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청소년기 애착외상 경험 이후 외상후성장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이수림 ( Su Lim Lee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1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의 애착외상 경험이후 외상후성장 과정을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핵심적 경험과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애착외상을 경험하였고 그 이후 외상후성장을 보고한 성인 12명을 선발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총 103개의 개념과 34개의 하위범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분석 결과, 중심현상으로 `변화 필요성에 맞닥뜨림`이 도출되었고, 인과조건으로 `애착외상의 경험`, 맥락조건으로 `고통 및 영향`, 중재적 조건으로 `개인적 특성`, `종교`, `사회적 지지`가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외상에 대한 재구성`과 `외상의 영향을 극복하려는 시도`, `다양한 개인적 노력의 실천`, `새로운 의미 발견`이 나타났고, 결과로는 `내적 힘의 발견과 성취`, `대인관계에서의 성숙`, `이타주의`, `긍정적 사고의 증대`, `대처능력의 증가`, `삶에 대한 긍정적 평가`, `미해결 과제`가 나타났다. 과정분석 결과, 애착외상의 외상후성장 단계로는 `고통을 마주한 단계`, `변화로의 의지 단계`, `수용 및 재구성 단계`, `노력의 단계`, `성장 및 의미발견의 단계`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애착외상 경험자들의 외상후성장 과정을 밝히고, 상담 개입에 대한 실제적 함의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leading to posttraumatic growth after attachment trauma in the period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the qualitative data from 12 adult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attachment trauma in their period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reported posttraumatic growth.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103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 Also, the central phenomenon of paradigm was demonstrated as `encountering the necessity of change`, causal condition was as `experience of attachment trauma`, contextual condition was as `distress and affect`, intervening conditions were as `interpersonal character`, `religion`, and `social support`. A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revealed as `reconstruction of attachment trauma`, `trial of overcoming of influence of trauma`, `action of various activity`, and `finding the new meaning`. A final result was revealed as `finding of power and achievement`, `maturity of personal relation`, `altruism`, `improvement of positive thinking`, `improvement of coping ability`, `positive evaluation on the life`, and `unresolved problem`. This finding demonstrated the process of posttraumatic growth after attachment trauma and has significance on providing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ho have attachment trauma.

      • KCI등재

        외상 경험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이수림(Lee, Su-Lim)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9 No.-

        본 연구는 외상 경험이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 변인들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외상후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질문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척도, 외상후성장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변량공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외상 집단이 비대인외상 집단에 비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점수가 높고, 외상후성장 점수가 낮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이 여성인 것, 외상 경험 영향의 지속, 대인외상 유형, 부적응적 조절전략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응적 조절전략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 변인 중에서는 반추와 파국화가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나이와 비대인외상 유형,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외상후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긍정적 재평가가 외상후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aumatic even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ost-traumatic growth by the data from 199 adults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son-related traumatic event group were higher than the non-personal traumatic event group in negative coping and PTSD level, and lower in post-traumatic growth. Second, women, interpersonal traumatic event type, continuance of stress, and mal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TSD. 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PTSD. Especially, rumination and catastrophe were positively related to PTSD. Third, age, non-personal traumatic event type, and 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affected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reappraisal was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In the end, we described of the implication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 KCI등재

        상담 및 심리치료 성과의 효과적 핵심 요인

        이수림(Su Lim Lee),이문희(Mun Hee Lee)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4 인간연구 Vol.0 No.27

        정신화는 최근 심리치료 성과에 효과적인 핵심 요인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개념으로서 그동안 치료가 힘들었던 성격장애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검증되어 주목받고 있다. 또한 정신화는 폭력, 비행 등 청소년 문제 상담 프로그램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화를 소개하고 관련 문헌과 연구들을 개관하여 향후 정신화와 관련된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화를 대인 관계 상황에서 자신과 타인의 행동 기저에 있는 정신 상태(신념, 동기, 정서, 바람, 욕구)를 상상하여 사회적 세계를 이해하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정신화에 대한 개념 및 유사 개념들 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신화의 발달 및 손상 과정,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측정의 문제를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정신화기반치료의 치료 모형, 과정 및 효과에 대해 소개하였다. 끝으로 정신화에 대한 국내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몇 가지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Mentalizing has been regarded as an essential factor for achieving a effective psychotherapy outcome for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Mentalizing is also applied in counseling programs for youths with violence problems. This paper attempt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mentalizing and its related research and suggest future areas of study with regard to mentalizing. Mentalizing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mental states that underlie overt behavior in both oneself and others(e.g., the needs, desires, feelings, beliefs, goals, purposes, and reasons).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 of mentalizing and it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ith related concepts. Also, this paper reviews the development of mentalizing as well as its defects, relation to mental health, measurement, and mentalization-based-therapy.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section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중증 급성췌장염 환자에서 급성신부전증의 발생빈도와 임상경과에 대한 연구

        이수림 ( Su Lim Lee ),김현경 ( Hyun Gyung Kim ),김병수 ( Byung Soo Kim ),송호철 ( Ho Cheol Song ),강봉구 ( Bong Koo Kang ),권혁민 ( Hyuk Min Kwon ),정의성 ( Eui Sung Chung ),윤혜은 ( Hye Eun Yoon ),김영수 ( Young Soo Kim ),김성수 대한신장학회 2009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8 No.5

        Purpose: Although acute renal failure (ARF) commonly develops in patients with severe acute pancreatitis (SAP), the impact of ARF on disease severity is rarely reported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findings, morbidity and mortality between SAP patients with and without ARF.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medical records of 102 patients with SAP between January 2001 and June 2008 in 3 hospitals.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clinical course of ARF in SAP patients. Then, we compared morbidity and mortality between the patients with ARF and normal renal function (NRF). Results: Of the total 102 SAP patients, ARF was observed in 39 patients (38.2%). The peak serum creatinine level in ARF patients was 4.5±2.3 mg/dL. Eight of the 39 ARF patients (20.5%) received hemodialysis and ten patients (25.6%) died. When compared to NRF patiens, ARF patients (n=39) had higher incidence of dyspnea (17.9% vs 3.2%, p=0.011), loss of consciousness (17.9% vs 1.6%, p=0.003), and APACHE II scores more than 8 (92.3% vs 0%, p<0.001). The ARF group had also higher incidences of sepsis (35.9% vs 7.9%, p<0.001), multiorgan failure (15.4% vs 0%, p=0.001), respiratory failure (28.2% vs 4.7%, p=0.001) and mortality (25.6% vs 3.2%, p=0.001). Multivariate analysis demonstrated thrombocytopenia, hemoconcentration, and high LDH as independent risk factors of ARF in SAP patients. Conclusion: The incidence of ARF was high (38.2%) and ARF patients showed higher morbidity and mortality, compared to NRF patients. We suggest that early management of ARF should be performed for reducing the mortality in SAP patients.

      • 무기질비료 및 퇴비가 처리된 토양에 혼합미생물 처리에 따른 암모니아 배출특성

        이수림 ( Su-lim Lee ),이재훈 ( Jae-hoon Lee ),박종환 ( Jong-hwan Park ),나성연 ( Seong-yeon Na ),서동철 ( Dong-cheol Seo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최근 미세먼지 노출로 인한 인체의 위험성이 보고됨에 따라 산업 및 농업 분야에서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특히 농업부분에서 미세먼지는 질소비료인 urea로부터 야기된 암모니아가 대기중의 황산염 및 질산염과 반응하여 형성되는데, 이는 농업부분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발생량의 약 70%에 해당된다. 이에 농업부분에서 urea로부터 발생되는 암모니아를 저감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비료 및 퇴비를 처리한 토양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의 배출특성을 평가하고, 여기에 효모, 유산균, 바실러스 등 총 107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혼합미생물을 처리하여 암모니아의 저감효율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pot의 규격은 1/5000a이었으며, 여기에 요소, 염화가리 및 용성인비를 각 처리구당 320, 198 및 78 kg ha<sup>-1</sup>을 처리하였고, 퇴비를 30000 kg ha<sup>-1 </sup>처리하였다. 암모니아 저감을 위한 혼합미생물은 선행연구에서 설정한 최적 처리량인 1000 L ha<sup>-1</sup>를 기준으로 처리하였으며, 이들은 무기질비료 및 퇴비 시비할 때 함께 처리하였다. 퇴비를 처리한 토양에서는 암모니아가 거의 배출되지 않아 무처리 토양과 유사한 암모니아 배출특성을 보였고, 화학비료를 처리한 토양에서 암모니아 배출량은 8일차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3일차와 35일차에 급격하게 증가하는 구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40일차부터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화학비료와 퇴비를 함께 처리한 토양에서는 비료만 처리한 토양보다 암모니아 배출량이 약 40% 증가하였다. 암모니아 누적 배출량은 비료+퇴비 (6.2 kg ha<sup>-1</sup>)>비료 (3.7 kg ha<sup>-1</sup>)>퇴비 (2.1 kg ha<sup>-1</sup>)>무처리 (1.2 kg ha<sup>-1</sup>) 순으로 많이 배출되었다. 퇴비 처리구의 경우 혼합미생물 처리 유무에 관계 없이 비교적 낮은 암모니아 배출량을 보였으나, 반면에 비료 및 비료+퇴비 처리구에 혼합미생물을 처리한 경우 누적 암모니아 배출량은 각각 3.1 kg ha<sup>-1</sup> 및 4.6kg ha<sup>-1</sup>이었으며, 이는 비료 및 비료+퇴비만 처리된 처리구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 배출량이 각각 15% 및 26% 감소한 것을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볼 때, 혼합미생물제는 비료 및 퇴비 처리된 토양으로부터 암모니아를 저감하기 위한 효과적인 제재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pot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실제 밭에 처리하였을 때 암모니아 배출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화학비료와 퇴비를 함께 시비할 때 암모니아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적절한 시비처방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부모의 비정신화가 자녀와의 관계 및 자녀의 성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수림 ( Su Lim Lee ),이문희 ( Mun Hee Lee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1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의 부모의 부정적 양육행동이 자녀와의 관계 및 성격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질적연구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부모자녀 애착관계의 기본적인 심리적 기제로 주목을 받고 있는 부모의 정신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모의 부정적 양육행동을 경험했던 성인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아동청소년기에 경험했던 부모의 모습, 부모와의 상호작용 및 자신의 성격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자료는 합의에 의한 질적방법(CQR)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비정신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부모의 어린시절 열악한 양육환경, 부모의 성격 및 건강문제가 있었다. 둘째, 부모의 비정신화로 인한 자녀와의 상호작용 특성은 방임, 학대, 무관심, 대화와 표현이 없었고, 자녀의 마음을 알아주지 않았으며. 심각한 부부갈등을 보였다. 자녀는 이러한 부모에 대해 증오, 두려움, 서운함과 원망감을 가졌고, 자신의 힘듦을 표현하지 못하고, 다가가지 못하고, 순응하고 희생하는 형태로 대처하였다. 셋째, 부모의 비정신화로 인하여 자녀는 성격 형성에 영향을 받았는데, 정서적인 측면에서는 불안, 두려움, 속상함, 원망감, 정서억압을 나타내었으며, 대인관계 측면에서는 표현을 하지 않고, 타인을 거절하였으며, 자기개념 측면에서는 위축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negative parent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their personality development in the period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Especially we analyzed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ents` non-mentalization which has been issued recently for the fundamental psychological mechanism of parent-child attachment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the qualitative data from 10 adult women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in their period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They had an in-depth interview about the images of their parents, the interaction with their parents and the participants` individual personality. We analyzed the data with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influence factors on non-mentalization of parents were the poor parenting environment in early childhood of participants and their parents` personality and health problem.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 of non-mentalization parents with their children were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apathy, abuse, non-intervention, no interest of knowing their children`s emotion and feeling and severe couple conflict. Participants who had these experienced not only became to have anxiety, fear, disappointment and resentment but also coped with these situations passively in non-self expression, intimacy problem to parents, no resistance and self -sacrifice. Third, due to non mentalization of parents, their children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ir personality development. In the emotional aspect, they had anxiety, fear, disappointment, resentment, and repression. In their interpersonal respect, they had lack of expression and rejection others. In their self-system respect, they had self-depreciation. We also discussed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based on thes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