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인칭 대명사의 의미 분석 -의미 실현 조건 분석을 중심으로-

        김혜령 ( Hye Ryoung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0 No.-

        본고는 의미 실현 조건 분석을 통해 한국어 일인칭 대명사들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일인칭 대명사는 발화 상황에서 화자 자신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모두 공통점을 갖는다. 그러나 화자와 청자 사이의 관계 설정을 통해 의미의 차이가 드러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의미 실현 조건의 분석을 통해 설명하였다. 일인칭 대명사인 ``나``, ``저``, ``우리``, ``저희``를 대상으로 하여 의미 실현 조건과 의미가 갖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살피고, 각각의 의미 실현 조건 및 의미 사이의 상호 작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일인칭 대명사인 ``나``의 의미 및 의미 실현 조건이 기반이 되어 ``저``는 화청자 사이의 관계 및 태도 조건이 추가되었음을 보였다. ``우리``와 ``저희``는 각기 ``나``와 ``저``의 복수 표현으로서 의미 실현 조건에서 유사성이 발견되나, 특히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차이를 보여 그 의미가 달라짐을 보였다. This paper analyzes meaning of first person pronouns based on analysis of meaning conditions. first person pronouns have meaning that speaker represents speaker`s own self in common. However they have difference of meaning through relationships of speaker and hearer. This character is explained by analysis of meaning conditions. This paper reveals meanings and meaning conditions of first person pronouns ``na``, ``woori``, ``jeo`` and ``jeohui``. The meaning and its condition of ``na`` is the basics of the other first person pronouns. In terms of ``jeo``, is added relation of speaker and hearer and attitude of speaker in meaning condition of ``na``. ``Woori`` and ``jeohui`` is the plural form of ``na`` and ``jeo``. Similarities of meaning and its conditions are found, whereas differences of meaning on account of the meaning condition are found in sociocultural context.

      • KCI등재

        러시아어 조건 의미의 명령 구문에 대한 의미적 특성 연구

        아지모바 나르기자,안혁 한국노어노문학회 2019 노어노문학 Vol.31 No.2

        본 연구는 러시아어 명령형이 가정법적 조건 의미를 가지는 구문을 조건 의미의 명령 구문으로 명명하고 그 언어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가정법 구문과 명령법 구문은 비현실적 양상 의미를 표현하며, 두 구문은 기원 의미와 공시적이고 통시적으로 관련된다. 즉, 화자가 자신의 의지를 표현할 때 화자의 심리적 상태는 청자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명령법과 가정법은 동일한 발화수반효력을 지닌다. 조건 의미의 명령 구문은 형식적으로 명령 구문이지만 의미적으로 조건의 의미를 갖는 두 구문의 교집합적 범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구문의 언어적 특징으로 동사의 상, 동사의 어휘 의미, 구문의 양상 의미, 상대적 시제를 상정하여 기술하였다. 특성의 기술을 통해 해당 구문의 양상 의미가 동사의 상과 어휘 의미, 상대적 시제와 상관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하였고 이러한 상관 관계를 질적 연구 방법 뿐만 아니라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해 합리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 방법론에서 구문의 양상 의미가 나머지 세 범주와 상관성을 가질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양적 방법론은 이러한 상관관계를 부정하고 있다. 카이제곱 검정의 결과는 조건 의미의 명령 구문의 의미적 특성인 비현실 가능과 비현실 불가능의 의미 범주가 동사의 상, 동사의 어휘 의미, 상대적 시제와 독립적임을 보여준다. 이 연구를 통해 조건 의미의 명령 구문이 다양한 의미적 특성을 가지며, 구문의 서법은 단순히 어휘의 의미적 특성에 기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이형태 교체의 조건에 대하여

        이영제 형태론 2020 형태론 Vol.22 No.2

        It is common to distinguish between two types of phon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and morph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in Korean.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ypologically that alternation, which is a condition of a specific grammatical properties, is observed cross-linguistically. Second, based on this, it is argued that the semantic condition at the level of grammatical properties in Korean can be a condition that determines alternation. Semantic conditions according to grammatical properties are distinct from lexical semantic conditions and are grammatical conditions that are also distinct from phonological conditions. The semantic condition of the grammatical properties was also treated as a syntactic condition or a syntactic-semantic condition. However, this study tri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a morphosemantic condition instead of a syntactic condition because the alternation discussed is due to the semantic condition of grammatical properties. 한국어 형태소의 이형태 교체 조건은 음운론적 조건과 형태론적 조건으로 구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중 쟁점은 형태론적 조건과 주로 관련되는데, 이 연구는 첫째, 형태론적 조건 중에서 특정한 형태나 어휘의 출현이라는 조건 이외에 특정한 문법적 기능이 조건이 되는 교체 현상이 범언어적으로 관찰되고 있음을 유형론적으로 고찰하고, 둘째, 이를 토대로 한국어에서도 문법적 기능 차원의 의미적 조건은 이형태 교체를 결정하는 조건이 될 수 있음을 검토한다. 이때의 문법적 기능 차원의 의미적 조건은 순수 어휘적 의미 조건과 구별될 필요가 있으며 음운적 조건과는 명확히 구별되는 문법적 조건이다. 문법적 기능 차원의 의미적 조건은 통사론적 조건 등으로 다루어지기도 하였으나 본고에서는 관련되는 이형태 교체 현상들이 형태론적 맥락을 벗어난 것은 아니며 문법적 의미 기능에 의한 것으로 풀이될 수 있으므로 형태의미론적 조건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최근 한국어 문법론 연구에서 유형론적 접근방식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와 같은 흐름이 근래 들어 더욱 분명해졌으나 형태론 분야에서는 제한적인 부분에 그치고 있는 듯하다. 이 연구는 한국어 형태론 연구에서 유형론적 접근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통찰이 무엇인가를 보여주는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접속부사 ‘그런데’의 화용적 의미 확장과 의미 실현 조건

        김혜령 배달말학회 2023 배달말 Vol.73 No.-

        이 연구에서는 의미 실현 조건 분석을 통해 ‘그런데’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런데’는 접속부사로 선후행 맥락에 의해 그 의미가 드러나는 어휘 요소로 맥락 의존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의미 실현 조건 분석을 통해 ‘그런데’가 갖는 접속부사의 의미와 담화표지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서로 다른 문맥적 의미 실현 조건인 문장의 결속 관계, 즉 선후행 문장의 의미 관계를 갖는 ‘그런데’의 의미를 셋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화맥적 의미 실현 조건인 담화의 결속 관계, 즉 선후행 화제의 의미 관계를 갖는 ‘그런데’의 의미를 둘로 분석하였다. 그런데’가 문맥적 의미 실현 조건에 의해 접속부사의 의미를 가질 때에는 선후행 맥락이 서로 대립적 성격을 갖거나, 의미적 연관성이 있더라도 서로 다른 사건일 경우였다. 반면 화맥적 의미 실현 조건에 의해 이른바 담화표지로 사용될 때에는 선후행 화제가 동일하거나, 선행 화제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Geureonde’ through the analysis of meaning conditions. ‘Geureonde’ is a conjunctive adverb, and its meaning is revealed by the context of the preceding and following, and has a context-dependent character.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conjunctive adverb and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mark of ‘Geureonde’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aning conditions. As a result, the meaning of ‘Geureonde’, which has a solidarity relationship between sentences, which is a condition for realizing different contextual meanings, was analyzed in three. When ‘Geureonde’ had the meaning of a conjunctive adverb according to the contextual meaning condition, it was a case where the preceding and following contexts were opposed to each other, or even if there was a semantic connection, they were different events. On the other hand, when used as a so-called discourse marker due to the pragmatic meaning condition, it was used even when the preceding topic was the same or there was no preceding topic.

      • KCI등재

        규범의 본질에 대한 탐구 ― 조건문의 형식을 중심으로 ―

        박준석 한국법철학회 2019 법철학연구 Vol.22 No.2

        Norm is a sort of meaning itself and is thus different from statement or sentence which depicts it in words. A norm consists of its constituents through meaningfully putting them together to form the coherent meaning of itself. The conditional relationships among those constituents are themselves the members of the world of meanings, since the typical linguistic form of norms belongs to the conditionals. It may be the case that the linguistic form of conditionals reflects the very connection among those constituents so long as their meaningful association can be called to be done in a ‘conditional’ way. Legal philosophers who investigated the nature of law as an order or system of norms have written that norms are insolubly connected with the form of conditionals. They, however, have not fully checked whether traditional rules of inference could work out as well in the process of practical reasoning where we are supposed to move from the ought-sentences, which simultaneously to be conditionals.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problem as such. This paper shows that studies of ‘conditionals’ as one of the themes most devoted to the investigations of contemporary philosophy can contribute to the legal sciences and philosophy by explicating genuine issues of law. The new approaches to the nature of conditionals, differently from the classical approach interpreting conditionals as material implications, have developed either probabilistic understanding of conditionals, or the so-called possible worlds semantics, or else. This paper claims that the new ideas as such provide law the fresh sources on the basis of which old issues of law can be taken prudentially. 규범은 하나의 의미 그 자체로서 그것을 언어적으로 포착한 문장이나 진술과는 구별된다. 이러한 규범을 이루고 있는 것은 다양하게 상호 결합된 세부적인의미 요소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사이의 결합이 조건문의 형식으로 표현된다는 것으로부터, 그와 같은 의미 요소들 사이에 존재하는 조건적 관계라는것도 하나의 의미 그 자체일 수 있다. 규범을 형성하는 의미들 사이의 결합은 우리가 ‘조건적’이라고 부를 수 있는방식으로 의미 있게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으며, 이를 언어적으로 구현한다면 그것은 바로 조건문의 형식으로 드러나게 될 것이다. 규범의 질서 내지 체계로서 법의 본성을 탐구하는 법철학적 연구들은 규범이이렇듯 조건문의 형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누누이 지적해 왔다. 하지만 조건문의 형식을 취하는 규범적 문장을 출발점으로 하여 법적 추론의과정을 이어 감에 있어서 전통적인 추론 규칙이 과연 얼마나 제대로 작동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이 글은 바로 이러한 문제를 점검해 보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현대철학에서 가장 뜨거운 연구 주제 중의 하나로 꼽히는 ‘조건문’에대해 살펴봄으로써, 그에 관한 최신의 논의가 법학의 쟁점을 다루는 데 기여할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조건문을 단순함의로 보는 고전적인 이해와 달리, 그것을 확률적으로 이해하거나, 혹은 가능세계 의미론이라는 새로운 설명 체계를구축하려는 최근의 시도들을 통해서, 우리는 규범적 사고 실험 및 법적 추론을둘러싼 일련의 문제들에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의미 연구의 방향

        임지룡 한글학회 2008 한글 Vol.- No.28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sirable future directions for semantic research into the Korean language, based upon the semantic explorations that have been carried out by researchers to date. The main results of Korean semantic research prior to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semantics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content system of research into the Korean language. Secon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semantic research have become wider and deeper. Third, a significant amount of common ground has been established in Korean semantic research. The limits of semantic research into the Korean language are as follows: First, Korean semantic research still lags behind phonology and syntax in terms of precision and rigor of structure. Second, it appears not to be achieving the standard of international semantic research as recognised in general linguistic circles. Third, the amount of relevant research is insufficient to tackle to diversity and abundance of semantic aspects of the Korean language. And researchers have not shown much interest in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ir research. In view of these factors, this study considers semantic research into the Korean languag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proposes thre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irst, Korean semantic research needs to be soundly based in the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Second, Korean semantic researchers should be awar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nguistics of body, mind and cultural setting. Third, principles of semantic mechanisms arising from the research should be applied to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lexicography, language engineering, and neuroscience. Such appli cations should also contribute to an holistic view of humanity. In brief, the meaning of language is an abstract reality reflecting the mechanism of our mind, but the mind is formed on the basis of our bodily experience and the cultural background in which we live. This paper proposes, therefore, that when meanings are explored in the ways suggested, new horizons of Korean semantic research will open and its effectiveness will be maximized. 이 논문은 한국어 의미 연구의 성과와 반성의 바탕 위에서 앞으로 한국어 의미 연구에서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의미 연구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연구의 내용 체계에서 의미론은 음운론, 문법론과 더불어 한 축을 형성하였다. 둘째, 한국어 연구의 내용 체계로서 의미론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그 지평이 크게 넓어지고 깊이를 더하게 되었다. 셋째, 한국어 의미 연구에서 공동의 소통 공간이 구축되었다. 한편, 한국어 의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의미 연구는 대내적으로 음운론 및 문법론에 비해 그 짜임새나 정밀도가 약하다. 둘째, 한국어 의미 연구는 대외적으로 일반 언어학계의 의미 연구 수준에 비추어 뒤처진 면이 없지 않다. 셋째, 한국어 의미 연구는 한국어에 나타나는 의미 현상의 풍부함과 매력을 인식하는 데 충분하지 못하며, 의미 연구의 효용성이나 실용적인 목적에 시선이 미치지 못하였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의미 연구의 대립적인 관점을 살펴보고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한국어 의미 연구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어 의미 연구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어 의미 연구는 언어를 둘러싸고 있는 몸, 마음, 문화적 배경의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어 의미 연구에서 밝혀진 의미 작용의 원리는 언어 및 문화 교육, 사전 편찬, 언어공학 및 뇌 과학 등에 응용되어야 하며, 인간의 본질 규명에 이바지해야 한다.

      • KCI등재

        교체의 유형에 대한 일고찰

        양정호 ( Yang Jeongho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0 No.32

        본고에서는 조건에 따른 교체 유형을 음운론적 교체, 형태론적 교체, 통사론적 교체, 의미론적 교체의 네 가지로 제시하고, 기존 논의들에서 비음운론적 교체로 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다루어져 왔던 몇 사례에 대해 교체 유형을 재검토하였다. 논의의 전제로 형태소 개념을 “의미를 가진 최소 단위로서 동일한 의미와 상보적 분포를 보이는 이형태의 추상적 합”으로 재정의하고, 이형태들이 비배타적이면서 상보적인 분포를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체의 기준으로는 의미의 동일성과 상보적 분포라는 두 가지 기준을 명시적으로 제시하면서 의미의 동일성 개념을 “필요충분하게 기술된 의미가 동일해야 한다”는 의미로 규정하였다. 형태론적 교체는 개별 형태소 또는 단어 형성 층위에서의 조건에 의한 교체로 한정하였고, 통사론적 교체는 통사 범주가 교체의 조건이 되는 경우로 한정하였으며, 의미론적 교체는 의미 범주가 교체의 조건이 되는 경우로 한정하였다. 이러한 교체 개념과 유형을 바탕으로 몇 가지 언어 현상을 검토한 결과, 중세국어의 의문형에 나타나는 ‘가’와 ‘고’는 통사론적 교체, ‘않-’과 ‘말-’, ‘에’와 ‘에게’는 의미론적 교체로 규정하였으며, 품사 정보에 따른 교체는 통사론적 교체로 규정하였다. 끝으로 ‘벗-’의 반의어라 할 수 있는 ‘입-’, ‘쓰-’, ‘끼-’, ‘신-’이 형태론적 조건과 통사론적 조건이 동시에 작용하는 교체 현상일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This paper categorizes four types of alternation, i.e. alteration on phonolog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onditions in Korean language, upon which re-examines language phenomena that used be regarded as non-phonological alternation. For discussion, morpheme is defined as “a minimal meaningful unit and abstract sum of alomorphs that share the same meaning and complementary distribution.” In the discussion complementary distribution does not necessarily mean exclusive distribution. The same meaning and complementary distribution constitutes the criteria of alteration. The ‘same meaning’ indicates “described meanings that satisfied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are same.” Morphological alternation is limited to alternation based on the hierarchy of individual morpheme or word formation; syntactic alternation to alternations occur based on the syntactic categories; and semantic alternation to alternations occur based on the semantic categories. The discussion leads us to following conclusions. First, ‘ga(가)’ and ‘고 (go)’ belongs to syntactic alternation. Second, ‘anh-(않-)’ and ‘mal(말-)’, ‘e(에)’와 ‘ege(에게)’ are classified as semantic alternation. Third, alternations based on word class are assorted into syntactic alternation. Finally, the discussion suggests ‘ip-(입-)’, ‘ssɨ(쓰-)’, ‘kki-(끼-)’, ‘sin-(신-)’, anonym of ‘beos-(벗-)’, can defined as an alternation based both on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onditions.

      • KCI등재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추론주의적 설명과 연관 함의

        이병덕(Byeong-Deok Lee) 한국분석철학회 2012 철학적 분석 Vol.0 No.26

        양은석 교수는 그의 논문 “직설법적 조건문과 연관 함의”에서 필자가 주장한 직설법적 조건문에 관한 추론주의적 설명을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서 직설법적 조건문을 연관 함의를 통해 이해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필자의 제안에 따르면, 대략적으로 ‘A. ∴ C.’가 형식적으로 타당한 논증인 경우에 직설법적 조건문 ‘A→C’를 주장할 수 있다. 양 교수는 여기서 형식적 타당성의 기준이 무엇인지 판단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필자가 의미하는 ‘형식적 타당성’이 무엇인지 좀 더 명확히 설명한다. 또한 필자는 양 교수의 제안이 부적절한 대안임을 보이기 위해 네 가지 주장을 한다. 첫째, 직설법적 조건문은 연관 함의가 아니라는 메어즈의 주장에 대한 양 교수의 반박은 성공적이지 않다. 둘째, 양 교수의 주장이 보여주는 것은 직설법적 조건문의 경우에 전건과 후건 사이에 연관성이 있어야 하므로, 양자 사이에 함의관계가 성립할 경우 이 함의는 단지 실질적 함의에 불과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에 지나지 않는다. 셋째, 추론주의에 따르면, 전건과 후건 사이의 추론관계가 연역관계일지라도 양자 사이의 연관성은 연관 함의의 연관성, 즉 ‘전건으로부터 후건을 증명하는데 있어서 전건이 실제로 사용된다’는 의미에서의 연관성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전건과 후건 사이에 연역관계가 성립하는 경우에 양자 사이의 추론관계가 연관 함의여야 한다는 것은 반드시 도출되는 결론이 아니다. 넷째, 양 교수는 전건과 후건 사이의 추론관계가 함의관계인 경우에는 직설법적 조건문을 연관 함의를 통해 이해하고, 양자 사이의 추론관계가 함의관계가 아닌 경우에는 조건적 주장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안은 직설법적 조건문을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없도록 한다. In his paper “Indicative Conditionals and Relevant Implications”, Professor Eunsuk Yang criticizes my inferentialist account of indicative conditionals, and also argues for an alternative account, according to which we can regard indicative conditionals as relevant implications. On my account, roughly, if "A. ∴ C."is a formally valid argument, then the indicative conditional ‘Aㅡis warrantedly assertable. Yang argues, however, that the criterion of formal validity here is unclear. In this paper, I explain more explicitly what I mean by ‘formal validity’. In addition, I argue four things in order to show that Yang’s alternative account is implausible. First, I criticize his arguments against Mares"s claim that indicative conditions are not relevant implications. Second, on Yang"s view, if we restrict our discussion to such cases where the antecedent implies the consequent, the relation of implication must be that of relevant implication. But his claim is nothing more than a claim that, since the antecedent of an indicative conditional should be relevant to its consequent, if the antecedent implies the consequent, this relation of implication must be more than just material implication. Third, on an inferentialist account of indicative conditional, even when the inferential relation between the antecedent and the consequent is deductively valid, the relevance between the two might not be the relevance in the sense of relevant implication, namely, the sense in which the assumption of the antecedent is actually used to prove the consequent. Thus, even in such cases where the inferential relation between the antecedent and the consequent is deductively valid, it does not follow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must be that of relevant implication. Fourth, Yang regards indicative conditionals as relevant implications when the relation between the antecedent and the consequent is that of implication; otherwise, he regards indicative conditionals as conditional assertions. But this approach does not help us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dicative conditionals in general.

      • KCI등재

        은유에 대한 의미론적 접근 비판

        강선아 ( Sun Ah Kang ) 한국미학회 2011 美學 Vol.66 No.-

        단지 언어의 장식적인 사용일 뿐이라는 전통적인 비난으로부터 은유를 구제하기 위한 최근 시도들은 은유의 인지적 역할을 강조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연구들 중 은유의 의미 전달 측면을 강조하여 은유를 의미론적 현상으로 보려는 이론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진리조건 의미론의 전개 과정에서 은유적 의미가 의미론에 적합하지 않다고 간주된 이유를 각각 데이비슨의 외연적 의미론과 프레게의 내포적 의미론의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은유가 외연적 의미론과 내포적 의미론 중 어디에도 포함될 수 없는 주된 이유는 은유가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현상은 지시사와 같은 언어 표현에도 나타나며 카플란의 특성(character)과 내용(content) 구분은 지시사의 맥락 의존성을 의미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카플란의 Dthat개념은 일상적 표현이 지시적으로 사용되는 현상 역시 의미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스턴의 Mthat 이론은 이러한 카플란의 Dthat 이론을 은유 이론에 적용한 것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Mthat은 Dthat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표현을 맥락 의존적 표현으로 만들지만 내용으로 대상을 산출하는 Dthat과는 달리 Mthat은 속성들의 집합을 산출한다. Mthat은 은유를 정당하게 의미론에 포함시키면서도 맥락에 따라 다양한 은유적 해석이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된다. 그러나 Mthat의 도입은 우리의 언어적 직관에 맞지 않으며 언어의 형식 체계를 지나치게 복잡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논의로부터 이 글에서는 은유에 대한 의미론적 접근은 은유의 인지적 역할을 주장하기 위한 적절한 방식이 아니라고 결론 내린다. Metaphor has been blamed for its emotive feature and for its dubious cognitive role. Recently, many theorists who attempt to defend metaphor from these blames emphasize the cognitive aspects of metaphor by means of metaphorical meaning. In this paper, I shall exam the semantic approaches to metaphor and show the reason why metaphorical meaning is not appropriate for truth-conditional semantics, neither extensional nor intensional. The main obstacle to the semantics of metaphor is that the meaning of metaphorical expressions varies depending on the context. Stem attempts to solve this problem with Mthat operator which has similar but distinct function from Kaplan`s Dthat. Both Dthat and Mthat make stable character into unstable, but unlike the character of Dthat, which yields an individual as its content, the character of Mthat expression yields sets of properties. On this base, Stem argues that metaphors are semantic clements. However, our linguistic intuition doesn`t support the existence of Mthat operator with regard to metaphor interpretation. Moreover, Mthat operator makes the syntactic structure of the language too complicated. The failure of the semantics of metaphor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semantics is not an appropriate method to show the cognitive aspects of metaphor.

      • KCI등재

        사실적 조건문에 대한 연구

        조춘유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먼저 비사실적 세계뿐만 아니라 사실적 세계에서도 조건문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명확히 하고, 사실적 조건문에 들어갈 수 있는 조건문 유형을 분석해서 사실적 조건문이 어떤 의미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연구 방법: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다양한 사실적 조건문들을 면밀히 분석한다. 연구 내용: 2장은 기존 연구에서 조건문의 분류에 대해 검토하고 어떤 조건문이 사실적 조건문으로 볼 수 있는지 분석한다. 3장에서 사실적 조건문의 의미 특성을 밝히는 시도를 한다. 결론 및 제언: 비사실적 세계뿐만 아니라 사실적 세계에서도 조건문이 형성될 수 있다. 사실적 조건문에 직시적 조건문, 시간적 조건문, 총칭적 조건문 등이 속하고 있다. 그리고 사실적 조건문의 선행절과 후행절이 인과 관계를 가지고 있고, 총칭성과 일반성을 가지고 있다. 사실적 조건문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많지 않아서 추후의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