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여성에서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로 측정한 요추부 주위 지방률과 심혈관계 위험요인

        서영성,김대현 대한비만학회 200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0 No.4

        연구배경: 임상에서 흔히 요추부 골밀도 검사를 위해 이용하는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 (DEXA)를 이용하여 측정된 요추부 주위 지방률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6개월 동안 1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타를 건강검진목적으로 방문한 성인 여성 중 체중증감질환이 없는 자원자 78명을 대상으로 DEXA를 이용하여 요추부 주위 지방률을 측정하였고, 이와 혈중 지질 및 혈압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요추부 주위 지방률은 복부 CT로 측정한 복부 내장지방량과 매우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r=0.71, P=0.0001). 요추부 주위 지방률은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P<0.05), 총 콜레스테롤(P<0.01), 중성지방 (P<0.01), 고밀도 콜레스테롤 (P<0.01), 저밀도 콜레스테롤 (P<0.01) 등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혈중지질 및 혈압에 대한 신체계측인자들의 예측정도에서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은 허리둘레가 가장 강력한 설명변수였고 (각각 R^2=0.165, R^2=0.177), 혈중지질 중 총콜레스테롤은 요추부주위 지방률(R^2=0.150)이었고, 중성지방은 VSR (R^2=0.160)이었고,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BMI였으며 (R^2=0.121),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BMI와 요추부 주위 지방률이었고 (R^2=0.270), 동맥경화지수는 복부내장지방량, VSR 및 요추부 주위 지방률이었다 (R^2=0.362). 결론: 요추부 전후 골밀도 검사는 심혈관계질환과 높은 관련성이 있는 복부내장지방량을 간접 추정할 수 있으며, 요추부 주위 지방량은 복부내장지방량 및 WHR과 함께 혈중지질 및 혈압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relation of lumbar regional fat percent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women. Methods: Seventy-eight women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mong healthy women visiting for periodic health examination in Dongsan Medical Center, Daegu, Korea. They were no history of metabolic disorder, steroid use, and recent weight loss. Anthropometric data were weight, height, waist and hip circumference. Measurement of abdominal visceral fat amount by single slice abdominal CT on L4-5, lumbar regional fat % (L2-4)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were determine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Results: Lumbar regional fat %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rum lipid and blood pressure (all P<0.05). Waist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all P<0.05). Abdominal visceral fat amount was correlated with serum lipid and blood pressure (all P<0.05), except LDL cholesterol (P>0.05). It was found that lumbar regional fat % by DEXA was a predictor of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in this study (R^2=0.15, R^2=0.27, R^2=0.36).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lumbar regional fat % is highly correlated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women.

      • KCI등재

        정상 한국인의 요추부 각 분절의 형태 및 운동범위

        김동수(Dong-Soo Kim),김용민(Yong-Min Kim),최의성(Eui-Sung Choi),손현철(Hyun-Chul Shon),박경진(Kyung-Jin Park),박지강(Gee-Kang Park),이은명(Eun-Myung Lee),최호산(Hu-Shan Cu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정상 한국인 남녀의 요추부의 각 분절별 형태 및 운동 범위에 대해 연구 분석함으로써, 각종 질환이나 골절 등의 치료 시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흉 요추부 및 요추부에 질환을 앓은 적이 없고, 통증을 느낀 적이 없는, 20세에서 40세의 남녀 각 15명을 대상으로 제3요추에 중심을 두고 기립 측면 상, 좌-우 굴곡 전-후면 상 및, 굴곡-신전 측면 상을 촬영하였다. Cobb방법으로 추체와 추간판각을 각각 구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을 이용해 각 결과들의 남녀간의 차이와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추체 형태는 주로 상위 요추는 후만으로, 하위 요추로 갈수록 전만의 형태를 보였다. 추간판각은 요추부에서 모두 전만각을 보이고 아래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시상면 운동 범위는 하위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여 제 4-5요추간에서 평균 18.6°로 가장 컸으나 관상면에서의 분절간 운동범위는 제 3-4요추간에서 평균 12.6°로 가장 컸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 정상 한국인 성인에 있어 요추부 형태 및 운동 범위의 표준치를 얻었고, 각 요소가 전체 요추전만에 기여하는 비율을 결정할 수 있었다. Purpose: By achieving informations about sagittal shape and motion of each lumbar segment in normal subjects, we tried to get the standards useful in management of spinal disorders and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normal adults without any disorder on their back were adopted. L3 centered thoracolumbar (T-L) X-ray's including standing lateral, AP's in righ-tleft bending, and flexion-extension lateral were checked for each person. Cobb angles of each segment were measure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for comparison by gender and correlation of each factors. Results: Body shape of upper lumbar vertebrae was kyphotic but caudal bodies are changed into lordotic gradually. Disc angle was lordotic in all the discs. Segmetal motion in sagittal plane was greatest at L4-L5 (18.6°). However, segmental motion at coronal plane was largest at L3-L4 (12.6°). Conclusion: We achieved Korean standard of shape and motion of each lumbar segment. Proportion of each factor contributing to total lumbar lordosis was evaluated also.

      • 흉요추부에 발생한 부신경절종 - 증례 보고 -

        정순택,김동희,조세현,박형빈,황선철,이정희,Jeong, Soon-Taek,Kim, Dong-Hee,Cho, Se-Hyun,Park, Hyung-Bin,Hwang, Sun-Chul,Lee, Jeong-Hee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부신경절종은 발생학적으로 신경 능선 세포로부터 기원하는 종양으로 두경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나 드물게 종격동, 후복막 등의 내장 기관에서도 생기며 대부분 양성 경과를 보인다. 그 중 흉요추부의 경막내에 발생한 경우는 매우 드물며, 경추나 흉추보다는 요추부에 대부분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지금까지 흉요추부의 부신경절종이 보고된 예는 드물기에 저자들은 부신경절종이 흉요추부의 경막내 수막외에 발생한 1예를 경험하여, 자기 공명 영상 및 조직학적 특징과 그 치료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Paragangliomas arise from a multicentric system of paraganglion cells derived from the neuroectoderm. Although these tumors are the most common in the head and neck region, they may occur in diverse locations including mediastinum, retroperitoneum and visceral organs. Spinal paragangliomas arising in the intradural space of the thoracolumbar spine have been reported rarely, with the majority located in the cauda equina. Only few cases of thoracic paraganglioma have been previously reported. We present an additional case of thoracolumbar paraganglioma and review the clinical MRI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s of this unusual tumor.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의 대퇴부와 요추부 골밀도에 의한 골다공증 진단의 일치도

        이승혜(Seung-Hye Lee),윤정은(Jeong Eun Yun),최윤선(Youn Seon Choi),양경선(Kyung-Sun Yang),엄현덕(Hyunduck Um),김선미(Seon Mee Kim),이준용(Joon Yong Lee),이승환(Seung Hwan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4 No.2

        Background: Lumbar spine and total hip are widely used to measure bone mineral density (BMD) for diagnosis of osteoporosis. We want to evaluate relationship and concordance of the osteoporotic diagnosis between lumbar spine and total hip BMD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BMD on both hips and lumbar spine of 100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were measur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The BMDs of total hip and lumbar 1~4 were classified into normal (T-score>−1.0), osteopenia (−1.0≥T-score>−2.5), osteoporosis (T-score≤−2.5) using WHO definitions. Results: Based on L1~4 T-score there were 15 osteoporotic, 35 ostepenic, 50 normal persons, and based on total hip T-score there were 1 osteoporotic, 20 ostepenic, 79 normal person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hip and lumbar BMDs (r=0.695). For all age groups, lumbar BMDs are lower than hip BMDs and the gaps are severe in older group. The discordance rate was 43% for all cases, and this was 36% in their 50’s, 65% in 60’s, and 60% in 70’s with the highest rate in 60’s (P<0.05). The discordance rates of the normal, osteopenic and osteoporotic groups were 39, 60 and 0% respectively, with the highest rate in osteopenic group (P<0.05). Conclusion: The discordance rate between total hip and lumbar spine was as high as 43%, and was the highest in the osteopenic group in their 60’s. Therefore in post-menopausal women, the BMD of both sites should be checked together, but if not, the lumbar BMD should be checked first. 연구배경: 현재 골밀도 측정은 요추와 대퇴골 부위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상태로, 저자들은 만 50세 이상 폐경 후 여성에서 요추와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각 부위의 골밀도의 상관관계 및 골다공증 진단 일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한 폐경 후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대퇴부와 요추부의 골밀도를 DEX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대퇴 총골밀도와 제 1~4요추 골밀도를 WHO 정의에 의하여 각각 정상(T-score>−1.0), 골감소증(−1.0≥T-score>−2.5), 골다공증(T-score≤−2.5)으로 분류하여 이들의 진단 일치도 및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결과: 제 1~4요추 T-score를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은 15명, 골감소는 35명, 정상은 50명이었으며, 대퇴 총골밀도를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은 1명, 골감소는 20명, 정상은 79명이었다. 제1~4요추 평균 T-score와 총대퇴 T-score의 상관계수는 0.695로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골밀도는 전 연령대에서 요추부가 총대퇴부 보다 낮았으며, 그 차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심하였다. 제1~4요추 골밀도와 대퇴 총골밀도의 진단 불일치도는 100예중 43예에서 불일치를 보여 43.0%였다. 연령대별 불일치율은 50대, 60대, 70대가 각각 36%, 65%, 60%로 50대에 비해 60, 70대에서 높은 불일치율을 보였다(P<0.05). 대퇴 총골밀도를 기준으로 분류한 각 군에 따른 불일치율은 정상인군, 골감소군, 골다공증 군에서 각각 39%, 60%, 0%로 골감소 군에서 가장 높은 불일치율을 보였다(P<0.05). 결론: 요추와 대퇴 총골밀도의 진단 불일치율은 43.0%로 높았으며, 특히 60세 이상과 골감소 군에서 높았다. 따라서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 측정시 가능하면 대퇴부와 요추부의 골밀도를 함께 측정해야 하며, 부득이하게 한 곳만의 골밀도를 측정한다면 요추부 골밀도를 우선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노년층의 대퇴 전자간 골절 유무에 따른 골밀도의 비교

        문상호 ( Sang Ho Moon ),서병호 ( Byoung Ho Shu ),김동준 ( Dong Joon Kim ),공규민 ( Gyu Min Kong ),조현국 ( Hyeon Guk Cho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3

        목적: 대퇴 전자간 골설군과 비골절군 간의 골밀도를 비교하여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 어느 부위의 골밀도가 골절 발생에 대한 예측인자로써 사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60세 이상의 대퇴 전자간 골절 환자 중 요추부, 고관절부에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5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60세 이상의 골절이 없는 110명의 환자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골밀도 검사는 제1, 2, 3, 4요추체, 대퇴 경부, 대퇴 전자간부, Ward 삼각부에서 측정하였고 두 군 사이의 부위별 골밀도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골절군은 남자 16명, 여자 41명, 평균 연령은 70.8세였고 대조군은 남자 21영, 여자 89명, 평균 연령은 68.1세였다. 양군 간의 성별 및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제1, 2요추체와 요추부에서 골절군이 유의하게 골밀도 평균값이 낮았으나 (p<0.05) 다른 부위의 골밀도 평균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결론: 노년층의 대퇴 전자간 골절군과 대조군간의 골밀도를 비교한 결과에서 제1, 2요추 및 요추부의 평균 골밀도가 유의하게 낮았고, 다른 부위의 골밀도는 동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제1, 2요추와 요추부 평균 골밀도를 측정하는 것이 전자간 골절을 포함한 골다공증성 골절의 고 위험군을 알 수 있는 가장 민감한 예측 검사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Purpose: To analyze difference in bone mineral density (BMD) between intertrochanteric fracture and control group and to explore the predictive value of BMD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57 patients who were over 60-year-old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 were examined. For control group, 110 patients who did not have any fracture were selected.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was studied at 1, 2, 3, 4 lumbar vertebrae, femoral neck, trochanter and Ward`s triangle. BMD was compared at each site between two groups statistically. Results: Fracture group consisted of 16 male, 41 female and was average 70.8 year old. Control group consisted of 21 male, 89 female and was average 68.1 year old. There was no differences in sex and age between two groups (p>0.05). BMD of L1, L2 and mean lumbar area were significantly less in fracture group than control group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BMD of another sites (p>0.05). Conclusion: BMD of L1, L2 and mean lumbar area in fracture group had lower value significantly, but had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t another sites. BMD of L1, L2 and mean lumbar area might be used as the most sensitive predictive indicator for risk of osteoporotic fractures including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elderly pati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요추부 한 분절 유합술에서 생존 분석을 이용한 인접 분절 퇴행성 변화로 인한 재수술률 평가

        김태형(Tae-Hyung Kim),김진혁(Jin-Hyok Kim),김성수(Sung-Soo Kim),임동주(Dong-Ju Lim),한정일(Jung-Il Han),김태완(Tai-Wan Kim),석세일(Se-Il Su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4

        목적: 요추부의 한 분절 유합술 후에 발생된 인접 분절 퇴행성 변화에 시행된 재수술에 따른 생존율을 분석하고 그에 관여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더 2006년 12월까지 본 척추센터에서 한 분절 유합술을 시행한 총 1,447예 중 추적 기능했던 1,206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인접 분절 퇴행성변회로 인한 재수술에 대한 생존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 나이, 성별, 진단명, 유합의 방법, 유합 부위, 골유합의 재료, 수술 집도의, 비만도(BMI), 흡연 여부 등에 따른 생존에 대한 단 인자 및 다중 인자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1,206예 중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로 본원에서 재수술을 했던 경우는 27예였다(2.24%). 평균추시 기간은 39.0개월(6개월-12년 6개월)이었으며 수술 시 평균나이는 47.0세(13-85세)였다. 5년 생존율은 97.3%였으며, 10년 생존율은 89.4%였다. 수술 당시의 나이는 50세를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50세 미만의 재수술률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P=0.002), 다른 부위보다 제 4-5 요추 부위를 유합하였을 때 재수술률이 유의하게 높게 분석되었고(p=0.003), 과체중 및 비민인 경우(BMI 25 이상) 재수술률이 의미 있게 높았으며(p=0.040), 후외측 유합술만 시행한 경우보다 후방 요추체 유합술을 함께 시행한 군에서 재수술률이 의미 있게 낮게 분석되었다(p=0.021). 성별, 원인 질환, 골 유합의 재료, 수술 집도의, 흡연 여부에 따른 차이는 재수술률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s>0.05). 다중 인자 분석에서는 나이에 따른 요인만이 유의한 의미를 가졌다(p=0.048, Hazard ratio=2.50). 결론: 생존 분석 결과 요추부 한 분절 유합술에서 인접 분칠의 퇴행성변화로 인한 재수술 없이 생존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인자는 수술 당시의 나이임을 알 수 있었다. 50세 이상의 환자의 경우, 단 분절 유합술이라도 인접 분절 질환이 발생할 수 있음을 술 전에 인지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survival rates of patients after mono-segmental lumbar or lumbosacral fusion and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the revision operation due to adjacent segmental degen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nrolled 1,206 patients who had mono-segmental lumbar or lumbosacral fusion between March 1997 and December 2006 at the Seoul Spine Institute. The survival rates for the revision operation due to adjacent segmental degeneration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age at index operation, sex, etiologic diagnosis, fusion method, fusion level, substance of bone graft, operator, body mass index (BMI), and smoking were considered as risk factors for the revision operation. Results: There were 27 patients with a revision operation for adjacent segmental degeneration (2.24%).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39.0 months (6 months to 12 years 6 months) and the average age at operation was 47.0 years (13 to 85 years). The survival rate at 5 years was 97.3%, and at 10 years it was 89.4%. Patients less than 50 years old had a significantly lower revision operation rate than those aged 50 or more (p=0.002). When fusion between the 4th lumbar and the 5th lumbar spinal vertebrae was done, the revision oper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other levels (p=0003). Obese patients with BMI≥25 had a significantly higher revision rate than did patients with BMI<25 (p=0.040). In a comparison of circumferential fusion versus other types of fusion, circumferential fusion had a lower revision rate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p=0.021). Other factors such as diagnosis, sex, surgeon, substance used for the bone graft, and smoking were not significant for revision rate (ps>0.05). In multivariate analysis, age alone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p=0.048, Hazard ratio=2.50).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urvival without revision surgery for adjacent segmental degeneration following instrumented mono-segment lumbar or lumbosacral fusion is the age at index operation. Patients 50 year-old or older should be informed of the possibility of adjacent segmental disease after instrumented mono-segment lumbar or lumbosacral fusion.

      • KCI등재

        축부하가 요추부 자기공명영상에서 미치는 영향 -신경학적 파행 유무에 따른 효과 비교-

        이진영,이정길,오범석,이효범,구본재 대한척추외과학회 2012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9 No.4

        Study Design: This study intended to find out differences of effects by axial loading in MRI examination in a patient group with neurologic claudication and a group without neurologic claudication Objectives: It was intended to understand in which group the effects of axial loading can be expected when taking MRI on the lumbar spin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study of Willen and Danielson found spinal canal stenosis, which cannot be found by existing methods comparing an MRI taken in bended posture of lumbar without axial loading implementation by MRI taken with axial loading implementation. Hiwatashi et al. also reported that there was a change of treatment direction by laminectomy after axial loading in patients who were intended to take a conservational treatment before the axial loading.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9 patients and 54 intervertebral discs were compared. The distances from a sagittal plane before and after intervertebral discs were compared by measuring a sectional area of dura mater in a horizontal plane image and two groups were compared by existence of patients’ neurologic claudication. Results: The AP diameter before and after a intervertebral discs increased into 41.98 mm from 41.1 mm on the average and the sectional area of dura mater showed 137.47mm2 before loading and 119.86mm2 after loading on the average.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ances before and after axial loading implementation,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ectional area of dura mater. Conclusion: Axial loading would contribute to diagnose spinal disease, and especially, spinal canal stenosis in a patient group with claudication. 연구 계획: 신경학적 파행이 있는 환자 군과 없는 환자 군에서 자기공명영상 촬영 시 축부하에 의한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목적: 요추부 자기 공명 영상을 시행할 때, 어떠한 군에서 축부하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Willen과 Danielson의 연구에서는 축부하를 시행하지 않은 요추부의 굴곡된 자세에서 시행한 자기공명 영상과 축부하 후 시행한 자기공명 영상을 비교하여 기존의 검사방법으로 찾을 수 없었던 척추관 협착증을 발견할 수 있었고 Hiwatashi등은 축부하 이전에는 보존적 치료를 하려 했던 환자에서 축부하 후 척추궁 절제술로 치료 방향의 변화가 있었다는 발표도 있었다. 대상 및 방법: 39 명의 환자, 54개의 추간판이 비교대상이 되었다. 시상면에서 추간판의 전 후 거리를, 수평면 영상에서 경막의 단면적을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환자의 신경학정 파행 유무에 따라 두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추간판 전후 거리는 평균 41.1mm, 에서 41.98mm로 증가, 척추관 협착은 경막의 단면적이 부하 전 평균 137.47mm2, 부하 후 평균 119.86mm2로 차이를 보였다. 신경학적 파행 유무에 따라 두 군을 비교하였을 때 두군간의 추간판 전후 거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경막의 단면적부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축부하는 척추 질환의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파행이 있는 환자 군에서 척추관 협착증의 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