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미분석철학은 인문학인가?

        한우진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18 No.-

        Analytic philosophy, which started as a reaction to continental philosophy, tries to solve philosophical problem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arguments in terms of logic. In Korea, continental philosophers and other humanities researchers have regarded analytic philosophy as a sort of natural science. Human science, which has found its identity in denying scientific approaches to qualitative subjects, does not seem to have a relation to analytic philosophy. This paper first reviews a short history of analytic philosophy and big problems of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and then explains its nature as a successor of philosophical traditions, asking fundamental questions with the reflexive attitude through critical thinking. Many humanities researches are too unflexible against scientific approaches to problems which belongs to human science. Analytic philosophy, which asks fundamental questions and has the open critical mind, teaches us that human science should be critical about its attitude against natural science. 19세기 이후 대륙철학에 대한 반동으로 시작한 영미분석철학은 논리학을 바탕으로 논증의 분석과 평가를 통해 철학적 문제를 해결한다. 우리나라의 인문학자들에게 분석철학은 인문학이 아니라 과학과 유사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질적 영역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거부에서 자기정체성을 찾아왔던 인문학과 분석철학은 잘 어울리지 않는 듯하다. 본 글은 분석철학사와 동시대 분석철학의 주요 흐름을 검토한 후, 근본학으로서 철학의 전통을 계승하며 비판적 사고와 반성적 태도에 철저한 분석철학의 성격을 규명한다. 여러 인문학자들은 인문학의 문제에 대한 과학적 접근에 지나치게 경직된 모습을 보인다. 분석철학의 근본학으로서의 성격과 열린 비판 정신은 인문학이 과학을 대하는 스스로의 태도까지 비판할 수 있어야 함을 역설한다.

      • 다문화 가정 청소년 및 부모를 위한 소통과 치유의 인문학

        조우호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18 No.-

        The healing experience through our civil humanities courses gives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bove all a self-healing required to live in our society through the experience of empathy and mutual understanding. This experience gives them the vitality of life. The purpose of our course is to prepare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to regain emotional stability in our society, so that they can be integrated into our society naturally. At the end of the course, the whole students watch those videos, which they have made through the course, and thereby they have a time to talk about their experiences and share them with each other and with other generations. Our course will be a stepping stone in this way for the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r migrant women and their husband to understand and acknowledge each other. Furthermore it will be a little help for them to live in Korea more actively and independently. 본 시민인문강좌를 통해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은 우리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자가적 치유체험을 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치유체험을 통해 삶의 활력과 시민과 시민 간의 상호이해와 공감의 폭을 확장하게 될 것이다. 우리의 강좌는 다원주의적 시각에서 우리 속의 타자인 이주자들의 혼용성과 정체성을 아우르고, 이들이 우리사회에서 정서적 안정을 되찾고 자연스럽게 사회에 통합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할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강좌 마지막에는 전 과정의 수강생들이 제작한 영상물을 감상하고, 그 영상물이 가지는 의미 및 자신들이 표현하고자 것을 이야기하고 함께 공유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각각의 세대와 성이 공감하고, 이해하며, 소통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이러한 공유과정은 서로 비슷한 상황에 놓여 있으면서도 서로를 이해하기 힘들었던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과 이주여성 그리고 이들의 남편이자 아버지가 서로를 보다 더 이해하고, 인정하는데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더 넓게는 아직은 다문화 가정에 대해 폐쇄적인 한국 사회에서 보다 자주적이고 능동적으로 삶을 개척해 나가는데 작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960-70년대 이천일대 재현자기再現磁器 장인 활동과 그 의미

        김소연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 Vol.37 No.-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the masters who produced porcelain were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and factories were operated by Japanese in Joseon. The production of reproduced porcelain was reconstructed in the early to mid-1960s, when new ceramics activities began in Icheon and Yeoju, Gyeonggi-do,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At this time, Yoo Geun-hyung and Ji Sun-taek came down and settled down in the Icheon area. They newly settled in Icheon after retiring from the Seongbuk-dong kiln and Daebang-dong kiln, which were operated in the late 1950s. After coming down to find a lacquer kiln located in Sugwang-ri, Icheon, they become enthusiastic about experimenting with reproduction. In addition to these people at the time, figures such as Shin Sang-ho, Jo So-su, and Bang Cheol-ju also came to Icheon for the sake of reproduction, but there are somewhat different parts in their roles and transmission methods, so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ir personalities and pay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rocess of reproducing Korean ceramics and forming a new succession and restoration structure after the 1960s developed in the Icheon area and to organize its meaning. 본 연구는 한국전쟁 이후 서울에 모여 작업을 재개한 재현자기 장인들이 1960년대를 기점으로그들의 활동무대를 이천으로 옮겨가게 된 배경 및 원인과 활동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이천일대에형성된 인・물적 인프라를 통하여 1960년대 이후 한국도자가 재현되고 새로운 계승과 복원구조를형성시키는 과정들이 당시 이천의 재현자기 장인들에 의하여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피고 그의미를 정리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재현자기의 생산이 다시금 일정 틀을 갖추고 재건된 시점은 광복과 한국전쟁을 거친 이후로, 경기도 이천과 여주 등지에서 새로운 요업활동이 시작되던 1960년대 초중반 무렵에 이르러서라고 할 수 있다. 당시 이천일대에는 1950년대 후반 서울의한국조형문화연구소(성북동가마)와 한국미술품연구소(대방동가마) 등에서 근무하던 유근형, 지순택 등이 퇴직 후 내려와 자리를 잡는다. 이들이 여주나 광주가 아닌 이천에 정착한 이유는 이천수광리에 위치한 칠기가마의 존재 여부에 있었다. 특히 칠기가마의 구조는 자기가마와 동일하였다. 따라서 대방동가마에서 나와 재현자기 작업을 지속하고자 했던 장인들에게는 바로 활용 가능한시설과 환경이 갖추어진 곳으로 제격이었다. 당시 이들 외에도 이천일대에는 재현자기 제작에 있어 주축이 되었던 많은 장인들이 모여 전통도자를 전승함에 있어 각기 다른 역할로 매진하였다. 실질적인 제작, 판로개척과 유통 등 각각의 역할은 조금씩 달랐으나 상호 이해관계 속에서 공생하며 재현자기 제작, 요장의 운영 그리고 기술 전파를 통한 계보 형성에 힘썼다. 특히 이들은 1980년대 이후로 현재까지 이어지는 이천 도예 역사의 일면을 형성하는데 초석이 되었다는 것에 있어매우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민중과 역사 : 1970년대 이후 민중사의 추이와 민중상의 변화

        정무용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16 No.-

        'Minjung' is Korean Unique collective subject. In post-liberation period, since 1970s the 'Minjung' was noted as historical subject. In 1980s this was located leading position in all the radical and revolutionary discourse. After 1990s, however, because of the mood of post-cold war and the introduction of the postmodernism, this concept is dethroned. This change of position of 'Minjung' is similar with the history of 'Minjung'. Thus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nsition of history of 'Minjung' and the change of position and function of 'Minjung' in historical discourse. At first, as prehistory of the history of 'Minjung', This article reviews appearance of 'Minjung discourse' and 'history toward reunification' suggested Kang, Man-Gil in 1970s. And then, it analyzes discourse structure of history of 'Minjung' in 1980s. At last, it examines the new writing of history of 'Minjung', that is, the histories of every day life of 'Minjung' after adoption of postmodernism. 본고는 1970년대~1990년대 민중론 내에서의 민중 개념의 변화를 다룬다. 특히 사론의 측면에서 제기된 민중론의 추이를 서술한다.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70년대 등장한 분단극복의 역사학에서 민중의 시각을 강조하는 역사학이 나타났다. 이 시기에 민중은 역사 발전의 단계를 가늠하는 지표였다. 민중은 1980년대 사회운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역사 발전 및 변혁의 주체로 설정되었다. 민중사학을 제창한 소장역사학자들은 변혁 주체로서의 민중의 성장을 역사 속에서 구체화하며 그것의 필연적 발전과정을 체계화하고자 했다. 1990년대 들어 1980년대의 민중사론은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갔다. 하지만 '민중' 중심의 역사쓰기는 완전히 버려진 것이 아니라 일상을 살아가는 '민중의 역사(들)'로 재해석되기시작했다.

      • KCI등재

        덕성여자대학교와 덕성여자중고등학교 개교기념일 재검토

        한상권 ( Han Sang Kwo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30 No.-

        The Duksung Academy, which celebrates its 100th anniversary in 2020, has three anniversaries: May 17, April 19 and Oct. 10. First of all, May 17 is the day the university celebrated its opening day. Duksung Women's University's anniversary has been known as May 17, 1950. However, it is not true that Duksung Women’s University opened on May 17, 1950, as a two-year junior college. Second, April 19 is the day the Duksung Academy celebrates as its founding anniversary since 2004. Established on April 19, 1920 as the school's founding anniversary, it was the first time that women's night classes were started at the Joseon Women's Education Association's Women's Night School, founded by Cha Melissa, the founder of the Duksung Academy. Third, October 10 is the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Duksung Girls' Middle and High School. Duksung Girls’ High School celebrates this day as the day when Geunhwa Girls’ High School was accredited in 1921. The truth, however, is that the principal took over the school from the U.S. military authorities in 1945. Celebrate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the Duksung Academy in 2020, the anniversary needs to be unified into one. To do so, we have to change the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Duksung Girls' High School, which has been wrongly honored so far. “The beginning of middle and high schools should be seen as April 19, 1920,” said Duksung Girls’ Middle School principal and president of the university’s general association. By honoring the founding anniversary of the school on April 19, 1920,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under the Duksung Academy need to redefine the meaning of celebrating the centennial of the school.

      • KCI등재후보

        2부 대학의 운영과 의미 - 덕성여대를 중심으로 -

        김현지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installation factors and operation of the night colleges, which were actively operated from liberation to the 1980’s. Duksung Women 's University is the first university that established night college among the female universities. In case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it is also a special point that the spirit of the founder, “self-reliance, self-consciousness, self-awareness,” i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night college that enables women with jobs to finance themselves and continue their studies. Althoug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night college was very positive in this way, it was also a means to demonstrate the convenience of the university, and the students were evaluated to have lower academic ability than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rst grade.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out the reality of the night college at that time and to check the meaning of that again. 본고는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활발하게 운영되었던 2부 대학(야간대학)의 설치 요인과 그 운영을 살핌으로써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많은 2부 대학 중 여자 대학으로는 최초로 2부를 설치하여 운영하였던 덕성여대를 그 대상으로 삼았다. 덕성여대의 경우 ‘자생, 자립, 자각’이라는 설립자 차미리사의 정신이 직업을 가진 여성들이 스스로 학비를 조달하여 학업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는 2부 대학의 설립 목적과 일치하는 점 역시 특별하다 할 수 있다. 2부 대학의 설립 목적은 이처럼 매우 긍정적인 것이었으나 대학의 입장에서 편법을 발휘할 수 있는 수단이 되기도 하였고, 학생들은 근거 없이 1부 대학생에 비해 낮은 학력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본고 에서는 당시 2부 대학과 재학생의 실상을 밝혀 2부 대학의 존재 의미를 다시금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연구논문> 주자청(朱自淸) 「배영(背影)」의 수사학적 분석 -에토스와 파토스를 중심으로

        송미령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18 No.-

        本論文從修辭學的角度針對朱自淸的散文〈背影〉進行了硏究,通過修辭學的說服技巧科學地分析出〈背影〉給予讀者感動的原因。爲此本論文闡述了修辭學的三大說服技術中人格訴者與情感訴者的表述手法。其結果, 發現了〈背影〉的人格訴者向讀者提供對〈背影〉的信賴及對〈背影〉主題父情的確認, 情感訴者使讀者産生感動。本論文后續計劃將硏究擴大到文學各方面、廣播通信、日常談話等范疇, 以闡明爲溝通與說服所需要何種技巧和因素。

      • 차미리사의 기독교 민족운동관

        최병택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22 No.-

        차미리사는 기독교적 사회복음주의에 입각하여 인격 양성, 실업 교육을 통한 ‘실력양성’을 중시했다. 인격 양성을 중심으로 하는 실력양성론은 1920년대 당시 감리교계 민족운동가들의 사회운동론과는 그 지향점이 달랐다. 당시 감리교계는 경제적실력양성론에 치우쳐져 ‘미곡 생산량만 늘리면 경제력을 강화할 수 있고, 민족 독립의 여지도 높아질 것’이라는 식이라는 논리 하에서 사회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경제적 실력양성론을 주장하던 감리교계의 신흥우와 박인덕 등은 1930년대에 감리교 교권을 장악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활동을 펼쳤는데, 그 과정에서 경제적 실력양성론과 다른 입장에 서 있던 차미리사가 공격의 표적이 되었다. 그로 인해 차미리사는 덕성여자실업학교 운영에서 손을 떼야 했다. Cha-Mirisa carried out the Movement of Improving Ability in 1920’, which featured character-building. That was different from other leaders in the Korean Methodist church who had persisted that improvement in standards of economic state of korea is crucial. That idea of improving character underlaid much of his work on DukSung-school. In 1930’, Many leaders in the church turned coat and became pro-Japanese . They tried to drive out other leaders who held a different opinion on nationalistic movement such as Cha-Mirisa. The result brought Cha-Mirisa’s resignation from the council of DukSung.

      • 융합 교과목 확대를 위한 방안 모색<정서의 이해와 조절>의 개발 및 운영 경험을 토대로1)

        정미숙,김미리혜,차지영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14 No.-

        In today's knowledge-based society, universities need to turn out individuals withcreativity and judgement who can read the flow of modern knowledge. In order toprovide fertile soil for students to become such individuals, universities havedeveloped various courses and programs. Convergence courses, a relatively new kindof such, were offered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Understanding andRegulation of Emotion>, one of them, was developed as a liberal arts course. Inthis paper, the authors tried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developing a convergencecourse from our experience of developing <Understanding and Regulation ofEmotion>. Three professors with different majors and specialties, namely psychology,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and food and nutrition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of subject and lecture. The objectives of the course have been decided afterdiscussion; to help the students examine the notion of emotion from variousperspectives, and to let them cultivate the emotion regulation methods of their own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fulfill self-actualization and enhance quality of life. Based on feedback from the enrolled students and faculty, the course was educationaland helpful. 오늘날의 지식기반 사회는 지식의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판단력과양질의 지식에 바탕을 둔 창의성을 갖춘 인재를 요구한다. 이러한 인재는 여러학문분야에 대한 기본 소양이 있어야 하므로 대학에서는 다양한 학문 간의 융합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및 학문적 요청에 부응하여 융합 교과목인<정서의 이해와 조절>을 덕성여자대학교 교양 강좌로 개설하였다. 이 교과목의개발 및 강의에는 심리학, 불어불문학 및 식품영양학 전공의 3인 교수가 참여하였다. 이 강좌를 통하여 학생들이 인문, 사회 및 자연계 분야를 아우르는 통합적시각으로 정서를 이해하고 정서 조절법을 익혀서,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적응력을제고하고 효과적으로 자기의 능력을 발휘하며 질 높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교과목의 시도는 수강학생들과 참여교수들의 평가를통하여 살펴볼 때, 매우 긍정적이었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