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동명 시의 비유 구성 방법 연구 - 발굴작을 포함한 초기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3 No.-

        <P>&nbsp;&nbsp;본 연구에서는 먼저 김동명 시 원전에 대한 추가 자료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는 지난 2011년에 발표된 논문의 후속 연구로 진행된 것이다. 그 결과 새로이 12편의 작품을 찾아내어 총 56편의 초기시 작품 목록을 보고하고, 이를 대상으로 김동명 초기시의 비유 구성 방법을 고찰하였다.</P><P>&nbsp;&nbsp;김동명은 시작 활동의 초기부터 다양한 비유 구성 방법을 실험하고 활용하였다. 그 중에서도 그는 ‘병렬 구성에 의한 은유’, ‘의인법’, ‘근본 비교의 비유’, ‘확장 은유’ 등을 즐겨 구사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것들은 시인 특유의 비유 구성 방식으로 자리잡으며 이후 그의 시세계 전반에 걸쳐 원형적인 방법론으로 기능하였다.</P><P>&nbsp;&nbsp;이 중에서 의인법을 제외한 대부분의 비유 구성 방식들은 작품의 구성원리로도 기능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것들은 일정한 흐름과 연속성 속에서 작품 전체의 시상을 전개하는 기제가 되고 있다. 또 이 비유 구성 방법들은 한 편의 작품 속에 중첩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많았다. 의인법이 근본 비교의 비유를 겸하고 있거나, 근본 비교의 비유와 확장 은유가 복합적으로 구사된 경우가 그 사례들이다. 그리고 중기시에서 보이는 비유적 기법의 세련은 주제 의식의 심화와 함께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는 날카로운 대상 인식과 시의식의 심화가 상상력의 폭과 깊이를 확대시킨 결과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시인이 초기부터 시작 방법론의 차원에서 비유구성 방법에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인 성과라 할 수 있다.</P><P>&nbsp;&nbsp;김동명 초기시의 경우 비유적 기법과 주제 의식 양면에서 일정한 한계를 노출하며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시적 성취를 거두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 시기의 다양한 시도들은 시인 특유의 개성적인 비유법과 시의식을 심화시켜 나간 과정을 보여주며 완숙기의 시세계를 예비하는 것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P>

      • KCI등재

        김동명 시의 비유 구성 방법 연구

        전도현(Jeon, Do-Hy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3 No.-

        본 연구에서는 먼저 김동명 시 원전에 대한 추가 자료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는 지난 2011년에 발표된 논문의 후속 연구로 진행된 것이다. 그 결과 새로이 12편의 작품을 찾아내어 총 56편의 초기시 작품 목록을 보고하고, 이를 대상으로 김동명 초기시의 비유 구성 방법을 고찰하였다. 김동명은 시작 활동의 초기부터 다양한 비유 구성 방법을 실험하고 활용하였다. 그 중에서도 그는 ‘병렬 구성에 의한 은유’, ‘의인법’, ‘근본 비교의 비유’, ‘확장 은유’ 등을 즐겨 구사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것들은 시인 특유의 비유 구성 방식으로 자리잡으며 이후 그의 시세계 전반에 걸쳐 원형적인 방법론으로 기능하였다. 이 중에서 의인법을 제외한 대부분의 비유 구성 방식들은 작품의 구성원리로도 기능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것들은 일정한 흐름과 연속성 속에서 작품 전체의 시상을 전개하는 기제가 되고 있다. 또 이 비유 구성 방법들은 한 편의 작품 속에 중첩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많았다. 의인법이 근본 비교의 비유를 겸하고 있거나, 근본 비교의 비유와 확장 은유가 복합적으로 구사된 경우가 그 사례들이다. 그리고 중기시에서 보이는 비유적 기법의 세련은 주제 의식의 심화와 함께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는 날카로운 대상 인식과 시의식의 심화가 상상력의 폭과 깊이를 확대시킨 결과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시인이 초기부터 시작 방법론의 차원에서 비유구성 방법에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인 성과라 할 수 있다. 김동명 초기시의 경우 비유적 기법과 주제 의식 양면에서 일정한 한계를 노출하며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시적 성취를 거두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 시기의 다양한 시도들은 시인 특유의 개성적인 비유법과 시의식을 심화시켜 나간 과정을 보여주며 완숙기의 시세계를 예비하는 것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a additional survey of the original text of Kim, Dong-Myung"s poems first of all. This survey is carried out as a follow-up research of the paper which published in 2011. As the result of survey I repoted a newly disintered 12 works, and I have studied on method of metaphor composition which is used in Kim, Dong-Myung"s early poems. Since the commencement of his career, Kim Dong-Myung had utilized and experimented with various methods of metaphor composition. Of these, he repeatedly made use of "metaphor by parallel constitution", "personification", "metaphor of fundamantal comparison", "extended metaphor". Almost the whole this methods of metaphor composition acted as construction principle of a work. Also More than one method of metaphor composition co-occured frequently in a work. And over the early and middle poems refinement of figurative technique has been completed in company with deepening of subject consciousness. Kim, Dong-Myung"s early poems did not lead to higher achievements of poetry, exposing the limits in both aspects of figurative technique and subject consciousness. But various attempts of this time show the process for deepening the individualistic figures of speech and poetic consciousness. This can be seen as reserving the the world of full ripe period"s works.

      • KCI등재

        의인법과 서사적 구조–이솝우화를 중심으로

        김태환 한국구비문학회 2017 口碑文學硏究 Vol.0 No.45

        In the context of narrative theory, anthropomorphism is generally regarded as a strategy for developing non-realistic, fantastic stories whereby human characteristics are applied to non-human characters. If that’s the case, animal story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realistic story about animals without any anthropomorphic traits and non-realistic story about anthropomorphized animals. However, critically accepting the thesis of Greimas on the fundamentally anthropomorphic character of narrative syntax, this paper tries to show that narrative discourse tends to anthropomorphize whenever non-human beings such as animals and plants are placed at the center of a stor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realistic or not. To this end, we propose the anthropomorphic concept of narrative subjectivity as the unity of practical and reflective subjectivity and analyze some of Aesop’s Fables to explore how narrative discourse constructs non-human characters as anthropomorphic narrative subjects. 서사적 장르에서 의인법은 일반적으로 동물과 같은 비인간에 인간의 속성을 부여하여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반사실적 기법으로 간주된다. 그렇다면 동물이 주인공이 되는 이야기는 충실한 사실주의에 따르는 경우와 동물을 의인화시키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이야기의 도식 자체가 근원적으로 의인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그레마스의 테제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동물과 같은 비인간이 이야기의 중심에 놓일 때 이미 의인화의 메커니즘이 작동한다는 점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천적 주체성과 반성적 주체성의 통일로서의 서사적 주체성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서사적 주체가 기본적으로 의인적이며, 이야기의 핵심적 구성 요소라는 점을 밝힌 뒤, 이솝우화의 사례들을 통해 이야기가 어떻게 동물, 식물 등의 비인간적 존재를 서사적 주체로 구성하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 KCI등재

        의인법과 서사적 구조 ?이솝우화를 중심으로

        김태환 한국구비문학회 2017 口碑文學硏究 Vol.0 No.45

        서사적 장르에서 의인법은 일반적으로 동물과 같은 비인간에 인간의 속성을 부여 하여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반사실적 기법으로 간주된다. 그렇다면 동물이 주인공이 되는 이야기는 충실한 사실주의에 따르는 경우와 동물을 의인화시키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이야기의 도식 자체가 근원적으로 의인적 성격 을 지니고 있다는 그레마스의 테제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동물과 같은 비인간이 이야기의 중심에 놓일 때 이미 의인화의 메커니즘이 작동한다는 점을 입증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실천적 주체성과 반성적 주체성의 통일로서의 서사적 주체성이라는 개 념을 제안하고, 서사적 주체가 기본적으로 의인적이며, 이야기의 핵심적 구성 요소라 는 점을 밝힌 뒤, 이솝우화의 사례들을 통해 이야기가 어떻게 동물, 식물 등의 비인간 적 존재를 서사적 주체로 구성하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 KCI등재

        감성의 형성 : 일본인의 감성과 애니미즘 -일제강점기 정지용 시를 중심으로-

        정승운 ( Seung Un Je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5

        “한국인의 감성이란 무엇인가?”를 인식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일본인의 감성이란 무엇인가?”를 비교문학적으로 고찰하고, 특히 일제강점기에 한국인에게 이식된 일본인의 감성이 어떻게 발현되었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인의 감성과 일본인의 감성이 어떻게 다른 가를 논했다. 연구방법은 애니미즘이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하는 “문학의 민속학적 연구”다. 모노노아와레(物のあわれ)에서의 모노(物)는 人間靈 이외의 즉 동물, 식물, 무생물의 精靈이다. 아와레는 두 가지의 뜻이 있다. 하나는 아와레(哀れ, 憐れ)로서 “애처로움. 가엾음. 불쌍함. 딱함. 가련함. 초라함. 비참함.”의 뜻과 또 하나는 앞파레(あっぱれ, 天晴れㆍ남)로 “훌륭함. 장함. 눈부심. 갸륵함.”의 뜻이다. 모토오리 노리가나는 아와레(阿波禮)라는 마음은 단지, “하늘이 개었다는 즐거움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그때의 그 여러 신들의 마음을 보아야 할 것이다. 아와레는 비단 즐거움만의 형용이 아니다. 재미있음, 즐거움 등은 모두가 문학의 특질을 규정하는 중요한 말이고, 나아가 아와레는 일본문학의 본질이다. 명랑ㆍ활달ㆍ청명하고 정직하다는 의미”라 하였다. 모노노아와레는 人間靈 이외의 즉 동물, 식물, 무생물의 精靈이 기쁘거나 슬퍼함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일본어에서 “슬프다(かなしい)”는 형용사가 “悲しい/▽哀しい/▽愛しい”(三省堂『大辭林 第二版』)와 같이 悲ㆍ哀ㆍ愛라는 세 가지 한자가 함께 쓰인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의인법이나 활유법에는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애니미즘이 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애니미즘이 한국에서는 의인법으로, 일본에서는 활유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일본문학에 내재된 애니미즘은 일제강점기 한국근대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정지용이 말한 Incarnation은 신적인 존재가 인간의 육체 안으로 들어와서 인간 가운데 거하는 것은 일본문학의 언령(言靈)신앙과 일치한다. 시인은 언령(言靈)신앙을 통해 영혼과 교감하여 무생물과 언어에 생명을 부여하는 Life Giving을 하고 있다. 문학에서 보이는 한국적인 감성은 샤머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인간 중심적 표현이고, 일본적인 감성은 애니미즘을 기반으로 하는 모노 (物)중심적 표현이 주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일본문학은 천신과 지신을 제사지내는 제사문학이다. 최재서가 조선인이 일본인이 되기 위해서는 천신과 지신을 받들어 모시는 정신을 기르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고 있는 바와 같이, 비록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에 굴복할 수밖에 없다고는 하더라도, 최재서의 “일본문학 제사문학론”은 한국인과 일본인의 중요한 차이점을 시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적인 주체가 인간과 동등하게 무생물일 수 있다는데 대해 일본인은 이상하게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국인이 꽃에 물을 주면서 몇 시간씩이나 꽃과 이야기한다면 정신이 이상한 사람으로 보지만, 일 본인은 전혀 그렇게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인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현대인들이 외롭거나 우울할 때 쇼핑을 하거나 물건을 훔쳐서 위안을 삼는 것을 볼 때 물건을 동격으로 보느냐 하등한 것으로 보느냐의 차이일 뿐 모두 애니미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인의 감성은 서구의 이성과 감성의 이분법보다 애니미즘에 기반을 둔 모노(物)와의 영혼 교감으로 표현되는 데 비해, 한국인의 감성은 인간 중심의 샤머니즘에 기반을 두고 발현된다고 할 수 있다. 정지용의 이미지즘시는 일본의 애니미즘시의 틀에 한국적인 감성을 얹어 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ensibilities by examining “what Japanese sensibility is?” in term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order to recognize “what Korean sensibility is?”. The primary research methodology consists of folklore studies of literature by focusing on the term, animism. Mono in Monoaware includes the spirits of animals and plants, excluding human spirit. Aware means two things: one includes “miserable,” “poor,” “wretched,” “pathetic,” “shabby,” ; the other (apare) “wonderful,” “splendid,” “bright,” “virtuous”. Motoori norigana says that mind as aware is not the delight which comes when the sky is bright, but the minds of various gods. Aware is not merely the adjective of delight, but also includes the meanings of literary quality like happiness and pleasure; it further represents the essence of Japanese literature which consists of cheerfulness, activeness, clearness, and honesty”. Mononoware can be defined as sadness and delight in the spirits of animals and plants excluding human spirits. it is remarkable that in the Japanese Language the adjective “sad” is used along with the three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悲, 哀, 愛). It can be said that animism is included in personification and living way of expression, whe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nimism is used as personification in Korea and living way of expression in Japan respectively. Animism connoted in Japanese Literature had a great effect upon the Korean Literature of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The incarnation Chung Jiyong once mentioned means that a divine entity staying in human flesh concords with the faith in the language spirit of Japanese Literature. Poets communicates with spirits through the faith in the language spirit, supplying animals and plants with life. Korean sensibility in literature, based upon shamanism, is an anthropocentric expression, while Japanese sensibility, based upon animism, primarily consists of expression of things as they are. Japanese Literature is sacrificial rite which pays tribute to the gods in both the heaven and the earth. Choi Jaeseo once said that Koreans should cultivate the spirit paying respect to the gods in the heaven and earth in order to become Japanese people. Admitting that he said it under the circumstances of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his literary theory of Japanese Literature as a sacrificial rite shows an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The fact that spiritual subject can be identified with animals and plants is acceptable to Japanese without hesitation. Koreans who converse with flowers for hours by providing them with water might be considered to be insane; however, Japanese who do the same thing looks natural. But modern people including Korean go shopping and steal something to ease their loneliness and depression; these activities tell us that ordinary people are not free of animism,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looking at things. Japanese sensibility, based upon animism rather than western dichotomy of reason and emotion, is expressed in the way of spiritual communication with things; Korean sensibility is expressed with it basis on humanistic shamanism. Imagimistic poetry of Chung Jiyong might be the result of Japanese animism poetry with a mixture of Korean sensibility.

      • KCI등재후보

        일본인의 감성과 애니미즘 -일제강점기 정지용 시를 중심으로-

        정승운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5

        “한국인의 감성이란 무엇인가?”를 인식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일본인의 감성이란 무엇인가?”를 비교문학적으로 고찰하고, 특히 일제강점기에 한국인에게 이식된 일본인의 감성이 어떻게 발현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인의 감성과 일본인의 감성이 어떻게 다른가를 논했다. 연구방법은 애니미즘이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하는 ‘문학의 민속학적 연구’다. 모노노아와레(物のあわれ)에서의 모노(物)는 人間靈 이외의 즉 동물, 식물, 무생물의 精靈이다. 아와레는 두 가지의 뜻이 있다. 하나는 아와레(哀れ, 憐れ)로서 “애처로움. 가엾음. 불쌍함. 딱함. 가련함. 초라함. 비참함.”의 뜻과 또 하나는 앞파레(あっぱれ, 天晴れㆍ遖)로 “훌륭함. 장함. 눈부심. 갸륵함.”의 뜻이다. 모토오리 노리가나는 아와레(阿波禮)라는 마음은 단지, “하늘이 개었다는 즐거움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그때의 그 여러 신들의 마음을 보아야 할 것이다. 아와레는 비단 즐거움만의 형용이 아니다. 재미있음, 즐거움 등은 모두가 문학의 특질을 규정하는 중요한 말이고, 나아가 아와레는 일본문학의 본질이다. 명랑ㆍ활달ㆍ청명하고 정직하다는 의미”라 하였다. 모노노아와레는 人間靈 이외의 즉 동물, 식물, 무생물의 精靈이 기쁘거나 슬퍼함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일본어에서 ‘슬프다(かなしい)’는 형용사가 ‘悲しい/▽哀しい/▽愛しい’(三省堂「大辞林 第二版」)와 같이 悲ㆍ哀ㆍ愛라는 세 가지 한자가 함께 쓰인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의인법이나 활유법에는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애니미즘이 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애니미즘이 한국에서는 의인법으로, 일본에서는 활유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일본문학에 내재된 애니미즘은 일제강점기 한국근대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정지용이 말한 Incarnation은 신적인 존재가 인간의 육체 안으로 들어와서 인간 가운데 거하는 것은 일본문학의 언령(言靈)신앙과 일치한다. 시인은 언령(言靈)신앙을 통해 영혼과 교감하여 무생물과 언어에 생명을 부여하는 Life Giving을 하고 있다. 문학에서 보이는 한국적인 감성은 샤머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인간중심적 표현이고, 일본적인 감성은 애니미즘을 기반으로 하는 모노(物)중심적 표현이 주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일본문학은 천신과 지신을 제사지내는 제사문학이다. 최재서가 조선인이 일본인이 되기 위해서는 천신과 지신을 받들어 모시는 정신을 기르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고 있는 바와 같이, 비록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에 굴복할 수밖에 없다고는 하더라도, 최재서의 ‘일본문학 제사문학론’은 한국인과 일본인의 중요한 차이점을 시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적인 주체가 인간과 동등하게 무생물일 수 있다는데 대해 일본인은 이상하게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국인이 꽃에 물을 주면서 몇 시간씩이나 꽃과 이야기한다면 정신이 이상한 사람으로 보지만, 일본인은 전혀 그렇게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인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현대인들이 외롭거나 우울할 때 쇼핑을 하거나 물건을 훔쳐서 위안을 삼는 것을 볼 때 물건을 동격으로 보느냐 하등한 것으로 보느냐의 차이일 뿐 모두 애니미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인의 감성은 서구의 이성과 감성의 이분법보다 애니미즘에 기반을 둔 모노(物)와의 영혼 교감으로 표현되는 데 비해, 한국인의 감성은 인간 ... This paper discusses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ensibilities by examining "what Japanese sensibility is?" in term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order to recognize "what Korean sensibility is?". The primary research methodology consists of folklore studies of literature by focusing on the term, animism. Mono in Monoaware includes the spirits of animals and plants, excluding human spirit. Aware means two things: one includes "miserable," "poor," "wretched," "pathetic," "shabby,"; the other (apare) "wonderful," "splendid," "bright," "virtuous". Motoori norigana says that mind as aware is not the delight which comes when the sky is bright, but the minds of various gods. Aware is not merely the adjective of delight, but also includes the meanings of literary quality like happiness and pleasure; it further represents the essence of Japanese literature which consists of cheerfulness, activeness, clearness, and honesty". Mononoware can be defined as sadness and delight in the spirits of animals and plants excluding human spirits. it is remarkable that in the Japanese Language the adjective "sad" is used along with the three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悲, 哀, 愛). It can be said that animism is included in personification and living way of expression, whe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nimism is used as personification in Korea and living way of expression in Japan respectively. Animism connoted in Japanese Literature had a great effect upon the Korean Literature of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The incarnation Chung Jiyong once mentioned means that a divine entity staying in human flesh concords with the faith in the language spirit of Japanese Literature. Poets communicates with spirits through the faith in the language spirit, supplying animals and plants with life. Korean sensibility in literature, based upon shamanism, is an anthropocentric expression, while Japanese sensibility, based upon animism, primarily consists of expression of things as they are. Japanese Literature is sacrificial rite which pays tribute to the gods in both the heaven and the earth. Choi Jaeseo once said that Koreans should cultivate the spirit paying respect to the gods in the heaven and earth in order to become Japanese people. Admitting that he said it under the circumstances of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his literary theory of Japanese Literature as a sacrificial rite shows an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The fact that spiritual subject can be identified with animals and plants is acceptable to Japanese without hesitation. Koreans who converse with flowers for hours by providing them with water might be considered to be insane; however, Japanese who do the same thing looks natural. But modern people including Korean go shopping and steal something to ease their loneliness and depression; these activities tell us that ordinary people are not free of animism,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looking at things. Japanese sensibility, based upon animism rather than western dichotomy of reason and emotion, is expressed in the way of spiritual communication with things; Korean sensibility is expressed with it basis on humanistic shamanism. Imagimistic poetry of Chung Jiyong might be the result of Japanese animism poetry with a mixture of Korean sensibility.

      • KCI등재

        혁명과 기념-4·19혁명 기념시 연구-

        김나현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4 사이 Vol.16 No.-

        In April 1960, a huge amount of ‘April 19’ memorial poems were published by people of all ages, sexes, and levels of established fame. This article studies these memorial poems so a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April 19’. To this end, I investigate the reasons why the authors wrote about ‘April 19’ and why they elected to do so through the medium of poetry. They believed writing was an extension of the revolution and focused on re-creating its pure and young sacrificial protagonists. The poems thus crafted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constructing the social memory of ‘April 19’. In light of this, I focus on rhetoric, especially apostrophe and personification, to illustrate how the glorifying of these nameless, pure characters has contributed to making the memory of ‘April 19’ handleable. 1960년 4월에는 어린 학생들부터 기성 시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필자들이 폭발적인 양의 4·19혁명 기념시를 발표했다. 본고의 목적은 4·19혁명 직후 발표된 여러 기념시를 독해하여 혁명이 시적으로 기념되는 최초의 방식을 살피는 데에 있다. 우선 여러 기념시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써야 한다’는 의무감의 정체를 살피고, 필자들이 ‘시’라는 형식을 선택하게 된 전략적 이유를 분석했다. 특히 그들이 운용한 의인법과 돈호법에 주목하여, 혁명의 기억을 발화할 수 있는 인물 형상 주조 과정을 살폈다. 혁명의 주역이 된 이 ‘무명 우상’은 대개 어리고 순수한 학생 형상으로 나타났다. 기념시 쓰기와 읽기를 통한 우상화 과정은 4·19에 대한 집단적 기억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한 단면을 보여 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학번역에서 직유 표현의 형식과 내용의 반영-오영수의 <메아리> 번역 분석에 근거해서-

        박옥수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2 No.-

        This study analyzes simile translations shown in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short stories. We will examine and describe figures of speech, which pertains to both Korean and English, and present their implications in the trans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describing how to research the texts of simile, which have been hardly dealt with in existing research. Secondly, examining the norms of simile translations in the target texts. In the analysis of the texts, we will look at distinctive features of the texts involving relevant items and describe the each translation norms. In the next stage, communicative translation of auxiliary concept are referred specifically, and the comprehensive analytical results are developed. The tool for analyzing is adopted from the equivalence categorization of Peter Newmark(1988). The source text is a short story, Meari, written by O Youngsoo and published in 1960. The main target texts were translated by Hong Myoung-hee and W. E. Skillend. As for the research method, we will describe the analytical categories and present translation examples adopting a prescriptive approach. In a formal analysis it will be examined whether the simile forms of the source text are reserved in the target text or not. In a content analysis, it is observed whether the meaning of the auxiliary concepts is reflected in the TT. We will also look at the translational features of each category and provide the alternative translation of the texts left out in translation. The analytical items for translation of auxiliary concepts in sense-for-sense translation are categorized into ‘functional equivalence’, ‘descriptive equivalence’, and ‘cultural equivalence’. These three ways of equivalence pursuit can propose an alternative measure for solving the problem in simile translation which take place due to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 between a source text and a target text. 소통과 미학의 반영이라는 두 가지 명제는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고, 이때 번역가는 소통과 미학의 어느 한 지점을 선택하게 된다. 그 지점이 번역가의 전략이 된다. 한영 문학번역처럼 소수가 사용하는 언어가 다수의 언어로 번역되는 환경에서 대상 독자는 원문의 배경 지식이 부족하다. 특히 직유의 번역은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거리, 해당 독자의 배경 지식, 원천 언어와 목표 언어 사이의 거리를 고려해서 미학과 소통을 완성해야 하는 작업으로 번역가의 개입이 필요한 분야이다. 직유는 원천 텍스트의 고유성과 미학을 담고 있으며, 특정 어휘를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다른 어휘와 연결해서 해당 어휘의 상황이나 현상, 물성 등을 정의하는 수사법이다. 그러므로 직유 번역에서는 원문의 표현적 기능과 정보적 기능을 반영해서 의미의 함축성과 이미지, 그리고 구체적인 정보를 대상 독자에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문학 번역의 두 가지 화두인 소통과 미학은 직유의 번역에서도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명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단편소설의 직유 표현의 두 번역물을 원문과 대조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식에서, 우선 형식과 내용으로 일차 분류한 후에 형식 분석에서는 원문의 전형적인 직유 표현이 번역문에 반영되었는지의 여부, 내용 분석에서는 보조관념이 번역문에 보존되었는지의 여부와 번역가별 번역 특징을 기술하였다. 자료 분석틀로는 하비(Harvey)와 뉴마크(Newmark)가 제시한 등가의 분류 방식을 일부 차용하였다. 이 두 가지 등가 분류 방식은 원천언어의 문법적 특징, 문화와 사회 담론의 고유성에 따라 대응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원천 텍스트는 1960년에 발행된 오영수의 단편 소설 <메아리>이다. 이 원본의 번역물 두 편을 비교 분석 대상으로 채택하였다. TT1은 홍명희 번역으로 1975년 발행된 ≪Korean Short Stories≫에 <The Echo>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으며, TT2는 W. E. Skillend 번역으로 1995년에 발행된 ≪Modern Korean Literature: An Anthology, 1908~1965≫에 <Echoes>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분석 자료를 보완하기 위한 기타 자료는 김승옥의 <무진기행>, 박완서의 <그 살벌했던 날의 할미꽃>, 신경숙의 <그 여자의 이미지>,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의 영역본에서 직유 표현을 선정하였다. 개별 항목 분석에서 규범적 방식을 적용하여, 번역 분류 범주를 규정하고, 분석 결과 논의에서는 정량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직유 표현의 번역이 생략된 경우, 대안 번역을 제시하였다. 분석 항목은 번역가가 보조관념의 의미 번역에서 추구한 등가 방식을 기능적 등가, 문화적 등가, 서술적 등가, 관용어 표현으로 규정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에서 드러난 세 가지 ‘기능적’, ‘문화적’, ‘서술적’ 등가 추구의 방식은 이 벽을 극복할 수 있는 실용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방식은 일반화나 상위어의 번역 전략 보다는 원문의 정보를 더 섬세하게 전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