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개념도 그리기 개별활동과 협동활동이 자유회상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정선,이수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구성적, 참여적 학습 도구인 개념도의 활용 전략에 따른 학습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념도 그리기 개별활동과 협동활동을 실시한 후, 이에 따라 자유회상과 자기효능감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개념도 그리기 활동 유형에 따른 직후 자유회상과 지연 자유회상에서 개별활동 집단과 협동활동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 개념도 그리기 개별활동과 협동활동은 학습내용 기억과 파지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간 자기효능감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개별활동과 협동활동은 실험대상 과목의 학업성취에 대한 자기 효능함과 개념도 그리기에 대한 자기 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으며 개념도의 유용성에 대한 느낌에서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wo types of concept mapping individual concept mapping and collaborative concept mapping on college students' comprehension of expository text and self-efficacy. As result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individual concept mapping group and collaborative group on both immediate recall test and delayed recall test.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on self-efficacy about both achievement and concept mappin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t difference of effects between the two concept mapping strategies on free recall and self-efficacy. Based on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to the following researches were made. First, in order to search the real effect of concept mapping, studies which inspect prolonged effect of concept mapping are essential. Second, more researches need to be performed that examine the effects of a variety of types of concept mapping strategy. Third, it is needed that investigations about utilizing concept maps as a learning tool should be made under different learning situations and in diverse learning contents. And the subjects of the studies need to be extended to adult learners. Fourth,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done without regard to characteristics of learners but studies that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 mapping strategie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are recommended in the future. finally, as online education is getting more universal, studies exploring the effects of concept maps in online education need to be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studies.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일화기억에서 자기기억과 타인기억 연구

        안춘희,안미경,서경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1

        This study by event experienced was to ensure that the recall for self and other has differences between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ypical children. Two groups of 10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group with autism(experimental group) and a group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for verbal ability. The specific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autistic children and typical children in the free recall for self?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autistic children and typical children in the free recall for other?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free and cued recall for autistic children in episodic memory?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autism and the group matched for verbal ability for uncompanied self and companied self.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ith autism and the group matched for verbal ability for companied other. This interpretation is strengthened by the findings that the children with autism recalled more information in the accompanied other recall test than in the unaccompanied self and accompanied self. Third, The compound score for all three level of cued recall was higher than free recall. In this test, a percentage score was calculated for comparing free and cued recall and the three levels of cues, due to the fact that if a child recalled all items under free recall then the cued recall score would be low giving a misleading interpretation of children's ability to remember event under cued recall.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일화기억 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자기 인식에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일상에서 경험한 일에 대하여 자신에 관한 기억과 타인에 관한 기억이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이 일화기억 과정에서 단서 없이 특정 정보를 회상할 수 있는 자유회상과 단서를 지원해주는 단서회상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혼자 경험한 활동과 함께 경험한 활동, 두 가지 활동에서 모두 일반 아동에 비해 자기기억에 현저한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자기기억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에 반해 타인기억에는 일반아동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자유회상에 어려움이 있으나 간단한 단서를 통한 단서회상으로 일화기억이 가능하였다.

      • KCI등재후보

        만 5세 유아의 인지적 억제와 작업기억 폭이 회상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성현(Seong-Hyun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유아의 학습에 기반이 되는 인지과정의 요소인 작업기억 폭과 인지적 억제가 인지과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 만5세 유아 229명이다. ‘별과 꽃’ 과제와 ‘WMTB-C의 숫자폭’과제, ‘자유회상’ 과제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인지적 억제(상,하) × 작업기억 폭(상,하)를 통한 이원 배치 분산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아의 회상량에 있어서 인지적 억제와 작업기억 폭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억제와 작업기억 폭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단순 주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작업기억이 높은 집단에서 인지적억제가 높고, 낮음에 따른 회상량의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작업기억이 낮은 집단에서 인지적 억제의 높고, 낮음에 따라 회상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인지적 억제가 낮은 집단에서 작업기억에 따라 회상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인지적억제가 높은 경우에는 작업기억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령전기인 만 5세 유아에게서도 작업기억 체계의 하위 구조인 음운회로 영역과 중앙 집행기의 상호작용이 발생하였다. 이는 작업기억의 하위체계 요소간의 상호작용이 학령전기 유아에게도 발생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inhibition and working memory span on five years old children's recall. A total of two hundred and twenty-nine, five-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were split in half based on their cognitive inhibition and working memory span(A high and a low group). Finally, two hundred and one children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se participants completed three tasks: the first task was a typical Working Memory span task by WMTB-C. A Stroop-like day-night test was also used to examine cognitive inhibition alongside memory recall scoring.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wo factors: cognitive inhibition (high, low) and working memory span (high, low).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Two-way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main effects were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cognitive inhibition level and working memory span was also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working memory span on high cognitive inhib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performance on memory recall tasks is not only influenced by cognitive inhibition, but also by working memory span. The implication of this i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ub-components of working memory interact with each other to influence children's performance.

      • KCI등재

        초등 고학년 산문자료 파지에 끼치는 초기인출연습의 시기별 효과

        신민경,강이철 대한사고개발학회 2020 사고개발 Vol.16 No.3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initial retrieval practice on the final criterion test conducted on the 28th day after the initial learning. 271 sixth graders performed the initial retrieval practices in two different way on different timings: 0th day, 7th day, 14th day, and 21st day after learning the prose material consisting of 371 words. Free-recall and multiple-choice test types were applied as a method of initial retrieval practice, and the criterion test was conducted equally among the two groups with 25 multiple-choice items. Concerning the different effects by the timing of the initial retrieval practice, the initial retrieval practice conducted on the 0th, immediately after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itial retrieval practice conducted on the 7th and 14th day as well as the 21st day closest to the time of the criterion test, and the same results were found in both initial retrieval practice methods: free-recall and multiple-choice test. In addition, according the principle of transfer appropriate processing, the achievement in the criterion test of the multiple-choice test group whose testing process matched the learning process had been expec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non-consistent free-recal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free-recall as a method of retrieval practice, along with empirical evidence that the effect of free-recall on blank paper may be more common than the multiple-choice test, is greater than ‘the desirable difficulty effect’ of initial retrieval exercise on prose material.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271명을 대상으로 371개 단어로 구성된 산문자료 학습 후 0일, 7일, 14일, 21일째 두 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실시한 초기인출연습활동이 최초 학습 후 28일째 시행된 최종 준거시험에 끼치는 파지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초기인출연습의 방법으로 자유회상과 5지선다형을 적용하였고, 준거시험은 25점 만점의 5지선다형 25개 문항으로 두 집단에 동일하게 실시되었다. 초기인출연습 시기에 따른 파지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 직후인 0일에 실시한 초기인출연습이 준거시험 시기와 가장 가까운 21일째뿐만 아니라 7일째와 14일째 실시된 초기인출연습 보다 더 효과적 이였으며, 이 결과는 초기인출연습 방법인 자유회상과 5지선다형 유형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또한 전이적합형처리 원리에 따르면, 학습과정과 시험과정이 일치하는 5지선다형 집단의 준거시험 성취도가 일치하지 않는 자유회상 집단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두 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인출연습 방법으로써 자유회상의 효과가 5지선다형보다 파지에 끼치는 영향이 좀 더 보편적일 수도 있다는 실증적 증거와 더불어 파지에 끼치는 초기인출연습 효과가 ‘바람직한 어려움 효과’보다 더 크다는 결과를 확인했다.

      • KCI등재

        들뢰즈의 영화 이미지 존재론을 통해 본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붉은 사막”

        신원경(Won Kyeong Sh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고에서는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이 영화 “붉은 사막”에서 구현한 영화 이미지의 특성을 들뢰즈의 이미지 이론에 입각하여 분석하였다. “붉은 사막”에 출현하는 이미지의 성격은 먼저 세 가지의 특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지각-이미지의 ‘자유 간접 주관성’의 사례로서 등장인물의 시선이 카메라의 시선과 중첩되어 ‘강박적 프레임’이라는 안토니오니 감독의 특징적 스타일로 구사된다. 여기에서 인물의 시점과 카메라의 시점은 동시적으로 주체가 되어 상호적인 지각-이미지를 갖게 된다. 두 번째는“붉은 사막”에서 지각-이미지와 행동-이미지 사이의 간격을 점유하는 정감-이미지의 출현은 클로즈-업또는 탈프레임, 임의의 공간으로부터 발생한다. 임의의 공간에서 정감-이미지가 출현하는 요소는 극명한 명암의 대비, 백색 공간의 구축, 그리고 강렬한 색채-이미지이다. 세 번째, 회상-이미지와 결정체-이미지의 성격을 공유하는 이미지들은 시간-이미지가 출현하는 전조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들뢰즈의 이미지 존재론을 통해 “붉은 사막”을 고찰하는 작업의 목적은 사유의 계기를 제공하는 이 영화가 지닌영화 예술의 의의를 제고하고자 함에 있다. Based on Deleuze's image theo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image embodied in Michelangelo Antonioni's film “Red Desert”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appearing in “Red Deser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haracteristics. Firstly, it exemplifies the 'free indirect subjective' of the perception-image. Secondly, in “Red Desert”, the emergence of affection-image, which occupies the gap between perception-image and the action-image, arises from close-up or unframing, any-space-whatevers. Thirdly, images that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recollection-image and crystal-image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precursor to the emergence of time-image. The purpose of the work of examining the film “Red Desert” through Deleuze's image ontology is to enhance the significance of the film's film art.

      • KCI등재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의「사육(飼育)」론-놀이의 의의와 회상의 장치를 중심으로-

        정윤영,신지숙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日本硏究 Vol.0 No.76

        This study focuses on the play that has not been noticed in earnest until now to view the world of 「Shiiku」 from a new perspective. Specifically, it examined the function of the device called ‘recall’ which is the premise of this stor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world of ‘play’, which is a powerful driver of recollection. As for the theory of play, the theory of Johan Huizinga and Roger Caillois was referred to. In terms of ‘play’, the exchange of boys and a black soldier shows that the black soldier in the world of war is incorporated into the children’s world and the world of play, characterized by freedom, one-time and disguise, limitations of time, and the isolation of the place, were established and expanded upon, finally reaching a ‘perfect play’ where nature, human beings and animals were combined to become mythical. The freedom from boundaries, the joy of unity, the inexpressible rhythm and fullness remain as an unforgettable, inseparable touch to the present ‘I’. Thus, the device of this recall is a device for recalling affection for the black soldier, the memory of a perfect play, and it is a recollection to heal the wounds in the world of war by summoning its beauty. 本論は、従来、本格的には注目されることのなかった「遊び」に焦点を会わせて、新 しい視座から「飼育」の世界を照明した。具体的には、この作品の語りの枠組みである 回想という装置の機能について、そして、その回想の強力な動因となっている遊びの 世界の意義について検証した。遊びの理論に関しては、ヨハン・ハウジンハ(Johan Huizinga)とロジェ・カイヨワ(Roger Caillois)の理論を援用した。 遊びという観点から少年たちと黒人兵との交流をみれば、戦争の世界に属していた 黒人兵が子供たちの世界に取り込まれ、遊びの世界が成立し、拡張し、ついには、自 然と人間と動物が一つになった神話的ともいえる「完璧な遊び」に至ったといえる。あ らゆる境界が取り払われ、味わった自由さ、そして、みんなが仲間になった喜びは、 今なお、言い表せない、決別できない感動として残っている。したがって、この回想 の装置は、黒人兵への愛情、美しい完璧な遊びの記憶を呼び戻すための装置であり、 その美しさの召還によって、戦争の世界で傷付いた少年時代の自分を癒すための回想 といえる。

      • KCI등재
      • KCI등재

        오정희 소설의 트라우마와 치유

        지주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5 No.-

        This study regarded that the individuality of Jeong-Heui Oh's Novels is the trauma and the effective expression of it. Trauma is the mental external wound left after particular experience and frequently shows itself with various symptoms without being properly recognized by the subject. The core of trauma shown in Jeong-Heui Oh's Novels is the topic of 'death' with the background of Korean War. Texts present, centering around the experience of death, peripheral traumas like the absence of father, the poverty and lack, the alien and female life as the weak. Symptoms of characters include the bulimia, kleptomania and pretending to be dead that 'I', the heroine of 「The garden in childhood」, shows, the behavior of 'I' that keep stealing into her own space in 「The Chinese street」 and the repetitive leaving home and smoking by 'Eun-Su Choi' in 「The spirit of wind」. There are about three formal aspects of text to represent trauma and derivative symptoms effectively. First, the subject beard unrest and illogicality in communication that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omission and inner monologue. The inner monologue represents the isolated language that was not expressed out. Second, free indirect speech was used. The free indirect speech helps deliver the delicate psychology of trauma situation where the voices of the narrator and the speaker overlap. Lastly, the trauma experience in the past overlaps discontinuously into the present conversation. The eternal object of novels is the effective healing about symptoms. Each text accomplishes the healing method in suitable patterns.

      • KCI등재

        온라인 리뷰 환경에서의 디지털 넛지: 사진을 먼저 업로드 하는 행동이 리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재민,이호근,김태영 한국경영정보학회 2023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25 No.1

        소비자들은 판매자가 제공하는 정보 보다는 다른 소비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더욱 신뢰하는 경향이있다. 그렇기 때문에 소비자로 하여금 높은 품질의 리뷰를 작성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기업에게 있어서매우 중요한 과제지만, 이처럼 양질의 리뷰를 생산하게 만드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우리는 리뷰작성 및 기억 회상 관련 연구를 토대로 소비자들이 자연스럽게 높은 품질의 리뷰를 작성하도록 만드는디지털 넛지(digital nudge) 방법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온라인 리뷰 작성 과정에서리뷰 작성자의 사진을 먼저 업로드 하는 행동이 리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실험을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는 실험 대상자를 모집 후, 리뷰 작성 전에 사진을 먼저 업로드 하는 그룹과그렇지 않는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실험 대상자들에게 긍정 리뷰와 부정 리뷰를 작성하게하는 과제를 할당하였다. 그 결과, 사진을 먼저 업로드 하는 행동이 리뷰 내용의 길이를 늘린다는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진을 먼저 업로드 하는 온라인 유저들이 그 상품에 대한 만족도가 극단적으로부정적일 때, 그 유저가 작성하는 리뷰 내용의 양면성의 정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onsumers tend to trust information provided by other consumers more than information provided by sellers. Therefore, while inducing consumers to write high-quality reviews is a very important task for companies, it is not easy to produce such high-quality reviews.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review writing and memory recall, we decided to develop a way to use digital nudge to help consumers naturally write high-quality reviews. Specifically, we designed an experiment to verify the effect of uploading a photo during the online review process on the quality of review of the review writer. We then recruited subjects and then divided them into groups that upload photos first and groups that do not. A task was assigned to each subject to write positive and negative review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behavior of uploading a photo first increases the review length.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when online users who upload photos first have extremely negative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 the extent of two-sidedness of the review content incr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