ) 한국감성과학회 2009 감성과학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치매노인에게 발생한 사고사례들의 조사를 통해 치매노인에게 위험요소로 작용 될 수 있는 요인들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매노인 보호를 위해 고려해야 할 모니터링 요소의 결정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재가치매노인 55명(남자 16명, 여자 3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기본특성, 행동특성, 노인인지기능(Short form of Samsung Dementia Questionnaire: S-SDQ), 일상생활 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사고사례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내용을 바탕으로 위험인자로 작용하는 요소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요소들의 발생빈도, 공발생빈도, 발생장소, 신체손상유무, 손상부위, 손상정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행동특성, ADL, S-SDQ와 위험요소간의 발생빈도를 교차빈도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12개의 위험요소가 추출되었으며, 이 중 ‘나감’의 빈도가 가장 많았고, 신체적 손상이 발생한 위험요소는 넘어짐, 부딪힘, 미끄러짐, 떨어짐이었다. 공발생빈도 분석 결과, 넘어짐, 나감, 가스방화, 폭력이 다른 요인과 함께 발생하는 빈도가 높았다. 위험요소의 발생장소는 집주변이 가장 많았으며, 손상부위로는 무릎, 손상정도는 타박상이 가장 많았다. 교차빈도분석결과 위험요소의 발생빈도에 차이가 발생한 항목은 행동장애, 일상생활수행장애 그리고 ADL이였다. 행동장애와 일상생활수행장애의 정도에 따라 빈도의 차이를 보인 요인은 나감이었고, ADL의 정도에 따라 빈도의 차이를 보인 요인은 미끄러짐과 가스방화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 to extract the risk factor by investigating several cases of accident of senile dementia patient at home, and second, based on these result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monitoring factor for the care of senile dementia patient. Bas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Short form of Samsung Dementia Questionnaire (S-SDQ),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cases of accident were investigated with 55 senile dementia patient at home (16 male, 39 female). Based on these questionnaires, risk factors were extracted and frequency, cooccurrence frequency, and occurring place of risk factors, presence or not, region, and degree of injury were investigated. Frequency between risk factor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DL, and S-SDQ was analyzed by crosstabulation frequenc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12 risk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 frequency of `going out` was the highest, and risk factors for injury were `tumble`, `bump`, `slip`, and `fall`. Co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the occurrence of `fall`, `going out`, `fire of gas`, and `violence` with other factors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The occurring place of risk factor was the highest in home neighborhood, and the region of injury in knee, and the degree of injury with bruise. Crosstabulation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factors which had difference in frequency of risk factor were behavioral disorder, disorder of daily living and ADL. Factor which had difference in frequency due to the degree of behavioral disorder and disorder of daily living was `going out`, and factors which had difference in frequency due to the degree of ADL were `slip` and `fire of gas`.

      • KCI등재

        웰다잉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 재가노인복지사업을 중심으로

        김춘남,박수현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23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ell-dying projects of local communities preparing for an aging society, review the feasibility of linkage with home-based elderly welfare projects and identify methods to do so by focusing on field and academic experts. To identify the role of communities in supporting well dying programs,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ell-dying culture creation, and related policies in one province were analyzed. In addition, written or face-to-face advisory meetings were conducted on 7 occasions with field and academic experts to explore the community’s role in providing well-dying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various well-dying projects operated mainly by local governments was confirmed, as well as the services and programs linked to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Secon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expert opinions,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for linking p rojects, prepare a c urriculum that c onsiders t he c haracteristics of t he s ubject, prepare a c lear b asis f or providing well-dying services, take a step-by-step approach, and confirm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well-dying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t the end of life, it is important to advance and systematize the project so that socially vulnerable groups, includ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can access quality well-dying programs through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perating system for well-dying projects and programs so that service users and providers can understand well-dying culture and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for each situation. 목적: 본 연구는 에이징 솔로사회를 대비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웰다잉 사업을 살펴보고 현장 및 학계 전문가를 중심으로 재가노인복자사업과의 연계가능성을 검토하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웰다잉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을 규명하기위해 1개 도의 재가노인복지사업 현황과 웰다잉 문화조성및 관련 정책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장 및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7회에 걸쳐 웰다잉 지원과 관련된 지역사회역할을 탐색하기 위한 서면자문 또는 대면 자문회의를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지자체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웰다잉 사업 현황을 확인하였으며 재가노인복지사업과 연계가능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문가 의견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사업간 연계를 위한 협력체계구축, 대상자 특성을 고려한 커리큘럼 마련, 웰다잉 서비스제공에 근거와 필요성을 명확한 근거 마련과 단계적 접근, 급속한 고령화 속에 늘어나는 치매노인을 위한 웰다잉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생애말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치매노인을포함한 사회적 취약계층의 노인이 재가노인복지사업을 통해 양질의 웰다잉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도록 사업을 고도화되고 체계화해야 한다. 또한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자 및제공자가 각기 상황에서 웰다잉 문화를 이해하고 적절한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웰다잉 사업 및 프로그램의 운영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재가 치매노인을 돌보는 주 간호자의 스트레스와 건강상태

        김경민,이은남,Kim, Kyung-Min,Lee, Eun-Nam 한국재활간호학회 2005 재활간호학회지 Vol.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level and health status of primary caregivers living with demented elderly. Method: The subject was 92 primary caregivers who had been taking care of demented elderly at home. The research tools were a stress questionnaire and health status questionnair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rect interview with a questionnaire in the B city, from February to March 2004.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cheffe test using SPSS/PC 11.0 program. Results: The primary caregivers living with demented elderly showed slightly high level of stress and moderate level of health status.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level and the mental and the physical health statu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recommend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to decrease the stress level of primary caregivers living with demented elderly for improving their health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