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한국문집과 한학연구] 한중 문화의 교차적 이해 (2) : 전겸익의 고려말, 조선초의 역사와 시에 관한 시론

        엄지웅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2 No.-

        錢謙益(牧齊, 1582~1664)의 『初學集』과 『有學集』에서 高麗(혹은 朝鮮)에 관한 詩歌와 文章은 그다지 많지 않다. 하지만 그가 편찬한 『列朝詩集』(1652년 간행)에 있는 「閏集」중의 「外國」부분에는 조선, 일본, 交趾(베트남 북부), 占城(베트남 중, 남부)등 국가의 詩歌를 선별하여 수록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조선의 詩가 가장 많았으며, 수록된 작가의 수는 40 여 명, 詩는 모두 160 여 수에 달한다. 牧齊의 저작물 중에서 조선과 관련된 것으로는『列朝詩集』이 가장 돋보인다고 할 수 있다. 『列朝詩集』에 수록된 朝鮮 詩歌의 대다수는 萬曆연간에 吳明濟가 편찬한 『朝鮮詩選』(1600년 조선에서 간행)에서 선별하여 수록한 것이다. 吳明濟와 錢謙益이 선별하여 수록한 두 내용을 서로 상세히 비교해보면, 가장 큰 차이점은 『朝鮮詩選』에는 시인들의 小傳이 없지만, 『列朝詩集』에는 小傳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牧齊가 增補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吳明濟의 詩選은 錢謙益이 조선 詩歌를 선별 수록하는데 있어 주요한 근간이 되었지만, 錢謙益 자신만의 조선 詩歌를 수집하고 기록하는 방법을 가지고 있었다. 두 사람이 선별하여 수록한 같은 시인들의 詩歌 작품들을 비교해보면, 錢謙益의 선별에는 취사선택에 있어 일정한 목적과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牧齊의 『列朝詩集』에 수록된 朝鮮 詩歌는 高麗末期와 朝鮮初期의 시인들로부터 시작된다. 이러한 역사 시기에 선별된 시인들을 차례대로 살펴보면, 鄭夢周(1337~1392), 李穡(1328~1396), 李崇仁(1349~1392), 鄭樞(?~1382), 金九容(1338~1384), 李詹(1345~1405), 李芳遠(朝鮮太宗,1400~1418), 鄭道傳(1337~1398)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 李詹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은 모두 小傳이 첨부되어 있으며, 鄭夢周와 李穡의 小傳이 가장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牧齋가 기술한 小傳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근원이 되는 자료는 거의 대부분이 朴詳(1474~1530)의 『東國史略』에서 取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牧齋는 小傳 각각의 말미부분에 議論을 덧붙이고, 고려 말, 조선 초의 역사적인 사실 및 인물에 대해 評論을 첨가하였다. 본 논문은 『列朝詩集』에서 「朝鮮」부분의 小傳 및 詩歌를 분석하여 牧齋가 고려말기의 역사 및 인물을 어떻게 논의하였으며,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 ‘史意’에 대해 探論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朝鮮의 한문으로 된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고려왕조가 점차 몰락하는 시기에 李穡이 주장한 ‘왕위 계승 문제’에 대한 경위를 정리하고 밝혀보면서, 이 사건이 어떻게 후세의 역사가와 문인들에게 끊임없는 논쟁거리가 되었는지를 캐내고자 한다. 또한, 조선 문인들이 錢謙益의 평론에 영감을 받았기에, 본 논문은 더 나아가 錢謙益의 『列朝詩集』 「朝鮮」부분에 수록된 시인들의 小傳 및 詩歌 작품들을 상세히 분석하여, 이러한 朝鮮詩歌의 편찬이 사실상 錢謙益의 「選政」에서 상당히 공을 들인 작업 중의 하나였음을 지적하였고, 그의 ‘以詩存人(詩 속에 사람이 있다)’과 ‘以人存史(사람 속에 역사가 있다)’의 ‘詩史’정신을 충분히 드러내었다. 이처럼 善을 높이 드날리고 惡을 폄하하는데 공을 들인 錢謙益의 筆削과 予奪은 남달리 뛰어나 이 또한 심도 있게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 錢謙益(牧齋,1582-1664)之『初學集』·『有學集』中,涉及高麗(或朝鮮)之詩文不多,而其編纂『列朝詩集』(刊於1652年),於‘閏集’中闢‘外國’部分,選錄朝鮮·日本·交趾·占城等國詩,其中以朝鮮詩最多,入選作者四十餘,詩共一百六十餘首. 牧齋著作之關涉朝鮮者,以此爲最大宗. 『列朝詩集』所載之朝鮮詩多選錄自萬曆間人吳明濟所編之『朝鮮詩選』(1600年刻行於朝鮮). 吳·錢二選兩相勘比,知二者之一大不同之處在於:『朝鮮詩選』無詩人小傳,『列朝詩集』有,乃牧齋爲增補者. 此外,復知吳選爲錢選朝鮮詩之主要來源,但亦有輯錄自他處者. 再則比較二選相同詩人之詩作,知錢選於選擇·去取上有一定宗旨及傾向. 牧齋『列朝詩集』‘朝鮮’詩以王氏高麗朝末李氏朝鮮朝初之詩人開始. 此一歷史時段入選之詩人依次爲鄭夢周(1337-1392)·李穡(1328-1396)·李崇仁(1349-1392)·鄭樞(?-1382)·金九容(1338-1384)·李詹(1345-1405)·李芳遠(朝鮮太宗,1400-1418在位)·鄭道傳(1337-1398),其中除李詹外,各人均附有小傳,而又以鄭夢周與李穡傳最爲詳盡. 復次,細核牧齋所爲傳文,知其原始材料,絶大部分取自朴詳(1474-1530)之『東國史略』,而於傳文結尾,牧齋則每每發爲議論,對麗季史事及人物加以評論. 本文試就『列朝詩集』‘朝鮮’部分之傳及詩,探論牧齋如何議論麗末歷史及人物,及於此所體現之‘史意’. 本文先考察朝鮮漢文相關文獻,釐淸在王氏高麗朝日漸式微之時,名臣李穡主張‘立前王之子’之來龍去脈,從而窺探此一事件何以成爲後世史家·文士不斷討論的話題. 復次,在朝鮮文士對錢謙益的評論的啓發下,本文進而剖析錢氏『列朝詩集』‘朝鮮’部分之詩人小傳及詩作,指出此朝鮮詩之編纂,實乃錢氏‘選政’中一項相當特別的作業,充分體現出其‘以詩存人’·‘以人存史’的‘詩史’精神. 錢氏於此,寄寓揚善貶惡之旨,筆削予奪,深刻異常,値得深探細究.

      • KCI등재

        한중(韓中) 시문선집에 수록된 정몽주 시문의 위상과 특징

        안장리(An, Jang Li) 포은학회 2020 포은학연구 Vol.26 No.-

        본고에서는 정몽주의 작품이 수록된 조선과 중국의 시문선집을 고찰하였다. 정몽주 시문이 수록된 선집으로 우리나라 김종직의 『청구풍아』와 서거정의 『동문선』, 남용익의 『기아』, 장지연의 『대동시선』 그리고 중국 남방위의 『조선시선』, 오명제의 『조선시선』, 전겸익의 『열조시집』, 주이존의 『명시종』등을 고찰하였다. 『청구풍아』와 『동문선』은 모두 정몽주의 시를 많이 수록하였는데 『청구풍아』는 125명 중 제9위였고, 『동문선』은 388명 중 제6위였다. 내용상으로는 모두 사행시가 많았으나 『청구풍아』는 철리시와 악부시, 『동문선』에는 종군시, 변새시, 자연시 등을 수록한 차이가 있었다. 『기아』와 『대동시선』은 수록내용이 비슷한데 기존 시선집에 비해 적은 작품을 수록하였으며, 호방함을 드러내는 시 위주로 선정하는데 그쳤다. 남방위와 주이존의 선집에는 오류가 많아 오명제와 전겸익의 선집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오명제의 『조선시선』에 수록된 113명의 우리나라 시인 중 정몽주의 작품수는 제2위였으며, 『열조시집』은 제3위였다. 그러나 허균의 영향이 컸던 이 시선집에서 허균의 스승인 이달과 누이인 허난설헌을 제외하면 정몽주가 모두 제1위이다. 중국시선집의 경우 우리나라에 비해 적은 편수가 실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주제의 시가 수록되어 있으며, 특히 『열조시집』은 충신 정몽주의 면모를 강조한 특징이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collections of poetry and prose works containing Jeong Mong-ju s works published in Joseon and China. The collections containing his poems include Cheonggupunga by Kim Jong-jik, Dongmunseon by Seo Geo-jeong, Gia by Nam Yong-ik, and Daedongsiseon by Jang Ji-yeon in Joseon and Anthology of Joseon by Nambangwi, Anthology of Joseon by Omyeongje, Yeoljo Collection of Poems by Jeongyeomik, and Myeongsijong by Juijon in China. Both Cheonggupunga and Dongmunseon have many of Jeong Mong-ju s poems. He ranked No. 9 of 125 writers whose works were published in Cheonggupunga and No. 6 of 388 in Dongmunseon. In terms of content, many of his poems in these collections are envoy poems. Cheonggupunga also presents his Cheoli and Akbu poems, while Dongmunseon features his poems about service in a war, soldiers in the frontier, and nature, as well. Gia and Daedongsiseon chose Jeong s poems similar in content. They contain relatively fewer poems of Jeong than previous collections and focus on his poems displaying his magnanimous nature. Since there were many errors with the collections by Nambangwi and Juijon, the present study reviewed mainly the collections by Omyeongje and Jeongyeomik. Of 113 Korean poets whose works are published in Anthology of Joseon by Omyeongje, Jeong recorded No. 2. He also recorded No. 3 in Yeoljo Collection of Poems, which was deeply influenced by Heo Gyun. Except for Lee Dal, Heo s teacher, and Heo Nanseolheon, his sister, Jeong recorded No. 1 in terms of works published in the collection. The collections published in China contain a smaller number of Jeong s works than their Joseon counterparts, but there are his poems of more diverse topics published in them. Yeoljo Collection of Poems, in particular, puts an emphasis on Jeong s aspects as a loyal subject.

      • KCI등재

        조선 후기 전겸익(錢謙益)의 수용 과정과 인식 양상

        류화정 ( Hwa Jeong Ryu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7

        A lot of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acceptance of Qian Qianyi(錢謙 益) related to literature and literary criticism in the late Josun.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such as route his books were brought into Joseon, person who recognized political defection of Qian Qianyi(錢謙益). This paper explained them clearly. Qian Qianyi(錢謙益) was widely known to <Liezhaoshiji 列朝詩集>. The book was first published in 1652. After 30 years, many Shidafu(士大夫) in Joseon alrealy read it. In <Dohyup Collection of Articles 陶峽叢說> written by Lee Eui Hyun(李宜顯), Kim Seok-Joo(金錫胄) bought <The biographies in Liechao shiji 列朝詩集小傳> in 1683. GyongHwaSeJog(京華世族) introduced literature and literary criticism of Qian Qianyi(錢謙益) for the first time in Joseon. They have monopolized knowledge and information since they were separated by faction and family. It took 130 years to know the fact that political defection of Qian Qianyi(錢謙益) for that reason. I thought it is hard to accept and improve literary criticism of Joseon in this circumstance. Qian Qianyi(錢謙益) provided literary criticism overcoming the writing theory of pseudo-ancient-style(擬古派) prose circle and summarized literary criticism in Ming(明). However, It is main cause he was warmly received in Joseon that he was political activist of anti-Qing(淸) and Neo-Confucianism scholar. So the news of his political defection came as a shock. As his political defection became known, Shidafu(士大夫) in late Joseon denounced him as well as literature and literary criticism of Qian Qianyi (錢謙益). But some Shidafu(士大夫) still put his criticism to literary use. Others defended his literature tacitly. This means his political defection is unrelated to his great literary achievements. Nevertheless, Qian Qianyi(錢謙益) has been forgotten gradually in late Joseon. It is a matter for studying how to concatenate between individual behaviour and literary achievements. It also is effective discussion other studies.

      • KCI등재

        17-18세기 中國에 전해진 朝鮮의 漢詩

        이종묵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한국문화 Vol.45 No.-

        It is from ImJinWeiLan that Joseon's Hansi was introduced to China. Some Ming literary men who were followed the Ming troop started to compile the anthology of Joseon Hansi. Some anthologies such ans OMyeongJe(吳明濟)’s JoseonSiSeon(朝鮮詩選), NamBangWi(藍方威)’s JoseonSiSeonJeonJib were appeared and later JeonGyeomIG(錢謙益) reprinted O’s work in his YeolJoSiJib(列朝詩集). From then Joseon’s Hansi was spread out. Also there are SonCiMi’s JoseonCaePongLog(朝鮮採風錄) which Joseon literary man helped to compile. These two books were the source of later anthology of Joseon’s Hansi. Because the famous literary man like WangSaJeong(王士禎), JuIJun(朱彛樽), WuDong(尤侗) quoted Son’s work, JoSeon’s Hansi could be widely spread. There are a lot of JoSeon’s Hansi in EoSeonMyeongSi compiled with the Emperor GangHui’s order. Cheong literary men were concerned with JoSeon’s Hansi consistently. The reason why Chinese literary men were interested in JoSeon’s Hansi was originated from the sense of identical passage and JoSeon’s Hansi was meet the high standard of Hansi. The anthology of Joseon’s own were compiled to satisfy the need of Chinese literary men. YunGeunSu(尹根壽)’s HaDongSiBuSeon, SongSangGi(宋相琦)’s ByeolBonDongMunSeon, MinBaegSun(閔百順)'s HaeDongSiSeon were such examples. But these anthologies were hardly circulated in China. Chinese literary man directly imported the Joseon literary man’s collection of work, almost simultaneously especially in 18th century. The collection of HeoNanSeolHeon was imported and reprinted in China. Joseon’s Hansi was recorded in the Chinese literary works but there are some mistakes. NamGuMan(南九萬), YiDeogMu(李德懋), YiSeoGu(李書九) were tried to correct the mistakes in the Chinese literary works and the other side, collected the Joseon’s Hansi in the Chinese literary works such as HaeDongYeogSa(海東繹史). There were tendency that some literary man brought his own works or sent his own to Chinese literary man and received the comment.

      • KCI등재

        포은 시문학 연구의 과제

        홍순석(Hong, Soon-Seuk)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4 No.-

        포은학에 관련된 연구는 대략 2백여 편에 달한다. 포은학회 창립이후 발표된 논문이 그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문 · 사 · 철(文史哲)의 제한된 연구범주에서 시작한 포은학 연구가 이제 다양한 인접 학문과의 융합으로 범주가 확대되었다. 그만큼 연구 영역이 확대된 것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다시금 강조되는 사항이 ‘텍스트’이다. 포은학의 텍스트인 ≪포은집≫에 대해 깊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포은 정몽주의 문집은 초간본인 ≪포은시고≫가 1439년에 간행된 이후 14종의 판본이 간행되었다. 기존의 한적목록을 바탕으로 확인된 ≪포은집≫이 총 281종 691책이지만, 실상은 더 많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새로운 자료도 결코 적지 않다. 일본 봉좌문고(蓬佐文庫)에서 발굴된 포은의 <대책문(對策文)>은 더없이 중요한 자료이다. 중국문헌에서 발굴된 시작품도 3편(6수)이며, 아직 확인되지 않은 일조시의 시작품 2편을 포함하면 5편(8수)이다. 국내 문헌 가운데 ≪삼봉집(三峰集)≫에서 1편, ≪송은집(松隱集)≫에서 3편의 시작품과 <제포은문(祭圃隱文)>을 확인하였다. 그동안 포은학연구의 기본 자료인 ≪포은집≫은 형태서지의 정보사항만 제기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내용서지 연구와 함께 종합적인 판본조사가 필요하다. 초간본을 비롯하여 14종의 판본에 대한 교감작업도 시급한 상황이다. ≪포은집≫에 수록된 시제(詩題)와 시구(詩句)가 판본에 따라 상이한 곳이 적지 않다. ≪포은집≫이 창작 순서대로 편집하였다고 하나, 중국 사행시의 경우 배열에 오류가 있다. 국내외에서 편찬된 문헌 속의 포은 시작품을 대비한 결과 오류가 더 심하다. 포은 시문학의 연구를 위해서, 더 나아가 포은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국내외 포은관련 문헌자료의 발굴과 현장조사가 필수적인 과제이다. 본고에서 제시되지 않은 국내외 도서관에 산재한 자료와 개인 소장본으로 전하는 것이 수없이 많으리라 본다. 이에 대한 관심을 각별히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포은집≫의 증보 · 교감 사업도 더없이 중대하다. 포은의 시문학연구를 위해서 가장 선결 과제가 증보교감본의 간행이다. 이제까지 형태서지학적인 관심만 기울였을 뿐, 내용서지학 측면에서의 연구는 시도 된 바없다. 아울러 포은학의 세계화를 위해 국역은 물론, 영어 · 중국어 번역본의 간행사업도 깊은 관심을 기울일 때이다. There have been about 200 researches on Poeun, and more than half of them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foundation of Association of Poeum Studies. Having begun within the range of humanities, philosophy and historical studies, the research on Poeun has extended its scope of study with the cross discipline with various related studies.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of extended range of study, the subject of ‘text’ is to draw substantial academic attention. Now it’s time to show a keen interest in Poeunjip, which is a vital text in the field of Poeun research. Since the publication of Anthology of Poeun’s Poems in 1439, 14 woodblock-printed books of Poeunjip have been published. The list of Poeun’s works shows that 691 books of Poeunjip have been published in 281 types, but it is widely believed that more books actually have been published. This paper too proposes a quite a few new references to prove the existence of unexcavated material. Poeun’s “Daechaekmoon(對策文),”discovered in Japan’s “Bongjoamoongo(蓬佐文庫),” has a great significance. Three poems by Poeun have been found in Chinese bibliography, in addition to two other unverified poems. In Korean bibliography, one poem of Poeun has been discovered in “Sambongjip(三峰集)” and three others in “Songeunjip(松隱集)” including “Chepoeunmoon (祭圃隱文).” Poeunjip has nothing but the record of material bibliography, and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study on the woodblock-printed books as well as on the content bibliography.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reach a consensus on the study of 14 kinds of woodblock-printed books. The themes and phrases in Poeunji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version of woodblock-printing. In the case of Chinese four-line verse, there are a lot of errors in terms of arrangement, especially compared with Poeun’s poems in Korean bibliography. The excavation of overseas and domestic literature on Poeun and the field study are essential to further study on Poeun’s poetry and the globalization of Poeun study. It is presumable that there are so many material concerning to Poeun including those offered in this paper, whether in public library or in private collection. The next academic step should be focused on those material that are not available at the moment. Another important thing to be done first is to lead a social consensus on the supplement of Poeunjip. Compared to the material bibliography, the content bibliography is still in its nascent stage. The translation of Poeunjip into English and Chinese as well as modern Korean is to be seriously considered in terms of the globalization of Poeun stud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圃隱 先生 明 使行길 踏査의 意味와 登州

        배규범(裵圭範) 포은학회 2012 포은학연구 Vol.9 No.-

        본 연구는 포은 선생의 해외 체험 중 명나라 사행길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포은 선생은 당대 최고의 국제 외교 전문가였다. 선생의 명나라 사행길은 약 16년 동안 총 6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명나라 사행은 포은 선생의 삶과 문학을 이해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이자 路程이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사행길 답사에 따른 세부적인 계획 수립과 함께 우리에게 가져다 줄 수 있는 무언의 단서들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포은학 연구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된다면 그 역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선생의 명 사행길 답사를 각 省 별로 지구를 나누어 진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는 육로를 통해 압록강을 넘어 요동반도까지 진출하는 遼寧省 지구, 두 번째는 배를 통해 산동반도 萊州로 건너간 뒤 육로 또는 해로로 日照를 거쳐 徐州 등 산동성 남부까지 가는 山東省 지구, 세 번째는 京杭大運河를 통해 내륙 수로로 南京에 이르는 江蘇省 지구, 네 번째는 남경을 떠나 귀국하는 노선에 등장하는 太倉, 長江口의 浙江省 지구가 그것이다. 답사를 통해 선생이 가셨던 길을 정확히 재현함으로써 길 위에서 고뇌했던 인간 정몽주의 詩心을 느끼는 것은 향후 포은학의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 여겨진다. 또한 중국 각 지역에 흩어진 선생 관련 자료들을 수집 발굴하는 성과는 현장이 아니면 얻을 수 없는 점이다. 중국 현지에 있는 각종 문화 기관들이나 朝貢 외교에 대한 중국 내 연구 성과들도 상당수다. 이런 자료들을 취사선택하여 번역하고 정리하는 일은 포은학 연구의 모든 분야에 새로운 자료 를 제공하는 일이 될 것이다. 실제 본 연구에서는 초기 문헌 검토 작업을 통해 钱谦益(1582~1664)의 『列朝詩集』(顺治间刊本作81卷)에 수록된 총6수의 새로운 포은 선생 시를 추가로 확인하는 등 일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圃隐 郑梦周(1337~1392)先生是将礼仪和忠贞节义视为比生命更重要的朝鲜王朝性理学的师表。高丽末期, 大学者牧隐 李穡(1328∼1396)先生也尊称其为"东方理学的始祖"。圃隐生作为名副其实的韩国性理学始祖, 在仍然存有性理学思想的韩国社会中占有一席之地。本研究是将圃隐先生的出国经历中, 出使明朝时的路线做为研究对象。圃隐先生是那个时代最出色的国际外交官。先生以敏锐的国际视角洞察出"高丽末期"和"元明交替期"东亚急剧变化的局势, 想通过实用的外交路线为国家做出贡献。先生大概在16年内总共出使明朝6次。虽然研究有略微的差异, 但是出使明朝时有3次访问过当时的首都南京, 其中有两次肯定是谒见了太祖。剩下的3次都是在辽东被拒绝入关而返回。明朝使行可以说是理解圃隐先生的人生和文学的不可或缺的重要资料和路程。本研究的目是, 制定对出使路线进行实地考察的详细计划, 并且提及出使路线能够给我们带来的线索。如果通过研究能够形成对圃隐学研究的新的转机, 那么本研究将会充分体现出它的价值。 首先, 本研究拟定对先生出使明朝路线的实地考察以省为单位, 分地区进行。第一, 经陆路度过鸭绿江进入辽东半岛的辽宁省地区;第二, 坐船到山东半岛的莱州, 然后转为陆路, 经过日照再到徐州等山东省南部的山东省地区;第三, 经京杭大运河由内陆水路到南京的江苏省地区; 第四, 在从南京回国的路线中出现的太仓, 长江口的浙江省地区。通过实地考察准确地再现先生走过的路, 感受在路途中郑梦周的诗意, 这对以后圃隐学的发展是很必要的。 另外, 如果不在现场, 很难收集和发掘在中国各地流散的有关先生的资料。中国国内也有很多文化机关或者关于朝贡外交的研究成果。对这些资料进行筛选、翻译、整理, 将为圃隐学研究的所有领域提供新的资料。事实上, 本研究通过初期的文献调查工作, 在钱谦益(1582~1664)的 ≪列朝诗集≫(顺治间刊本作81卷)和日照市发现了总共9篇新的圃隐先生的诗, 取得了一些可视成果。 最后, 登州是圃隐先生出行路线开始和结束的地方。实际上, 先生以登州为背景写下了 ≪過海宿登州公館≫, ≪登州仙祠≫, ≪登州過海≫, ≪蓬萊閣≫, ≪蓬萊驛示韓書狀名尙質≫等作品。当时, 登州是山东与韩半岛交流的窗口。高丽王朝和朝鲜王朝时期, 许多使臣入朝时必须经过登州。在先生留下的诗篇中, 以登州为背景抒发了对故国的思念和客居之苦以及对新事物的期待, 并且很坦率的表达了自己对秦始皇和中国文人苏东坡的想法。因为考虑到这些因素, 计划将登州作为实地考察的主要据点城市。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