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공감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명확성과 인지적유연성의 매개효과

        이혜진(Lee Hyejin),조용주(Jo Yong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부모공감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인지적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707명을 대상으로 부모공감 척도, 자기개념명확성 척도, 인지적유연성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부모공감의 하위요인 중 공감적정서반응과 과민정서반응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의 하위요인인 대안과 통제를 각각 별개의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 SEM)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적정서반응 및 과민정서반응과 자기개념명확성, 인지적유연성 대안 및 통제, 학교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공감적정서반응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단일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지적유연성 대안의 단일매개효과는 나타났으며,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 대안의 이중매개효과도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과민정서반응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단일매개효과와 인지적유연성 대안의 단일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 대안의 이중매개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부모의 공감적정서반응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인지적유연성 통제의 단일매개효과와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 통제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과민정서반응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인지적유연성 통제의 단일매개효과와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 통제의 이중매개효과도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청소년기 학생들에게는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으로 고민하고 있는 부모에게는 자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문제 상황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부모 스스로가 자녀에 대한 자신의 정서반응을 인지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부모교육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 개인의 인지적유연성 대안과 인지적유연성 통제 능력을 함양하고 확장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mpathy and adolescents’ school-life adjustment. Method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of 707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Seoul, using the parental empathy inventory, self-concept clarity scal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and school-life adjustment scale. In particular, this study set the empathic emotional reaction and the excessive emotional re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al empathy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 the self-concept clarity and the alternative and control of cognitive flexibility as integrated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4.0 and AMOS 21.0 program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pathic and excessive emotional reaction, self-concept clarity,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 and control, and school-life adjustment. Second, there was no singl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pathic emotional reaction and their children s school-life adjustment, but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 was appeared, and also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 was showed. Third, there was no singl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 eac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xcessive emotional reaction and their children’s school-life adjustment, and also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them was not showed. Fourth, both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were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pathic emotional reaction and their children s school-life adjustment. Fifth, both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were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xcessive emotional reaction and their children s school-life adjustm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resource for finding solutions for adolescent students who appeal of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school life, and for parents who are struggling with their children s adaptation to school life, it will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and will be able to help them have a new point of view about the problem situation.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ystematic parent education so that parents themselves can recognize their emotional responses to their children, and to develop practical programs that can cultivate and expand students individual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s and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abilities.

      • KCI우수등재

        움직임 형태에 따른 인지적 유연성 변화 분석: 체화 인지적 접근

        오화진,홍준희 한국체육학회 2023 한국체육학회지 Vol.62 No.1

        Based on the theory of embodied cognition that the body and mind are connected through metaphor, this study aims to measure and examine the effect of opposite movements of flexible and inflexible movements on cognitive flexibility. After controlling the choreography difficulty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scale through a preliminary experiment, 52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were random assigned to a fluid movement group and an nonfluid movement group. Mixed ANOVA was performed for cognitive flexibility before and after movement, and eta square() was used to check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level of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fluid movement group increased, and the level of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nonfluid movement group decreas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cognitive flexibility measured post-mortem was larger than the difference in cognitive flexi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measured in advance. Also, the difference in cognitive flexibility before and after the nonfluid movement had a greater effect than the cognitive flexibility before and after the fluid movement. It was confirmed that each movement type based on embodied cognitive theor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flexibility. It is expected that the fluid movement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a good guideline for improving cognitive flexibility with relatively simple movements, and can lay the foundation for movement choreography to improve cognitive flexibility. 본 연구는 신체와 마음이 은유(metaphor)를 통해 연결되었다고 주장하는 체화 인지 이론을 기반으로 유연한 움직임과 비유연한 움직임이라는 상반된 움직임이 인지적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사후 변화를 각각 측정하여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예비실험을 거쳐 안무난이도와 주관적 운동강도를 통제한 후 실험 참여자 52명을 유연한 움직입 집단과 비유연한 움직임 집단에 무선 배정 하였다. 움직임 수행 전과 후의 인지적 유연성은 혼합설계 분산분석(mixed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의 결과를 알아보는 데에는 에타 제곱( )을 이용하였다. 유연한 움직임 집단은 인지적 유연성의 수준이 증가하였으며, 비유연한 움직임 집단은 인지적 유연성의 수준이 감소하였다. 특히 사전에 측정한 두 집단 간의 인지적 유연성의 차이보다 사후에 측정한 인지적 유연성 차이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유연한 움직임 전후의 인지적 유연성 차이가 유연한 움직임 전후의 인지적 유연성보다 큰 효과를 지녔다. 체화 인지 이론에 근거한 상반되는 움직임의 형태는 인지적 유연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연한 움직임은 비교적 단순한 움직임으로 인지적 유연성을 향상시키는데 좋은 지침이 될 수 있으며 인지적 유연성 향상을 위한 움직임 안무의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중학생의 유머 유형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친밀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도경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The Effects of Humor Style on Middle School Student SchoolAdapt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imacyand Cognitive FlexibilityKyungmi Do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humor style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intimacy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humor style, cognitive flexibility, intimacy, and school adjustment were measured by 335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humor style, cognitive flexibility, intimacy, and school adjustment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conformal humor typ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flexibility, intimacy, and school adjustment, while the non-adaptive humor styl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flexibility, intimacy,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cognitive flexibility and intimac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humor types and school adjustment.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intimac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adaptive humor types and school adjustm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nformity hum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or types and school adjustment,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intimac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However, the higher the level of non-adaptive humor, the lower the level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intimacy, which means that the school adjustment is lowe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Humor, Humor Style, Intimacy, Cognitive Flexibility, School Adaptation 중학생의 유머 유형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친밀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도 경 미** 요약: 본 연구는 유머 유형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친밀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유머 유형, 친밀감, 인지적 유연성, 학교적응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상관분석 결과, 유머 유형과 친밀감, 인지적 유연성, 학교적응은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순응적 유머 유형은 친밀감, 인지적 유연성, 학교적응에 정적 상관을 보이는데 반해 비순응적 유머 유형은 친밀감, 인지적 유연성, 학교적응에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한 결과, 순응적 유머 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친밀감과 인지적 유연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순응적 유머 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친밀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머 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순응적 유머 유형의 수준이 높을수록 친밀감의 수준과 인지적 유연성 수준이 높았고 학교적응도 높았다. 그러나 비순응적 유머 수준이 높을수록 친밀감의 수준과 인지적 유연성이 낮아짐으로써 학교적응을 낮아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핵심어: 유머, 유머 유형, 친밀감, 인지적 유연성, 학교적응 □ 접수일: 2022년 3월 11일, 수정일: 2022년 3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본 논문은 저자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 서울 재현중학교 전문상담교사(Teacher, Seoul Jaehyun Middle School, Email: wildrosakr@sen.go.kr)

      • KCI등재

        인지적 유연성과 혁신행동의 연결 :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효과 및 성별 간 비교분석

        전무경(Jeon, Moo Kyeong),박지환(Park, Ji Hwa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4

        기업환경은 불확실하고, 변동이 심하며, 복잡하고, 모호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Barber, 1992). 기존의 경영방식으로는 성장과 생존을 담보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심화된 경쟁은 창의적 사고와 혁신을 요구하게 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에 대한 인식 및 대응능력인 인지적 유연성에 주목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내 구성원들의 인지적 유연성과 혁신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인지적 유연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셋째, 추가 분석을 통해, 인지적 유연성을 중심으로 성별 간 차이를 나타내는지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총 4개 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업원 269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4주간의 시간차를 두고, 총 두 차례 실시하였다. 검증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들의 인지적 유연성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높은 심리적 안전감은 인지적 유연성과 혁신행동 간의 정(+)의 관계를 강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뚜렷한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현재, 경영학 분야에서 인지적 유연성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하지만 인지적 유연성이 갖는 가치가 점차 중요해짐으로써 이를 획득하고 관리할 수 있다면 경영자와 관리자들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The business environment in the New Normal era is uncertain, fluctuating, complex, and ambiguous (Barber, 1992). The existing management method has faced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growth and survival, and the intensified competition requires creative thinking and innov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focused on cognitive flexibility, which is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respond to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innovative behavior of members in the organization was examined.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was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innovative behavior.Third, through further analysis, this study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focusing on cognitive flexi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269 employees working in four industries.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with a time difference of four week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flexibility of the memb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Second, high psychological safety strongly moder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ditional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Currently, cognitive flexibility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However, if the value of cognitive flexibility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and thus can be acquired and managed, it can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for CEO and managers.

      • KCI등재

        조직구성원의 인지적 유연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최지원,이희수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구성원의 인지적 유연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인지적 유연성과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역할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기업체종사자 437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지적 유연성이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유연성이 디지털리터러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인지적 유연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가 부분매개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연구결과 조직구성원의 인지적 유연성은 혁신행동과 디지털 리터러시수준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인지적 유연성이 매개변인인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변화시켜 혁신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인지적 유연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중요성 대한연구로 의미가 있으며,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 제고를 위한 실천적 노력을 통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킬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digital literacy,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o demonstrate empirically whether digital liter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innovative behavior. To analyze this, 437 employees of domestic businesses were survey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structural analysis. First, it was shown that cognitive flexibi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it was shown that cognitive flexibi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igital literacy. Thirds, digital literacy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innovative behavior. In other words, studies show that cognitive flexibility of employees directly impacts the level of innovative behavior, indirectly influencing innovative behavior by changing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where cognitive flexibility is a parameter.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of the importance of employees' cognitive flexibility to innovative behavior, particularly through practical efforts to enhance digital literacy.

      • KCI등재

        놀이 상황에서 어머니의 인지적․정서적 지지와 유아의 인지적 유연성 간의 관계: 흥미의 매개효과

        안서희,정윤경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2 No.3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maternal cognitive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during play on children’s cognitive flexibility were examined. Specifically, the mediating role of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upport and cognitive flexibility was investigated. Fifty-four children aged four and five year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behaviors during play were videotaped and analyzed. Interest was measured by inquiring about children’s emotions and persistence. Children’s cognitive flexibility was measured by the DCCS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task.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interest and cognitive flexibility according to maternal support. Cognitive suppor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children’s cognitive flexibility, and emotion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cognitive flexibilit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est was significan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upport and children’s cognitive flexi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ternal cognitive and emotional support during play may be important factors that contribute to children’s interest and cognitive flexibility. 본 연구는 놀이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의 인지적, 정서적 지지 행동이 유아의 인지적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지지 행동과 유아의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흥미가 매개하는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는 서울·경기 지역의 만 4-5세 유아와 어머니 54쌍이 참여하였다. 어머니의 지지 행동은 놀이 상호작용을 비디오로 녹화한 후, 코딩 체계에 따라 인지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놀이를 마친 후 유아의 흥미를 측정하였으며, DCCS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과제를 통해 인지적 유연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인지적 지지 행동이 높은 경우 유아의 인지적 유연성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정서적 지지 행동이 높은 경우 유아의 인지적 유연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어머니의 지지 행동과 유아의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에서 유아 흥미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생 초기 중요한 놀이 환경의 구성자이자 참여자로서의 어머니가 나타내는 지지 행동이 유아의 인지적 유연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유아의 흥미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감사와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박해준(Haejun Park),설현수(Hyunsoo Seol)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우울, 감사, 인지적 유연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감사와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총 34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우울은 감사, 인지적 유연성 및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부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감사, 인지적 유연성 및 심리적 안녕감은 각각 유의한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감사, 인지적 유연성 및 심리적 안녕감을 감소시켰으며, 감사와 인지적 유연성은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감사와 인지적 유연성은 각각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우울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에게 있어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감사와 인지적 유연성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결과는 대학 현장에서 감사와 인지적 유연성을 강화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gratitude,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lso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341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depre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gratitude,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gratitude,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Depression decreased gratitude,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versely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positively influenced psychological well-being. Moreover, both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wer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lso a dual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e role of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will be important for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ing depression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enhance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at university settings.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및 인지적 유연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윤주,최웅용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및 인지적 유연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체계적 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지역 4년제 D대학교와 경남지역의 4년제 K대학교 전체학년 (1~4학년) 남녀 재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468부의 자료를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및 인지적 유연성 간의 구조방정식 모 형을 설정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적합도 및 타당도 분석, 직․간접효과 분석, 부트스트랩을 실시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및 인지적 유연성 간의 직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주요변인들 간의 직접효과(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생활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생활스트레스가 인지적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 가 인지적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주요변인들 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와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와 인지적 유연성의 다중매개효 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생활스트레스로 인해 겪을 수 있는 우울에 사회적 지지와 인지적 유연성이 보 다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변인임을 확인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인지적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ㆍ개입이 대학생들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500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four-year D university in Gyeongbuk region and four-year K university in Gyeongnam region (1st to 4th grade). The data of the final 468 copies were analyzed as follows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Preferentiall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etween life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flexi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was established,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fit and validity were analyzed. Analysis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bootstrap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rect effects between life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flexi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direct effects between major variables was found to be all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major variable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lso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flexibility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The study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flexibility were more directly related to depression that college students may experience due to life stress. This is significant in that the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of systematic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flexi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can contribute to the relief of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손윤실,김정섭 대한사고개발학회 2017 사고개발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cognitive flexibilit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on burn-out. To this end, we surveyed the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s concerning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cognitive flexibility, and burn-out. 422 sampl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understand a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nd burn-out,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2.0. Following are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nd burn-out, and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and between burn-out and cognitive flexibility. Second, the higher the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burn-out. Third, a moderating effect of the cognitive flexibility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nd burn-out.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on burn-out was observed to be greater in the group with lower cognitive flexibility than the group with higher cognitive flexi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for students with high cognitive flexibility and for those with low cognitive flexibility when consulting with students who feel burnt out due to academic stres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관계 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경남에 소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스트레스, 인지적 유연성, 소진을 측정하였고 통계분석 대상은 총 422명이었다.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 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소진은 정적 상관관 계가 나타났고,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인지적 유연성, 소진과 인지적 유연성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인지적 유연성이 높은 집단보다 낮은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 스트레스로 인해 소진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컨설팅 할 때 인지적 유연성이 높은 대학생과 낮은 대학생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프로그램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진성수,김춘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lternative and control, which are sub-factors of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on subjective happiness.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855 elementary school teacher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on subjective happiness by mediating cognitive flexibility is significant, alternative and control, sub-factors of cognitive flexibility, were assumed as tentative mediators. After th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applying the SPSS Process Macro No. 4 model.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flexibi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burnout and subjective happiness,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happiness. Second, alternative and control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cognitive flexibility, were found to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burnout and subjective happiness, respectively, and the double mediating effect was also confirme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s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ing psychological burnout, it is shown that cognitive flexibility plays a positive role in maintaining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lower psychological burnout and increase cognitive flexi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suggested the need for research to reduce psychological burnout and improve cognitive flexibilit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하위요인인 대안과 통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구, 경북 소재 초등교사 85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심리적 소진이 인지적 유연성을 매개하여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인지적 유연성의 하위요인인 대안과 통제를 잠정적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였다. 그 후 SPSS Process Macro 4번 모델을 적용하여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인지적 유연성은 심리적 소진과 주관적 행복감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과부적상관이 나타났고, 주관적 행복감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인지적 유연성의 하위 요인인 대안과 통제 요인이 심리적 소진과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각각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는 초등교사의 경우 인지적 유연성이 주관적 행복감을 유지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초등교사의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심리적 소진을 낮추고 인지적 유연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들을 위한 심리적 소진 감소와 인지적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