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2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2013년까지 이루어진 국내의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총 23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효과크기의 수는 295개이다. 자기결정성은 자기결정성 분류 형태인 내재적 동기, 확인/통합동기, 부과된 동기, 외적 동기, 무동기로 나누었다. 자기조절학습도 일반적인 분류 형태인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로 나누었다. 두 변인간의 관계에 관한 출판편의를 Orwin의 fail-safe N과 Egger의 회귀절편으로 분석한 결과 출판편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486, 확인/통합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544, 부과된 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379,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046, 무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395로 나타났다. 이 효과크기들은 모두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논문형태, 학교급별과 관련되는 독립변인들이 이질성의 원인이라고 판단하여 분석을 하였다. 논문형태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에서는 학위논문의 효과크기가 학술논문의 효과크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 확인/통합동기-자기조절학습, 부과된 동기-자기조절학습,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 무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s to synthesize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by meta-analysis. For the study 295 effect sizes from 23 studies were analyzed by CMA2 Program. Self-determination was divided by intrinsic, identified/integrated, introjected,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along the self-determination continuum. Self-regulated learning was divided by 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regulation. Publication biases were analyzed by Orwin`s fail-safe N and Egger`s regression intercept. B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re were low possibilities of the publication bias.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intrinsic-SRL was .486, identified/integrated-SRL was .544, introjected-SRL was .379, external-SRL was -.046, and amotivation-SRL was -.395. There were heterogeneities in the effect sizes of subgroups, so the researcher thought these were attributed by the moderator variables such as published or unpublished studies and school classe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effect sizes between published and unpublished studies on intrinsic-SRL and extrinsic_SRL.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effect sizes of school classes on intrinsic-SRL, identified/integrated-SRL, introjected-SRL, external-SRL, and amotivation-SRL. The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멘토의 피드백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심현(Sim Hy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멘토의 피드백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를 규명한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경상남도 농산어촌 35개 초등학교의 4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멘토의 자기조절학습요소 피드백은 자기주도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행사하며, 자기주도적은 자기조절 학습 중 인지조절, 메타인지조절, 동기조절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는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 학습의 동기조절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조절, 메타인지조절, 행동조절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6개월 동안 멘토가 직접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수행한 결과를 측정하였으며, 온라인 학습에서 멘토의 자기조절학습 요인의 피드백이 자기주도학습과 학업성취의 변화를 이끈 요인을 밝혀 차후의 수업활동에서 활용가능성을 높였다는 사실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entor self - regulated learning sub - factors on students self - 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realize this aim, 457 elementary schools in 35 rural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in Gyeongsangnam - do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ntor s self - regulated learning factor feedback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 - directedness. Self - directed mediates between cognitive control, meta - cognition control, motivation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self - 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hird, motive control of self-regulated lear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but cognitive control, meta-cognitive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This study measured the results of a 6-month interaction with a mentor.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the self - regulated learning process of self - regulated learning factors in online learning revealed the factors that led to the change of self - 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is significant because i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use in learning activity.

      • KCI등재후보

        아웃도어 의류를 이용한 소비 자기조절초점 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성용(Park, Seong Yong),나준희(Na, June-Hee),이용기(Lee, Yong-Ki)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4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 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 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 KCI등재후보

        무엇이 소비를 후회스럽게 하는가? : 자기조절능력과 비이성적 소비행동을 중심으로

        유현정,김수진,김영림,안보름,전현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8 No.2

        산업혁명 이후 경제적 풍요로움은 필수재 구매 중심의 소비에서 보다 다양한 욕구충족을 위한 재화 및 서비스 의 구매로 소비의 영역을 확대시켰고 아울러 인간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데 기여했다. 그러나 고도 산업사회를 지 나 정보사회로 진입하면서 소비자들은 넘쳐나는 재화와 정보 중 무엇이 소비자에게 진정으로 필요하고 유익한 것 인지를 평가하고 선택하는 데 점점 더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소비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은 약화되고 순간적인 소 비충동이나 과시적 욕구, 무분별한 타인의 모방 등과 같은 비이성적인 소비행동은 증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매 후 후회를 야기시키는 요인으로 자기조절능력 및 비이성적 소비행동에 주목하였다. 자기조 절능력 및 비이성적 소비행동이 후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청주시에 거주하는 성인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이성적 소비행동 중 과시소비성향이 구매 후 후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즉, 과시소비를 많이 하는 소비자일수록 구매 후 후회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 변인이 구매 후 후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저학력 소비자일수록 구매 후 후회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능력이 크고, 학생이 다른 직업인에 비해 자기조절능력 수준이 낮았으며,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자기조절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특성에 따른 비이성적 구매행동 분석에서는, 여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비교적 충동소비를 많 이 하고, 소득이 높을수록, 학력수준이 낮을수록 충동소비, 모방소비, 과시소비, 보상소비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자기조절은 비이성적 소비행동 중 보상소비에만 영향을 미치고, 구매후 후회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기非조절은 충동소비와 모방소비, 과시소비, 보상소비의 모든 비이성적 소비행동에 영 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구매후 후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비이성적 소비행동에서는 과시소비가 구매후 후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력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김소향 ( Kim So Hyang ),조준오 ( Jo Jun O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력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여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개발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 226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력, 정서조절력, 그리고 창의적 인성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력 그리고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과 창의적 인성간의 상관이 자기조절력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부정 정서조절은 창의적 인성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자기조절력 및 정서조절력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적응적 정서조절보다 창의적 인성에 높은 정적 예측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부정 정서조절은 창의적 인성에 부적 예측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력의 하위변인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의적 인성에 대하여 적응적 정서조절, 자기평가, 자기결정, 행동억제의 순으로 정적 예측관계가 있었고, 부정 정서조절은 창의적 인성에 대하여 부적 예측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조절력의 하위변인인 정서성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중심으로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력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of preschoolers on their creative personality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research into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6 selected preschooler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A self-regulation inventory, an emotional regulation inventory and a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were utilized to gather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s of the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of the preschoolers to creative personality, the correlation between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was strong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he other hand,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no relationships with creative personality. Second, how their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ffected creative personality was analyzed, and self-regulation had a closer positive predictable relationship with creative personality than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a negative predictable relationship with creative persona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subvariables of their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on creative personality,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the strongest positive predictable relationship with creative personality, followed by self-evaluation, self- determination and behavioral inhibition.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a negative predictable relationship with creative personality, and emotionality that was one of the subvariables of self-regulation exercised no influence on creative personality.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roles of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i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preschooler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학교급별 효과적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구성요인 탐색

        한정희(Han,Jeonghee),박용한(Park,Yonghan) 한국교육학회 2024 敎育學硏究 Vol.62 No.4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하고, 효과적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자기조절학습 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시간관리를 종속변인으로 사용하여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비교하였으며, 학교급 별 프로그램 운영 특성(적용영역, 수업처치)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세부 기준에 따라 38편의 국내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이로부터 178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51(U3 = 70%)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은 시간관리(ES = 0.89), 학업적 자기효능감(ES = 0.73), 학습동기(ES = 0.62), 자기조절학습 능력(ES = 0.62) 등 모든 종속변인에서 효과적이었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에는 8주 이내 / 20회 초과 / 120분 이하에서,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8주 이내 / 10회 이하 / 90분 이하에서, 대학생의 경우에는 8주 이내 / 20회 이하 / 60분 이하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효과크기가 컸다. 특히 적용영역과 관련하여 학습코칭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더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급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및 효율적 운영방안에 대한 실용적인 지침을 제시해 준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meta-analysis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RL) programs and explored the components of effective SRL programs. Specifically, we compared the effect sizes of SRL programs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as dependent variables. We also examined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implementation (e.g., subject area and type of instructional intervention) by school level.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a total of 178 effect sizes from 38 domestic studies selected using specific criteri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SRL programs was 0.51 (U3 = 70%). Second, SRL programs were effective for all dependent variables: time management (ES = 0.89), academic self-efficacy (ES = 0.73), learning motivation (ES = 0.62),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ES = 0.62). Third, for upper elementary students,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when the programs lasted 8 weeks or less with 20 or more sessions and 120 minutes or less per sess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the effective programs lasted 8 weeks or less with 10 sessions or less and 90 minutes orb less per session. For college students, the effective programs laste 8 weeks or less with 20 sessions or less and 60 minutes or less per session. Notably, those SRL programs as learning coaching showed greate r effect sizes for higher school levels. These results provide a practical guideline for the critical components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of effective SRL programs by school level to enhance students’ SRL abil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우울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태곤,이수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A total of 501 Korean college students(Males: 191/Females: 310) from two colleges in Seoul and Chung-N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ctual and Ideal Selves Questionnair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s(CES-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Statistics 18.0 VERSION and SPSS Process macro version 2.16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Second, a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partially mediated by depression. Thir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was found, but not for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inall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depression. In this study, the pathway leading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was examined jointly, including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counseling and prevention education practice for SNS addiction. Also,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와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충남 소재의 4년제 대학교 재학생 501명(남학생 191명, 여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척도, 우울척도, SNS중독경향성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SNS중독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모든 변인들 간 상관이 유의미하였다. 그 중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자기불일치, 우울, SNS중독경향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자기불일치, 우울, SNS중독경향성과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기불일치와 SNS중독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울은 자기불일치와 SNS중독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불일치와 SNS중독의 관계를 우울이 매개하고,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SNS중독 상담에서 적용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심적 계정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휘,설하린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5 No.1

        People who pursue long-term goal experience the depletion of self-regulatory resources. This study suggests how to control oneself in the state of depletion. When someone experiences ego depletion, self-control becomes difficult. However, standards-setting and self-monitoring can help self-control even after the ego-depletion, by allowing us to use self- regulatory resources efficiently. Especially, mental accounting can make standards and accordingly monitors oneself, so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on self-control in an ego-depletion state. There are two levels of mental accounting; specific and general. We assume that in a state of no ego-depletion, specific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on self-control, while in an ego-depletion state general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That is because general mental accounting triggers less anticipated self-control perception than specific mental accounting, which does not lead to too much pressure on self-control when the self-regulatory resources are already impaired(an ego-depletion state).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as 2(ego depletion existence / or not) x 2 (mental accounting: general / specific) and measured self-control intention of each group. We verified our hypothe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 those who experience ego depletion and need self-controlling it is more effective to use general mental accounting than specific mental accounting. 본 연구는 장기적 목표 추구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자기조절자원의 소진 상황에서도 꾸준히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기조절자원이 소진되었을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기 통제를 하기가 힘들다. 하지만 기준과 자기 감시가 자기 조절 자원의 소진 이후에도 효율적으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자기조절자원 소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자기 통제를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을 가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자기 감시를 하도록 하는 심적 계정이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을 극복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심적 계정은 계정을 엄격하고 세분화하여 나눈 ‘구체적 심적 계정’과 계정을 유연하고 모호하게 설정한 ‘포괄적 심적 계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 때,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없을 경우에는 ‘구체적 심적 계정’이 효과적일 것으로 가정하였다. 반면 소진이 있을 경우에는 ‘포괄적 심적 계정’이 ‘구체적 심적 계정’에 비해 이후 자기 통제를 더 해야 한다는 예측된 자기 통제 지각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자기조절자원의 소진 이후에는 포괄적 심적계정이 자기 통제에 더 긍정적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조절자원소진 여부(유/무) x 심적계정 수준(포괄적/구체적)의 연구 디자인을 설계하였으며, 각 처치 이후 자기통제 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있을 경우보다 없을 경우 자기통제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없을 경우에는 ‘구체적 심적 계정’을,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있을 경우에는 ‘포괄적 심적 계정’을 활용하는 것이 자기통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장기적 목표 추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심적 계정이 포함하는 기준과 자기 감시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기조절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명진(Lee,Myung-Ji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39

        이 연구에서는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교육학 분야에서 다루어져야 할 자기조절 연구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자기조절 연구들의 문제점으로는 자기조절의 정의와 용어의 불명확성, 자기조절 과정에 대한 직접 측정도구의 낮은 사용성, 그리고 탈맥락적이고 통합적인 자기조절 훈련 프로그램의 희귀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연구자들 간에 자기조절의 개념과 용어의 통일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자기조절의 인지 및 행동의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접근성이 높고 해석이 용이한 자기조절의 직접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자기조절 역량향상을 위하여 탈맥락적이고 범주 통합적인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학교장면 뿐 아니라 다양한 맥락에서 한 개인을 자기 조절적 인간으로 만들기 위한 실제적인 훈련 방안을 제공할 것이며,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스스로 학습하는 인간을 만들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on self-regulation,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usses future challenges for self-regulation in education studies. The main problems with self-regulation research are diverse interchangeable terms and fuzzy definitions of self-regulation, absence of a direct measuring method of self-regulation, and absence of a self-regulation practice program and teaching guidelines. In order to solve three problems, firstly, researchers should consolidate the terms and definitions of self-regulation. Secondly, researchers need to develop a direct measuring method that is accessible and easy to interpret the results of. Lastly, researchers should develop embodied teaching guidelines for improving self-regulation. This research will lead people to self-regulate in learning and everyday life, and will be the basis of people learning, which is the eventual goal of education.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박미정(Park, Mi Jung),엄정애(Ohm, Jung A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유아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3곳의 만 3, 4, 5세 9학급 유아 12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유아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하위요인 중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친사회적 조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경우, 만 3세 유아들보다 만 5세 유아들의 친사회적 조절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비놀이 행동보다 놀이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놀이행동 유형 중 기능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으며 규칙 있는 게임을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놀이행동 유형에서는 병행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으며, 집단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한편 비놀이 행동 중 쳐다보기와 돌아다님 행동을 많이 보일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한 이해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증진과 연관이 있는 놀이의 중요성을 재인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general tendency and difference by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children and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play behavior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26 children aged 3, 4 and 5 in 9 classes at 3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or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cognitive regulation was the highest, and emotional, motivational, prosocial regulations in order.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age and sex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social regulation. Secondly, children did more play behaviors than non-play behaviors as they ha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nd more non-play behaviors than play behaviors as they ha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For cognitive play types, children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s they showed more functional play and as they played more rule games they showe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For social play types, children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s they did more parallel play and as they played more group play they showe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On the other hand, children did more watching behavior of non-play type as they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