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정신역동적 미술치료사례

        김인선 한국예술치료학회 2014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억압된 무의식적 갈등이 역기능적인 가족구조로 인해 자기표현에 어려움을 가진 성인여성에게 정신역동적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기표현에 변화를 가져 오고자 하였다. 2013년 5월 10일부터 주 1회 60분씩 14회기 동안 정신역동적 치료이 론을 바탕으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기표현 능력 향상 정도를 스크린하 기 위해서 Rakos와 Schoeder(1980)의 자기표현 평정척도(Self-Directed Assertiveness Scale)를 김성희(1980)가 우리나라의 문화적 배경에 맞게 번안하여 수정한 자기표현 척도검사와 다면적인성검사 MMPI, 그림검사KFD⋅PSCD 변화를 사전⋅사후로 검증 하였고, 매 회기별⋅단계별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자기 표현에 향상을 가져왔다. 둘째,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 인의 다면적인성검사 MMPI에 자기표현 변화를 가져왔다. 즉, 사전검사에서 높게 나 왔던 과도한 예민성과 경계심에 의한 사회적 내향성이 사후검사에서는 감소되었다. 셋째,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그림검사 KFD⋅ PSCD에 자기표현 변화를 가져왔다. 즉, 사전검사에서는 자아강도가 유약하여 소극적 이고 정적인 느낌의 그림이었다면 사후검사에서는 자아 강도가 강화되어 적극적이고 역동적인 소통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넷째,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 움이 있는 성인의 매 회기별⋅단계별 과정에 변화를 가져왔다. 초기에는 심리적으로, 신체적으로 불안과 경직이 심해 작은 목소리로 대답만 겨우 하며 매회기 눈물을 보였 다면, 말기에는 자신이 말하고 싶은 내용을 말하고 눈물을 보이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프로그램 사전⋅사 후검사 검증을 통해 자기표현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psychodynamic art therapy to adult women who have difficulties in self-expression because of dysfunctional family structure, and make changes in self-expression. Based on psychodynamic art therapy theory,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14 sessions (6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from May 10th, 2013. To find out self-expression ability improvement, self-expression scale into which Kim Sung Hee(1980) adapted and revised Self-Directed Assertiveness Scale by Rakos and Schoeder(1980) for Korean cultural background, MMPI, and PSCD were verified through a pre-test and a post-test, and each session and step process was analysed qualitatively. The conclusion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sychodynamic art therapy improved self-expression ability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Second, psychodynamic art therapy brought self-expression changes to MMPI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In other words, social introversion from excessive sensitiveness and wariness was in high level in pre-test, but decreased in post-test. Third, psychodynamic art therapy brought self-expression changes to KFD⋅PSCD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In other words, the intensity of self was weak, inactive, and static in pre-test, while it became strong, active, and dynamic. Fourth, psychodynamic art therapy brought changes to each session and step process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In the beginning,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answered questions just in a low voice and even shed tears in each session, while at the end, they expressed what they want to say and did not shed tear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psychodynamic art therapy had an import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ability through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 제5장 자기표현훈련이 자기표현능력과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남순 ( Nam Soon Kim ),강수영 ( Su Young Kang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현대교육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자기표현훈련이 자기표현능력 및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경남 진주시 소재 J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총46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3명씩 배정하였고, 사전검사를 통해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게 5주에 걸쳐 총 10회기로 주 2-3회씩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매 회기 소요시간은 80분(40분실시후 10분휴식)이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한 연구 결과와 논의를 근거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훈련은 자기표현능력의 하위요소인 말한 내용에 포함되는 자기표현요소 및 말할 때 음성에 나타나는 자기표현요소 향상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자기표현훈련은 초등학생이 말할 때 나타나는 자기표현요소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학생이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둘째, 자기표현훈련은 자기표현능력향상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자기표현훈련은 소극적인 행동, 공격적인 행동을 하는 아동에게 실시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자기표현훈련은 발표불안의 하위요소인 자아평가불안과 불안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자기표현훈련은 발표와 관련된 부정적 생각들을 없애고 발표를 잘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자아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든 활동의 기초가 되는 발표에 자신감을 가짐으로써 학교 학습과 대인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넷째, 자기표현훈련은 발표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자기표현훈련을 특별활동이나 재량시간에 활용하면 학생들의 발표불안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ssertive trai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ech anxiety and self expression.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oes the experimental group make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self-expression? 2. Does the trained group about assertive training mak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self-expression after the education? 3. Does the experimental group make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speech anxiety? 4. Does the trained group about assertive training mak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speech anxiety after th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in two classes extracted from third grade clas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in-ju city - 23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23 students in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is study is pre- and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assertive training was only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it was carried out for 10 times during 5 weeks. The measuring tool for self expression was diagnostic examination developed by Byun Chang-Jin , Kim Seong-Hui(1980). The measuring tool for speech anxiety was diagnostic examination developed by Byun Chang-jin , Um Eun-Nam(2002).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the averag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by t-test of SPSS 18.0.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the assertive trainin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otal scores on the self-expression than control group. 2. The emperimental group improves score of the self-expression meaningfully after assertive training. 3.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the assertive training, didn`t show significant dropping in total scores on the speech anxiety than control group. However, it can be found that assertive training was helpful for dropping sub factors, that was, in the area of self esteem anxiety, simple anxiety symptoms. 4. The experimental group drops score of the speech anxiety meaningfully after assertive training. The results showed that assertive training gave an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self-expression and speech anxie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브레인댄스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자기 조절력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김인숙,임명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브레인댄스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자기조절력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 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은 D시의 위치한 I 민간 어린이집 유아 11명과 J민간 어린이집 유 아 11명, 총 2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검사항목은 아 동의 자기조절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조절력 검사지(self-regulation rating scale: SRRS)와 변창진과 김성희(1980)의 자기표현척도지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 검정 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험집단이 브 레인댄스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조절력이 향상되었으며, 자기조절 력의 하위영역인 ‘자기통제력’, ‘충동성감소’, ‘주의집중력’ 또한 크게 향상되었다. 둘째, 실험 집단이 브레인댄스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표현력이 향상되었으며 자기표현력의 하위영역인 말한 내용에 자기표현 요소가 포함된 평가, 음성에 자기표현 요소 가 포함된 평가, 비언어적 자기표현 요소에서도 향상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브레인댄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자기표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유아의 발달시기에 적 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braindance program on self-regulation and self-ex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 children, all of 22 children is from I kindergarten and J kindergarten at D city. Before the experiment, group were classified into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All the data collected were conversed and then conducted by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The following are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self control experimental group of braindance program improved more self-control, reduce of impulsiveness, attention concentration.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of braindance program improved more self-expression of emotion than control group and also has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contained self-expression factor of contents used verbal', 'The evaluation contained self-expression factor of voice', 'The evaluation contained self-expression nonverbal' of its subordinate. In conclusion, the braindance program is important and positive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is will improve self-regulation, self-expression which are regarded as very importance for infancy.

      • KCI등재

        대학생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 개발

        김인옥(Kim in 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대학생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모집된 연구대상은 2017년 3월 충청남도 소재 A대학의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50명의 학생, B 대학의 상담을 신청하거나 상담 에 관심을 보인 40명의 학생, 전라북도 C 대학의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62명의 학생이다. 모집된 학생을 대상으로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한 요구조사와, 자기표현에서 겪는 어려움 파악을 위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요구조사와 심층면담 자료를 토대로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의의 목적과 내용, 구조와 형식, 진행방법을 구체화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3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첫째, 자기표현을 잘하는 사람 은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가? 둘째, 자기표현을 잘했던 경험은? 셋째, 자기표현을 잘하지 못했던 경험은? 넷째, 자기표현에서 배우고 싶은 기술은? 마지막으로 자기표현 프로그램 참여 후 기대하는 모습은? 과 관련된 질문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 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자기표현 기술은 대인관계 기술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며, 다루기 힘든 사람과 상황에 대처하도록 도움을 주어 스트레스를 제어하 도록 해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대학생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For achieving the study purpose, this study targeted 50 students. who attended a teaching profession course at A University in Choongcheongnam-do in March 2017, 40 students that applied for counseling or showed interested in counseling at B University, and 62 students attending a liberal arts course at C University in Jeonllabuk-do. In order to analyze the needs for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and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self-expression,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student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needs analysis and the in-depth interview, 32 students responded to have a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if it is developed. To give shape to the purpose, the contents, the structure, and the form of the program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some questions were asked of the students in depth.: first, what type of person do you think expresses him or herself well?, second, do you have experience in expressing yourself well?, third, do you have experience in failing in self-expression?, fourth, which techniques do you want to learn from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and lastly, what do you expect after participating in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Self-expression techniques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control stress by helping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deal with people and situations that are hard to control. In this respect, it is considered that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is required to improve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 상호독립적 자기관 결핍에 따른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의 매개 효과

        권소영,곽자랑,김비아,이동훈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5 No.2

        Alexithymia refers to a psychological deficit of identifying and describing one’s feelings. It has benn reported that the level of alexithymia of East-Asians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Western Europeans. Recently one research conducted in U.S. suggested that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from East-Asians’ collectivism culture might be a cause of this cross-cultural difference. In the current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heir level of alexithymia, as well as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 suppression.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Korean students’ alexithymia level does not correlate with their level of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but negatively correlates with their level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Moreover, it is also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AEE) and emotion suppression(ES). Thus, we setup a double-mediation model between the deficiency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alexithymia via AEE and ES, and estimate mediation effects using Hayes and Preacher(2014)s’ Process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deficiency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has a direct effect as well as indirect effects of AEE and ES on the alexithymia level. Further analysis on the indirect effects reveals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AEE and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ES via AEE are significant, but the mediation effect of ES is not significant. Current results imply that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from the traditional collectivistic culture may not cause Korean college students’ problems on the emotional expression, but the relatively lower independent self-construal may cause them. The deficiency of independent self-constural may raise up the level of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uppress emotional expression by themselves, which can result in alexithymia. 감정표현불능증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그것을 언어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증상을 의미한다. 동양인들의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은 서양인들에 비해 일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최근 미국에서 진행된 한 조사연구는 동양인의 높은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이 집단주의 문화에서 발달하는 상호협조적 자기관의 영향이라고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의 상호독립적 및 상호협조적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 수준 및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억제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한국 대학생들의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은 상호협조적 자기관과 상관이 없었으며, 오히려 상호독립적 자기관과 뚜렷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게다가 상호독립적 자기관은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와도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상호독립적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 수준의 부적 관계에 대한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의 이중 매개모형을 설정하고, Hayes와 Preacher (2014)의 Process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상호독립적 자기관의 결핍은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을 높이는 직접효과도 유의하고,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억제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추가적으로 간접효과를 분석하였을 때, 정서표현양가성의 단일 매개효과와 정서표현양가성을 경유한 정서억제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고, 정서억제에 의한 단일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상호독립적 자기관 수준이 낮을수록,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아져서, 혹은 높아진 정서표현양가성이 정서억제 수준을 높여 감정표현불능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한국대학생들이 겪는 감정표현의 어려움이 전통적인 집단주의 문화의 상호협조적 자기관에서 기인한다기 보다, 상호독립적 자기관의 결핍에서 유발되며, 높은 정서표현갈등과 과도한 정서억제로 이어져 감정표현불능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미술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자기 표현력 증진과 눈-손협응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정민,김병철 한국예술치료학회 2015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5 No.2

        전반적 발달장애를 가진 유아는 정상적인 발달과정의 아동에 비해 눈-손협응력의 부족 및 신체적 발달의 지연으로 인하여 자기표현능력이 크게 뒤떨어지므로, 이로 인한 스트레스와 정서적 불안이 증대하기 때문에 이를 표출할 수 있는 심리적 중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에게 56회기 동안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미술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자기표현력 증진과 눈-손협응력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만4세, 전반적 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유아며 S시 소재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미술치료를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약 8개월 동안 주 2회 회기당 35분으로 4회기의 사전·사후검사와 56회기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유아의 자기표현과 눈-손협응력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았다.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은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신뢰감 및 친밀감 형성, 자기감정 인지와 감정단어 습득 및 눈-손협응력 발달, 자기표현력 향상을 각각 목표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은 HTP, 자기표현향상의 5가지 체크리스트, K-CDI 사전 사후결과를 제시하고, 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의 기록과 유아 행동 관찰, 작업을 토대로 사례과정을 질적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객관성을 위하여 아동의 초기 진단검사 및 부모와 어린이집교사와의 상담내용을 요약하여 결과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에 어려움을 느끼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가 미술치료를 통해 자기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매체를 탐색하고 응용하며 세부적인 표현과 구체적 형상을 만들 수 있는 지적표현이 발달하였고, 작업도중 연구자에게 자기욕구와 의사표현 이 능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사회적 표현이 발달하였다. 둘째, 눈-손협응력의 발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가 미술치료를 통해 눈-손협응력이 발달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잘게 오리기나 고무줄 묶기, 그림 그리기를 능숙하게 하는 등 작업시 눈과 손의 협응이 이루어지며 그림에서 다양한 선과 형태, 균형감각 등이 나타나며 양 손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신체적 표현이 발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미술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자기 표현력과 눈-손협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에게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Young children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lag behind their counterparts in a normal developmental process considerably in physical development and self-understanding and expression and experience increasing stress and emotional anxiety accordingly, thus needing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express them. This study thus set out to implement an art therapy program of various topics with a young chil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over total 56 session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and eye-hand coordination of the child. The subject was a four-year-old child(56 months old) that was diagnose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and referred to an art therapy program by an inclusive childcare center for both normal children and disabled children. The research period lasted approximately eight months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14 with a 35-minute session twice per week. Four sessions of pre- and post-testing were followed by a 56-session art therapy program to examine changes to the self-expression and eye-hand coordination of the child. The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the early, middle, and late part, whose goals were establishing trust and intimacy, recognizing self-feeling, acquiring sentiment words, and developing eye-hand coordination, and improving self-expression, respectively. Methodologies employed in the study include HTP, a five-item checklist for improved self-expression, K-CDI pre- and post-test results, recording of each session of the art therapy program, observation of the child's behavior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ase process based on those works. The findings were supplemented by the initial diagnostic inventory applied to the child and the content of counseling with its parents and teachers at the childcare center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of research.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that used to have difficulties with self-expression improved in self-expression through art therapy. As the art therapy program progresses, the child developed its intellectual expression including exploring and applying media, making detailed expressions, and making concrete forms as seen in the reference data and also its social expression including actively expressing its desire and opinions to the investigator during a session. Secondly, the chil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that used to experience difficulties with eye-hand coordination development enhanced in eye-hand coordination through art therapy. With the art therapy program going on, the child showed eye-hand coordination during works including becoming accustomed to working with tools and skillful with cutting in small pieces, tying with a rubber band, and drawing, exhibited a variety of lines, forms, and sense of balance in its drawings, and developed in physical expressions requiring both hands. The findings clearly show that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xpression and eye-hand coordination of a young chil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and that an art therapy program can be helpful for such a child.

      • KCI등재후보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배운,공마리아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7 임상미술심리연구 Vol.7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search the changes of self-expression ability and artistic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retardation along with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at preschool and self-expression reaction per each s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a 4 year old boy who goes to Y preschool located in D city, received pediatrician's opinion that he has a developmental problem. The research tools were self-expression ability test and self-expression improvement scale. For the self-expression ability test, self-expression rating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Rakos & Schroeder(1980) and translated by Byeon Changjin and Kim Seonghee(1980), was used. For the self-expression improvement scale, the one that was by Ji Hannae(2011). Data process first, for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ability, pre, post and follow up self-expression ability tests were done,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For the change of artistic self-expression, pictures drawn at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were evaluated with the use of the and the results were bar charts. Second, for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at the class, self-expression ability was divided into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elements based on pre, post and follow up reports, Third, for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per each session, the changes of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self-expression were compared based on CCTV recording. This study self-expression ability and artistic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retardation along with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at preschool reaction per each session caused a positive change. 본 연구는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로서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 능력 및 미술적 자기표현 변화와 어린이집 학급에서 자기표현 변화와 회기별 자기표현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소재의 Y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세 남아이다. 연구도구는 Rakos와 Schroeder(1980)가 개발한 것을 김성희(1982)가 번안한 자기표현평정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미술적 자기표현능력의 측정을 위해서 지한내(2011)가 사용한 자기표현 향상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첫째, 자기표현능력 변화는 자기표현능력 검사를 사전ㆍ사후․추후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하였으며, 미술적 자기표현의 변화는 프로그램 초기, 중기, 후기에 그린 자유화에 대해서 자기표현향상 척도를 이용해 그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비교하였다. 둘째, 어린이집에서 학급생활에서의 자기표현의 변화는 담임교사의 사전․사후․추후보고를 토대로 언어적․비언어적 요소로 나누었다. 셋째, 회기별 자기표현의 변화는 CCTV 녹화와 음성녹음을 토대로 언어적․비언어적 자기표현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지체 유아는 자기표현능력 및 미술적 자기표현 점수의 향상을 보였으며, 어린이집의 학급과 회기별 과정에서도 긍정적인 자기표현의 변화를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지행동통합예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임선희,원상화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 5, 6학년 저소득층 학생들로 7명이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실험집단 설계이고, 2010년 10월부터 2011년 1월 까지 매주 2회 60분을 기준으로 15회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 인지행동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표현행동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7.0으로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자기표현행동척도 검사의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행동관찰법과 투사적 그림검사를 연구도구로 병행 사용하여 사전-사후 비교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행동척도 분석결과로 전체 자기표현점수, 행동적 자기표현, 인지적 자기표현, 정서적 자기표현, 전반적 자기표현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변화 순서에 있어서는 인지적 자기표현, 정서적 자기표현, 행동적 자기표현, 전반적 자기표현 순으로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행동관찰 분석 결과 인지적 자기표현의 빈도수가 매회기 일관된 상승을 보였다. 셋째, HTP검사 분석 결과 자신감이 상승하고 타인과 관계하고 싶은 욕구와 자신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가지는 인지적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지행동통합예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recogniz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self-expression of low-income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 elementary students- 4th, 5th, and 6th graders from low-income workers. The study designed pre-po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and from October 2010 to January 2011 twice a week were 15 times by 60 minutes. Cognitive-behavioral integrated arts program was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after. Self-expression Behavior Scal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in order to measure self-expression of the low-income children.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 17.0 as a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behavioral measure of self-expression tests behavioral observation methods and picture test were used as research tool to examine pre-post comparative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by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sure of behavioral self-expression analysis points that scores of full self-expression, behavioral, cognitive and emotional self-express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result of the behavioral measure of self-representation. We can see here that cognitive self-expression, emotional and behavioral self-expression, and general self-expression are increasing in order of change. Second, cognitive behavioral analysis observed the frequency of self-expression was a consistent rise. Third, HTP analysis tests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self-confidence rises and the desire and positive expectations about their future for the cognitive changes appeared. Looking at the findings o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tegrates art to improve low-income children's self-expression can be seen that the positive impact.

      • KCI등재

        비언어적 미술치료가 청각장애아동의 자기표현에미치는 효과

        추현주,김민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non-verbal art therapy on self-expression amo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two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five and six years old, respectively-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15 sessions of the non-verbal art therapy program were implemented once a week from March 7 to June 27, 2007. In applying the program each s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works and behaviors by target children by the Art Self-Expression test and the Behavior Observation Checklist, the Self-reference Category System. In addition,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changes in self-expression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by the House-Tree-Person Test and Kinetic-Family-Drawing, both of which are drawing-based diagnosis tools. As a result, First, Child A had art self-expression improved by 33% point and Child B by 49% point as compared with pre-application of the program. Second, the behavior observation checklist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also indicated that self-expression improved by 45% point as compared with the early stage of the program. Third, the drawing test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dicated that post-program drawings had less anxiety, shrinkage, compulsion, inferiority complex, and isolation interfering with self-expression as compared with pre-program ones and improvements in self-esteem and confidence. Fourth, there was a change from negative self and others expression into positive one and expression of self-emotion became diverse; frequency of attempts to do communication became high, resulting in expansion of self-expression. This demonstrates that non-verbal art therapy promoted self-confidence and autonomy amo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having difficulties in doing communication and ultimately exerted positive effects on expansion of self-expression. 본 연구는 비언어적 미술치료가 청각장애아동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와 만 6세의 청각장애아동 2인으로, 2007년 3월 7일부터 6월 27일까지 주 1회 비언어적 미술치료프로그램을 15회기 실시했다. 자료 분석은 매 회기 프로그램 적용 시 연구대상 아동의 작품과 행동을 미술자기표현능력평가와 행동관찰목록표, 자기표현 분류척도로 분석했다. 또한 그림 진단 도구인 집-나무-사람 검사와 동적가족화는 프로그램 적용 전ㆍ후에 실시하여 자기표현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로 첫째, 청각장애아동 중 대상아동 A의 미술자기표현은 프로그램 시작 전보다 33% 포인트, 대상아동 B의 미술자기표현은 49% 포인트 향상되었다. 둘째, 청각장애아동의 행동관찰목록표에 따른 자기표현도 프로그램 초기보다 45% 포인트 향상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적용 전ㆍ후에 실시한 그림검사에서는 사후의 그림이 자기표현을 저해하는 불안, 위축, 강박, 열등감, 고립감 등의 표현이 감소되고, 자존감과 자신감 향상이 나타났다. 넷째, 회기별 작품과 행동에 따른 자기표현의 변화에서도 부정적인 자기표현과 타인표현이 긍정적으로 변했고, 자기감정 표현이 다양해지고 의사소통 시도의 빈도가 높아짐으로 자기표현의 확장이 나타났다. 즉, 비언어적 미술치료가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각장애아동의 자기표현의 확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내현적 자기애가 역기능적 분노 표현에 미치는 영향: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장은봉(Eun-Bong Jang),이수림(Su-Lim Lee)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역기능적 분노 표현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성인남녀 20세이상 60세미만의 375명(남: 137명, 여: 238명)을 대상으로, 내현적자기애척도, 한국판 상태-특성분노표현척도(STAXI-K), 자기위로능력척도, 마음챙김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자기애, 역기능적 분노표현, 자기위로능력, 마음챙김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각각의 변인들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간접효과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내현적자기애와 역기능적 분노표현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내현적자기애가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을 거쳐 역기능적 분노표현으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내현적자기애가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을 매개로 하여 역기능적 분노 표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위로능력에서 마음챙김 경로를 거쳐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상담에 시사점 및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o do this, 375 adults(male : 137, female:238) aged 20 to 60 were surveyed by Covert Narcissism,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 each of the variables of Covert Narcissism,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firming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Thirdl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covert narcissism that leads to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rough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was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covert narcissism not only affects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rough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but also affects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rough the path from self-soothing ability to mindfulnes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counseling,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