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선수의 자아개념과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의 관계

        염돈일(Yeam Don-Il)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5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7 No.-

        본 연구는 코치 및 감독의 지도행동유형 결정에 관계되는 선수들의 훈련 태도 및 행동을 예측하고 이를 통제하는데 도움이 되며, 선수들의 지도, 교육에 요구되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동선수의 자아개념 항목별 점수에 따라서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과의 관계를 알아본 것으로 자아개념의 항목별 점수와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별 점수간의 상관관계의 유의성을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이상, 운동경력 5년이상인 290명을 무작위 추출하였으며 측정도구로써 리더십 유형 검사는 LSS(Leadership Scale for Sport)질문지로 훈련과 지시형, 민주형, 권위형, 사회적 지지형, 긍정적 송환형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자아개념 검사의 측정도구로는 정원식이 제작한 검사지로 자아 평가점수, 자아 긍정점수(총자아 긍정, 자아 동일성, 자아 수용, 자아 행동, 신체적 자아, 도덕적 자아, 성격적 자아, 가정적 자아, 사회적 자아), 변산점수(총자아 변산, 내적 변산, 외적 변산), 분포점수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의 Condescriptive와 Regression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아수용항목. 분포점수항목의 자아개념점수 수준이 높거나 신체적 자아, 도덕적 자아, 성격적 자아 항목의 자아개념 점수수준이 낮은 선수들에게는 훈련과 지시형의 지도행동을 강하게 적용하는 것이 선수의 자아개념을 고려한 코치 및 감독의 지도 처방이라 할 수 있다. 2. 선수의 자아개념과 코치의 지도행동유형간의 적용에서 선수의 자아개념을 민주적 지도행동유형과는 교려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3. 가정적 자아, 신체적 자아, 성격적 자아, 도덕적 자아, 사회적 자아 점수가 높게 나오거나 자아수용점수, 자아행동점수가 낮게 나오는 선수에게는 권위형의 지도행동을 강하게 적용하는것이 선수의 자아개념을 고려한 코치 및 감독의 지도처방이라 할 수 있다. 4. 분포점수 항목이 높게 나오는 선수에게는 사회적 지지형의 지도행동을 강하게 적용하는 것이 선수의 자아개념을 고려한 코치 및 감독의 지도처방이라 할 수 있다. 5. 선수의 자아개념과 코치의 지도행동유형간의 적용에서 선수의 자아개념을 긍정적 송환형 유형과는 고려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presuppose and control the athlete's attitude and behavior in relationship withthe coach and director's leadership style, to furnish data in need of training and instructing of athlete. By the examination of the preferable leadership style,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ach item score which shows self-concept and each preferable leadership style. The experimantal group consists of 290 athlete who have five years athletic background and above 17 years old. All the sample athletes are randomly selected. The researching tool is ISS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Democrative Behavior, Autocrative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Positive Feedback. The researching tool of self-concept questionnaire made by Chung, Won-sik, which is composed of Self-Criticism, Self Positive score (Total positive self score, self identity score, self satisfaction score, self behavior score, physical self, moral ethical self, personal self, family self, social self), Variability score (Total variability score, row variability score, colomn variability score), Distribution score. Using Condescriptive and Regression of SPSS statistic program, the result is as follow: 1. To the athlete who marks higher level on self satisfaction item and distribution item or marks lower level on moral ethical self and personal self,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is the best directive description. 2. In application between athlete's self concept and coach's leadership style,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democratic behavior. 3. To the athlete who marks higher level on family self, physical self, personal self, social self or marks lower level on self satisfaction and self behavior score, autocrative behavior is the best directive description. 4. To the athlete who marks higher level on distribution score, social support behavior is the best directive description. 5. In application between athlete's self concept and coach's leadership style,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poisitive feedback.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과학에서 인지적, 정의적 학업성취와 자아개념과의 관계

        심완익 ( Wan Ik Shim ),김효남 ( Hyo Nam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과에서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학업성취와 학문 자아개념, 과학교과 자아개념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여 과학교과의 정의적 학업성취의 향상을 위한 연구에 도움을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지역 초등학교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과학교과의 인지적 학업성취와 과학교과의 정의적 학업성취, 학문 자아개념과 과학 학문 자아개념을 각각 측정하였다. 인지적 학업성취도 평가는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사용하고, 과학 정의적 학업성취도 평가는 김효남 등(1998)이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학문 자아개념 검사는 1966년 개발된 정원식의 검사를 사용하고 과학 학문 자아개념 검사는 PISA 2006에서 과학에 대한 인식과 과학 정의적 영역 관련 문항을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검사와 통계 분석 후 원인 파악을 위해 추가로 GALT검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과학교과의 정의적 학업성취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과학교과의 정의적 학업성취의 하위 영역인 인식, 흥미, 태도 중에서는 흥미 영역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과학교과의 인지적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과학교과의 정의적 학업성취와 과학 학문 자아개념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특히 과학 학문 자아개념은 성취 수준에 따라 매우 많은 차이를 보였다. 원인 분석을 위한 면담 결과 중요한 타인의 평가와 조언이 자아개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셋째, 과학 학문 자아개념은 과학교과의 인지적 학업성취, 과학교과의 정의적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면담 결과 소속 학교에 대한 교사의 평가가 학생들의 학문 자아개념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study on improve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achievement by understanding relations among science-related cognitive, affective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This study involved a research targeting 8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o measure cognitive, affective achievement on science,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The data of science-related affective achievement,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were collected by online Google Drive. Cognitiv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was measured by 2011 National achievement written test. Science affective academic achievement test developed by Kim et al.(l998) was used. Jeong Won-Sik`s academic self concept test was used. And for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a modified form of PlSA 2006 affective area questions was used. After test and statistic analysis, GALT test and personal interview were carried out to clarify the caus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ience-related affective achievement of male students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nd among subcategories concept of scientific affective achievement, that is, awareness, interest and attitude, mal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core on interest than female students. Second, science-related affective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of the group whose science-related cognitive achievement was high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lower leveled group. Especially,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chievement levels. However, on academic self-concept, lower leveled group kept statistically higher score than higher leveled group. The results of persona1 interview revealed that perceived evaluation and advice of significant others also affected much on academic self-concept. Thir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and science-related cognitive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ffective achievement.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and acade

      • KCI등재

        자아개념이 대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탐색

        이명애(Lee Myungae)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자아개념이 대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개념을 학문적, 비학문적 자아개념으로 구분하여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관심, 공부시간을 사용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문적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비학문적 자아개념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학문적 자아개념> 공부시간>부모의 관심>부모의 교육수준>비학문적 자아개념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큰 학문적 자아개념에 대해 비학문적 자아개념이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관심도 간접적으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쳤다.<B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되며, 또한 대학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학문적, 비학문적 자아개념을 강화하는 노력이 병행되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self-concept on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self-concept was subdivided into academic self-concept and non-academic self-concept. And the structural equating model including parental educational level, parental care, academic and non-academic self-concept, study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sugges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effect of academic self-concept on academic achie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one of non-academic self-concept was not. Secon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odel, academic self-concept has the largest total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Non-academic self-concept had considerable total effect on the academic self-concept even though the effect of non-academic self-concept on academic achievement was minimal. Also, parental care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indirec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ed that for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consistent parental care was required and the effort to strengthen students" academic and non-academic self-concept through college educational programs was also required.

      • KCI등재

        미술 자아개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현아(Lee Hyun-A)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이 미술 활동에서 경험한 자신의 느낌과 견해 및 태도를 알아 보기위해 미술 자아개념 척도를 개발하여 미술 교수-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아개념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미술교육과 자아개념의 관계를 살피며 미술자아개념의 의미와 구조를 통해 실제 미술자아개념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미술 자아개념 척도의 하위 요인은 형태표현 자아개념, 색채표현 자아개념, 입체표현 자아개념, 공간표현 자아개념, 창의력표현 자아개념, 상상력표현 자아개념으로 구성하였다. 하위 요인에 맞게 제작한 설문지를 초등학교 6학년 118명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검사는 신뢰도가 낮은 문항과 각 하위 요인과의 관련성이 적은 문항을 제거하고 수정된 41문항으로 초등학교 6학년 4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검사의 분석 결과로 전체 영역에서 Cronbach의 알파 계수가 0.952의 높은 신뢰도가 나왔다. 또한 요인 분석에 의해 형태표현 자아개념 8문항, 색채표현 자아개념 8문항, 입체표현 자아개념 7문항, 공간표현 자아개념 5문항 , 창의력표현 자아개념 7문항, 상상력표현 자아개념 6문항으로 최종 문항이 선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ive help to the art teaching-learning and to watch students" belief & attitude by developing art-related self concept scale. The art-related self concept is a kind of self concept on a special course -Art - which have a theoretical basis called self concept. Art activities have relationship with self concept of an affective domain in view of self expressing like a thoughts, feeling, and opinions etc. We should consider an affirmative self concept from art activities and an affirmative art-related self concept because an affirmative self concept is giving help to learning accomplishment & character building. Actually many research on self concept & art education have been produced in recent years.<BR>  Art-related self concept was mentioned by Vispoel"s ‘art ability self concept’ and we already have got the research about self concept in Korea. But we need the diverse and active research into the subject so I have tried to develop an art-related self concept scale.<BR>  I made the notion of The art-related self concept of this research as “the self feeling & opinion which a student experienced from art activities and the extent of the estimating belief & attitude of oneself"s art which were made up through interaction from significant others”. And I composed the sub factor of art-related self concept as 6 parts - shape express self concept, color express self concept, cubic express self concept, space express self concept, creativity express self concept, imagination express self concept - on the basis of the notion on art self concept scale.<BR>  I had a primary test to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118 students with the 52 questions which properly fit to each sub factor and I made the low-reliable and improper questions correct.<BR>  The result of main test proves the total questions" high reliability with showing 0.952 α coefficient of Cronbach. Because the factor analysis have the KMO(Kaiser-Meyer-Olkin) 0.950 value so we can conclude that each factor can be explained very well by other variables. And also I made a decision the following questions as the final ones; shape express self concept 8 questions, color express self concept 8 questions, cubic express self concept 7 questions, space express self concept 5 questions, creativity express self concept 7 questions, imagination express self concept 6 questions

      • KCI등재후보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김수향 한국미술치료학회 2005 美術治療硏究 Vol.12 No.3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were examined on the self-concepts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does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influence on the self-concepts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2. How does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influence on the general self-concepts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3. How does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influence on the school work self-concepts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4. How does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influence on the social self-concepts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5. How does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influence on the emotional self-concepts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lf-concept Test by S. Song(1992) was employed to examine the treatment effects. The intervention using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increased the scores of the self-concepts.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intervention using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yields beneficial effects on the increase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Key Words : Self-concept, Learning disabilities, Self-instruction, Art therapy 본 연구는 읽기(독해)와 수학에 심한 장애를 보이며 충동적으로 오답을 하거나 회피행동을 보이고 부정적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습장애아동에게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를 적용하여 그 대상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동의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동의 일반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동의 학습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동의 사회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동의 정서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12.2세의 학습장애아동으로, 이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생용 성격진단 검사(송인섭, 1992) 중 자아개념부분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가 대상 학습장애아동의 자아개념을 20점 향상시켰는데, 하위영역별로 보면 일반자아개념이 6점, 학업자아개념이 7점, 사회자아개념이 3점, 정서자아개념이 4점 향상되었다. 전반적으로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가 대상 학습장애아동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각 하위영역별 자아개념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의 자아개념과 H,T,P 그림검사와의 비교연구

        하승민 ( Seung Min Ha ),권성희 ( Sung Hee Kwo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5 아동복지연구 Vol.3 No.3

        본 연구는 유아 자아개념 검사를 통해 유아의 자아개념 하위영역에 따라 집-나무-사람 그림검사를 비교.분석하고자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S대학 부설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3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Buck(1948)과 Hammer(1958)의 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H.T.P그림에 대한 61개 문항의 부적응 점수는 자아개념이 낮은 유아를 판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자아개념에 따라 집그림 검사를 비교했을 때 자아개념이 31점 이상 유아는 평균점수가 1.529인 반면 자아개념이 30점 이하의 유아는 평균점수가 2.923으로 이 두 평균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사람그림 검사를 비교했을 때 자아개념이 31점 이상 유아는 평균점수가 3.647인 반면 자아개념이 30점이하의 유아는 평균점수가 4.846으로 이 두 평균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김선애(1993)가 H.T.P그림에서 제시한 부적응 유아를 변별하는 기준 점수(집그림- 2점 이상, 나무그림 -3점 이상, 사람그림 - 5점 이상)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했다. 셋째, 자아개념 하위영역별 검사에 따른 H.T.P그림검사 점수간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집그림 검사와는 자아개념 하위영역 중 사회성(P<.05), 정서성(P<.01)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나무-그림-검사와 자아개념의 학문성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자아개념 하위영역 중 가족성에서는 집그림 검사(P<.001), 사람그림 검사(P<.05)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was written to investigate that teachers - who are in charge of the child in important period to be formed the self-concept- can apply the H·T·P(House-Tree-Person) picture test in order to understand properly the child and to make a good diagnosis those as well as to distinguish child with a low self-concept. In special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at sub-areas of the self-concept like the nature of learning, the sociality, the nature of the family and the nature of the emotion could be discriminated only the H·T·P picture tes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five years old children of the kindergarten attached S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city. Tools used in this research were the child characteristic test of Song, In-Sub(1993) to measure the self-concept of infant and the marking standard of Kim, Suhn-Ae(1993) for the H·T·P picture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ly, from the result of the percentage point for inspection the self-concept we got that child of 30 point or less were 13 persons and child of 31 point or more were 17 persons. Secondly, from the distribution of the point for H·T·P picture test according to the inspection point each sub-area of the self-concept we confirmed that child of 30 point or less was distributed at high score than child of 31 point or more. Thirdly, the comparison of the inspection point each sub-area of the self-concept and the point for the H·T·P picture test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ly, the inspection point for the H·T·P picture test according to the self-concept test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ouse picture and the person picture. Finally,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verfied that teachers could distinguish early the self-concept of child using H·T·P picture test when they tried to do small children with low self-concept in the sub-area of the self-concept like a the nature of learning, the sociality, the nature of the family and the nature of the emotion.

      • KCI등재

        청소년기 학습자의 학업 및 사회 자아개념 발달에 있어서 성차와 부모의 양육태도 효과

        송주연(Song, Juyeon),노아름(Noh, Ar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시기 학습자의 학업자아개념과 사회자아개념의 발달에 대한 성차와 부모양육태도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먼저 학업자아개념과 사회자아개념의 발달양상을 확인한 후 이에 성차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두 자아개념의 발달에 대한 부모의 수용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의 영향력을 검증한 후 이에 성차가 있는지 역시 확인하였다. 분석에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집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05) 자료 중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에 해당하는 1~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 였다. 최종적으로 6,889명(남학생 3,605명, 여학생 3,28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과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기 학업자아개념과 사회자아개념은 중학교 3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학업자아개념이 더 크게 감소하 였다. 사회자아개념의 초기값은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에게서 더 높았지만 학업자아개념의 초기값과 변화율, 사회자아개념의 변화율에서는 성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두자아개념의 발달에 대한 부모의 영향에서도 성차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학습자는 부 모의 수용적 양육태도를 높이 지각할수록 더 높은 학업자아개념과 사회자아개념을 가졌다. 이에 본 연구는 학업자아개념과 사회자아개념의 발달양상과 이에 대한 부모의 역할을 재확인하고 성차가 존재하지 않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gender and parenting style on the longitudinal changes of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We first tested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the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and gender difference in it. Next, we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 on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and gender difference in it. We used the first 3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05 data(KELS2005). A total of 6,889 students (3,605 boys and 3,284 girls) was our final sample. We employed Latent Growth Model(LGM)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MLGM).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deceased over 3years of the middle school years, and growth rate of academic self-concept was larger than that of social self-concept.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initial status and growth rate of academic self-concept and growth rate of social self-concept. However, we found that initial status of social self-concept was higher for girls than boys. Last,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al acceptance increased initial status of both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and decreased the growth rate of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자기결정성동기의 학년별과 성별 변화에 따른 차이 및 관계

        양희용 ( Yang Heey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자기결정성동기가 학년별과 성별 변화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학업자아개념이 자기결정성동기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3-6학년 646명이며, 남학생은 330명, 여학생은 316명이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개념은 학년별로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수학자아개념과 친구관계자아개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자아개념은 성별로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친구·부모관계자아개념을 제외하고 모두 성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남학생은 수학자아개념이 높았고, 여학생은 언어자아개념이 높았다. 셋째, 자기결정성동기는 학년별로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하위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자기결정성동기는 성별로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외적동기와 내적동기에서만 성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 학업자아개념은 외적 동기와 부적 관계를 보였으나 부과된 동기, 확인된 동기, 내적 동기와는 정적 관계를 보였고, 또한 학업자아개념이 자기결정성동기에 미치는 결과가 유의하였으며, 수학자아개념이 미치는 영향이 언어자아개념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elf-concept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how changes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and investigate whether academic self-concept is related to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 participants were 646 elementary school students, 330 boys and 316 gir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ir self-concept showed a different tendency among grad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s of math-concept and peer relationship-concept; second, their self-concept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areas among gender except peer relationship-concept and parent relationship-concept, especially in the area of math-concept and verbal-concept; third, their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howed a different tendency among grad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fourth, their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the areas of identified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mong gender; finally, their academic self-concep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xternal motivation, bu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rojected motivation, identified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their academic self-concept had more or less influence 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math-concept had more influence than verbal- concept 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self-concept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개념,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안혜진 ( Hye Jin An ),정미경 ( Mi Kyung Chung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청소년의 자아개념,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나가는지 발달경향성을 파악하고, 자아개념과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중학교 1학년 6,9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5차년도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학생의 자아개념은 신체자아개념을 제외한 사회자아개념, 가족자아개념, 학업자아개념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회적지지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부모지지는 감소하는 반면에 교사지지는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증가하다가 고등학교 2학년에 다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자아개념과 사회적지지의 초기치가 자기효능감 초기치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개념의 초기치와 자아개념의 변화율과 사회적지지의 변화율이 자기효능감의 변화율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자아개념과,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간의 구조모형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전국 단위표집의 종단적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청소년 시기의 진로교육은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a changes pattern of adolescents`` self concept, social support, self efficacy and to analyze longitudinally the effects of adolescents`` self concept, soci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mediated by self efficacy. We analyzed the 5-year panel data conducted by 1st grade in middle school 6,908 of KELS using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hysical self concept and teacher support had gradually increased but social, academic, family self concept and parental support had gradually decreased. Also, high school students scored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on self efficacy. Second, the initial value in self concept and social support affected on the initial value in self efficacy, the initial value in self concept and the rate of change in self concept and social support affected on the rate of change in self efficacy. Also, self concept a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influence the career maturity as a mediation for self-efficacy. This study has contribution to analyze the effects of adolescents`` self concept, soci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mediated by self efficacy using longitudinal data. Also, this study has educational implication to consider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training for self efficacy.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자아개념, 자기결정성과 교사신념과의 관계

        이지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자아개념(비학문적 자아개념, 학문적 자아개념)과 자기결정성(자율성, 관계성, 유능성)이 교사신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최종 종속변수인 교사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개념을 외생변수, 자기결정성을 매개변수로 설정한 완전매개모형인 가설모형 1과 부분매개모형인 가설모형 2 그리고 자기결정성을 외생변수, 자아개념을 매개변수로 설정한 완전매개모형인 가설모형 3과 부분매개모형인 가설모형 4를 설정하였다. 모형검증을 위하여 충북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의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AMOS 7.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들의 적합도 지수를 비교한 결과, 가설모형 1을 최종모형으로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자아개념 중 비학문적 자아개념은 자기결정성 요인인 자율성과 관계성에, 그리고 학문적 자아개념은 유능성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학문적 자아개념은 교사신념에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관계성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문적 자아개념 역시 교사신념에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유능성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 교사들의 교사신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것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며, 이에 향상된 긍정적인 자아개념은 심리적 욕구인 자기결정성의 정도를 높여 결국에는 교사신념도 발달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