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에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도금혜,최보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7 한국청소년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variables on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Independent variables were organism, microsystem, mesosystem, and exosystem. The subjects were 835-1st and 2nd graders of several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gu.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was affected by sex, age,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social self-esteem, physical self-esteem, prosocial behavior, and dominance of organism variables. Second,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was affected by mother's affectional parenting, attachment to friends, contact with deviant friends, and teacher support of microsystem variables. Third,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was affected by family-peer relationship and family-school relationship of mesosystem variables. Fourth,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was affected by appraisal support of extended family and circle activity of exosystem variables. Fifth, organism variables have great effect on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than any other variables. 본 연구에서는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라는 새로운 개념의 인기도를 도입하여, 생태학적 변인(유기체 변인, 미시체계 변인, 중간체계 변인, 외체계 변인)이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구 지역의 중ㆍ고등학교 1,2학년 805명과 각 해당 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및 평균과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중다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기체 변인 중 성별, 연령, 외현화 공격성, 관계상 공격성, 사회적 자아존중감, 신체적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 및 지배성이, 미시체계 변인 중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 친구에 대한 애착, 비행 친구와의 접촉 및 교사의 지지가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체계 변인 중 가정-또래 관계와 가정-학교 관계가, 외체계 변인 중 확대가족의 평가적 지지와 동아리 활동 실태가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는 유기체 변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미시체계 변인이 중간체계나 외체계 변이보다 상대적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 국가 미래인적자원으로서 재외동포청소년 성장과 지원방안 연구Ⅱ

        김경준,김정숙,이유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재외동포청소년을 글로벌 코리안의 중요한 인적자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5년부터 대륙별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9년도에는 오세아니아 지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재외동포수와 한국과의 관계의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호주와 뉴질랜드 동포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호주 및 뉴질랜드 재외동포청소년들의 주변 환경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생태학적 체계 이론에 기초하여 연구가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근거해서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시간체계의 틀에 따른 조사내용을 구성하여 초 · 중 · 고 학생을 대상으로 호주와 뉴질랜드 각 국가별로 200명씩 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면담조사의 경우에도 국가별 동포청소년의 특성과 생태체계적 환경과 관련한 내용을 조사하였는데, 호주 · 뉴질랜드 각 국가별로 청소년과 성인(전문가) 각각 10여명씩, 총 40여명을 대상으로 동포청소년 및 관련 성인(전문가)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및 면담조사 결과를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등의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정책과제(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문가 적합도 조사와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하여 정책목표와 7개 정책영역별로 총 35개의 정책과제를 개발 ·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ays to support overseas Korean youths as important human resources of Global Korea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 continent basis since 2015, and Oceania was targeted in 2019. Considering the number of overseas Koreans and the importance of their relations with Korea, we conducted a study on young Koreans living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aforementioned Korean Youth, the current study was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s theory. Surveys and interviews were us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400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200 from each of the two countries). Survey detail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s theory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the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macrosystem, and chronosystem. Interview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 adolescents by country and the ecological systemic environment. A total of 40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consisting of ten overseas Korean teenagers and adults (experts) in each country. W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urveys and interviews using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macrosystem, among others, and deduced implications based on which we derived policy tasks. In addition, through expert suitability diagnostics and reviews, we developed and proposed policy objectives and a total of 35 policy tasks in seven areas.

      • KCI등재

        보육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 연구

        이순미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1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도 보육교사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제주지역 사립 보육교육 기관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보육교사는 총 200명으로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20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180명의 자료를 SPSS 2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 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기체 변인 중 보육교사의 연령과 학력은 보육교사의 행복에 차이를 보였다. 즉 35세 이상의 보육교사는 다른 연령에 비해 행복이 높으며, 대졸 이상의 보육교사도 다른 학력에 비해 행복이 높다 는 점이다. 둘째, 미시체계 변인 중 결혼여부만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혼자인 보육교사는 미혼자 보육교사에 비해 행복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중간체계 변인 중 유아-교사 상호작용이 높을수 록, 부모-교사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행복수준이 높았다. 넷째, 외체계 변인 중 근무환경과 직무자체 특성이 좋을수록 보육교사의 행복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행복한 보육교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근무환경 개선, 처우개선 등과 같은 국가적, 행정적 지원으로 현실적인 개선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research is analyzing the ecological variables on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happiness. The data was collected by the survey of the happiness factors and ecological variables of child care teachers.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of organismic variable, the age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child care teacher showed discrimination one's happiness. Second, of micro system variable, the marital status is the only thing that affect the happiness. Third, of meso system variable, the teachers who are highly interact on each other such as, child to teacher and parents to teacher are much happier than others. Finally, of the outside system variable, the teachers who are working at the better working environment and good quality of duty are much happier than others.

      • KCI등재

        형법각칙의 현실적 성질과 구성요건의 논리적 본질

        송희식(Song Hee-Sik)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東亞法學 Vol.- No.52

        기존의 형법학에서 범죄란 구성요건에 해당하고 위법하며 유책한 행위이다. 이 정의문는 외연적 정의와 내포적 정의를 혼동하는 오류와 범주의 오류라는 2중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 현실의 형법각칙 등은 모든 범죄를 하나하나씩 전부 규정하는 전형적인 외연적 정의이다. 외연적 정의야말로 형법각칙의 현실적 성질이다. 나아가 정당화사유, 면책사유 역시 그 구체적 사건유형을 일일이 규정한 외연적 정의이다. 범죄체계는 이러한 범죄에 대한 외연적 정의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기존형법학은 범죄에 대해 구성요건해당성이라는 포섭을 마치 속성처럼 간주하여, 이를 위법성?책임과 함께 내포적 정의로 해석하려는 성공할 수 없는 노력을 해 왔다. 기존의 오류를 제거하고 범죄개념을 재구성하면, 범죄란 구성요건해당성, 정당화사유?면책사유의 비해당성이다. 이 세 개의 대립적 포섭관계가 범죄의 외연적 정의이다. 이 대립적 관계는 형사소송법에도 반영된다. 한편 범죄의 내포적 정의는 불법과 책임이 귀속가능한 사건이다. 여기에서 귀속가능하다는 것은 불법과 책임을 내용으로 하는 치역이 구성요건, 정당화 사유, 면책사유의 각 요건들의 정의역에 대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성요건, 정당화사유, 면책사유는 각 요건(정의역)들과 그에 대한 가치평가인 불법?책임, 정당성, 불법?면책성이 치역으로서 프레게의 함수적 대응관계에 있는 것이다. 구성요건해당성, 정당화사유해당성, 면책사유해당성이라는 세 개의 대립적 포섭관계가 종적으로 설정되고, 이 각각에 대하여 그 요건들의 정의역과 그에 대한 형법적 평가로서의 치역(불법과 책임)이 횡적으로 관통한다. 이것이 올바른 범죄체계이다. 이 새로운 범죄체계는 형법학의 많은 주제들에 대하여 재검토를 필요로 한다. A crime is defined as an illegal and culpable act conforming to ‘Tatbestand(elements of an offence)’ in the established criminal Jurisprudence. All crimes are prescribed one by one in the individual provision of criminal law and others. If it was not prescribed by a criminal law, it is not a crime. There is no exception; no crime without law. This is the principle of legality. So definition of a crime belongs to the typical extensional definition. And justification defense and excuse defense are also extensional definition, because they are also prescribed as patterns of act. They are not attributes of entity. But in the common view, ‘Tatbestand’ is regarded as an attribute of crime such as illegality and culpability. This is due to the category mistake and due to the fallacy of confusing intensional definition and extensional definition. Now, if we look at the real state of affairs, we can find a system of three extensional definitions: ‘Tatbestand’, “justification”, “excuse”. The relation of them is a confrontational system, not a staged system. Then what are illegality and culpability? They are of elementary concepts of a crime. For example, homicide has two conceptual dimensions, one is a domain dimension of homicide concept; “the killing of a human being by a human being”. The other is a range dimension of homicide concept, such as “social harmfulness, blameworthiness of that wrongful results, conduct, attendant circumstances, etc.” The domain and range of concepts have functional correspondence. In Frege’s analysis, y = f(x), values of x constitutes domain, values of y constitute range. The illegality and culpability of homicide are the range of homicide, which corresponds functionally to each element in the domain of homicide. The domain and range concepts are relevant to the elements of “justification” and “excuse”. Thus we are proposing that the theoretical system of crime has three confrontational categories and two functional dimensions: ‘Tatbestand’, “justification”, “excuse”, and domain and range. Ranges(the illegality and culpability) and domains(conceptual scope of offence) cut across the ‘Tatbestand’, “justification”, “excuse”. This system of proposition may view studies in criminal law in a new sight.

      • KCI등재

        초·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이림(Lee R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의 초·중등학교 관련 ‘교과 외 활동’에 대한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 개선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총 186건의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첫째, 2009 개 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인성교육의 강조와 함께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그 명칭을 변경한 2011년 이후로 관련 연구가 급증하였다. 둘째, 학부모나 행정가들의 지원 없이는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점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셋째, 질적 연구가 많이 부족한 만큼, 교사가 실제 창의적 체험활동이 운영되는 현장을 미시적으로 기술하는 현장연구가 많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정체성 탐구 연구가 소수인 만큼, 초·중등교육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 발전을 위해 관련된 이론적 토대가 더욱 공고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우리보다 먼저 교과외 활동에 대한 연구와 정책을 실행해온 미국 등 서양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 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과 외 활동과 관련하여 행정적 지원을 어떤 방식으로 개선해나갈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of research on extra-curricular-activities rel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and to suggest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Systematic-Literature-Review was us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1)research topic and problem setting, (2)literature search and collection, (3)literature selection/exclusion criteria setting, final literature selection, literature extraction, (4)literature analysis and results. Final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udy period,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objectives. The following discussion was made. First, since 2011, when the name was changed to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with the emphasi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researches have surged. Second, research related to the high school needs to be revitalized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university enrollment rate is high due to frequent screening including comprehensive selection of students. Thirdl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researches on parents and administrator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proper education to be achieved without the support of them. Fourth, many field researches should be performed to describe the field where the teacher actually operates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ifth, the theoretical basis for extra-curricular-activities rel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Six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ses of wester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Seventh, there must be continuous research on how to improve administrative support. In conclusion, research on extra-curricular-activities rel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at can make students relax, will need to be made as deeply as the study of school subjects education.

      • KCI등재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따른 생태 체계적 접근

        석말숙(Mal Suk Suk) 한국노인복지학회 2004 노인복지연구 Vol.0 No.26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재가노인(이하 지역사회거주 노인이라 함)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실태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들과의 관계를 노인 개인특성, 미시체계, 외체계 등이 반영된 보다 포괄적인 연구의 틀을 가지고 종합전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은 신체적인 건강상태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 다음으로 자녀와의 관계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특성변인과 외체계 변인이 추가됨에 따라 설명력이 크지는 않았지만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사회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시각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의 `고령화와 한국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종단적 연구`의 1차년도 자료인 2003년도의 조사 자료가 분석되었다. This study pursues to figure out realities of subjective well-being of the aged at local community and its relationship to ecological-systematic elements by more comprehensive methodology in which old people’s individual features, microsystem, exosystem are reflected. As a result physical health condition play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subjective well-being of the aged at local community. Next family system comes as an important element. Variables of individual features and exosystem are also included. They do not explain much, but prove to be meaningful. Based upon this result, I suggest to prepare social situation in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family, and local commun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life for the aged. For this study, I analyzed the first yea’s research material "A Study on Aging and Quality of the Life for the Aged in Korea" provided by Institute for the aging society of Hallym University. The study examined 1,936 elders who are above 65 years old in the areas of health, medicine,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social life.

      • KCI등재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강희경(Hee Kyung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접근에 기반을 두고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태체계 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 청소년 패널조사 초등학교 1학년 4차년도 자료 2,119사례였다. 유기체변인(아동의 성별, 공격성, 주의집중), 미시체계변인(부모의 방임과 학대, 친구관계, 교사관계), 외체계변인(지역사회인식), 거시체계변인(공동체의식) 순서로 4가지 모델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관계와 공동체의식을 제외한 모든 생태체계변인들이 아동기 우울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갖는 변인은 아동의 공격성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부모의 학대, 친구관계와 지역사회인식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갖는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cological systems factors on childhood depression. A total of 2,119 children data from 2013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the fourth wave)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the most ecological systems factors; organisms(childs gender, aggressiveness, attention problems), microsystems(parental neglect, parental abuse, good relationships with friends), exosystem(supportive community environment); had effects on depress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child’s aggressiveness, parental abuse, good relationships with friends, supportive community environment.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 and further research in childhood depression.

      • KCI등재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의거한 장애인 복지정책 및 서비스의 분석

        허창덕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2

        지난 수십년 간 법적․재정적․정책적 발전을 통해 한국사회의 장애인 복지정책은 과거에 비해 그 수준이 많이 증가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는 장애인에 대한 세계 환경의 변화와 사회의 각계각층, 특히 장애인 자신의 노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거시적․권리적 측면을 강조하는 방향으로서의 장애 및 장애인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장애인의 사회통합이라는 궁극적 장애 복지정책의 방향성을 고려해 볼 때, 한국의 각종 장애인 복지서비스는 아직 그 갈 길이 멀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한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적용하여 장애인 복지서비스 사업에 초점을 맞추어 현행 실시사업 모형의 네 가지 체계 속에서 분포 현황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현행 한국 장애복지 서비스 사업의 대부분은 미시적 측면에 국한되고 정책적 성격 또한 시혜적․수동적․소비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한국사회의 장애 정책은 보다 확대된 방향으로서 중간․외․거시 체계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정책적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사실과 그 성격 또한 적극적․능동적․가치창출적인 방향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과 함께 그것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제안하고 있다. Over the past decades, the welfare of the disabled people in Korea has been developed in regard to: paradigm change, modified regulations and laws, increased budget,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etc. Many factors influenced these achievements; disabled people's endeavor for their right and welfar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achievements. Nevertheless, the current welfare policies do not seem to meet the ultimate goal of the welfare, because the current social welfare policies are based upon micro perspective of disability polic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o analyze the current welfare policies and services using a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This theory was adopted to examine whether the welfare policies and service implementation were well developed and delivered. Bronfenbrenner's four systems: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and macrosystem were used as reference to identify the balance of the service delivery system. This study found that the current welfare delivery system heavily concentrated on the microsystem.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delivery system treats the recipients as passive demander and consumerists. The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the welfare service should be balanced with broader ecological system such as meso, exo, and macrosystem. By examining the current welfare with Ecological systems theory,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policies should be the ones which invites disabled persons as active and valuable contributors to their community.

      • KCI등재후보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생태 체계적 접근 : 지역사회거주 재가노인을 중심으로

        석말숙 한국노인복지학회 2004 노인복지연구 Vol.0 No.26

        This study pursues to figure out realities of subjective well-being of the aged at local community and its relationship to ecological-systematic elements by more comprehensive methodology in which old people's individual features, microsystem, exosystem are reflected. As a result, physical health condition play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subjective well-being of the aged at local community. Next family system comes as an important element. Variables of individual features and exosystem are also included. They do not explain much, but prove to be meaningful. Based upon this result, I suggest to prepare social situation in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family, and local commun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life for the aged. For this study, I analyzed the first year's research material "A Study on Aging and Quality of the Life for the Aged in Korea" provided by Institute for the aging society of Hallym University. The study examined 1,936 elders who are above 65 years old in the areas of health, medicine,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social life.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재가노인(이하 지역사회거주 노인이라 함)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실태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들과의 관계를 노인 개인특성, 미시체계, 외체계 등이 반영된 보다 포괄적인 연구의 틀을 가지고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은 신체적인 건강상태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 다음으로 자녀와의 관계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특성변인과 외체계 변인이 추가됨에 따라 설명력이 크지는 않았지만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사회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시각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의 ‘고령화와 한국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종단적 연구’의 1차년도 자료인 2003년도의 조사 자료가 분석되었다.

      • 국가 미래인적자원으로서 재외동포청소년 성장과 지원방안 연구 Ⅲ

        김경준,김정숙,윤철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재외동포청소년을 동포사회와 대한민국의 발전,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세계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도록 미래 인재 또는 인적자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정책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5년부터 연차별로 주요 대륙별 · 국가별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특히, 2020년에는 아세안 10개 국가 중에서 신남방정책의 주요 대상국가인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6개국의 동포청소년을 위한 성장 지원 방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동남아시아 동포청소년들의 특성과 환경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생태학적 체계 이론과 제3문화아이들(third culture kids) 혹은 교차문화아이들(cross-cultural kids) 이론을 연구의 틀로 적용하였으며, 주요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와 질적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2020년 6~7월에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동남아시아 6개국에 거주하고 있는 초 · 중 · 고 동포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국가별로 150명씩, 총 900명 내외를 대상으로 웹조사 방식을 활용하여 동남아시아 동포청소년들의 특성과 성장 환경, 그리고 한민족 정체성과 한인공동체에 대한 의식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질적조사에서는 동남아시아 6개국에 거주하고 있는 9~18세의 재외동포청소년, 재외동포 관련 전문가, 그리고 과거 동남아시아 6개국에서 청소년기를 경험한 20대 청년 집단 등 3개 집단, 총 50명을 대상으로 각각 3차례에 걸친 면담조사(서면조사 병행)를 실시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진은 설문조사와 질적조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책과제를 발굴하였으며, 재외동포전문가 및 동남아 관련학과 교수집단, 전 동남아한국국제학교 교장 집단, 재외공관 및 현지 한글학교 교사집단을 대상으로 발굴한 정책과제에 대한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정책과제의 현안대응성 및 정책기여 가능성 조사를 통하여 정책목표와 정책방향, 그리고 30개의 세부 정책과제를 개발 ·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