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운드기술 도입에 따른 독일 우파영화사(Ufa)의 영화전략 -<푸른 천사>와 <주유소의 세 친구>의 사운드미학을 중심으로-

        이주봉 ( Lee Ju Bo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2

        본고에서는 독일 우파영화사의 유성영화로의 전환 결정에 따른 독일영화산업의 유성영화로의 이행을 기술예술로서 영화매체의 면모를 확인하는 하나의 사례로 읽고 있다. 유성영화로의 이행기 우파영화사의 영화전략은 새로운 미디어기술 도입에 따른 사운드 중심의 새로운 영화 미학적 면모 및 영화 산업적 의미를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영화현실`로 대변되는 환상적 영화세계를 구현하며 당대의 사회문화적 커뮤니케이션의 일단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본고에서는 유성영화 초창기인 1930년 세상에 처음 선보인 <푸른 천사>와 <주유소의 세 친구>를 예시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서 영화매체가 산업적·상업적 맥락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우파영화사가 뉴미디어 기술인 사운드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현실을 기계적으로 재현하는 영화적 태도보다는 - 무성영화가 지향했던 것처럼 - 하나의 완결된 영화세계를 구현하는 제도적 재현 양식으로서의 영화적 면모를 강화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filmic strategy of Ufa(Universum Film AG.) through introducing of sound technology in the german film industry and to understand features of the film as a technology medium. For this, I would like to explore the filmic strategy of Ufa during the early talkies period in Germany. The transition from the silence film to the sound film in Germany had been completed, not with a long plan but speedily such like lightning. In fact, Ufa was not interested in the transition to the talkies. But Hollywood(Warner Bros.) produced the first sound film “Jazz Singer”(1927) successfully and Ufa was in a financial cr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In 1928, the new General Director Ludwig Klitzsch and Erich Pommer, who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ducer in the German film history, led Ufa through the transition into talkies with the new sound technology in order to overcome the financial crisis. Ufa took an advantage over the other film companies in Germany in the era of the sound film production because it already had a benefited contract with Tobis-Klangfilm, which had the license for the sound technology in Germany. Ufa was the biggest film studio in whole Europe and the only competitor to Hollywood at that time. This german film studio would aim at the film market in Germany as well as in the world with the new film technology. In late 1929, Ufa released “Die Melodie des Herzens”, which was originally planed as a silent film but was eventually producted as the first sound film of Ufa that is regarded as the first synchronized dialogue and singing in a feature film. After that, Ufa produced the sound films with a big budget such like "Der Blaue Engel"(1930), "Die Drei von der Tankstelle"(1930) or "Der Kongreß tanzt"(1931). Ufa got worldwide success with these films and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film market both in Germany and in Europe. Ufa recognized film as a medium for the dream factory and tried to provide a fantastic film world for the audience who wanted to seek for an utopian paradise in the movie theater. Especially with introducing the new film technology, Ufa could strengthen this fantastic film world in the movie theater. I would like to focus on analysing two sound films, i.e. "Der Blaue Engel" and "Die Drei von der Tankstelle" and explain the innovative aesthetic and filmic strategy of Ufa through introducing the new sound technology.

      • KCI등재후보

        Shot length distributions in the short films of Laurel and Hardy, 1927 to 1933

        Nick Redfern(닉 레드펀)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2 씨네포럼 Vol.0 No.14

        스탠 로렐과 올리버 하디는 1920년 후반 무성영화시대에서 유성영화시대로의 전환기에 성공적으로 살아남은 몇 안되는 코미디 배우라고 할 수 있다. 로렐과 하디 영화에서 음향 기술의 영향은 1927년에서 1929년 사이에 제작된 무성단편영화(n = 12)와 1929년과 1933년 사이에 제작된 유성단편영화(n = 20)의 평균 샷 길이와 샷 길이의 분산을 비교함으로써 분석된다. 그 결과에 따르면, 무성영화의 평균 샷 길이(중앙값 = 3.5s [3.2, 3.7 95% CI])와 유성영화의 평균 샷 길이(중앙값 = 3.9s [95% CI : 3.5, 4.3]) 사이에 큰 차이(U = 56.0, p = 0.0128, PS = 0.2333)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HLΔ = 0.5s (95% CI : 0.1, 1.1)는 유성영화에서 샷의 길이가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유성영화(중앙값= 3.0s [95% CI: 2.6, 3.4])와 무성영화(중앙값 = 2.4s [2.1, 2.7 95% CI])에 대한 Qn의 비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증가가 HLΔ = 0.6s (95% CI : 0.1, 1.1)으로 추정된 샷 길이(U = 54.5, p = 0.0109, PS = 0.2271)의 분산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비록 통계적으로 중요하지만, 이러한 차이는 영화 스타일과 음향 기술의 다른 정량 분석에 보고된 것보다 작다. 이것은 할 로치의 판토마임에 대한 위임과 로렐, 하디, 그리고 그들의 제작팀의 작업방법에 대한 역할, 사운드에 소홀한 로치의 제작 관행 등에서 찾을 수 있다. Stan Laurel and Oliver Hardy were one of the few comedy acts to successfully make the transition from the silent era to sound cinema in the late-1920s. The impact of sound technology on Laurel and Hardy films is analysed by comparing the median shot lengths and the dispersion of shot lengths of silent shorts (n = 12) produced from 1927 to 1929 inclusive, and sound shorts (n = 20) produced from 1929 to 1933, inclusive.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U = 56.0, p = 0.0128, PS = 0.2333) between the median shot lengths of the silent films (median = 3.5s [95% CI: 3.2, 3.7]) and those of the sound films (median = 3.9s [95% CI: 3.5, 4.3]); and this represents an increase in shot lengths in the sound films by HLΔ = 0.5s (95% CI: 0.1, 1.1). The comparison of Qn for the silent films (median = 2.4s [95% CI: 2.1, 2.7]) with the sound films (median = 3.0s [95% CI: 2.6, 3.4]) reveal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s the dispersion of shot lengths (U = 54.5, p = 0.0109, PS = 0.2271) estimated to be HLΔ = 0.6s (95% CI: 0.1, 1.1). Although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differences are smaller than those reported in other quantitative analyses of film style and sound technology, and this may be attributed to Hal Roach’s commitment to pantomime, the working methods of Laurel, Hardy, and their writing/producing team, and the continuity of personnel in Roach’s unit mode of production which did not change substantially with the introduction of sound.

      • KCI등재

        영화관의 형성과 관람의 근대 : 『경성과 도쿄에서 영화를 본다는 것-관객성 연구로 본 제국과 식민지의 문화사』에 대한 서평

        송효정 ( Song Hyo-jou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8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6 No.2

        정충실의 『경성과 도쿄에서 영화를 본다는 것-관객성 연구로 본 제국과 식민지의 문화사』(현실문화, 2018)는 1920~30년대 제국 도쿄와 식민지 경성의 영화체험 및 그에 수반되는 관객성(spectatorship)을 비교하고 검토하는 책이다. 이 책에서 언급하는 관객성이라 함은 영화 텍스트, 상영 환경, 사회, 역사 등에 의해 유동적으로 결정되어 다양하게 존재하는 관객과 그들의 관람 양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념화된다. 저자는 이 시기 도쿄와 경성의 영화관이 ‘노는 방식’과 ‘주시하는 방식’으로 분류되고 있음을 언급한 후 각각의 관람양식의 특성을 비교한다. 결과적으로 1930년대 경성 영화관은 일본 도쿄의 니시긴자 영화관의 세련된 영화문화에 대한 열망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후 도호 등의 영화사가 경성의 대형 고급 영화관을 직영하게 되면서 경성의 고급 영화팬들은 기존 영화관에 비교해서 우수한 남촌의 대형 고급 영화관을 애호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1930년대가 되면 영화관 관객의 민족 경계가 붕괴하고 영화관 간의 서열 관계가 강화되며 경성 영화 흥행계가 변동되게 되는데, 이는 일본에서의 관람 문화가 새로운 영화문화 및 영화 산업에 변화를 끼친 결과였다. 저자는 변사, 악사, 가수 등의 퍼포먼스를 청각적으로 즐기며 소란스럽게 영화를 관람하는 ‘노는 방식’의 문화의 고유한 특징이 고립된 1인 좌석에서 자막을 통해 시각적으로 영화에 몰입하는 ‘주시하는 방식’의 문화로 변이해 간 과정에 전반을 ‘불균질’한 관람 문화라 언급하는데 그 의미가 분명치 않다. 이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영화관 문화 형성 과정 뿐 아니라 상영 프로그램, 향유된 영화 형식과 장르, 할리우드 관람문화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 및 다중적 식민성에 대한 고찰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Seeing Movies in Keijo and Tokyo in the 1920~1930 : Cultural History of Empire and Colonialism (Joung, Chung-sil, 2018) is about film experience of Imperial Tokyo and Colonial Keijo(京城) in the 1920s and 1930s. It is a book also that compares and examines the spectatorship. The spectatorship mentioned in this book is conceptualized to mean the various viewers and their viewing patterns, which are dynamically determined by the movie text, screening environment, society, and cultural history. The author notes that the cinemas in Tokyo and Keijo during this period are classified as ‘playing way’ and ‘watching way’, and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iewing style. As a result, the 1930s Keijo Cinema had a longing for a sophisticated cinematic culture in the Nishi Ginza Theater in Tokyo, Japan. Since then, the film companies like Toho have been directing a large-scale movie theater in Keijo. It has resulted in favoring the excellent high-end movie theater of Namchon(南村). In the 1930s, the ethnic boundaries of movie theaters collapsed an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e theaters was weakened. And then the entertainment industry in Keijo was changed. To the end, it is regrettable that the screening program, the film format and genre enjoyed, and the standardization of Hollywood viewing culture are missing.

      • KCI등재

        할리우드 초기 영화 음악 발전에 관한 연구 -1926~1934년을 중심으로-

        협초연(Ye Chao Ra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8

        할리우드가 가장 먼저 유성 영화 제작에 성공했기에 글로벌영화산업 및 음악제작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으며 미국 영화산업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다. 워너브러더스, 디즈니, 20세기 폭스, 유니버설 픽처스와 컬럼비아 픽처스 등 메이저 영화사들이 모두 할리우드를 중심으로 활동하기 시작했고 할리우드로 세계 최고의 영화제작자와 모델들이 모여들었다. 이로써 할리우드는 영화의 생산은 물론 전 세계 영화의 개봉과 발행을 지배하게 한다. 세계 각국에서 할리우드 영화는 전체 영화 개봉작의 60~90%를 차지한다. 본 논문은 1926년부터 1934년까지 할리우드의 초기 유성 영화 음악의 발전을 연구하였으며, 이 시기 영화 음악은 그 뒤 영화 음악 시장을 이끌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무성 시대는 훌륭한 영화 음악 전통을 간직한 채, 황금시대 영화 음악을 위한 길을 닦았다. 대표작을 통해 할리우드 초기 유성 시대 음악 콘셉트영화 활용 및 음악의 인용에서 오리지 널 원작 음악으로의 전환, 비 서사적 음악과 서사적 음악의 결합 등의 실례를 연구하였다. 이 시기 영화 음악의 다양성과 공통된 영화 음악 창작기법들을 분석하였다. Hollywood is synonymous with the American film industry. It was the first to successfully step into the production of talkies, and it is also the production center of the global film industry and music. Warner Brothers, Disney, twentieth century fox, universal, Columbia pictures film brings together the big studios in Hollywood, the Hollywood has the world s top film production mode, dominate the production of the film and movie theaters and issue all over the world, around the world, Hollywood movie release of 60 ~ 90% advantage. This paper studies the development of early Hollywood talkies music from 1926 to 1934. The film music m this period plays an important role m connecting the past and the future. It retains the excellent soundtrack tradition m the silent film era and paves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music m the golden age. Through the analysis of representative works of Hollywood early sound era theme music in the film, the application from the reference music to the transition of the original music, the narrative music and narrative music combined with case study, demonstrates the diversity of film music during this period, as well as some unique film music creation technique.

      • KCI등재

        심훈의 전기적 생애에 따른 시나리오의 변모 양상 고찰

        오영미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South Korean screenwriter Shim Hun’s world of scenarios as part of a study on South Korean screenwriters. To date, studies on Shim Hun have largely focused on his aspect as a novelist and his life story. Because he has more commonly been known as the writer of the novel <Sangnoksu> more in-depth studies and their accumulation are necessary in view of his life’s legacy and the value of his remaining works in the country’s film history. Although some studies that paid attention to his scenarios achieved their own fruition, they focused on either researching his narratives and subjects within the correlations of literature and films or identifying the meaning of cine-novels in terms of their origin.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connect his biographical records 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his works, which inevitably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absence of films or other records from the era of Shim Hun, and to focus on the coherent characteristics that encompass his overall scenarios. From this viewpoint, this study also included the review of <Daegyeongseong Gwangsangok>, which the other studies have not dealt with thus far, although this scenario is incomplet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Shim Hun, who mainly recognized the popularity of films, enjoyed using the triangular dynamics of characters in his scenarios. Here, the study could not only understand his awareness of popularity, but also trace his positions about the reality of the country under colonial rule 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his works after he retired into the countryside. In addition, he may have been influenced by his mentor Minoru Murata during the period when he experienced Japan’s film world. As shown in his film reviews, he took notice of expressive films, and the patterns of how his such recognition were revealed in his scenario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In addition, although <Sangnoksu> is the scenario for a silent film, it was written at the time when sound films emerged in South Korea, and thus the traces of his pursuit for sound films were observed in the scenario. Based on the results of discussions in this study, Shim Hun’s position in the country’s history of scenarios can be identified as follows: As a leading intellectual in the initial stage of South Korean films, he could be named as the country’s frist professional cine-novel and scenario writer. He was influenced by the West’s expressive films via Japan,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creation included his national awareness of the country’s reality as a colony and the transitional traces of sound films in his works during his life in the silent-film era. 이 논문은 한국 시나리오 작가 연구의 일환으로 심훈의 시나리오 세계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동안 심훈에 관한 연구는 주로 소설가적 면모와 생애사적 연구에 치중되었다. 소설 <상록수>의 작가로 더 많이 알려져 있던 탓으로 보이는데, 삶의 족적이나 남아있는 작품의 영화사적 가치로 보더라도 깊이 있는 연구의 진전과 축적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의 시나리오에 주목하여 연구한 몇몇 연구 성과가 보이지만 문학과 영화의 상관관계 속에서 내러티브와 주제 연구에 치중돼 있거나 영화소설의 기원적 의미규명 등에 집중돼 있다. 그래서 본 논의는 심훈 시대의 필름이나 여타의 기록들이 부재한 상황에서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는 전기적 기록과 작품의 변모과정을 연결해 보고, 시나리오 전반을 아우르는 특징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미완의 작품이지만 그동안 여타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대경성광상곡>을 포함시켰다. 그 결과, 영화의 대중성에 주된 인식을 가졌던 심훈이 그의 시나리오에서 인물의 삼각구도를 즐겨 사용한 것을 볼 수 있었고, 여기서 대중성 인식뿐만 아니라 식민지 현실에 대한 그의 입장과 낙향 이후 변모되는 과정을 추적해 볼 수도 있었다. 또한 일본 영화계 체험 시기에 스승이었던 무라타 미노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고, 그의 영화평에서도 드러나듯이 표현주의 영화에 대한 관심에 주목했고, 이러한 그의 인식이 시나리오에 드러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에 유성영화가 등장했던 시기와 맞물리는 시나리오 <상록수>에서 무성영화 시나리오이지만 유성영화를 지향한 흔적들을 발견하게 되었다. 논의의 결과로, 심훈의 시나리오사적 위치를 규명해 보면, 한국 영화 초창기의 선구적 지식인으로 영화소설과 전문적 시나리오 작가로서 최초라고 이름 붙일 수 있으며, 일본을 통해 받아들인 서구의 표현주의적 영화의 영향을 받았고, 식민지 현실에 대한 민족적 인식과, 무성영화기에 살면서 유성영화의 이행기적 흔적을 창작세계의 특징으로 지니고 있는 작가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가무단에서 스크린으로 - 1930년대 롄화가무반(聯華歌舞班) 연구

        김태연 ( Kim Taeyou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8 도시인문학연구 Vol.10 No.2

        본 논문은 중국대중음악이 영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질적, 양적 성장을 이루게 되는 과정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중국 대중음악의 ‘鼻祖’로 호칭되는 리진후이(黎錦暉)가 이끌었던 롄화가무반(聯華歌舞班)이라는 단체를 중요한 고리로 설정한다. 1931년에 결성되어 1932년에 해산한 이 단체는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롄화영화사(聯華影業公司)와 리진후이의 가무단이 결합한 조직으로서, 롄화 영화사가 유성 영화 제작을 위해 필요한 인력―영화음악의 작곡자, 연주자, 가수 및 배우―을 확보하고 양성하기 위해 당시 가장 인기 있던 리진후이의 가무단을 인수한 것이다. 롄화가무반은 중국 대중음악의 탄생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가무단이 영화계로 진입하는 단계를 보여준다. 따라서 롄화가무반이 결성되는 맥락, 롄화가무반의 구성 및 활동, 롄화가무반의 특성과 해체 후의 향방 등을 추적하는 것은 중국 대중음악이 영화와 결합하면서 어떤 형태적, 질적 변화를 겪게 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중국 30-40년대의 대중음악과 영화산업의 관계는 사실 매우 방대한 주제이기 때문에 본고에서 다룬 것 외에 고찰해야 할 부분이 매우 많이 남아있다. 본고에서는 연구의 실용성을 위해 롄화가무반이라는 하나의 고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이 하나의 고리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향후 작업에서는 더욱 광범위하고 전면적인 시각에서 중국의 대중음악이 영화산업과 결합하여 어떠한 질적·양적 변화를 창출해내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This paper studies the organization called Lianhua Song and Dance Group, led by Li Jinhui, who is called now “The First Man of Chinese Pop Music,” as the key figure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Chinese pop music and the movie industry in the 1930s Shanghai. Established in 1931 and disbanded in 1932, the group has, as its name suggests, produced by Lianhua Pictures and Li Jinhui. Lianhua Song and Dance Group shows the stage in which a group of singers, closely related to the creation of popular music in China, enters the film industr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rack the context in which Lianhua Song and Dance Group is made, the composition and activities of the singing group, and the direction of Chinese popular music with the growth of the movie industry. In fact,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music and the film industry in China in the 1930s and 1940s is such a huge subject that there is a lot to be considered other than what was covered in the paper. In the future studies, it would be required to look at what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Chinese pop music made by combining with the film industry from a more holistic point of view by adding a study of film music by leftist musicians.

      • KCI등재

        프리츠 랑의 <마부제 박사의 유언 Das Testament des Dr. Mabuse> (1932/1933)에 나타난 매체적 특성과 의미

        김성현 한국독일어문학회 2024 독일어문학 Vol.104 No.-

        이 논문은 프리츠 랑의 초기 유성 영화인 <마부제 박사의 유언 Das Testament des Dr. Mabuse>(1932/1933)에 나타난 매체적 특성과 그 의미를 고찰한다. <마부제 박사의 유언>은 무성 영화에서 유성 영화로의 영화 매체의 전환기에 나타나는 특성, 즉 무성 영화의 특징인 시각적 이미지를 강조하면서도, 다양한 소리 유형 그리고 이미지와 소리의 상관관계를 보여 준다. 영화는 특히 라디오, 축음기, 확성기 등의 청각적 매체의 발전 시기와 맞물려 이들 매체가 갖는 아쿠스마티크의 특성을 활용하여 아쿠스메트르의 편재와 전지전능함을 그려 낸다. 실제로 나치는 권력자의 힘을 드러내고 강화시키는 데 아쿠스마티크 매체를 이용하였다. 영화는 1930년대 초 바이마르 공화국 말기의 시대적 상황을 담아내고 시각적, 청각적 매체가 범죄의 네트워크에 사용되었음을 보여 주면서 마부제가계획하는 범죄의 통치와 제3제국의 유사성을 형상화하고 있다. 경제적, 사회적 혼란과범죄 및 나치와의 연관성을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영화는 마부제라는 빌런, 범죄자를다룬 오락물의 성격에서 벗어나 사회적, 정치적 성격을 갖는다. 그리고 프리츠 랑은, 매체들을 이용하여 실재를 대체한 시뮬라크르가 갖는 조작의 힘을 폭로한다. <마부제 박사의 유언>은 현대의 사회적, 정치적 상황에서도 볼 수 있는 권력 구조에 대한 인식을 일깨울 뿐만 아니라 실재를 감추고 조작하는 매체의 특성에 대해 사유하도록 한다는 점에서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Dieser Beitrag untersucht die medialen Eigenschaften und ihre Bedeutung in Fritz Langs frühem Tonfilm Das Testament des Dr. Mabuse(1932/1933). Dieser Film zeigt die Merkmale, die während der Übergangszeit der Filmmedien vom Stummfilm zum Tonfilm auftraten. Dieser Film betont nämlich die visuellen Bilder, die für den Stummfilm charakteristisch sind, zeigt aber auch verschiedene Arten von Ton und die Beziehungen zwischen Bild und Ton. Insbesondere im Zusammenhang mit dem Aufstieg der Audio-Medien wie Radio, Grammophon und Lautsprecher nutzt dieser Film die akusmatischen Eigenschaften dieser Medien, um die Allgegenwärtigkeit und allmächtigen Fähigkeiten des acousmêtre darzustellen. Tatsächlich nutzen die Nazis die akusmatischen Medien, um ihre Macht zur Schau zu stellen und zu festigen. Am Ende der Weimarer Republik in den frühen 1930er Jahren verkörpert dieser Film die Ähnlichkeiten zwischen Mabuses Herrschaft des Verbrechens und dem Dritten Reich, indem er den Einsatz visueller und auditiver Medien in kriminellen Netzwerken zeigt. Damit ist Das Testament des Dr. Mabuse kein Unterhaltungsfilm über einen Villain oder Verbrecher namens Mabuse, sondern hat einen sozialen und politischen Charakter. Dabei entlarvt Fritz Lang die manipulative Kraft des Simulacrums der Medien. Die Bedeutung dieses Films liegt darin, dass er nicht nur das Bewusstsein für die Machtstrukturen weckt, die in modernen sozialen und politischen Situationen erkennbar sind, sondern uns auch über die Eigenschaften von Medien nachdenken lässt, die die Realität verbergen und manipulieren.

      • KCI등재

        재매개의 특수한 현상으로서 '성찰적 재매개'의 개념적 탐색

        오원환(Won Hwan Oh)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3 언론과 사회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인간의 확장된 감각, 변화된 지각 방식, 그리고 마비된 감각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이른바 "성찰적 재개매(reflective remediation)"의 현상을 통해서 재매개의 논의 영역을 확장하는데 있다. 벤야민(Benjamin)을 비롯해 매클루언(McLuhan)과 볼터와 그루신(Bolter & Grusin)이 제기한 매체기술의 발달과 지각 방식의 변화가 주로 진보의 방향에서 논의 됐다면, 이 글은 과거의 매체기술을 접했을 때 요즘 수용자가 느끼는 지각 방식의 혼란을 "성찰적 재매개"의 현상이라는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은 "성찰적 재매개" 현상에 대한 초보적 수준의 개념적 탐색이며, 이를 위해서 70여 년전의 무성영화 스타일을 매우 뛰어나게 복원한 영화 〈아티스트(The Artist)〉(2011)가 요즘 관객의 마비된 감각 비율을 일시적으로 깨우는 미세한 충격과 낯선 경험이 주는 미학적 효과를 분석한다. 미디어의 계보학적 차원에서 볼 때, 〈아티스트〉는 과거의 영화 형식을 통해서 현재의 표준화된 영화 형식에 길들여진 관객의 감각 비율을 "일시적(temporary)"으로 출렁이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자극적(stimulating)"이다. 뿐만 아니라 무성영화적 자극을 통해서 그 당시 관객의 지각 방식을 느끼게 하고, 또한 현재 관객 자신의 감각 비율을 변화시켰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과거의 감각 방식을 느끼고 현재의 감각 비율이 변화되는 것을 감각적, 의식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미학적 경험을 "성찰적(reflective)"이라고 제안한다. 아울러 "성찰적 재매개"는 과거의 기술적, 미학적 복원을 시도하지만 "현재화된 과거"의 재현 방식을 통해서 수행된다고 주장한다. 한편, 재매개의 특수한 현상으로서 "성찰적 재매개" 현상에서는 비매개보다는 "하이퍼매개" 전략이 우월하게 작동하며, 표준화된 지각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매체 미학적 동인으로서 사라지지 않고 지속될 것으로 내다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rich the concept of Bolter and Grusin"s remediation and to extend the media theory through the "reflective remediation." Some distinguished scholars (e.g., Benjamin, McLuhan, Bolter, and Grusin) in media philosophy have argued that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influenced the ways of human perception. In line with this approach,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extinct old media could also influence the human perception. Furthermore, this study argues that along with the advent of new media, the representation of extinct old media will impact on audience"s perception at least at an aesthetic level. In comparison with Bolter and Grusin"s "retrograde remediation," the hypothetical concept of "reflective remediation" is that an older medium is imitated and even absorbed by an newer one. To explore such a new concept, this study performed aesthetic analysis of 〈The Artist〉 (2011) imitating the silent movie style to see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influence on the audience"s percep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ive remediation" would be "representing the presented past", "stimulating" the human sensory ratio or the paralysis of human sense system, "temporary" in effect, "reflective in cognition level", and "hypermediate" rather the immediate.

      • KCI등재

        장르의 회전 : 소설, 영화, 음악의 테크놀로지

        서희원(Suh Hee Wo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4

        채만식이 개작에 가까운 퇴고를 거쳐 쓴『탁류』의 결말에는 유행가〈글루미 선데이〉가 삽입되어 있다.〈글루미 선데이〉는 계봉의 입에서 발화되어 초봉의 귓가로 흘러들어가며『탁류』의 끔찍한 결말을 환기시키는 배경음악처럼 장면에 흐른다. 채만식이 자살을 암시하는 노래로 당대에 유명했던〈글루미 선데이〉를 사용한 이유는 그 곡이 지닌 화제성과 함께 영화의 기법을 소설에 활용하려는 창작자의 전략이 담겨 있다. 채만식은 문학의 물려받은 유산뿐만 아니라 경쟁하고 있는 다른 장르에서도 소설을 혁신시킬 기교를 발견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채만식의 대표 장편인『탁류』와『태평천하』에는 영화에서 고무되었음이 분명한 장면의 구성, 편집, 음악의 활용, 실제의 목소리를 듣는 것처럼 생동감을 강조한 대화의 사용 등이 담겨 있다. 소설이 다른 장르의 기법을 흡수하며, 이를 장르적 생명력으로 사용한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주제적인 측면에서도 그렇지만 기법의 측면에서도 근대 한국소설을 논할 때 채만식을 반드시 언급해야 할 중요점도 여기에 있다. A popular song〈Gloomy Sunday〉was included at the end of The Muddy Stream (Tak-Ryu)which was elaborately polished to the proportion of adaption by Chae, Man Sik. The song conveyed from Gye-Bong’s mouth to Cho-Bong’s ear sounds like background music to call the attention to the dreadful ending of the work. He uses 〈Gloomy Sunday〉s the music foreshadowing suicide because of the popular issue of the song and his purpose to utilize cinematic style for writing novel He made a constant effort to develop the technique to reform novel in not traditional literary legacy but also other competitive genres. In his major novel The Muddy Stream and Peace Under Heaven(Tae-Pyong-Chon-Ha ), there are many remarkable styles which are clearly driven by film such as the scene construction and editing, the use of music and the use of realistic dialogue that make us feel as if it is real voice. It is widely accepted that novel takes the style of different genres and makes use of it as own life force. I think that here is the important point that we must explore and mention Chae Man Sik in discussing Korean modern novel on both thematic and stylistic elements.

      • KCI등재

        신파비극 장르의 문화적 연속성

        노은미(Eun-Mi No) 일본어문학회 2022 일본어문학 Vol.99 No.-

        本論文では、1930年代のトーキー映画への転換期に新派悲劇という特定ジャンルで数多く採用されたヴォイス·オーヴァーという技法を以前のサイレント映画時代の文化的、歴史的文脈およびジャンルの特殊性と関連付けて考察していく。こうした姿勢は、サイレント映画とトーキー映画を技術的、文化的に断絶したものとして認識するのではなく、どのような技法が消滅あるいは規範化され継承されたのかを把握し、日本の新派悲劇ジャンルの特徴となったのかを有機的に分析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 そのために、初期日本映画と深く関連する他分野、特に「歌舞伎」と「新派劇」という演劇との交流や映画への流入あるいは影響を考えていく。このように日本映画史においてサイレント映画時代の特殊な形態を整理し、映画を取り巻くコンテキストとの関係の中で新派悲劇というジャンルの様式化された技法と特殊性を把握していく。これを基盤としながら1930年代の新派悲劇ジャンルの映画の特徴を考察し、このジャンルが日本独特の様式と技法によって形成され、トーキー映画へ継承されたことを明らかにしていていく。 In this paper, I analyse ‘Voice-Over’, a technique used in ‘Shinpa’ tragic films in 1930s, when sound films emerged and gained popularity, by discussing it in connection with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in the era of silent films and their genre uniqueness. The present study does not treat silent films and sound films as those technically and culturally divergent, but it attempts to reveal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hinpa’ tragic films in Japan by specifying what techniques ceased to be used and what techniques were standardised and inherited. For this purpose, I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incipient Japanese films and other related domains, especially plays such as kabuki and ‘Shinpa’ plays. In this way, I point 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era of silent films in the history of Japanese films and uncover the standardised techniques and the unique properties of ‘Shinpa’ tragic films in connection with the film-related contexts. Based on this survey, I analyse the properties of ‘Shinpa’ tragic films in 1930s and argue that this film genre had been formed in a manner unique to Japan and by means of the techniques specific to Japan and that the genre was inherited to sound fi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