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상(李箱)의 연작시 「위독」과 조선어 실험

        하재연 ( Jae Youn Ha ) 민족어문학회 2006 어문논집 Vol.- No.54

        이상 시의 난해성은 건축 전문 잡지에 실린 일본어 작품들의 해석과 사후 유고를 텍스트로 확정짓는 과정에서 확대 해석되어 왔다. 이상 시의 의미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개별 시어들이 구성하는 언어 구조로서의 이상 시가 갖는 특질, 그리고 작품들이 모여 이루는 연작으로서의 특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이 글은 그 시론(試論)으로 이상의 마지막 연작시라고 할 수 있는 「위독」 연작의 분석을 통해 이상이 추구했던 언어 실험의 특성과 의미를 밝히고, 이상의 The ambiguity of Lee Sang`s poetry has exaggerated by interpretation of poems written by Japanese and procedure of making text of posthumous works. I am trying to analyze a series of "Wi-dok" and make clear the trait of his linguistic test. All titles of

      • KCI등재

        이상(李箱)의 시쓰기와 '조선어'라는 사상 : 이상 시의 한자 사용에 관하여

        하재연(Ha Jae-Youn) 한국시학회 2009 한국시학연구 Vol.- No.26

        Lee Sang varied the method and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in his poetry. His some sentences shows over-using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riting style. These were (re)placed sentences correspond to ‘pure’ Korean sentences. Chosun scholars and writers tried to standardize and purify Chosun language in 1930s. Lee Sang did not think Chinese Characters as an antithesis for modernization of Chosun Literature not like many other writers. He pursued to think language universal and tried to experiment some materials for example Chinese characters in his writing poetry. The complexes of Chinese character in various layers in his poetry break the fantasy of inherency of Chosun language. The imagination about modernization of literal language composed by ‘pure’ Chosun language might be break easily. Lee sang’s poetry and his using Chinese characters shows the unclear boundary of Chosun language which was in unstable progress.

      • KCI등재

        일반논문 : 설화 문학의 환생 모티프와 문학적 전통의 재창조 -한국 현대시의 변용 사례를 중심으로-

        하재연 ( Jae Youn Ha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3 No.-

        설화 문학의 환생 모티프는 공동체의 원형적인 상상력을 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향가 설화 문학과 서사 무가, 민간 설화 등을 중심으로 환생모티프가 어떤 모습을 띠고 나타나고 있으며 그것의 문학적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어 이러한 환생 모티프를 자신의 시에 수용하여 현대적으로 재창조하고 있는 시인으로 김소월, 서정주, 박재삼, 신경림, 최정례의 시들을 살펴보았다. 김소월은 민간 설화적 상상력에 기대어 주술적 리듬을 계승하는 한편, ‘새’를 매개로 한 영혼의 청각적 심상을 구현하였다. 서정주는 신라의 향가 설화에 나타나는 불교적인 윤회전생 사상의 입장에서 환생 모티프를 수용하는 경우인데, 죽음을 새로운 생성의 원리로 치환하면서 끊임없이 반복되는 인연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박재삼은 소월과 미당의 전통을 수용하면서 재생하는 ‘혼’의 시각적 이미지와 ‘한’의 결정으로 나타나는 식물 환생 모티프를 보여주었다. 신경림의 시적 형식은 일종의 진혼굿과도 같다. 그의 시들은 민중의 혼이 ‘원귀’로 재생됨을 표현하며, 환생 설화의 모티프와 서사구조가 역사의식과 결합되고 있다. 최정례는 설화적 형식을 차용하여 삶의 숙명적 한계와 반복성이 주는 쓸쓸한 기시감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재생의 욕망이라는 전통의 문학적 정서와 닿아 있다. 이 글에서 살펴 본 설화 문학의 환생 모티프와 변용 양상은, 전통의 형식과 상상력을 접목하여 현대시의 창조적인 형식을 확립한 여러 시인들의 작업과 그 의미를 비교하여 볼 수 있는 사례다. Rebirth motif of narrative literature has prototype imagination. In this paper I represent the aspect of rebirth motif and its literary meaning in diverse texts such as hyangga, narrative shaman song, folklore and old novels. And as the modern poetic recreation of rebirth motif, I review the poetry of Gim Soweol, Seo Jeongju, Bak Jaesam, Sin Gyeongrim and Choi Jeongrye. Based upon folklore imagination, Gim successes the traditional shaman rhythm and poetically realizes the acoustic imagery of soul. Adopting hyangga``s Buddhist idea, Seo represents the poetic beauty of endless nidana. Inheriting Seo and Gim``s traditional motif, Bak poetically represents the visual imagery of soul. In his poetry, Sin embrace the form of traditional requiem exorcism. Rendering the form of folklore, Choi poetically represents the limit of human life and its gloomy deja-vu. Reviewing and comparing diverse poets on rebirth motif of narrative literature, show the grafting between the literary tradition and the creative imagination of modern poetry.

      • KCI등재

        근대시 형성기 시들의 형식과 변화 과정

        하재연(Ha Jae-youn)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39

        근대 초기 시들의 연구에서, 전통 시가와 완성된 근대시 사이의 연결 고리로서의 특질을 찾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시기 시들이 갖는 형식적, 미적 특질과 변화 과정에 주목하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1905년경에서 1910년대 후반까지 창작되는 개인적인 창작시들, 즉 신문의 평론란에 실리는 계몽적 가사나 동시대에 창작되었던 잡가, 창가, 시조와는 특질을 달리하는 최남선, 이광수, 현상윤, 최승구, 김억 등의 시들을 ‘근대시 형성기’의 시들로 보고 그 형식적, 미학적 특성과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개인의 목소리를 집단적 목소리에 희석시키고 있는 계몽적 시가나, 보편적 형식이 개별적 화자의 목소리를 압도하는 근대 이전의 시가와는 구분되는 화자의 형상이 근대시 형성기의 시들에는 뚜렷해지고 있다. 개화기의 계몽적 가사들에 많이 드러나는 수신자 지향의 언어적 특성은 단일하고 구심적인 방향으로 시적 대상의 의미를 수렴시킨다. 이에 반해 발신자와 문맥을 지향하는 근대시 형성기의 시들은 시의 인식적 측면과 감정 표시의 측면을 강화하는 언어적 특징을 보여준다. 대상들에 대해 독자가 인식해야 할 몫은 더욱 강화되고, 시적 대상들과 시의 화자가 형성하는 관계는 유동적으로 변화한다. 근대 형성기 시에서 화자의 위치, 화자-대상-독자 간의 관계 변화는 시의 어미나 문투, 화법과 같은 언어적 특질의 변화를 동반한다. ‘자아’의 개념을 전달하려는 주체의 의도가 사라졌을 때 역설적으로 새로운 근대적 자아의 형상이 솟아오른다. 감각하고 향유하고 사유하는 자아의 형상이 그것이다. 이때 근대적 자아의 형상을 구성하는 것은 현실을 감각적으로 체험하는 재현의 언어들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orm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Korean modern poems in their formative period, which are published from 1905 to 1918(by Choi nam-sun, Lee Kwang-soo, Hyun Sang-yun, Choi Sung-ku, Kim Uk). The presence of ‘inner speaker’ is more and more become clear in the formative period of Korean modern poetry. There is linguistic quality to have the purpose of directing addresser and context, not recipient in these poems. It strengthens the factors of perceiving and expressing emotion in them. Readers can interpret the object of that poems more widely and flexibly.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of speaker-object-reader is come with the change of linguistic qualities such as the ending form and narration. The shift from written Korean to speaking Korean changes the position of a vision of speaker and a poetic composition. The poetry of this time reflect the incapability of a subject. It reveals, however, the ‘subjectivity’ of a modern individual who cannot help challenging the realities as the condition of a fragment.

      • KCI등재

        1930년대 시(詩)와 漢字(語) 문제 -이상(李箱)의 연작시 기획 「오감도(烏瞰圖)」, 「정식(正式)」에 나타난 한자(漢字) 어휘의 양상과 기능을 중심으로-

        하재연(河在姸) ( Ha¸ Jae-yo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4

        李箱의 작품들이 보여주는 漢字 어휘 표기 방식은, 작가들 개인의 다양한 朝鮮語 문체 실험이 이루어졌던 1930년대의 文學場 속에서 다른 어떤 작가보다 ‘漢字’ 문자 표기를 적극 실험했던 李箱의 시도를 돌올하게 부각시킨다. 「烏瞰圖」와 「正式」 연작의 각 작품들이 보여주는 표기 및 문체는 상대적으로 차이와 변폭이 크다고 할 수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 연작의 작품들이 구현하는 朝鮮語 문장의 이른바 漢字 혼용적 형태를 구분하고 그 효과와 의도를 규명하여, 1930년대 文學場 안의 다양한 漢字(漢文)에 대한 인식과 사용법의 한 구체적 예를 가시화시키고자 하였다. 李箱은 漢字 표기가 강화시킬 수 있는 시각성, 상징과 논리의 기능을 전면화하며, 혼종적인 朝鮮語 문장의 구조와 詩의 배치를 만들어냈다. 李箱의 詩는 당대에 그가 습득한 朝鮮語-日本語-漢文 전통-외국어 등의 여러 가지 선택과 배제의 역학 속에서 자신만의 朝鮮語 문장을 만들어나가고자 한 치열한 시도의 결과이다. 혼종적이고 잡스러운 것, 부자연스러운 것, 율격의 아름다움이 아닌 理智와 보편성의 추구를 朝鮮語 詩에서 보여주었던 李箱의 실험은 여전히 현재적이다. Yi Sang’s inventive Sino-Korean words orthography in his works is the prominent attempt among diverse rhetoric experiments in 1930s’ Korean literary fields. In serial poetry, Ogamdo(烏瞰圖) and Jeongsik(正式), his orthography and poetic styles are varied due to respective works and in this paper, I analyze their variations and his intention to represent rhetoric notion and poetic style about Sino-Korean words. He displays symbolic and reasoning effects along with visualities in his works by hybrid Korean writing and poetic composition through Sino-Korean words orthography. His poetry is the consequence of intense endeavors to achieve own Korean style of writing through the dynamics of selections and exclusions among his acquired languages such as Korean, Japanese, Sinograph and other foreign languages. His poetic experiments, including crossover, hybrid, unnaturalness, universality and intellectuality other than beauty of versification, is still contemporary.

      • KCI등재

        부재하는 형식과 전후(戰後) 한국시의 개별적 실존

        하재연(Ha, Jae-youn) 한국근대문학회 201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7 No.2

        송욱의 비평은 신비평의 원리와 실존주의적 지향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한국문학사에서 표면적으로만 이해되어 왔던 상징주의의 시각을 본격화시키는 작업이었다. 이 작업을 가능하게 했던 것은, 송욱의 세대가 해방과 전쟁을 계기로 경험적으로 구축한 과거와의 단절 의식이었으며 세계 문학과의 공통 감각이었다. 그런데 송욱이 시의 언어에 대해 논할 때 반복하곤 하는 전통 단절론은 이광수의 그것과 매우 닮아 있다. 송욱과 같은 시인 그리고 비평가에게 한국시의 전통 부재란 한국시의 형식의 부재와 다름없는 말이었다. 주목할 것은, 번역을 통해 근대시를 모색하고 조선시와 서양의 시를 비교하며 창작 과정을 병행해 나갔던 번역가-시인들에게, 조선어의 결핍과 함께 언제나 시 형식의 부재가 소환되곤 했다는 점이다. 그들이 근대시의 지향과 미래를 논할 때 ‘형식’은 ‘음악’의 다른 말이기도 했고, ‘운율’과 ‘율격’은 언제나 시의 가장 중요한 심급이었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이들 식민지 시대의 번역가-시인들의 의식과 송욱이 지녔던 의식의 동형성이다. 한편 송욱 시에 대한 평가에서도, ‘산문성’과 ‘시/음악성’의 대립은 첨예하게 드러난다. 구세대와 신세대를 막론하고 이들에게 현대시의 산문화는 우려할 만한 것이며, 송욱 시의 가치는 산문적 내용을 산문화한 형식으로 떨어뜨리지 않는 점에 있었다. ‘음악성’을 시에 불가결한 요소로 가정할 때, 그리고 그 본질을 찾으려 할 때 음악성의 추구는 서구의 정형시 모델에서 벗어날 수 없는 공전(空轉)의 운명을 가진 것이었다. 송욱의 시 텍스트들은 그의 실존에 대한 의식을 깨지거나 찢긴 신체의 언어들로 드러낸다. 송욱의 텍스트들은, 부재하는 한국어 시형식의 음악성을 기준으로 할 때보다, 전쟁이라는 일종의 절단면에서 돋아나는 ‘깨진말’들의 모습이 육체의 언어들로 드러나는 지점에서 훨씬 의미 있는 텍스트로 읽힐 수 있다. 이는 송욱의 지극한 ‘음악성’의 추구를 볼 때 아이러니해 보인다. 『하여지향』 이후 송욱의 시들이 도달하고 있는 지점은, 자신이 부정하고자 했던 구세대의 환영이 다시 반복되는 느낌을 준다. 송욱이 끝내 버릴 수 없었던 시의 ‘본질’에 관한 의식의 소산 즉, 한국시에 부재하는 ‘음악’에 대한 기도는 이후의 시집을 통해 볼 때 추상으로 귀착된다. 시의 음악성은 자수율 같은 단순한 데서만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더 넓은 범위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그는 이해해야 했을 것이다. 시의 음악성이라는 ‘본질’이 시의 형식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현존하는 언어들이 지니는 생명력과 호흡이 시의 형식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Criticism of Song Wook is based on existentialism and the principles of New Criticism, and also it is the full-scale visualization of symbolism prospect, understood superficially in Korean literary history. This work was possible because Song Wook, who lived in the wake of the war and the liberation, had to break the consciousness of the past and the common sense of world literature, which were constructed empirically. However, the discourse on the severed tradition of Song Wook is similar to that of Yi Kwang-su. The absence of tradition in Korean poetry does not differ from the absence of form in Korean poetry in the ideas of Song Wook. Translator-poets always call the lack of the Korean language as the absence of form in Korean poetry. It was, in other words, of the “format” that “music” and “rhyme” have always been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odern poetry in their thoughts. In addition, in the evaluation of the poems of Song Wook, conflict between “prose” and “verse/music” began to appear. The trend of prose in modern poetry, regardless of the old generation and the new generation, was quite alarming to people. The value of Song Wook’s poetry was in that it elevated the content of the prose to the format of verse. However, the text in the poetry of Song Wook either broke the awareness of his presence or exposed the torn body language. The significance of Song’s text lays not in its musical accomplishment and analysis related to Korean poetry but in the embodiment of ’torn words’, sprouting from the war, the fault plane. Hence, the form of poetry is not composed of the essence, the poetic musicality but assembled by vitality and breathing of present language.

      • KCI등재
      • KCI등재

        잡지 『신흥』과 문예란의 성격과 의의

        하재연(Ha Jae-yo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연구 Vol.29 No.-

        『신흥』은 경성제대 법문학부 출신 졸업생과 재학생이 편집하고 저술한 잡지이다.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출신 졸업생 및 재학생들은 그들 자신만의 자부심과 전문적 지식을 특화시킬 수 있는 지면을 필요로 했던 것으로 보인다. ‘경성제대 법문학부 졸업생’이라는 조선 지식인 사회의 최고의 위치가 곧 ‘자신들=조선지식계와 문단계를 이끌어갈 신흥세력’이라는 무의식적인 등식을 가능하게 했다. 『신흥』에 실린 문예작품들의 경우 학술적 글들이 재현해내지 못한 당시 경성제대 법문학부 출신 지식인들의 내면과 분위기를 전달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신흥』 소재 창작물들에서는 첫 번째, 식민지 엘리트 지식인의 다중적 위치를 읽어낼 수 있다. 두 번째, ‘운동’과 ‘연애’라는 낭만적 상상에 ‘문예’라는 양식을 통해 언어화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세 번째 세계문화와 ‘교양’을 체득하고 그 새로운 지식을 선구적으로 전달하려는 의식이 나타난다. 『신흥』은 이처럼 여타 학술지나 학교 교지와는 다른 특수한 공간적 위치를 점하면서, 식민지 엘리트 지식인의 지적 성향과 내면을 재현한다. Sinheung is the magazine edited and published by students and alumni of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s department of law and liberal arts who want to have own publishing space on the purpose of specializing their self-esteem and expertise. With their most prestigious name-value, "the alumni of Imperial university's department of law and liberal arts", unconsciously, they equalize themselves as the ascendent frontier of Joseon intellect and literati society. Different from Sinheung's other academic articles, its literary works, interestingly, deliver their internal aspects and atmosphere of intellects from Imperial university in colonial era. Issuing phases of its literary works can be summarized as three parts. The first, they reveal multilateral positions of colonial intellects. The second, romantic imagination about political engagement and love affair is verbalized through the form of literary art. The third, by the enhanced notion of world culture and bildung, authors of them attempt to render vanguard expertism. Hence, having unique position different from other journals and school magazine, Sinheung represents intellectual orientations and internal aspects of colonial intellects.

      • KCI등재

        신체제(新體制) 전후 조선 문단의 재편과 조선어,일본어 창작 담론의 의미

        하재연 ( Jae Youn Ha ) 민족어문학회 2013 어문논집 Vol.- No.67

        신체제가 확립하는 1940년 7월 이후 조선문학의 내용과 형식 및 조선문단과 출판계의 사정은 급격한 변화를 겪는다. 창작의 조건인 언어의 변화와 그것이 발표되는 매체, 그리고 예상되는 독자층과 시장의 변화라는 문학을 둘러싼 물적 조건의 변화는 ``국책에의 적극 협력``이라는 사상적 측면과 함께 조선문학과 문단 전체의 지각변동과 재편을 의미했다. ``국어``/``조선어`` 창작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조선 문학에 관한 담론은 조선문단과 일본문단이 서로를 참조하면서 진행되었는데, 이러한 상호참조의 과정이란 특히 조선문학가들에게 지속적으로 식민지 문학 또는 ``지방`` 문학이었던 조선(어)문학의 위치와 의미를 묻게 하는 것이었다. 조선문학의 특수성에 관한 문제, 조선문학가들을 향한 ``국어`` 창작의 요구, 조선문학가들의 ``조선어 창작``의 논리는 ``국어전해운동``이 시작되는 1942년 5월경까지 갈등과 논쟁 양상을 드러냈다. 논의가 진행될수록 ``조선 문화의 독자성``이라는 논점보다는 ``문학의 예술성``과 ``독자층에 대한 고려``에 관한 문제가 전면에 등장하게 된다. 조선문학과 문화의 독자성을 주장하는 논지는 소거되어야 할 조선문학의 내셔널리티를 재차 환기시키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1942년까지의 조선문단에서 문학 창작을 일본어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정치적?현실적 이유에 더해 나름의 논리를 필요로 하는 것이었음을 고려할 때, 조선문단에서 ``국어`` 창작을 가장 먼저 해나갔을 뿐 아니라 ``국어`` 창작의 논리를 적극적으로 펼쳤던 김용제의 입장을 주목해 볼 수 있다. ``통제``의 논리를 ``문화``의 논리로 교묘하게 환치시키는 그의 논리는 조선어로만 창작이 가능한 조선작가들, 조선어만을 이해하거나 말할 수 있는 바로 지금 살아 있는 조선의 민중들의 존재를 소거한다. ``국어``가 자신의 현실이라는 김용제에게 ``조선어``가 현실이었던 대부분의 조선인들의 삶이란 문학적으로 포착될 대상으로 육박해 오지 못했던 것이다. 정치와 문학의 지평을 동일화시키고 제국의 언어와 내면의 목소리를 포개는 김용제의 시는, 조선어의 이질성을 삭제하고 개별화된 신체의 목소리를 억압하고 있었다. After formation of ``New System`` about 1940`s, literary world in colonial Korea and publication system had changed drastically. The discourse about Joseon literature concerning with writing in ``national language``/``Joseon language`` had moved making a cross-reference. This process of a cross-reference gave questions about position and meaning of Joseon literature as colonial and ``local`` literature. A conflict between an identity of Joseon literature and a demand for writing in ``national language`` toward Joseon writer came to the front before 1942`s. An ``artistic value`` and ``consideration for readers`` appeared on the front from the foregoing discussion. Japanese writers and bureaucrats judged an argument for identity of Joseon literature and culture as arousing the nationality of Joseon which must be erased. An argument for writing in Japanese by Joseon writers, however, required a kind of logic besides political and practical causes before the time 1942`s. I paid attention to a position of Kim, yong-jae as a Joseon writer who gave an opinion for writing in ``national language`` intensely. He replaced the logic of ``restriction`` by ``culture`` and it erased Joseon writer and people who could write and understand by Joseon language. He did not consider lives of most of all Joseon people as an literary object because he understood ``national language`` as a reality. His poetry shows us logic of identification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It, consequently, had deleted the difference of Joseon language and suppressed voices of singular bo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