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인간의 자아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 듀이의 자아개념과 질성적 사고 개념을 중심으로

        권영민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1

        서지반출 국문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듀이의 자아개념과 자아형성 과정을 탐구하고 자아형성 과정에 있어서 질성적 사고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인간은 다양한 종류의 본능적 경향성을 가지고 태어나며, 다 른 동물에 비해서 그 경향성을 삶 속에서 실현시키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인간의 자 아형성 과정은 인간의 본능적 경향성을 삶 속에서 실현시키는 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어떠 한 환경이 제공되는가에 따라서 개인의 본능적 경향성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개인의 움 직이는 정체성(moving identity)으로서의 관심(interest)은 개인과 환경과의 조우에 있어서 개인으로 하여금 수동적으로 환경의 영향을 수용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개인의 결핍을 해소할 수 있는 대상을 찾아 나서도록 해준다. 이처럼 개인의 자아형성 과정은 개인의 개별적 경향성과 그 (녀)에게 주어진 독특한 환경과의 고유한 조합의 과정이다. 자아형성 과정에 있어서 질성적 사고는 특별히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듀이 경험 개념에 따르면, 질성적 사고는 인지적 사고의 이전과 이후에 등장한다. 인지적 사고 이전에 등장하는 질성적 사고는 개인으로 하여금 문제적인 감(sense)을 갖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자아형성 과정을 착수하도록 해주며, 인지적 사고 이후에 등장하는 질성적 사고는 우리의 행위를 이상(ideals)에 비추어 검토하도 록 함으로써 우리의 자아형성 과정이 연속성을 갖도록 해준다. 이처럼 질성적 사고의 순간은 인간의 자아형성 과정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질성적 사고의 순간의 발생이 없이는 계속적인 자아형성이 불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Dewey s concept of self and process of self-formation and to identify the role of qualitative thinking in the process of self-formation. Humans are born with various kinds of instinctive tendencies, and it takes much time and effort to realize the tendency in life compared to other animals. The process of human self-form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realizing human instinctive tendencies in life. Depending on what environment is provided, the instinctive tendency of the individual is materialized in a different way. In encountering environment, interest as a moving identity of an individual does not allow an individual to accep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unconditionally but rather makes her or him to actively find the object which fills the individual s deficiency. Thus, the process of self-formation of the individual is a process of unique combination of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 Qualitative thinking plays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self-formation. According to the Dewey s concept of experience, qualitative thinking emerges before and after cognitive thinking. The qualitative thinking that emerges before the cognitive thinking allows the individual to have a problematic sense to start a new process of self-formation, and the qualitative thinking that emerges after the cognitive thinking maintains the continuity of self-formation by making the individual to reflect current experience in the light of ideals. Thus, the moment of qualitative thinking plays a crucial role in the process of human self-formation, and without the occurrence of the moment of qualitative thinking, continuous self-formation is not possible.

      • KCI등재

        프리다 칼로(Frida Kahlo) 작품에 나타난 통합적 자아

        유봉자 유럽문화예술학회 2022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3 No.1

        Frida Kahlo is a passionate female painter who was destined to suffer in agony going through all these physical pains caused by her own disabilities and accidents that she had gotten during the turbulent period of Mexico from the 1920's to the 1940's. She mainly dealt with her own body as topics for her work, and that was what had led her to present her experiences as a woman and motherly imagination as well in realistic and authentic fash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Frida Kahlo built up her egos as looking into her life and work. How Frida Kahlo had formed her egos could be observed from the three points of view. The egos are believed to say an ego as a woman focusing on a relationship with Diego Rivera, an ego based on motherhood related to these desires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an integrative ego of the earth which had been formed as it would embrace all of the other previous ones. In terms of how this study discusses how Frida Kahlo built her egos as observing the whole work from an insightful perspective, it helps this study considered significant for it has expanded an range of any previous research on Frida Kahlo's egos all the way to the integrative ego going even beyond the perspective of feminism. 프리다 칼로는 1920대에서 1940년대 멕시코의 격동기에 장애와 사고로 얻은 육체적 아픔을 온몸으로 겪으며 고통과 함께 살다간 강인한 여성 화가이다. 그녀는 자신의 육체를 그림의 주제로 하여여성으로서의 경험과 모성으로서 상상을 사실적이고 진실하게 작품에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리다 칼로의 삶과 작품을 통하여 그녀의 자아 형성과정을 탐색해 본다. 프리다 칼로의자아 형성과정은 세 가지 관점에서 접근해 볼 수 있다. 디에고 리베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여성으로서 자아, 임신과 출산의 욕구와 관련된 모성으로서의 자아, 이를 모두 포용하여 형성된 대지로의통합적 자아가 그것이다. 프리다 칼로의 자아 형성과정을 작품 전체를 통한 통찰적 시각으로 살펴보는 것은 이전까지 연구되었던 프리다 칼로의 자아에 관한 연구 영역을 페미니즘의 시각을 넘어 통합적 자아로까지 확장해본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이야기심리학에 근거한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송준용 한국상담전공대학원협의회 2018 융합상담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심리학적 접근을 통하여 청소년 자아정체성 형성요인과 지지기 반을 탐색하여 건강하고 성숙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들은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남·여 청소년들로 구성 되었으며, 고등학생 12명을 선정한 후 O·T를 통해 질문지를 설명한 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야기심 리학적 방법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청소년 자아정체성 형성과정에서 중요 형성요인 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탐색하여 고찰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삶 의 이야기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 하였다. 청소년 자아정체성 형성요 인은 첫째, 부모와의 경험, 둘째, 또래와의 경험, 셋째, 선생님과의 경험, 넷째, 진로의 탐색 경험으로 나타났다. 이런 경험을 토대로 청소년 자아정체성 형성의 지지기반은 첫째, 부모 의 모델링, 둘째, 친구의 버팀목, 셋째, 선생님의 지지, 넷째, 미래의 자화상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은 본 연구에서 삶의 주제를 “모방하기”, “후회않기”, “행복찾기”, “여행하기”, “수호천사”, “롤러코스터”, “그리움”, “마이웨이”,“수난시대”,“희망찾기”, “부모님의 응원”, “가치있는 삶”이라고 자신의 삶의 이야기 주제를 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야기 주제를 통 하여 자신만의 삶을 재구조화하여 정체성을 형성하여 나아가게 된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 이야기심리적 접근 방법을 통해 도출해 낸 결과를 토대로 자아정체성 형성 과정에서의 경험과 지지기반을 논의를 통해서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and support of youth identity through a narrative psychological approach to help them live a healthy, mature lif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sisted of 12 high school boys and girls from Gyeonggi-do, selected 12 high school students, explained their questionnaires through O-T, and conducted interviews. In this thesis,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in a narrative-psychological way.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life story of the participants. The factors behind the formation of teen identity were first, experience with parents, second, peer, experience with set-jae, teacher, and fourth and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 Based on this experience, the support base for the formation of youth self-identity was first, modeling for parents, secondly supporting friends, thirdly, supporting teachers, fourth and future self-portraits. In this study, teenagers have found life themes such as "sand," "no regret," "happiness," "traveling," "hope," "lollucoster," "laugh" and "my way." Through these stories, one can restructure one's own life and shape one's identity and move on.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ory-psychological approach in this study, the experience and support base of the self-identification proces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직장 내 소외감형성의 따돌림이 민간경호원의 직무태도에 대한 영향 및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 ·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Yonghak Kim,Seungbyeol Park,Taebock Kim,Hyunmi Kim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1 No.3

        이 연구는 민간경호원을 대상으로 직장 내 소외감형성의 따돌림은 부정적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직장 내 따돌림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며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응집력을 강화하고 민간경호원의 정신 및 신체적 건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그 결과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업무 따돌림과 인간관계 따돌림, 업무 따돌림과 이직의도, 인간관계 따돌림과 이직의도, 자기존중감과 직무만족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의 변수들 간에는 서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둘째, 집단 내 소외감형성의 따돌림에 따른 자기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 분석을 한 결과 연령과 업무 따돌림, 인간관계 따돌림, 자기존중감이 직무만족에 각각 영향 을 주며, 연령과 자기존중감이 향상되면 직무만족은 향상되지만 직무 따돌림과 인간관계 따 돌림은 감소되는 것이 나타났다. 셋째, 직장 내 집단 따돌림과 자기존중감이 이직의도에 영 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령과 근속 년수, 업무 따돌림, 인간관계 따돌림, 자기존중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며, 근속 년수와 직무따돌림, 인간관계 따돌림이 증가하게 되면 이직의도도 증가되지만, 연령과 자기존중감은 감소되는 것이 나타났다.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minimize the negative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ultimately it maximiz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keep private security guards physical and mental health.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workplace bullying negatively impacts private security guard’s office attitude, bu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luence with their level of self-esteem scale. First of all,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of variabl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bu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they have, the more job satisfaction they get, the lower turnover intention they have. Second, we tried to find out how self-esteem affect them on their job satisfac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can see that job satisfaction is affected by age, workplace bullying, relational aggression and self-esteem. For example, job satisfaction is increased as they get old and self-esteem is improved, on the other hand, workplace bullying and relational aggression is decreased. Third, to find out how self-esteem affects their turnover intention, we di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urnover intention is affected by age, working period, workplace bulling, relational aggression and self-esteem. For example, turnover intention if higher as working period, workplace bullying, relational aggression is increased while age and self-esteem is decreased.

      • KCI등재

        키츠의 초기 소네트에 나타난 자아 형성 태도

        정철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Keats’s Self-making Mode in the Early SonnetsChulmin Chung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demonstrate John Keats’s consistent preoccupation with the selfhood as a poet in his early sonnets. This study examines the way in which the poet represents in the sonnet the inwardness of the selfhood that affects the creative poetic process; and the poet’s anxiety, from the elevated selfhood, to secure his own place within the literary tradition.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Keats’s absorption in the tradition, repeated in many of his early poetry, starts from the strong confidence in his selfhood as a poet; and that Keats’s self-making mode allows him to build a viewpoint whereby he could frame his early poetic idealism within the forms of poetry. Thus, this study could show that the poet’s belief in the power of his selfhood became a strong and persistent driving force throughout his poetic career. Key Words: Selfhood as a Poet, Anxiety, Sonnets, Literary Tradition, Self-making Mode 키츠의 초기 소네트에 나타난 자아 형성 태도정 철 민*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존 키츠가 자신의 초기 소네트에서 시인으로서의 자아에 끊임없이 집중하고자 했던 모습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소네트를 통해 시인이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고, 그것을 시 창작 과정에 반영했는지 살펴보고, 또한 자신의 시적 자아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문학적 전통에 독자적인 방식으로 기여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확장된 양상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 내용은 이전 작가들로부터 형성된 문학 전통을 의식했던 시인의 태도는 결국 자신의 시적 정체성에 대한 강한 자신감에서 비롯되었으며, 나아가 시적 자아를 형성하고자 하는 시인의 노력을 통해 자신의 이상적인 시론을 소네트라는 구체적인 시 형식에 구현할 수 있었던 중요한 관점을 형성할 수 있었음을 밝히고 있다. 결론 및 제언: 이러한 논의를 통해 키츠가 보여주었던 시적 정체성에 대한 자신감은 시인으로서의 삶을 통틀어 지속적이고 강력한 원동력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시적 자아, 열망, 소네트, 문학 전통, 자아 형성 태도 □ Received: Nov. 11, 2022, Revised: Dec. 2, 2022, Accepted: Dec. 20, 2022* Professor, Kyungsung Univ. (경성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부교수, Email: chungchulmin@ks.ac.kr)

      • 자아 형성 관점에서 분석한 라이프로깅 앱에 관한 연구

        곽소정(Sojung Kwak),이조은(Joeun Lee),권지은(Jieun Kwon)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최근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개인이 일상과 기억을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으로 기록하고 분석하여 타인과 공유하는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타인에게 외재화된 데이터가 반복과 습관을 통해 객관화가 되고, 인간의 의식에 들어와 영향을 미치는 내면화로 구성된다. 기술의 발달, 인간과 사화의 만남을 통해 자아가 형성되기 때문에 라이프로깅 시대에서는 자아를 정량회된자아, 기록된자아, 연결/분립적자아, 감시적자아, 평가적자아로 분류 하였다. 분류한 자아유형에 따라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 20 개를 선택하여 분석한다. 분석된 데이터는 이후 앞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의 제작 시 기록과 측정에 관련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 method which is to record and analyses a person’s daily life and memory using life-logging has expanded to share with others. These records have objectified by repetition and habit of externalized data and composed of internalization which is to effect on human sense. Basically, the self is formed by developing technology, and encounter with human and society. Therefore, we classify the self as follows: "Quantified self", "Recorded Self", "Connected/ Segregated Self", "Monitoring Self" and "Evaluated Self". Then we analyze twenty life-logging applications which were selected by self-formation. The analyzed information would help to make life-logging application for recording and measuring of user from self-formation point of view.

      • KCI등재

        근대시 형성기 시들의 형식과 변화 과정

        하재연(Ha Jae-youn)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39

        근대 초기 시들의 연구에서, 전통 시가와 완성된 근대시 사이의 연결 고리로서의 특질을 찾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시기 시들이 갖는 형식적, 미적 특질과 변화 과정에 주목하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1905년경에서 1910년대 후반까지 창작되는 개인적인 창작시들, 즉 신문의 평론란에 실리는 계몽적 가사나 동시대에 창작되었던 잡가, 창가, 시조와는 특질을 달리하는 최남선, 이광수, 현상윤, 최승구, 김억 등의 시들을 ‘근대시 형성기’의 시들로 보고 그 형식적, 미학적 특성과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개인의 목소리를 집단적 목소리에 희석시키고 있는 계몽적 시가나, 보편적 형식이 개별적 화자의 목소리를 압도하는 근대 이전의 시가와는 구분되는 화자의 형상이 근대시 형성기의 시들에는 뚜렷해지고 있다. 개화기의 계몽적 가사들에 많이 드러나는 수신자 지향의 언어적 특성은 단일하고 구심적인 방향으로 시적 대상의 의미를 수렴시킨다. 이에 반해 발신자와 문맥을 지향하는 근대시 형성기의 시들은 시의 인식적 측면과 감정 표시의 측면을 강화하는 언어적 특징을 보여준다. 대상들에 대해 독자가 인식해야 할 몫은 더욱 강화되고, 시적 대상들과 시의 화자가 형성하는 관계는 유동적으로 변화한다. 근대 형성기 시에서 화자의 위치, 화자-대상-독자 간의 관계 변화는 시의 어미나 문투, 화법과 같은 언어적 특질의 변화를 동반한다. ‘자아’의 개념을 전달하려는 주체의 의도가 사라졌을 때 역설적으로 새로운 근대적 자아의 형상이 솟아오른다. 감각하고 향유하고 사유하는 자아의 형상이 그것이다. 이때 근대적 자아의 형상을 구성하는 것은 현실을 감각적으로 체험하는 재현의 언어들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orm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Korean modern poems in their formative period, which are published from 1905 to 1918(by Choi nam-sun, Lee Kwang-soo, Hyun Sang-yun, Choi Sung-ku, Kim Uk). The presence of ‘inner speaker’ is more and more become clear in the formative period of Korean modern poetry. There is linguistic quality to have the purpose of directing addresser and context, not recipient in these poems. It strengthens the factors of perceiving and expressing emotion in them. Readers can interpret the object of that poems more widely and flexibly.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of speaker-object-reader is come with the change of linguistic qualities such as the ending form and narration. The shift from written Korean to speaking Korean changes the position of a vision of speaker and a poetic composition. The poetry of this time reflect the incapability of a subject. It reveals, however, the ‘subjectivity’ of a modern individual who cannot help challenging the realities as the condition of a fragment.

      • KCI등재

        세계와의 경계면으로서의 촉각 : 자아형성과 관련해서

        정지은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2012 현대정신분석 Vol.14 No.1

        데카르트를 비롯한 근대철학자들은 고유한 신체를 주제화한 최초의 철학자들이었다. 메를로-퐁티는 이러한 근대철학자들의 신체 개념을 더욱 발전시켜 살의 존재론을 확립한다. 그런데 고유한 신체에서 살의 존재론으로 이르는 과정에는 시각, 촉각, 운동성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가 지속적으로 개입한다. 이는 전오이디푸스 시기의 아이가 어머니와 갖는 최초의 분리의 경험에서 기능하는 시각, 촉각, 운동성과 관련되며, 이 시기의 아이에게서 온전한 통합체로서의 자아가 형성된다. 즉 어머니의 품 속에서 어머니의 행동을 모방하는 아이는 세계 안에 감싸여 있으면서 세계를 감싸는 자아와 비교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형성된 피부-자아는 연속적인 전체를 이루고, 자신의 내적자극, 외부 세계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경계면을 만들어낸다. 그렇지만 성인의 경우에 촉각적 경험에서 유래한 살의 존재론이 자아의 형성을 설명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성인은 이미 언어의 세계 속에 있기 때문이다. 살의 존재론은 현실의 층위에서 실재로부터의 방어를 위한 것으로서, 비분리의 실재로부터의 분리라는 환상의 기능을 갖는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한 정체성 형성을 위한 홀리스틱 교육방안

        박진우,홍현미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9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형성경험을 규명하고, 그들의 다양한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다문화가정 청소년 14명으로, 이들과 면담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대주제, 9개의 주제묶음, 그리고 21개의 소주제가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의 자아정체성 형성경험은 4개의 대주제 - 자아정체성 혼란 속에 고립됨, 주변사람의 지지가 자아정체성 형성에 도움이 됨, 또 다른 뿌리 찾기, 자아정체성이 긍정적으로 형성됨 - 가 확인되었다. 둘째, 이 과정의 의미를 탐색해보면 이 여정은 ‘시련가운데서 자기의 뿌리 찾기’로, ‘나는 한국인이다’라는 인식에서 ‘나는 한국인인가?’라는 위기로, 최종적으로는 ‘나는 00계 한국인이다’는 이중정체성을 수용하는 과정이었다. 또래들의 배척감은 어머니, 교사, 친구 등 주변의 지지와 도움으로 해소되었고 자기부정에서 자기긍정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한 정체성을 위한 홀리스틱 교육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 자아존중감, 스마트폰 과다사용과의 관계

        최정은,김금중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self-esteem, and overuse of smartphones in nursing students. It collect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of 264 nursing students from E-gun, North Chungcheong Province. Research has shown that over use of smartphone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esteem.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have statistically shown a static correl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martphone usage time and monthly usage fe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paternal relationship formation satisfaction, mother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friends. Th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skills were satisfaction with friend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self-esteem, and that 24 percent of them explained. In order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effective management and intervention will be needed to enhance self-esteem and build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friend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자아존중감과 스마트폰 과다사용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충청북도 E군 소재의 간호대학생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수집 하였다. 연구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능력이 좋았으며, 스마트폰 과다사용을 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인관계 능력은 스마트폰 사용시간, 스마트폰 한 달 사용요금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교생활 만족도 ,아버지 관계형성 만족도, 어머니 관계형성 만족도, 친구와의 관계형성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회귀분석결과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친구와의 관계 만족도, 학교생활 만족도, 자아 존중감이 이었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이고, 부모, 친구들과의 관계 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관리와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