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효과적 교육 방안 연구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실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강민정 ( Min Jung Ka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본고는 학생들의 인문 소양 능력을 향상시키며 시민 윤리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대학 교양 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찾아보는 데연구목적이 있다. 특히 인문적 목적성을 실천하기 위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교육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단국대학교의 필수 교양 수업 <사고와 표현>에서‘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을 직접 실시했던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이것의 효과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우선 자기 성찰적 글쓰기가 ‘선 성찰 후 글쓰기’라는 순차적 접근을 통해서 수업이 설계되어야만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후 1차 실습으로 학생들에게 영화 <GO>에 대한 감상문을 작성하도록 하여, 서사에 담긴타자성의 의미를 심도 있게 이해하게 함으로써 자기 성찰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인식으로 말미암아 학생들의 내면에는 자기 성찰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려는 의지가 생성되었다. 이후 학생들에게 리쾨르가 제기한 ‘자체성과 자기성의 구분’을 활용한 자기성찰의 사유 방법을 가르치고, 2차 실습으로 자신의삶을 돌이켜 보고 자체성과 자기성을 구분해 보도록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학생들에게 자기표현의 의지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이로써 표현 의지가생성된 학생들에게 적극적 자기표현을 시도할 수 있는 관련 글쓰기 방법을 지도하였다. 이때 교재 『사고와 표현』에 제시된 바 있는 ‘개념화’를 3차 실습에서 가르쳐 이를 통해 학생들이 구분되어 있던 ‘자체성과 자기성’을 통합하는 과정으로서의 변증법을 수행하도록 하였고, 이를 창의적 표현으로 개념화하도록 하였다. 3차 실습의 결과물에 경험적 사례를 덧붙이게 하여 생동감 있는 전달법을 고민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성적에 반영하는 과제로 내주어 스스로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완성하여 제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세 번의 실습 및 교수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은 비로소 한 편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완성하는 단계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그들을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타자 그리고 우리에 대한 이해와 포용력을 실천적으로 모색하게 하는 서사적 경험을 수행하도록 만들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더불어 이러한 과정 중심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은 그간 중·고등 교육의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시간을 들여 자기 자신을 능동적으로 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보다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대학생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성찰적 사유가 지닌 의미와 가치를 음미해볼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한다는 점과 나아가 정체성이란 것은 지배이데올로기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타인과의 상호 교섭을 통해 언제까지나 적극적으로 구현해나갈 수 있는 긍정의 과정임을 깨닫게 했다는 점에서 이 수업의 효과성이 입증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at looking up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which shall be carried out in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s in order to promote accomplishments in humanity capabilities of students and encouraging citizen moral consciousness. Specially, attentions were given to ‘Self-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to practice humanistic purposes. So, researcher tri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by focussing on actual case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directly in ‘Self-introspective writing’ at the essential cultural studies <Thought and Expression> of Dankook University. For doing so, this study judged that the class should be designed through sequential approaches called ‘Self-introspective writing after pre-introspection’ regarding self-introspective writing first. Therefore, this research made students cognize the importance of self-introspection by making them to write appreciations on a movie <GO> after showing the movie preferentially as the first practice, and then understand the meaning of otherness contained in the narration. Due to such cognizance, intentions of positively carrying out self-introspection in inner sides of students were created. After that, thinking way of self-introspection utilizing ‘Separating self-consistency with self-aspect’ having been suggested by Ricoeur was taught to students, and this study suggested to separate self-consistency with self-aspect after recalling own life as the second practice. This process gave helps for students to create self-expression intentions, and methods of writing relevant articles by which positive self-expression could be tried were guided accordingly. At that time, ‘conceptualization’ having been stated in the text 『Thought and Expression』 was suggested as the third practice, and dialectics as the course of integrating classified ‘self-consistency and self-aspect’ were executed, and then reached to its conceptualization as creative expressions. Based on results of the third practice, this study let empirical cases which could materialize the results be added, and students worry about vividtransferring methods, and then submit assignments by completing selfintrospective writing in person after giving this as an assignment which was reflected to school records. Through teaching feedback having been made in each times and three-times practices, students could be reached to the stage of completing one self-introspective writing. This process has a meaning in that it made students execute narrative experiences by which they practically grouped understanding on us and comprehension further as well as understanding on their own. In addition, a fact could be judged that self-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enables students having been accustomed to learning by rote in middle & high school educations for the time being to positively look back oneself by taking time, and thus it would be helpful in growing up as more positive, autonomous college students. Furthermore, effectiveness of this class is proved in that it presents opportunities of being able to savor meaning and value kept in self-introspective thoughts, and makes students recognize a fact that identity belongs to positive process which could rather implement positively at any time through mutual negotiating with others in stead of being regulated by the governing ideology.

      • KCI등재

        자기성찰을 중심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최민순,박은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자기성찰을 중심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심리적 안녕감에 도움을 주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참가자의 자기성찰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각각의 변화는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자기성찰 프로그램은 총 15회기로 구성하였으며, 매주 1회로 2016년 5월 27일부터 2016년 9월 9일까지 진행되었 다. 연구대상은 인터넷 홍보를 통해 모집한 자발적인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각각 10명씩 무선 배정 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성찰 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에서 집단 간 동질성 검정을 위해서는 맨 휘트니 U 검정 (Mann-Whiteny U test)을, 자기성찰과 심리적 안녕감의 사전 사후 결과 비교를 위해서는 윌콕슨 순위 부호 검정(Wilcoxon’s singed rank test)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자기성찰, 심리적 안녕감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인 반면 통제집단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 자기성찰을 중심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기성찰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기여했다고 보았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과정 중에 나타난 자기성찰과 심리적 안녕감의 변 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참여자들의 보고를 질적으로 분석,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group art therapy adopting self-reflection helps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group therapy consisted of 15 sessions focusing on their self-reflection.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once a week from May, 27 to September, 9, 2016. Participants voluntarily applied for the program in the Internet PR. They were arranged into 2 groups(10 people in each group) at random. One group is experiment and the other is the control group. Mann-Whitney U test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of pre-test scores, the comparison of self-reflection scal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s. For the post-test scores comparison, Wilcoxon's singed rank test was used. The participants' reports were also qualitatively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what changes they experienced in terms of self-refle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uring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self-refle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tributed to improving self-refle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articipants.

      • KCI등재

        어머니의 자기성찰,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이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미치는 영향: 다중매개효과 검증

        오지현 ( Oh Ji Hyun ),김지윤 ( Kim Ji You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7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어머니의 자기성찰이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A시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 288쌍이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어머니의 자기성찰척도(An & Oh, 2013),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척도(Oh, 2013), 아동의 자기성찰지능 척도(Kwon, 2008),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 척도(Won, 2015)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자기성찰 수준은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감정코칭 반응은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과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 또한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자기성찰 수준은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을 통해서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자기성찰수준은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을 매개로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이 중요한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기성찰수준과 감정코칭 반응,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이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후기 아동기의 정서조절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요인과 아동의 요인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path mediated effects of mother’s self reflection to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emotion coaching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children (from grades 5-6) and their mother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the mother’s self reflection scale(An & Oh, 2013), the emotion-coaching scale(Oh, 2013), the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scale(Kwon, 2008) and the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scale(Won, 2015).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self reflection level had a direct influence on levels of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Mother’s emotional coaching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respective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Second, mother’s self reflection level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emotion coaching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emotion coaching reactions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were importance mediators. Our results suggests that there are distinct pathways from a mother’s self reflection level to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the mother’s emotion coaching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 consolidated understanding of how mother and child have an influence on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within late childhood.

      • KCI등재

        상담자 자기성찰(Self-Reflection)에 대한 고찰

        황주연,정남운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2

        본 연구는 상담자의 전문적 발달과 개인적 성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성찰이 상담분야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최근 상담자의 자기성찰에 관한 연구들이 행해지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자기성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낼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행해진 자기성찰의 정의와 상담자 자기성찰과 관련된 연구들을 정리해 보았다. 상담자 자기성찰과 관련된 연구들로는 상담자 자기성찰에 관한 이론 연구들, 상담자의 자기성찰 경험을 직․간접적으로 볼 수 있는 연구들(상담자의 상담 및 수퍼비전 받은 경험, 상담자 자기대화, 상담자 사적 자의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상담자들의 자기성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상담자들이 자기성찰을 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자기성찰을 해 나갈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상담자 자기성찰과 관련된 연구들과 상담자 교육에서 자기성찰 함양을 위해 행해져야 할 영역들에 대해 제안했다. This study has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self-reflection had not been addressed sufficiently in the counseling area although it has an important effect o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ndividual maturity of the counselors. Recent researches on self-reflection, which are at the beginning stage has brought up the needs of study on factors that influence self-reflection. Thus this research review on the definitions of self-reflection and the researches of counselor's self-reflection. Those researches include the review reaearches, counselor's counseling and supervision experience, self-talk, private self-consciousness. Lastly, this research makes a few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on counselor’s self-reflection and the education for counselors.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 및 전문성발달의 경향 및 관계

        최상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8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by kindergarten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to determine how the kindergarten teachers’ intrapersonal intelligence was associated with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210 kindergarten teachers from Seoul, Gyeonggi and Incheon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differences in intrapersonal intelligence by variables are as follows: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general, self-understanding, self-control and utilizing and self-planning differed significantly by both career and education level.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general and each of its sub-factors differed significantly by institution type. Second, the differenc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by variables are as follow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eneral and each of its sub-factors differed significantly by care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eneral and knowledge and skill development and ecological development among its sub-factors differed significantly by education level and institution type. Third, a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general and each of its sub-factors and amo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eneral and each of its sub-factors.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general of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eneral. This study aimed to give a better understanding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of drawing up plans to improve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발달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발달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발달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성찰지능은 경력 및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자기성찰지능 전체와 하위요소 중 자기이해, 자기조절 및 정서활용, 자기설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자기성찰지능 전체와 모든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발달 수준은 경력에 따라서는 전문성발달 전체와 모든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정도 및 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전문성발달 전체와 하위요소 중 지식과 기술 발달, 생태적 발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발달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 전체 및 모든 하위요소와 전문성발달 전체와 모든 하위요소 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자기성찰지능 및 전문성발달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의 중요성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자기성찰적 글쓰기 연구의 현황과 과제

        고혜원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2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f ‘self-reflection writing’ among the types of writing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educational meaning and future tasks of ‘self-reflection writing’.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university's writing curriculum after mid-to-late 2000, “self-reflection writing” began to attract attention as a major process, and various achievements such as the meaning and utility of introspective writing, methodology of writing using various media, systematic and practical curriculum development, autobiography and self-introduction writing, and evaluation methods were accumulated. In order to examine the trend of these discussions, 63 academic papers written from 2000 to August 2022 were analyzed, and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irst, it is a case study that proposed a theoretical review of macroscopic discourse such as the meaning and effectiveness of introspective writing, value and status, and second, a specific writing education methodology through lecture cases, and curriculum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글쓰기 유형 중에서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연구 동향을 고찰하여 ‘자기성찰적 글쓰기’가 지니는 교육적 의미와 향후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자기성찰적 글쓰기’는 ‘자기표현 글쓰기’ 혹은 ‘자기 서사 글쓰기’ 혹은 ‘자기 고백 글쓰기’ 등 다양한 용어로 명명되는데 본 논의에서는 나와 타자 및 세계에 대한 ‘성찰과 탐색’의 의미가 잘 드러나는 ‘자기성찰적 글쓰기’라는 용어로 통일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2000년 중후반 이후 대학 글쓰기 교과 과정 개편에서 ‘자기성찰적 글쓰기’는 주요한 과정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물로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의미와 효용성, 다양한 매개체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교과 과정 개발, 자서전과 자기소개서 쓰기, 인접의 분야로의 적용과 연계, 평가 방법 등 다양한 업적이 축적되었다. 이러한 논의의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2000년부터 2022년 8월에 작성된 학술논문 중 ‘성찰적 글쓰기’, ‘자기표현 글쓰기’, ‘자기 서사 글쓰기’라는 키워드로 검색된 총 63편을 분석하였고,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의미와 효용성, 가치와 위상 등과 같은 거시적 담론을 다룬 이론적 검토, 둘째, 강의 사례를 통한 구체적인 글쓰기 교육 방법론, 교과 과정 개발 등을 제안한 사례 연구이다. 이론적 연구는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인문 교양으로서의 교육적 함의, 글쓰기 장르로서의 비판적 고찰, 성찰적 글쓰기의 방향성과 교육 방법론, 교육 현황 분석 등 사례 연구에 비해 편수는 적지만 이러한 연구는 현장에서 진행되는 성찰적 글쓰기 교육 패러다임을 발전·변화시키는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 강의 사례 연구는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필요성 및 효용성을 증명하고 발전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귀결되고 있다. 구체적 양상을 보면 성찰적 글쓰기의 주제 관련 논의, 이론의 적용과 사례 분석 관련 논의, 효과적인 합평과 피드백 관련 논의, 성찰의 과정에 다다르기 위한 매개체로 영화와 소설을 활용한 논의, 마지막으로 성찰적 글쓰기의 효과를 양적・질적으로 심층적으로 다룬 논의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자기성찰적 글쓰기’ 연구의 추이와 주제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코칭 과정에서 전문코치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연구

        노경,유기웅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18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코치들이 코칭 과정에서 경험한 자기성찰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은 2018년 4월 중순부터 한 달간 전문코치 5명을 선정하여 2시간에 걸쳐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결과는 코칭에 대한 자각, 자기 내면에 대한 이해의 시작: 터닝 포인트, 자기성찰 이해 통한 변화: 자기 철학의 형성, 전문코치로서 자기성찰: 티핑 포인트 이라는 범주를 도출하였다. 자기성찰 경험은 코칭 고객에 대해 관찰자적 자아의 현상을 찾았고 이러한 확장된 현상의 반복과 순환은 결국 자기 자신의 변화를 확인하며 전문코치로서 철학을 완성해 나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현상 기저에는 코칭 고객에 대해 전문코치의 사랑과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전문성을 갖춰야 하는 것을 통찰하였다. 자기성찰 경험의 본질을 코칭 고객과 코칭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전문성 제고로 직관하게 되었다.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에 대한 자각의 형성과정과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코치가 자기성찰을 경험하는 선순환적 과정은 크게 두 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전문코치의 자기성찰에 따른 자신의 티핑 포인트는 크게 두 축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rofessional coach’s self-reflection experience in coaching process. This study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data gathering was conducted in middle of April, 2018, and it took one month to select five professional coache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 for two hour.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explored the major categories of awareness to coaching, starting to understand inner self: turning point, changing through understanding of self-reflection: formation of self-philosophy, and self-reflection as professional coaches: tipping point. At the base of this phenomenon, the study gained an insight about the professional coach, that they should have professional idea on their mind, which means the coaches should love their coaching clients and always wish them do well. As a result, the researcher was intuitively able to be aware of the nature of self-reflection experience as enhancing the expertise, including both coaching clients and coaching progress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ormation process and awareness of recognition about coaching.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virtuous cycle, which a professional coach experiences the self-reflection, is composed of two axes. Third,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tipping point of the professional coach according to self-reflection is composed of two axes.

      • KCI등재

        비평을 활용한 자기성찰적 글쓰기 수업 운영 방안

        차성연(Cha Seongyeon)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3

        본고는 자기성찰적 글쓰기 교육이 자기표현, 치유, 자기서사 글쓰기의 한계에서 벗어나 ‘나-타자-세계’를 연결하는 사유로서의 성찰을 수행해야 한다고 보고, 이를 위해 ‘비평을 활용한 자기성찰적 글쓰기 수업 모형’을 제시해보았다. ‘포스트잇 글쓰기’라 이름 지은 수업의 구체적 운영 방안 및 교육적 효과를 단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 공통의 텍스트를 함께 읽고 비평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나/타자’에 대한 해석적 개입으로서의 비평, ‘나-타자-세계’를 연결하는 사유로서의 성찰의 의미에 대해 고민하고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다. 두 번째 단계, 수업 구성원과 ‘말하기/듣기’ 활동을 함으로써 다음 단계에서 쓸 비평문의 비평 대상을 탐색한다. ‘내가 사랑하는/싫어하는 것들’의 목록을 말하고 들음으로써 서로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이지만 ‘나’의 경험이 자기서사의 완결성으로 수렴되는 결과를 피하기 위해 간단하게 포스트잇에 기록하고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세 번째 단계, 앞의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여 비평문을 쓴다. ‘내가 사랑하는/싫어하는 것’에 대한 자기서사가 아니라 비평문을 씀으로써, 비평의 대상과 ‘나’를 연결하는 ‘보편적 속성’에 대한 성찰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네 번째 단계, 비평문 발표와 합평을 진행한다. 발표와 합평이 자기고백의 시간이 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비평문에 나타난 ‘보편적 속성(universal attribute)’ 위주로 평가하고, 발표에서 음악이나 영상 등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흥미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발표를 듣고 관련 경험이 떠오른 학우는 포스트잇에 그 내용을 적어 발표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서로의 경험을 나눌 수 있다. 다섯 번째 단계, 학우들이 전해준 포스트잇에 적힌 경험들 중 하나, 혹은 몇 가지를 소재로 사회(문화)비평문을 쓴다. ‘타자로서의 나’의 경험도 쓸 수 있다. ‘나’와 타자의 경험이 원인 혹은 결과가 되는 사회문화적 현상들을 분석함으로써 ‘나-타자-세계’의 연결에 대해 성찰할 수 있다. 이러한 수업 모형은 필자의 시험적 수업 운영을 거쳐 시론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아직 그 교육적 효과가 실증적으로 확인되지는 못했지만,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교육적 가치 실현이 절실한 시점에서 구체적 수업 운영 방안이 포함된 방법론의 모색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본다. 이에 ‘포스트잇 글쓰기’를 아이디어로 하여 ‘비평을 활용한 자기성찰 글쓰기’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 활용함으로써 실증적인 효과 확인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This article deems that self-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must perform introspection as thoughts linking selfhood and the other escaping from the limit of self-expression, healing, self-narrative writing and proposed a class model for that. The concrete operation device and educational effects of the class named ‘Post-it writing’ can be summarized by step as follows. First, by reading together common texts and experiencing critical activities, take the time of agonizing over and sharing criticism as interpretative intervention with "self/others" and a meaning of introspection as thoughts of linking "self/others". Second, by doing activities for "Speaking/listening" together with classmates, search the subject of criticism of a critique to be written in the next step. Though it is the time of understanding each other by speaking and listening to the list of the things that "I love", it must proceed in a way that it is simply recorded in post-it in order to avoid the result that my experience reaches the completion of self-narrative. Third, write a critique by selecting one of the above-mentioned list. By writing a critique not self-narrative of what "I love/dislike", ensure that introspection of universal attributes of linking the subject of a critique to "I" can be materialized. Fourth, proceed with publication and joint review of a critique.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that publication and joint review may be the time for self-confession, ensure that they can proceed interestingly by making evaluation indicated in a critique and utilizing various audio- visual materials such as music and video in presentation. Also, if a classmate recalls related experiences after hearing contents of presentation, it is possible to share experiences of each other by writing them in post-it and communicating them to the presenter. Fifth, Write social(cultural) critique with one of several of experiences written in post-it as materials. It is possible to write the experience of "I as other". By analyzing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that experiences of "I" and others can be causes or results, it is possible to introspect relation among "I-others-world". Such a class model, which was proposed as a trial through experimental class operation of the author, was not confirmed in its empirical educational effect, but it is considered essential to search methodology including concrete class operation methods at the present time when education value realization of self-introspective writing is urgently needed.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confirm empirical effects by proposing and utilizing a device for self-introspective writing class with "post-it writing" as idea.

      • KCI등재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척도(SRS) 개발 및 타당화

        이연수 ( Youn Soo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척도(SRS)를 개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와 기존도구의 고찰을 통하여 자기성찰의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철학·윤리·도덕적 관점에서 초등도덕교과 영역과 관련하여 박세원(2009)의 성찰을 중심으로 5개 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5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총 149문항의 예비척도를 구성하였고, 경상북도 Y초등학교 6학년 219명(남: 109명, 여: 110명)으로부터 얻는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 추출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스크리 도표의 고유값 하락률과 고유치(eigenvalue) 3 이상을 기준으로 5개 요인이 추출 되었으며, 요인수를 5개로 고정하여 VARIMAX 방식으로 요인분석을 하였다. 요인1은 요인부하량이 .680~.424에 이르며 변량의 12.223%를 설명하였고 28문항이 추출되었다. 요인2는 요인부하량이 .714~.465에 이르며 변량의 10.674%를 설명하였고 21문항이 추출되었다. 요인3은 요인부하량이 .788~.429에 이르며 변량의 10.432%를 설명하였고 19문항이 추출되었다. 요인4는 요인부하량이 .677~.442에 이르며 변량의 9.465%를 설명하였고 26문항이 추출되었다. 요인5는 요인부하량이 .765~.300에 이르며 변량의 7.228%를 설명하였고 18문항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근거로 요인별 문항내용을 검토하여 요인1은 ``대화적 성찰``, 요인2는 ``반성적 성찰``, 요인3은 ``공감적 성찰``, 요인4는 ``실존적 성찰``, 요인5는 ``탐구적 성찰``로 명명하였다.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Normed χ2 값이 1.985, GFI = .941, SRMR= .036, AGFI = .937, CFI = .928, RMSEA = .047로 나타나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 검증에서 척도 전체의 Cronbach의 α계수는 .975이고, 5개 요인의 신뢰도는 .958~.865이었다. 개발한 척도의 구인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성찰 척도의 요인 간 상관과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를 중심으로 검증한 결과, 각 요인 간 상간은 .692~.376, 각 요인과 척도 전체와 상관은 .828~.721로 p < .01 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성찰 척도와 자기성찰지능 척도의 상관계수는 .500, 개인이해지능 척도와의 상관계수는 .389로 p <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공격성 척도와의 상관계수는 -.397로 p <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척도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로 확인되었다. 척도 활용의 편리를 위하여 요인 별 10문항, 총 50문항의 간편-자기성찰 척도(SSRS)를 구성하였으며, 전체 신뢰도 계수는 .951, 하위요인 신뢰도 계수는 .930~.864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Reflection Scale(SRS) for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made up of 8 steps. The first step was to investigate the related researches and theories in the conception of self-reflection. The second step was to construct the operational conception of self-reflection into 5 factors. The third step was to develop 160 items related to self-reflection. As the fourth step,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8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dified the above 160 items into 156 items. 156 items were revised by five 6th grade students. The fifth step was to determine a preliminary scale consisted of 149 items. As the sixth step, a preliminary scale was tested from 219 6th grade students. As seventh step, the data collected from 219 samples were analyzed to identify sub-factors. 112 items were extracted and 5 sub-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s: examinative reflection, existential reflection, dialogical reflection, empathetic reflection, inquiritivel reflection. To examine the stability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112-item measurement model,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a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conducted in AMOS 7.0, and 5 factors were identified. The fit indices for the 112-item 5-factor model were as follows: χ2(df=269, N=219) =1753.37, p=.000; Normed χ2 = 1.985; AGFI = .937; CFI = .928; GFI = .941; RMSEA = .047(at 90% confidence intervals, .043-.057); SRMR= .036. To examine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s of 291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975), split-half reliability(r= .856). To examine the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s of 291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 showed that self-reflection scale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rapersonal intelligence assessment scale(r= .500) and negatively related to aggression scale(r= -.397). As the eighth step, SRS was developed and 112 items were determined. In conclusion, this instrument demonstrat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measurement of a self-reflection for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KCI등재

        자기성찰과 정신건강 간의 경로 및 간접효과유의성 모델탐색

        임세라,이희정,김선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8

        본 연구는 자기성찰과 정신건강 간의 마음챙김 다요인 및 마음챙김 자기효능감의 경로모델 및 간접효과 유의성모델 검증을 위한 측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서울과 경기도의 성인남녀 170명의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6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성찰, 마음챙김 다요인과 마음챙김 자기효능감을 사용하였고, 정신건강측정을 위해서는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M-Plus 6.12이다. 자기성찰이 정신건강에 이르는 영향에서 마음챙김다요인과 마음챙김자기효능감의 경로모형과 간접효과유의성 검증을 위해 브스트래핑을 활용한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자기성찰과 정신건강사이의 마음챙김 다요인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0.136, CI[-0.207~-0.081]). 그리고 자기성찰과 정신건강사이의 마음챙김 자기효능감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0.125, CI[0.014~0.321]). 이에 자기성찰이 마음챙김 다요인과 마음챙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하여 정신건강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자아성찰이 마음챙김다요인과 마음챙김자기효능감을 거쳐 정신건강에 이르는 경로가 검증됨이 확인되었다. 이에 후속연구를 위한 제한점과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