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나영(Han Na Young),배상욱(Bae Sang Wook)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4

        자본 집약적 환경에서 지식 집약적 환경으로 전환하면서 많은 기업들은 무형의 자본에 막대한 규모의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인간관계 중심의 경제 네트워크인 사회적 자본은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조직의 무형 자본이 진정으로 경쟁우위의 원천이 되는 자원이라면 조직 내의 사회적 자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밝힐 필요가 있다. 기존의 연구 대부분이 조직의 보유자원이 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것에 관해서는 공통된 의견을 나타내고 있지만, 사회적 자본이 어떻게 성과로 연계되는지에 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이 성과로 연결되는 경로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이 어떻게 작용하는 지에 관한 운영 프로세스가 분명하게 밝혀져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 차원들인 구조적 차원(예; 유대강도), 인지적 차원(예; 공유된 가치 및 규범), 관계적 차원(예; 구성원들 간의 신뢰) 간의 인과적 관계와 조직 내 구성원들의 사회적 자본과 직무만족, 협력행동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중소 제조업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공변량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사회적 자본 중 구조적 차원이 관계적 차원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본 중 인지적 차원 역시 관계적 차원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차원, 인지적 차원, 관계적 차원 모두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직무만족은 협력 행동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적 자본 3가지 차원의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조직 내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행동인 협력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사회적 자본 형성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With a shift from a capital-intensive environment to a knowledge-intensive environment, many companies are making a huge investment on intangible capital, and social capital of an economic network based on human relationship is more and more emphasized. If the intangible capital of an organization is truly the dimension that becomes the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the performance of an organization. While most existing studies agree that the resources an organization owns influence its performance, there is a room left to discuss how social capital is connected to performance. Therefore, the operational process on how social capital works must be clarified clearly to perceive the path connecting social capital with performanc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wor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and carried out an empirical analysis through a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 Its purpose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tructural dimension(e.g. strength of bond), cognitive dimension(e.g. shared values and norms), the relational dimension(e.g. trust among members), which are social capital dimension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among the social capital, job satisfaction, and the cooperation behavior of members in an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first, structural dimension and cognitive dimension among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al dimension. Second, structural dimension, cognitive dimension, and relational dimension all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cooperation behavior. The study results could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3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and implied it wa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o draw cooperation behavior, namely a posi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 KCI등재

        국가이미지 분석차원으로 본 스포츠외교의 전략 탐색

        정선아,김범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0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suggested to figure out how to utilize Korea sport diplomacy policy through theoretical searching and approaching about national image dimension. Questing concept and element of national image, it investigated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imension by Kenneth Boulding. In order to focus on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case analysis which are based on category development model as a qualitative method. Based upon the result from strategies of Korea sport diplomacy in the field of three analytical dimension: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as well as can heighten level of brand value in cognitive dimension; reform national image and promote national reliance in affective dimension; make strategies for national image through ODA in behavioral dimension. In view of agenda for Korea sport diplomacy policy in 21 Century: it needs to be qualitative change for renovation of national image, based upon co-operation a member of a nation; it requires to be a practice of strategy for rethinking national image for a long-term; it will be considered to be a position of direction of mega-sports events for national image. 본 연구는 국가이미지 차원에 대한 이론적 규명과 접근을 통하여 한국스포츠외교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가이미지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탐색하기 위해 케니쓰 볼딩(Kenneth E. boulding)의 이론분석을 바탕으로 인지적(cognitive), 감성적(affective), 행동적(behavioral) 차원을 사례분석(case analysis)으로 하였다. 사례분석은 국가이미지 이론에 근거하여 실증적 사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것을 바탕으로 한국스포츠외교의 전략방안을 세우면, 첫째, 인지적 차원에서 한국은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스포츠 활동이나 메가스포츠이벤트 유치를 통하여 한국의 브랜드가치를 높여야한다. 둘째, 감성적 차원에서 한국은 국가이미지를 쇄신하고 국가신뢰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행동적 차원에서 공적개발원조사업을 통한 국가이미지전략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21세기 한국스포츠외교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첫째, 국민의 호응과 협조를 바탕을 한 국가이미지 개선을 위한 질적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의 구축과 실행이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국가이미지를 위한 국제스포츠이벤트의 방향정립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챗봇 서비스품질이 고객경험과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 ( Kim Soo Jeong ),박철 ( Park Cheol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1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3 No.1

        최근 기업들은 인공지능, VR, AR, 사물인터넷, 챗봇 등 새로운 IT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자사의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고객에게 독특하고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챗봇은 상담사를 대체하여 기업과 고객을 연결해주는 도구로써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IT기술의 발달로 딥러닝, 머신러닝 등을 통해 챗봇은 점점 더 정교화되고, 개인에게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 경험을 창출하고 있다. 많은 기업이 이미 챗봇 서비스를 도입했지만, 학계에서 챗봇 사용행동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이다. 특히 챗봇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고객경험이나 계속이용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챗봇 서비스 품질이 사용 고객의 인지적 경험, 감정적 경험, 관계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고객경험들이 챗봇의 재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실증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챗봇을 3번 이상 사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22, AMOS 20을 사용하여 통계적 처리를 하였으며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정 결과, 챗봇의 정확성, 상호작용성은 인지적 경험차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챗봇의 가시성 또한 인지적 경험차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챗봇 이모티콘의 적절성과 공감성은 감정적 경험차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챗봇의 공감성과 유사성은 관계적 경험 차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인지적 경험차원과 관계적 경험차원은 재사용의도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종합적인 결과를 통해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Chatbot is providing new experiences to customers as a tool to connect companies and customers by replacing counselors, but chatbot has not been actively studied in academia. In particular, research on chatbot's customer experience was extremely limi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organized a survey to demonstrate whether the cognitive, emotion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of chatbots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of reuse. The empirical study conducted a survey of customers who used chatbots more than three times. As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all hypotheses were supported and the model suitability was acceptable.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accuracy and interaction enhanced cognitive dimensions, and visibility also enhanced cognitive dimensions. The appropriateness and empathy of emoticons strengthened the emotional dimension, while empathy and similarity strengthened the human relationship dimension. Cognitive and relational dimensions increased the intention of reuse. Thus, the comprehensive results produc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발레교육의 내용으로서 "발레정신"의 개념과 구성요소

        최의창(Eui Chang Choi),홍애령(Ae Ryung Hong),김나이(Na Ye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9 No.3

        한국의 발레는 세계무대에 견주어도 손색없을 만큼 눈부신 성장을 거듭해왔다. 최근에는 대중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으며, 뛰어난 무대예술이자 문화예술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발레교육 현장에서는 발레무용수들이아름다운 외모와 체격을 지니고 기교에 매우 능숙해진 반면, 상대적으로 예술적 표현력과 창조적 상상력은 결여되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예술로서 발레를 행하기 위해서는 발레기능뿐만 아니라 발레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발레교육의 핵심적인 내용으로서 발레정신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탐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에 근거한 문헌분석, 예비조사, 심층면담, 개방형 설문을 활용하였다. 다수의 문헌 및 전문발레교육자들에 따르면, 첫째, 발레정신은 오랜 시간동안 발레를 체험하면서 습득하게 되는 내면적 측면으로, 발레의 핵심을 이루며 발레의 존재를 결정지어주는 가장 중요한 내적 가치이다. 둘째, 발레정신의 구성요소는 그 내용과 목적에 따라 신체적, 인지적, 감성적, 영성적 차원으로 구분된다. 신체적 차원은 자신의 신체를 인식하고, 포지션과 테크닉, 과학적, 해부학적 지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인지적 차원은 발레를 둘러싼 역사, 철학, 문화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감성적 차원은 발레동작과 음악에 대한 자신의 해석과 탐구를 바탕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영성적 차원은 발레를 통해 궁극적으로 성취해야 하는 이상향을 추구하고 이를 제대로 하기 위한 마음가짐이다. 마지막으로 발레정신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발레의 기능과 정신을 통합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몇 가지 실천과 연구를 제언한다. Ballet education is gaining much attention due to the rising number of exported ballerinas to the global stage. This affirms the level of ballet education in Korea to be highly developed. However, current teaching methods in ballet education is heavily reliant on technique and ballet educators express their concerns. For such trained ballerinas are only prone to develop a beautiful physical appearance and good technique but lack in artistic and creative imagination. Therefore, technique-centered teaching is under pen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refore to identify the other (spiritual) dimension and clarify its components that make ballet education whole. This research implement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the analysed literature and interview, the spiritual dimension of ballet can be seen as an internal characteristic which acquires naturally through the many years of education in ballet. The study found that the spiritual dimension of ballet consists of four dimension;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and spiritual dimension. ``Physical dimension`` is related to the technique and the physical, anatomical knowledge to movement contained. ``Cognitive dimension`` is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philosophy, culture and other art forms that surround ballet. ``Emotional dimension`` is related to a dancer`s expression of interpreted feelings through movement and music. And lastly ``Spiritual dimension`` is related to ``enlightenment`` that a dancer could achieve. This study is at an early stage of a three-year study on teaching the spirit of ballet. An inquiry into the pedagogical methods and programs for effective teaching on the spirit of ballet and its four dimensions will follow.

      • KCI등재

        유학생의 사회적 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주영,안귀여루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유학생의 사회적 자본(구조적 차원, 인지적 차원, 관계적 차원)이 대학생활적응(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 12개 대학 415명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차원과 관계적 차원은 각각 대학생활적응(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인지적 차원은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고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이론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은 학습 비용과 같은 거래비용을 감소시키고,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자본을 통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은 유학생들의 정서적 안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사회적 자본은 유학생이 성실하게 대학생활을 했으며, 사회적 네트워크에 합류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사회적 인증으로 간주되며, 이를 통해 유학생의 사회적 자본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강화될 것이다. 사회적 관계를 통해 유학생이 대학 및 대학 구성원과 연결되고 사회적 자본의 가치를 깨닫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purpose, we surveyed 415 international students from 12 universities nationwide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structural eq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ructural dimension and relational dimension of social capital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On the other hand, cognitive dimension has no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 reasons why social capital helps international students to adapt to university lif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the viewpoint of network theory, social capital can reduce transaction costs such as learning costs and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Second, social support through social capital helps international students' emotional well-being. Third, social capital is regarded as social recognition that international students have sincerely spent university life and joined the social network, thus the social capital of international students is continuously strengthened. It is necessary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connect with college and college members through social relationship and to realize the value of social capital.

      • KCI등재후보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 사회 이미지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김미진 ( Kim Mi-jin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7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0 No.-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에 거주 중인 베트남출신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 사회이미지를 심층면접을 통한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보울딩과 스콧의 국가이미지 이론인 인지적 차원, 정서적 차원, 행동적 차원이라는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먼저 인지적 차원에서 한국에 대해 경제적으로 발전된 국가라는 이미지가 강했고 한국 사회의 결혼이민자에 대한 인식에 대해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한국 사회의 과잉 교육열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정서적 차원에서는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으며 이는 가족 관계와 갈등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 사회의 국가지원과 관공서의 친절한 서비스 등에 대해 긍정적으로 한국사회에서의 결혼이민자들에 대한 편견을 부정적으로 느꼈다. 한국의 가족, 음식, 세대 차이에 대한 것에 혼란감을 느꼈고 한국생활은 학업,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갔다. 행동적 차원에서는 한국으로의 국제결혼 추천에 긍정적 행동양상을 띈 반면 한국인들이 결혼이민자에게 가하는 부정적 행동에 대해 대응하지 않았고 문화, 언어 등 소통에 노력하였다. 베트남 출신 결혼이민자들의 총체적인 한국 사회 이미지는 경제적으로 발전한 국가라는 긍정적인 인식이 강했으며 만족감은 또한 긍정적인 한국 사회의 이미지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민자들의 한국 사회이미지는 한국으로의 이주 후에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 인생의 변화에서도 영향을 받았으며 또 남편의 경제력은 결혼이민자들의 생활 만족과 한국 사회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쳤다. 또 긍정적인 한국 사회의 이미지는 국제결혼에 대한 추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who are residing in the Daegu area to examine their views of Korean society.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consulted the theory of national images proposed by Boulding and Scott with its cognitive dimension, affective dimension, and behavioral dimension. Concerning the image of Korean society in cognitive dimension,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had an image of Korea as an economical developed country.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considered it still insufficient. As for the excessive educational fervor in Korean society. Concerning the image of Korean society in affective dimension, first,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had a positive image of Korea, which was influenced by the family relationships and conflicts. They felt positive about Korean society was support from the state. and what they felt negative about Korean society was the prejudice against marriage immigrants. Concerning the image of Korean society In behavioral dimension, They were positive about international marriage with a Korean spouse. Second, they did not respond to the negative behavior of Koreans against them. And they tried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language. The overall image of Korean society viewed by the female marriage

      • KCI등재

        공감의 구성요소와 심리적 기제

        허순향,남승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이 논문은 공감의 특성과 구성요소 및 심리기제를 밝히고자 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공감은 다차원적인 심리적 구성개념이다. 공감의 다차원성을 반영하고 공감개념을 학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감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의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공감의 특성과 구성요소 및 심리적 기제를 살펴보았다. 이론적인 제안의 검토를 위하여, 대전/세종/충남에 거주하는 10대부터 50대까지 473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들에서 공감능력을 구성하는 것으로 논의된 하위요인들을 포함한 질문지를 구성하여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을 감정이입적인 감성적 공감과 감정공유적인 이성적 공감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공감의 구성요소를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에 행동적 차원을 포함하여 3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공감을 “상대방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수용하고,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느낌이나 감정을 이해하며, 상대방에 대해 이해된 것을 언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이고 능력이다.”라고 새롭게 개념적으로 정의하였다. 넷째, 체험과 조절적 적합성에 기초하여 공감의 심리적 기제를 논의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앞으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is a exploratory study that reviewed characteristics, components and psychological mechanism of empathy/sympathy based on a lot of antecedent studies about empathy/sympathy in various domains in order to use and apply interdisciplinary and empathy is as a multi-dimensional and psychological construct. In order to test theoretical suggestions, data were collected 473 people from 10 to 50 residents in Daejeon/Sejong/Chungnam province with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o sub-factors related to empathy based on antecedent studie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of empathy/sympathy were conducted using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First of all, we classified empathy/sympathy into affective empathy and rational sympathy. Second, we constructed components of empathy/sympathy as tri-dimensional concept that includ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imensions. Third, we suggested new definition of empathy/sympathy as “skill and capability to recognize and accept reality of counterpart as it was, to understand feeling and emotion of counterpart in the counterpart’s shoes, and to communicate to counterpart as language that understood about counterpart’s feeling and emotion. Fourth, we discussed psychological mechanism of empathy/sympathy based on the experience and the regulatory fit. Finally, in addition to future studies, we discussed implica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사회과 웹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학습효과 분석

        이경윤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7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five types of interaction on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with the class, and class participation in Social studies'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th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s G and D, which are Seoul's designated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s. Types of interaction are composed of five - participative, interactive, social, cognitive, and metacognitive massage. After completing the experiment, not only survey items which investigate achievement test sores, learner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but also posting opinions on the web are gather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1)cognitive inter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test scores, whereas social, interactive interaction didn't show it. (2)cognitive, social, interactive interaction didn't show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er satisfaction. (3)cognitive, social, interactive interaction didn't show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er participation. 본 연구는 사회과 웹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의 유형이 어떤 학습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위치한 디지털교과서 시범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촌락의 생활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이라는 학습 주제로 제주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과 네이버 카페에서 한 달 동안 교류를 하였다. 학습 효과는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으로 나누어 실험 후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웹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은 Henri(1992)의 분류를 기반으로, 참여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인지적, 메타인지적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메시지의 빈도는 1, 2차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상호작용적 메시지의 빈도는 1, 2차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인지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메시지의 빈도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인지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메시지의 빈도는 수업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KCI우수등재

        인지적․정서적 차원의 정향욕구 탐색의제설정효과 발생 원인의 개념 정교화

        안서현,이건호 한국언론학회 2019 한국언론학보 Vol.63 No.5

        The Need for Orientation (NFO) is known as the key psychological backbone explaining ‘why people cognize media issues as important’ in agenda setting theory. It seemed to successfully describe how media effects take place, specifically in first level studies of traditional media settings. Relevance and uncertainty, the two components of NFO, have been regarded as the strongest variables to support the effects, and thus treated as intrinsic predictors that guaranteed the theory and were barely further scrutinized. Since the emergence of new media, armed with internet technology, however, new questions have loomed about whether the robust power of these two variables can maintain their ability to explain agenda setting effects. Such questions were mingled with another curiosity, can the original NFO variables support the next phases of agenda setting effects including the second level. Along with these queries, scholars suggested agenda setting research which could combine other media effects theories, including uses and gratification, to enhance its explanatory power. In that regard, this article explored if there is any chance to find or develop NFO variables that strongly elucidate the causes behind why the agenda setting effects occur. To meet the goal, this study first attempted to refine relevance, the major and fundamental NFO variable, with two (cognitive and affective) dimensions. The cognitive dimension was then divided into four sub-dimensions (topical, substantive, situational and surveillant), and the affective dimension into another four sub-dimensions (hedonic, self, belonging, and aesthetic). Following the preceding literature, authors borrowed Saracevic’s conceptual manifestation of relevance (1996) and utilized some original ideas of NFO researchers (Camaj, 2014; Matthes, 2005; McCombs & Weaver, 1973; Weaver, 1980; Valenzuela & Chernov, 2016) and uses and gratification theorists (Katz, Blumler & Gurevitch, 1973; Katz, Haas, & Gurevitch, 1973; McQuail, Blumler & Brown, 1972; Palmgreen, Wenner, & Rayburn, 1980; Papacharissi & Rubin, 2000; Rubin, 1981; Rubin & Perse, 1987) in order to theoretically support these 8 variables. Then, the other original NFO component, uncertainty, was also categorized into 8 dimensions. After organizing the conceptual variabl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N = 334) to find if they can be employed as feasible variables to explain agenda setting effects, and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each of the variables had satisfactory internal reliabilities (All Cronbach’s Alpha values are over .7) and structural validity, which showed that all of them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workable variables. We believ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lead to various ways to consider the nature of NFO, and they hope the variables investigated here will eventually grow into some effective keys that can widen the understanding of agenda setting effects. Numerous studies, including experiments with different settings, are highly recommended to achieve this end. 이 연구는 의제설정 효과의 원인으로 알려진 정향욕구(Need for Orientation)를 개념적으로 세분화해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는 기존의 정향욕구 개념이 1차 의제설정 효과를 설명하는데 그치거나 다변화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의 의제설정 효과 발생 이유를 담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지적에 따른 것이다. 즉 1차를 넘어 2차 의제설정 효과 원인을 규명하거나 과거에 비해 다채로워진 현대 뉴스 의제설정 효과의 근거를 확인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정향욕구의 탐색적 재구성을 시도했다. 이를 위해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수용자의 선택적 매체 정보 이용을 설명하는 이용과 충족 이론, 정보 검색 분야에서 유사한 내용을 다루는 논의를 빌려왔다. 구체적으로는 인지적 차원에서만 다뤄지던 기존의 정향욕구 접근법에 정서적 차원을 더하고, 이를 관련성(Relevance)과 불확실성(Uncertainty)이라는 정향욕구 기초 인자에 적용했다. 그렇게 재구성된 개념은 각각 4가지(화제적·실질적·상황적·사회감시적) 인지 차원과 4가지(쾌락적․자아적․소속적·위안적) 정서 차원의 하위 요소로 구분됐으며, 이들은 이번 연구에서 시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념적 정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탐색적 차원에서 의미가 확인된 이 변인들이 추후 구체적인 실험 연구 등을 통해 보완을 거치며 실질적 설명력을 확보하는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간문화능력이 갈등관리방식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의 ‘개인 간 갈등’을 중심으로

        원순옥,김영경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9 민족연구 Vol.0 No.7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ntercultural competence affects conflict management style. To achieve this goal, the interrelation between each factors(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domain)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 preferred in their interpersonal conflict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of the cognitive, affective, practical domain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gration and compromise conflict management style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trol conflict management style. These findings show the inclination that intercultural competence is a positive mediator for the choice of conflict management approaches that are pro-social and cooperative, including integration and compromise conflict management style but intercultural competence c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choice of exclusive conflict management style such as control method. Based on these conclusions, considering the acquisition of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is to be a valid way to help adopt a healthy conflict management style, this researcher propose to embed the elements of intercultural capacity in the contents and oper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본 연구는 간문화능력이 갈등관리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데목적을 두고 고찰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문화가정의 구성원이 보유한인지적, 정의적, 실천 차원의 간문화능력 요소와 그들의 ‘개인 간 갈등’에서 선호되는갈등관리방식 간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적 차원, 정의적차원, 실천 차원의 간문화능력 모두 통합과 타협 갈등관리방식과는 정(+)의 상관성을 보이고 통제 형태의 갈등관리방식과는 부(-)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연구 결과는 간문화능력이 통합과 타협 등 친사회적이고 협력적 성향의 갈등관리방식 채택에는 긍정적인 매개로 작동하는 반면 배타적 성향의 통제 갈등관리방식의사용에는 부정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간문화능력의 습득이 건전한 갈등관리방식을 수용하도록 돕는 유효한 방안이라간주하여 다문화교육 내용과 운영에서 간문화능력의 요소를 내장할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