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ACUM 기법을 이용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정수정(Jung, Su-Jung),고하나(Ko, Ha-Na)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2

        목적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치매안심센터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수행하고 있는 임무(duty)와 작업(task)을 도출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량강화 및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DACUM 기법에 따라 위원을 선정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도출하고 직무분석 결과에 대해 2 단계의 타당도 검증과 직무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하여 수행작업표(DACUM chart)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 DACUM 워크샵을 통해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타당도 검증을 거쳐 9개의 임무와 56개의 작업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임무와 작업의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파악하여 중요 임무 및 작업을 도출한 결과, 인지프로그램운영(쉼터, 인지강화교실) 임무의 중요성이 가장 높았으며, 인지프로그램운영(쉼터, 인지강화교실) 임무의 인지프로그램 준비하기와 인지프로그램 운영하기(내소/출장) 작업의 중요성이 높게 나타났고 이에 대한 교육수요도 또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결론 : DACUM 기법을 통해 분석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는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인력관리 및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mprove the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dementia care center in Korea by defining the duties and tasks they are performing. Methods : The DACUM method was used to achieve an analysis of the duties of the dementia care center occupational therapists. In order to achieve this analysis, a job analysis was executed through a DACUM workshop by a DACUM committee, checked for validity in two steps of survey, and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the job was investigated to created a DACUM chart. Results : Through the DACUM workshop, the dut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dementia care center were defined, and 9 duties and 56 tasks were derived through validation.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performance of duties and tasks,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of cognitive program was the highest, and the Preparing for a cognitive program and Operate cognitive programs (in-center/business trip) tasks were high.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 for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efficient work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 분석: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조미림(Cho, Mi-Lim)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9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경상권, 중부권, 호남권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작업치료 전공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이 누락된 12부를 제외한 388부가 자료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하여 보통의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치매안심센터로의 취업의사가 있는 학생들은 전체 학생의 80%이상이었다. 둘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중요하며, 치매조기검진 및 예방관리사업에서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이 모두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 중 연령과 학년, 지역에 따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와 치매안심센터 전반적인 기능,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경우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와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지역사회 작업치료 교과목 수강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치매안심센터 기능과 치매안 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수준, 그리고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에 대한 관심 정도에 따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치매안심센터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야의 활성화와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From September 2019 to January 2020, 400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were surveyed at universities located in the Gyeongsang, Joongbu and Jeonra areas. With the exception of 12 missing responses, 38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First,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had a normal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more than 80 percent of all students were willing to work at a dementia care center. Second, students recognized that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was important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was most important in early screening of dementia and preventive management project. Third, students were all aware of the need for education on the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clinical practi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educational needs about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ccording to age, grade and region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ifth,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educational needs for clinical practice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there was a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Six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educational needs about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clinical practi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job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level of interest in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Conclusion :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valued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found tha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dementia care center. These findings could used as a useful basis for activating the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education.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 당위성에 대한 연구

        조미림(Cho, Mi-Lim)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전국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 당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4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전국 작업치료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회수 결과, 응답이 누락된 6부를 제외한 258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과 관련하여 작업치료사의 역량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연구에 참여한 작업치료사들은 노인 및 치매질환, 인지, 일상생활활동, 조기검진팀 검진사업, 조기검진팀 서비스 연계 5개 영역 모두 평균 4점 이상으로 작업치료사가 해당 영역에 대한 역량을 갖춘 전문가라고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에 관한 당위성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의 작업치료사 포함에 대한 당위성, 인지와 인지평가 및 중재 전문가를 통한 인지검사 수행, 노인과 치매질환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통한 치매지원서비 스 연계 및 후속상담 실시,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통한 치매지원서비스 연계 및 후속상담 실시의 필요성에 대한 4개 문항 모두 평균 4점 이상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전문가가 관련 서비스를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기검진팀 사업 관련 작업치료사의 역량과 당위성에 대한 인식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사업 참여 당위성 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justification for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a dementia care center from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Methods : A survey of 264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020 to August 2020.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s, 258 copies were used as data for the final analysis, and 6 copies with missing responses were excluded.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ption of their own competencies in relation to the projects of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gave themselves scores of 4 or more points on average in five areas: the elderly and dementia, cogn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examination project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and connection with the early examination team’s services. Therefore,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ive themselves as experts with competencies in the relevant areas. In addition,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justification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y got scores of 4 or more points on average for the four questions about the justification of the inclus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cognition and cognitive assessment, and performance of cognition testing through intervention experts; connection with dementia support services through experts with knowledge about the elderly and dementia and follow-up consultation; and the necessity of connection with dementia support services through experts with knowledge about the elderly’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ollow-up consultation. In this way, it determined that they think the experts for the relevant areas must carry out the relevant service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compete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justification in relation to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evidence for the justification for the particip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arly examination project by the dementia care center.

      • KCI등재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ementia Attitude and Dementia Knowledge According to the Level of Dementia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작업치료전공 학생들의 치매교육정도에 따른 치매태도 및 치매지식과의 상관관계분석

        정혜영(Jung, Hye-Young),유찬욱(Yoo, Chan-Uk)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대해 알아보고 대학의 정규 치매교육 정도 및 치매임상실습이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1년 1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연구목적을 이해한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총 181명의 학생이 참여하였고 그중 16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연구대상자의 치매 태도 점수에서는 안정척도 70점 만점에 36.33±8.41점, 지식척도 70점 만점에 47.25±8.67점을 보였으며 총 140점 만점에 평균 84.42±12.36점의 치매 태도 점수를 나타냈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치매지식은 총 30점 만점에 평균 18.33±3.1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매 교육 정도에 따른 치매태도 및 치매지식과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정규 치매교육을 많이 받은 학생일수록 치매태도와 치매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치매임상실습 시간의 증가에 따라 치매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작업치료전공 학생들의 교육과정에서 치매에 대한 정규교육과정 프로그램과 치매관련 임상 실습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치매지식과 치매 태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is to find out knowledge of dementia and the attitude of to b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ho work in the field of dementia, and to find how knowledge of dementia and the attitude are correlated depending on the level of regular dementia education and regular clinical practicum of dementia in college. Methods : The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occupational therapy from January to March 2021. Explanation on the study was given to all participants and only the studen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participated, and data on a total of 162 subjects was analyzed. Results : First, regard to attitudes toward dementia of the subjects score of the attitudes toward dementia was 84.42±12.36 on average out of 140 points. And dementia knowledge of the study subjects was 18.33±3.11 on average out of 30 points. Second, in term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ementia attitude and dementia knowledge depending of the level of education on dementia, students who have received more dementia education as regular course have higher dementia attitude and knowledge(p<.05). Additionally, as length of time of clinical practicum of dementia increases, the dementia attitude was higher(p<.05). Conclusion : It was found that a degree of dementia education had a high correlation with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s. In particular, dementia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mentia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뇌영상기법과 ApoE 유전자형 분석을 통한 경도인지저하환자에서 치매 전환으로의 구조학적, 유전학적 변이 연구

        김지현(Kim, Ji-Hyun),김연하(Kim, Yeon-Ha),김희진(Kim, Hee-Ji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목적 : 도시지역 경도인지장애에서 치매로 전환된 대상자의 분석을 통해 치매 위험요소를 예비확인하고, 한국형 치매전환에 대한 교정 가능한 위험인자를 개발하여 약물 및 사회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등록된 8912명 중에서 현재까지 파악된 경도인지장애군 중 치매 비전환군 93명과 전환군 21명, 치매군 438명의 사회, 심리적 지표와 내과적 지표의 후향적 분석을 통해 한국형 치매 위험지수 개발하고, 치매비전환군과 전환군을 대상으로 하여 APOE genotype과 뇌영상을 종단 분석하여, 치매로 이환된 군의 사회. 심리적 요인을 분석하고 생물학적, 유전적 소인을 확인한다. 연구결과 : 사회심리적요소로는 배우자가 없는 경우, 종교가 없는 경우, 흡연과 운동력의 유무가 위험요소였고, 생물학적으로는 연령증가가 가장 중요한 치매의 위험인자였고, ApoE ε4 allele의 경우 상대위험도는 2.4였고, 1년의 종적인 뇌구조의 변화를 관찰할 때 뇌의 위축은 ApoE ε4 allele형을 가진 치매전환군에서 왼쪽 측두엽과 양측 두정엽에서 저명하였다. 결론 : 경도인지장애군을 치매로 전환시키는 교정인자는 운동여부과 흡연력과 독거 등의 위험요소가 위험 인자였고, 생물학적인 인자는 나이와 ApoE ε4 allele와 환자가 가지고 있는 내과적 질환은 기존의 보고와는 다르게 치매 전환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하여 고위험군의 색출과 함께 사회통합적인 교정인자의 조기 개입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rough the analysis of patients with dementia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groups, the risk factors for dementia are developed and the basis for drug and social intervention is to be prepared by developing modifiable risk factors for Korean-style dementia conversionMethods : Totally, 8,912 enrolled from 2008 to 2012, (93 non-converted, 21 converter groups, and 438 dementia) Social, psychological and internal indicators are analyzed to develop Korean dementia risk indexes, and APOE genotype and brain imaging analyses for non-conversion and conversion groups to analyze and identify the social, psychological, and genetic factors of those who have been converted into dementia. Results : As a social psychological factor, the absence of a spouse, current smoker, and exercise were correlated with conversion to dementia in MCI. Old age and ApoE ε4 allele increase biologically, the relative risk for dementia. Group of ApoE ε4 allele showed brain atrophy on the lateral temporal and bilateral parietal lobe in a 1 year- longitudinal follow up MRI. compared to those with other genetic types. Conclusion : This study presented various risk factors of dementia conversion in MCI group and it is needed for early intervention of modifiable factors and arly detection of high-risk group was important for prevention.

      • KCI등재

        재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차수민(Cha Su-Min),이혜진(Lee Hye-Ji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본 연구는 재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재가 치매노인의 맞춤형 주거환경 디자인 개발, 지역사회 재가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정책 수립에 필요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연구 선정기준에 따라 Google Scholar, KISS, RISS,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총 5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모든 연구가 Level Ⅳ(조사연구)에 해당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가 배우자, 자녀, 며느리 등을 포함한 치매노인의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연구 5편 모두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현황 및 개선요구를 큰 주제로 하였고, 주요 세부 주제는 치매 유형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2편(40.0%), 치매증상 단계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 치매 관련 증상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 주거 공간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으로 나타났다. 결론: 향후 효율적인 재가 치매노인의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안이 도출되기 위해서는 주택개조 지원 제도 및 관련 정책의 변화, 다학제적 접근법에 대한 적용방안 마련 및 검토, 치매노인 주거환경 개선 관련 분야에서의 작업치료사 역량 강화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다차원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thereby presenting the research direc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housing environment desig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a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Methods : From 2000 to 2020, according to the research selection criteria,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searching articles registered in the databases of Google Scholar, RISS, KIS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finally selecting a total of five studies.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research, all of the researches corresponded to Level IV(research study), and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All studies conducted a survey on housewiv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cluding spouses, children, and daughter-in-law. As a result of analysis of main themes, 2 studies(40.0%) of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type of dementia, 1 study(20.0%) on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dementia symptom, 1 study(20.0%) on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dementia-related symptoms, 1 study(20.0%) on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by housing space was found. Conclusion : In order to derive an efficient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tailored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changes in the housing remodeling support system and related policies, preparation and review of application plans for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nd improvement of the hous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strengthen the competence and expertis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ield. Multidimensional research for securing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 KCI등재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치매관리비용 및 치매안심센터 기능변화 연구

        조승현(Cho, Seung-Hyu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는 치매관리비용과 관련된 공공데이터를 수집 및 취합하여 치매와 관련된 비용적 분석과 치매안심센터의 시설, 인력, 실적을 분석하여 치매안심센터 기능변화에 대하여 제시함으로써 미래의 치매 관련 정책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치매관리비용과 치매안심센터 관련 공공데이터를 정보공개 청구 및 보건 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 등을 통해 수집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치매관리비용의 증가는 노인인구 증가와 치매환자 수 증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치매안심센터는 전국에 설치되어 치매 관리를 위한 기초 인프라로서 기능하고 있으나 인력의 다학제적 구성에서 불균형을 보인다. 치매국가책임제 이후 치매환자 등록관리는 획기적인 양적 증가세를 보였으며, 상담 관리는 질적 향상이 있었으나, 인지재활프로그램(쉼터프로그램)과 가족프로그램은 실적 기준의 변화로 정확한 비교가 어려운 연구의 한계가 있었다. 결론 : 치매관리비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보건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치매관리 사업의 효과적 자원 투입이 필요하다. 특히 작업치료는 비용편익이 매우 뛰어나고 효과적으로 알려진 바, 작업치료의 역할을 쉼터에만 한정하지 않고 상담, 평가, 중재 계획, 중재, 교육 및 관리 등 다양한 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collects public data related to costs of care for dementia and analyzes costs related to dementia. Analyze the facilities, staff, and performance of t he Cent er for Dementia and present changes in the function of the Center for Dementia. It was implemented to present basic data for decision-making on policies related to dementia. Methods : Public data related to costs of care for dementia from 2016 to 2018 were collected through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s and health care big data hub. Results : The increase in costs of care for dementia is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The Center for Dementia is installed nationwide and functions as a basic infrastructure for dementia management, but it shows an imbalance in the multidisciplinary composition of manpower. After th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plan, dementia patient registration and management showed a drastic increase in quantity. The quality of counseling management was improv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and family programs had limitations in making accurate comparisons difficult due to changes in performance standards. Conclusion : Costs of care for Dementia are constantly rising. In order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health programs, it is necessary to properly invest dementia management project expenses. In previous studies, occupational therapy was found to have excellent net benefits.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is not limited to cognitive rehabilitation, but various responsibilities such as counseling, evaluation, intervention planning, intervention, education and management should be performed.

      • KCI등재

        인지자극활동에 대한 작업치료사 요구도 조사

        신원미(Shin, Won-Mi),김유진(Kim, Yu-Jin),이연주(Lee, Yeon-Ju),양영애(Yang, Yeong-Ae)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는 서울⋅경기⋅부산 지역의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의 인지자극활동의 인식도, 시행현황, 요구도를 알아보고 인지자극활동의 전문가로서의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9년 11월 4일부터 11월 25일까지 연구 참여에 동의한 서울, 경기, 부산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에서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인지자극활동프로그램 경험이 있는 28명의작업치료사에게 실시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빈도와 백분율을 통해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사에 대한 인지자극활동프로그램 인식도 조사결과 ‘잘 알고 있다’ 14명(50%)이었으며, 인지자극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 결과 ‘매우 그렇다’ 24명(85.7%)이었다. 인지자극활동프로그램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요구도 조사결과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하여 ‘잘 알고 있다’ 12명(42.9%), 역할에 대한 중요도에 대한 조사 결과 ‘매우 중요하다’ 26명(92.9%)이었다. 그러나 임상에서 인지자극활동을 주도하는 전문가에 작업치료사가 포함되어있다는 사실을 아는가에 대한 조사결과 ‘예’ 4명(14.3%), ‘아니오’ 24명(85.7%)이었고, 현재 임상에서 인지자극활동프로그램을 시행 하고 있는 전문가가 요양보호사임을 알고 있는가에 대한 조사 결과 ‘네’, ‘아니오’가 각각 14명(50%) 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인지자극활동에 대한 인식도, 시행현황, 요구도를 알아보았다. 향후 인지자극활동을 시행하는 전문가로서의 작업치료의 발전 및 보건의료정책의 기초를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wareness, implementation status, and demands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working at nursing homes and nursing facilities in Seoul, Gyeonggi and Busan, and to find out how to promote the cognitive stimulation activities as an expert.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ccupational therapist with experience in the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for dementia patients at Seoul, Gyeonggi, Busan nursing homes and nursing facilities that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from November 4 to November 25, 2019 and was investiga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he data analysis is based on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data collected. Results : The survey also showed that 14 people (50%) were I know well of occupational therapists, while 24 people(85.7%) were It really is of the survey on the need for human cognitive activity. The occupational therapists demands for the cognitive activity program were also found to be 12 I know well (42.9%)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roles and 26 (92.9%) of the Very important (92.9%) of the survey on their importance. However, the survey on whether experts leading clinical cognitive activities include occupational therapists (14.3%) and 24 No (85.7%), respectively, and 14 (50%) were found to be care helper respectively.14people (50%) of them are yes and no. Conclusion : This study aimed to found out the awareness, executional status, and demands of the cognitive activity program among the Occupational therapists.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연구

        여현주(Yeo, Hyun-Joo),이윤정(Lee, Yun-Jeong)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 정도 및 필요성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9년 11월 1일부터 11월 19일까지 부산, 경남,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69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에 대해 알고 있는지에 관한 문항에서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32명(46.4%)으로 가장 많았으며,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정도를 묻는 “작업치료 대상자가 누군지” 및 “작업치료의 목적이 무엇인지”에 관한 문항에서는 다중응답으로 “신체장애 및 질환이 있는 자”가 61명(37.7%), “건강, 기능의 향상 및 회복”이 64명(39.5%)으로 가장 많았다. 작업치료 필요성에 대한 응답으로는 “대체로 필요하다”가 36명(52.2%), “반드시 필요하다”가 24명(34.8%)순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지역사회 노인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와 필요성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와 지역별, 분야별로 작업치료 관련된 시설과 작업치료 프로그램 및 교육이 마련되어 작업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지역사회에서 작업치료에 대한 관련법 제정 및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In the present study, the demand for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s increasing, We will examine the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Methods : From November 1st to November 19, 2019, 69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n Busan, Kyungnam and Daejeon provinces Respectively. A total of 1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questionnaires collected via internet links and direct visits 69 par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Version 25.0. Results : In the question of whether Do you know about occupational therapy, 28 persons(40.6%)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clients who need occupational therapy the higher rate of Physical disability and a disease was 61 persons(37.7%). Also, purpose of occupational therapy the higher rate of Health, Recovery and Improvement of function 64 persons(39.5%), and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y “was positively necessary“ 24 persons(34.8%). Conclusion :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s low, but the need for occupational therapy. It is necessary to provide facilities and rehabilitation occupation therapy in the community program and education to provide rehabilitation occupation service. In order to activate in the community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 KCI등재

        치매환자의 공격적 행동과 치료사의 심리적 소진의 관계 및 대처방법 분석연구

        이다솔(Lee Da-Sol),김시은(Kim Si-Eun),양영애(Yang Yeong-Ae)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본 연구는 치매환자를 일대일로 응대하는 치료사들이 어떠한 공격적 행동 양상을 경험하고 대처하는지 알아보고 공격적 행동에 따른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0년 10월 15일부터 11월 2일까지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면허증을 소지하고 의료재활기관과 사회복지기관에서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작업치료 및 물리치료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치료사 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치매환자의 공격적 행동 빈도수가 높을수록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의 심리적소진의 점수도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치매환자의 공격적 행동에 따른 대처행동은 언어적 토론, 신체적 억제, 행동제한, 발생요인제거, 무반응, 휴식, 화학적 억제, 기분전환, 회피, 신체적 공격 순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공격적 행동에서 모두 언어적 토론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각 기관에서는 치매환자의 공격적 행동에 대한 대처행동에 관한 교육 및 프로그램과 재활적 치료 접근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는 심리적 소진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aggressive behaviors the therapists who were coping with dementia patients one on one experience and cope with an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burn-out according to the aggressive behaviors. Methods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65 therapists who were performing the tasks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for dementia patients at medical rehabilitation institutions and social welfare institutions, holding the licenses of an occupational therapist and a physical therapist from October 15 through November 2, 2020. Results : The higher the frequency of the dementia patient’s aggressive behavior, the higher the score of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hysical therapists became, and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behaviors for coping with the dementia patients’ aggressive behavior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Linguistic discussion, physical suppression, behavior restriction, the removal of the cause of occurrence, unresponsiveness, rest, chemical suppression, diversion, evasion, and physical aggression, and concretely, the linguistic discuss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all the aggressive behaviors.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each institution should provide education and program on the behavior for coping with dementia patients’ aggressive behaviors and the baseline data on the rehabilitative therapeutic approach and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hysical therapists should appropriately manage their psychological burn-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