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중독성향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 자기효능감, 완벽주의 그리고 조직몰입 및 직무소진과 일중독성향의 상관성

        정인호,이은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연구 Vol.28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ntecedent and outcome variables, which can influence workaholism dispos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aholism disposition and its antecedent variables which are set up as self-efficacy, perfectionism. It also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outcome variables of workaholism, namel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burnout which are considered a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 of an organization respectively. By analysing the data collected from 392 employees in knowledge based service workers, the present study obtains the findings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obsessive-compulsive workaholism, whereas self-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achievement-oriented workaholism. Second, perfectionism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workaholism disposition. Especially, perfectionism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obsessive-compulsive workaholism. Finally, workaholism disposition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burnou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일중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대해 연구하였다. 일중독의 선행변수로서 자기효능감과 완벽주의를 채택하여 일중독과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일중독의 결과변수로서 조직의 긍정적 측면인 조직몰입과 부정적 측면인 직무소진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392명의 지식기반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강박적 일중독에는 유의한 부(-)의 관계, 성취지향적일중독에는 유의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는 일중독성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완벽주의는 강박적 일중독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일중독성향은 결과변수인 조직몰입 및 직무소진에 모두 정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일중독성향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직무소진이 함께 증가할 수 한다는 의미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일중독 프로파일별 영향요인 검증

        서은혜(SEO, Eunhye),정연우(JEONG, Yeonwoo),박성민(PARK, Sung Min) 한국경영학회 2018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8

        외환위기 이후, 사회 전반에 만연한 경쟁으로 근로자들의 노동시간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풍조 속에서 일중독에 빠지는 근로자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일중독은 개인의 삶의 질의 저하뿐만 아니라 직무성과·조직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리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근로자의 일중독은 개인적 성향과 조직 또는 환경의 상황뿐만 아니라 사회적·제도적 맥락에 따라 발생하는 복합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즉, 개인이 이러한 맥락 속에서 느끼는 인식의 차이가 곧 일중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이 실시한 한국노동패널조사의 17차, 18차 개인 및 부가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개인적 차원의 성격 특성, 환경적 차원의 개인의 대인관계 만족도, 그리고 사회적·제도적 맥락 차원의 고용불안정성이 일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일중독을 유형화 하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동시에 살펴봄으로써 한국에서 일중독이 발생하는 환경 또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차별적 진단과 차별적 처방’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중독의 선행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함으로써 개인의 일중독에 대한 조직 및 국가 차원의 해결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특히, 프로파일에 분석 결과를 통해, 개인의 일중독을 진단하고 관리함에 있어 우선순위를 정하여 관리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일중독 현상과 일중독의 유형이 어떠한 맥락에 따라 발생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함에 따라 일중독 현상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개인, 환경, 사회․제도적 맥락 간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일중독 연구의 정교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일중독에 대한 인사관리의 방향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중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곽선화(Kwag, Sean Hwa),김왕의(Kim, Wang Eui)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4

        국내·외 기업 간 경쟁의 심화로 인해 근로시간이 증가하면서 일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일중독은 일몰입, 일에 대한 강박관념, 일향유감으로 구성된 개념으로, 일중독자일수록 직무성과뿐 아니라 개인의 건강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일중독은 성취지향성이 높은 개인 의한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일중독이 가진 부정적·긍정적 효과를 함께 연구할 필요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일중독 자체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으며 대부분이 일중독의 부정적 효과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일중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개인적 조직적 차원의 관리방안을 제 시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 대기업과 100 억 이상 매출을 가진 중소기업 종사자 218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에 대한 강박관념과 일향유감이 높아질수록 직무민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향유감이 높아질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일중독이 부정적 결과만을 유발한다는 것과 달리 긍정적 측면도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 둘째, 일중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조직적 차원에서 관리기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중독 경향이 강한 구성원이라도 조직의 사회적 지원이 있는 경우 직무만족은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는 감소시켜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지원은 상황요소를 고려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중독과 직무성과간 부정적 관계는 개인적 차원에서도 관리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재론자는 외재론자에 비해 일중독 정도가 높게 니티났다. 그러나 외재론자라 하더라도 일중독의 하위요소 중 일향유감이 높은 경우, 직무에 대한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에서 내재론자에 대한 일중독 관리가 더 필요하며, 나아가 외재론자하더라도 일향유감을 만끽할 수 있도록 일관리를 한다면 성취지향적 업무수행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To deal with growing competitivenes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enterprises, many enterprises restructured their business forms and introduced annual salary systems. Thus, these changes will cause long working hours which increases possibilities of workaholism. Although many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this field, few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Korean business studies. Most previous literature only explored the negative effects in workaholism and few strategies were designed to make strategies in reducing negative efforts from a social and a organizational perspective. He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aholism and job performance, and provides the strategies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to enterprise managers. 218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sed by SPSS 18.0.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support positively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of labour, and negatively influences turnover intention. And only locus of control moderates the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group with lower working time, the group with higher working time showed more workaholism, and individuals who are under internal locus of control revealed more workaholism than those who are under external locus of control.

      • KCI등재

        일중독이 개인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

        한광현(Kwang-Hyun Han) 한국인사관리학회 200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0 No.1

        본 논문은 먼저 일중독 개념의 체계화를 시도하였고, 일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일중 독자들의 성향과 일중독 결과와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일중독자들의 성향은 강박적 및 성취지향적 성향으로 구분하였다. 일중독자들은 모두 지나칠 정도로 과도하게 일을 하고, 일이 자신의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하지만 강박적 성향이 강한 일중독자들은 일을 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불안에서 벗어나기 위해일을 찾지만, 성취지향적 성향이 강한 일중독자들의 경우 일을 통해 만족과 성취를 얻고자 일을 찾는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일중독자들의 성향과 그 결과들을 중심으로 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강박적 성향이 높은 일중독자들은 심리적 긴장, 생리적 증상, 이직의향, 조직시민행동은 증가하는 반면에 우호적 대인관계는 감소하였다. 성취지향적 성향이 높은 일중독자들은 심리적 긴장과 생리적증세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호적 대인관계 및 자기 효능감은 증가, 이직의 향은 감소, 정서적 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성취지향적 성향이 높은 일중독자들은 개인 및 조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d traits of workaholism and also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the workaholics and outcomes. All of workaholics spend a great deal of time in work activities and they think about work as the most important portion in their life. But there is some difference of meaning in accordance with disposition of workaholics. The workaholic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position overwork themselves to avoid the feel of anxious when they are not work, but the workaholics with achievement-oriented disposition frequently and persistently work to obtain the feel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rom their work-itself.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orkaholics had specific traits in comparison with non-workaholics. Workaholics had high psychological strain, high physiological symptom, and also had high intention of quit, low satisfaction, unfriendly personal relations in contrast to non-workaholics. Second, the workaholic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position was increased psychological strain, physiological symptom, intention of quit,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but it was diminished friendly personal relations. The workaholics with achievement-oriented disposition showed the low psychological strain and physiological symptom that it was not accordance with hypothesis. And the workaholics revealed outcomes that it was increased self-efficacy, emotional involvement,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and decreased intention of qu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workaholics with achievement-oriented disposition shows positive outcomes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 KCI등재

        행동중독 준거 기반 한국형 일중독 척도(Korean Work Addiction Scale: K-WAS)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차운아(Oona Cha),이화령(Hwaryung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23 인사조직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일중독을 행동중독의 일종으로 개념화하고 Griffiths(2005)가 제안한 행동중독 준거 6요인으로 구성된 한국형 일중독 척도(Korean Work Addiction Scale: K-WAS)의 개발·타당화를 목표로 하였다. 특히 행동중독 모형에 부합하는 요인별 다문항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일중독을 행동중독 연구의 틀에 안착시킴으로써 향후 일중독과 과로, 장시간 노동으로 인한 문제와 부작용 해소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문항 개발에는 크게 두 가지의 원천, 즉 (1) 7종의 대표적인 기존 일중독 척도와 (2) 임금근로자 및 자영업자 대상 심층 면접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한 경험 수집을 활용하였으며, 행동중독 준거를 이용한 연역적 접근과 함께 경험 수집을 통한 귀납적 접근을 적용하여 해외에서 개발된 척도들이 포착하지 못한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일중독 특성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행동중독 6가지 준거, 즉 현저성, 기분조절, 내성, 갈등, 금단, 재발의 6요인에 대응되는 총 18문항의 K-WAS 척도를 제안하였다. 분석을 통해 6요인을 포함하는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이 좋은 적합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K-WAS 점수는 일에 대한 몰입을 나타내는 직무열의와 더불어 과도한 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나타내는 번아웃, 직무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대체로 직무번영감,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의 경험과는 약하거나 유의하지 않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중독의 이러한 특성은 번아웃이나 직무소진, 직무열의와 구분되는 특성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 변수와 K-WAS 하위 요인 점수별 상관은 일중독의 양가적 속성을 부각한다. 본 연구는 일중독 연구 및 척도에 대한 비판적 개관을 통해 기존 일중독 개념화와 측정도구의 문제를 지적하고, 일중독의 행동중독 개념화가 일중독 개념을 명세화하고 관련 연구를 통합하는 데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논의한다. Conceptualizing work addiction as a form of behavioral addiction,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Work Addiction Scale or K-WAS based on Griffiths’ (2005) behavioral addiction criteria, i.e., salience, mood modification, tolerance, conflict, withdrawal, and relapse. The preliminary items for K-WAS were developed based on two main sources: (1) data from seven existing workaholism or work addiction scales (WorkBat, WorkBat-B&P, WorkBat-Han, WART, DUWAS, BWAS, and WAQ) and (2)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surveys from Korean workers (employees and self-employed) on their experiences with and related to work addiction. An 18-item K-WAS was derived as a result and analyses showed that the proposed hierarchical secondary factor model with six sub-factors has a good fit. In addition, K-WAS was found to have low to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s with work engagement and burnout but weak or non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riving at work, job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positive affect, demonstrating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extensive workaholism and work addiction studies and scale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developing work addiction items and discusses the usefulness of applying the behavioral addiction framework in work addiction studies—i.e., how it can help refine the work addiction concept and its subdimensions and integrate relevant research.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행동중독으로서의 일중독과 성차

        차운아(Oona Cha) 한국인사관리학회 202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6 No.4

        본 연구는 일중독을 행동중독의 일종으로 정의하고 행동중독 요소 중 일중독의 현저성과 금단에 주목하여 일중독에서의 성차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일중독 현저성과 금단이 사적관계손상을통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이르는 경로 모형을 확인한 후 이에 대한 다집단분석을 수행하여 (1) 일중독의 현저성과 금단 관련 성향에 있어서 남녀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2) 일중독이 사적관계손상을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남녀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 중 임금 상용직 근로자의 17차(2014년) 부가조사자료의 일중독 척도와 18차(2015년) 개인용 설문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일중독 척도 점수에서의남녀 집단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잠재평균분석을, 일중독 매개모형에서 남녀 집단 간 경로계수에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성별 집단에 대한 경로계수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평균분석 결과 유의한 집단 간 차이는 일중독 현저성에서만 발견되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효과크기는 크지 않았다. 나머지 변수들, 즉 일중독 금단, 사적관계손상, 직무만족, 조직몰입에서의 남녀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않았다. 둘째, 남녀 집단 간 경로 계수 비교 분석 결과 일중독 중 금단이 사적관계손상에 이르는 경로에서 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금단 증상 정도가 높을수록 사적관계손상을 더 심하게 경험하였는데 이러한 관계는 특히 여성에서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일중독 연구에서의 성차 연구 방향,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차례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potential gender group differences regarding work addiction, especially conceptualizing workaholism as a behavioral addiction. Focusing on the two components of behavioral addiction, i.e., salience and withdrawal, the study used a model to examine whether two components of work addiction could predic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personal relationship impairment and examined potential gender differences regarding work addiction. Using the multi-group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nalyses on gender differences were implemented in two directions: First, gender group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two components of workaholism were examined using latent mean analysis; second,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hs of the mediation model were examined using the test of the structural model invariance across the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group difference in salience, but not in withdrawal; salience was higher for men than women but the effect was relatively small. Second,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ath between withdrawal and personal relationship impairment. Specifically, withdrawal significantly increased personal relationship impairment in both men and women; however, the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stronger for women.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on gender in work addiction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한국 직장인의 일중독 유형에 따른 자존감과 심리적 소진의 차이

        곽주현,최한나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Korean workers by 3 sub-factors of workaholism such as work involvement, inner drive to work, and enjoyment of work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and burnout among the subgroups. For the study, 322 workers (male 154, female 147)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subjected to the survey. Samples were categorized into 6 groups as enthusiastic addicts(23.3%), work addicts(18.9%), work enthusiasts(13.0%), reluctant hard worker(12.3%), alienated professional(21.3%), unengaged worker(11.3%) by two-step cluster analysis, and among these, enthusiastic addicts, work addicts, and work enthusiasts were categorized as workaholism. In sequence, as a result of assessment whether there is difference of self-esteem and burnout among the subgroups, enthusiastic addicts and work addicts showed low score in self-esteem, and high score in all other sub-factors of burnout. Whereas work enthusiasts showed the highest score in self-esteem, and low score in burnout,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enthusiastic addicts and work addicts. These result suggest there's difference among subgroups even though these three subgroups are categorized as same workaholism, and individual approach is required for each subgroup type. It is expected this result can be a practical help for adult counseling and workplace counseling. 본 연구는 일중독의 세 가지 하위 차원인 일관여, 일강박, 일즐거움에 따라 한국 직장인의 유형을 확인하고 집단 간 자존감과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직장인 322명을 대상(남자 154명, 여자 147명)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먼저,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성취적 일중독자(23.3%), 강박적 일중독자(18.9%), 열정적 일중독자(13.0%), 타의적 일성실자(12.3%), 거리감 있는 전문가(21.3%), 비참여적 직장인(11.3%)의 여섯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중 성취적 일중독자, 강박적 일중독자, 열정적 일중독자의 세 가지 유형이 일중독자로 분류되었다. 그 다음, 각 집단이 자존감과 심리적 소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성취적 일중독자 유형과 강박적 일중독자 유형은 자존감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고 심리적 소진의 모든 하위 차원에서도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반면, 열정적 일중독자 유형은 모든 유형 중 자존감이 가장 높았고 심리적 소진에서도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성취적 일중독자, 강박적 일중독자 유형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일중독의 하위 유형을 선행연구와 비교하였으며, 유형에 따른 개입의 차별성 및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도서지역 호텔·리조트 종사원의 긍정심리자본이 일중독,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경열,이승일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3

        Until now, researches on workaholism have been focused on the study of workaholism results in spite of its various causes. In the study,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hotel and resort employees in island regions is tested on how it has an effect on work enjoyment and work obsession, and the tendency of workaholism experienced by hotel and resort employees while performing their assigned jobs is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workaholism affects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 empirical analysis in the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hotel and resort compani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hotel and resort employees located in the island area. A total of 30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4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enjoyment, and a sub-variable of workaholism, and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obsession. Second, work enjoyment, a sub-variable of workaholism, i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work obsess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Third, work enjoyment, a sub-variable of workaholism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ward individual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ward the organization,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inally, it is found that work obsession, a sub-variable of workaholic behavio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ward individuals, which is a sub-variable of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u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ward the organiza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e negative effects of workaholism are not identified, but only the positive effect is confirmed. The study, by verify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workaholism in industries with a high possibility of work addiction due to irregular working hours and overtime, such as domestic hotel and resort employees,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requirement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hotel and resort companies.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tangible implications. It is meaningful that the paper provides the implication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requirement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hotel and resort companies by verify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workaholism in the industries with a high possibility of work addiction due to irregular working hours and overtime such as in hotel and resort employees. 지금까지 일중독에 대한 연구는 일중독을 야기하는 다양한 원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중독의 결과에 대한 연구에 치중되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섬)지역 호텔·리조트 종사원의 긍정심리자본이 일 향유감과 일 강박관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호텔·리조트 종사원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직무를 수행하면서 겪게 되는 일중독 성향이 직무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호텔·리조트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필요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섬)지역에 위치한 호텔·리조트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총 307부를 배포하여 24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긍정심리자본은 일중독의 하위변수인 일 향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 강박관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중독의 하위변수인 일 향유감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 강박관념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중독의 하위변수인 일 향유감은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수인 개인에 대한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중독의 하위변수인 일 강박관념은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수인 개인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달리 일중독의 부정적 영향은 규명되지 않았고, 긍정적 영향만이 규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호텔·리조트 종사원들과 같이 불규칙한 근무시간 및 초과근무로 일중독의 가능성이 높은 산업에서 일중독에 따른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호텔·리조트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필요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직이 처한 사회문화적 맥락, 조직의 상황적 특성, 그리고 개인적 성향과 일중독 유형의 상관성

        대한경영학회 2011 大韓經營學會誌 Vol.24 No.5

        <P>&nbsp;&nbsp;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사회를 특정짓는 사회문화적 맥락과 조직이 처해있는 독특한 환경적 특성, 그리고 개인의 성향적 특성 등이 근로자들의 일중독을 유발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들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요인분석을 활용하여 먼저 이러한 요인들을 규명한 후 나아가 정준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이들과 일중독 간관련성을 확인하였다.</P><P>&nbsp;&nbsp;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문화적 맥락들 가운데 사회적 인정감 추구, 사회적 경쟁문화, 삶의 질 추구 등이 강박적 및 성취욕에 따른 일중독 모두와 연관되었다. 고용불안, 구조조정 위기감 등은 오직 강박적 일중독에만 관련성이 있었다. 둘째, 조직의 환경적 특성관련 변수들 가운데 사회적 지원 획득의 결핍, 조직 내부의 일 권장하는 분위기 등이 강박적 및 성취욕에 따른 일중독 모두와 관련이 있었다. 조직의 환경적 특성관련 변수들 가운데 성과주의 인사는 강박적 일중독에만 관련성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개인의 성향적 특성가운데 성실성, 정서적 불안정성, 친화성 등이 일중독 모두와 관련성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일중독의 경우 강박적 일중독이 성취욕 일중독보다는 독립변수들과 더욱 높은 관련성을 보이고 있었다.</P><P>&nbsp;&nbsp;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근로자들의 경우 일중독 유발조건을 지닌 조직의 상황적 맥락 및 조직의 환경적 특성에 대한 지각의 결과, 성취욕에 따른 일중독보다는 강박적 일중독 양상에 더욱 강하게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어가는 고용불안과 조직의 구조조정 확산에 대한 위기감, 그리고 조직에서 성과를 기반으로 하는 인적자원관리 정책의 시행 등이 근로자들의 강박적 일중독을 강하게 설명하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