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여성과 아동의 한시 향유와 이중언어체계(Diaglosia)

        이종묵 진단학회 2007 진단학보 Vol.- No.104

        Hansi and Diaglosia in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Translation of Hansi for Children and Women 한글이 창제된 초기에 여성과 아동을 위한 번역서는 한문이 중심이고 한글이 보조적인 역할을 하였다. 조선 초기에 나온 아동을 위한 한시 번역서 역시 한문이 우선이고 한글이 부차적인 지위를 차지하였다. 16세기 이래 일반 대중의 교화를 목적으로 하는 교화서를 중심으로, 한문 원문 자체의 비중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번역문의 한글 전용이 서서히 이루어졌다. 또 한글이 왕실에서 여성들의 공식적인 문자로 자리하면서, 조선 후기에는 왕실 여성의 교화나 교양을 위한 번역이 대규모로 이루어졌고, 이러한 번역서는 철저하게 한글만으로 표기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여성이 한문으로 문자생활을 하는 것이 금기시되던 사회분위기에서는, 한문을 알면서도 한글로 된 책을 읽어야 했고 또 한글로 글을 적어야 했다. 한글이 여성의 공식어로 자리하였기에,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남성 지식층도 그들의 공식어인 한문이 아니라 한글을 이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들이 한문으로 지은 한시도 번역문뿐만 아니라 원문까지 한글로 읽는 전통이 생겼다. 특히 왕실 여성의 경우 광범위한 교양의 습득을 위해 한글로 번역된 역사서나 여행기를 읽었고, 이들 역사서나 여행기에 이미 교양의 일부가 된 한시가 수록되어 있었으므로, 이들 한시 역시 한글로 향유하게 되었다. 한글로 원문과 번역문을 읽는 체재가 확립되면서 원문은 장식으로만 존재하고 번역문을 통하여 대충 시의 뜻을 파악하는 것이 여성들의 한시 향유 방식이 된 것이다.

      • KCI등재

        여성이 한시로 배필을 구하는 일

        이종묵 한국한시학회 2020 韓國漢詩硏究 Vol.28 No.-

        There is a story of a woman breaking into a room of soldiers such as Kim Tae-hyun, Jung In-ji, Cho Kwang-jo and Kim An-guk. In addition, a poem is written to a handsome man who reads a book with a resonant voice, and a favorite story appears in poetry, yatam, and novels. This article is intended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these stories. Reading books or writing poems well means that men have excellent abilities. Thus, it was a plausible story in Goryeo or Joseon that a woman showed that she had the same literary talent and taste by writing poems first, and that she wanted to get a good spouse. In particular, middle-class and common-class women, who are not from noble families, grew knowledge of Chinese poetry based on their economic power, and it would have been a natural phenomenon for these women to seek a good spouse that matches their abilities and tastes. In addition, it seems possible for a giraffe called 解語花(a talkative flower) to have a one-night relationship in this way. Women conspired to sleep with one-time use, and men responded to it, which was expanded and reproduced. I introduced and interpreted the story of a woman in the Joseon Dynasty who had a relationship with a man through Chinese poems. 역사나 야담에 金台鉉, 鄭麟趾, 趙光祖, 金安國 등 군자의 방에 침입한 여성에 대한 이야기가 전한다. 여성이 미남자에게 먼저 시를 지어 구애하는 이야기도 시화, 야담, 소설에서 드물지 않게 등장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이야기의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해석하고자 한 것이다. 책을 잘 읽거나 시를 잘 쓴다는 것은 그 남성이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이를 알아본 여성이 먼저 시를 지어 보냄으로써 자신도 그에 못하지 않는 문학적 재능과 취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 이처럼 여성이 시를 지어 마음에 드는 배필을 구하고자 한 것은 고려나 조선에서 있을 수 있는 그럴 듯한 일이었다. 특히 귀족 출신이 아닌 중간 계층과 평민 계층 여성들이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시에 대한 소양을 키웠고 이런 여성들이 한시를 통해 자신의 능력과 취향에 맞는 배필을 찾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었을 것이다. 또 解語花로 불리는 기녀일 경우 하룻밤의 인연을 이런 방식으로 맺고자 한 것도 드물지 않았을 것이다. 더욱이 조선후기 여성이 한시를 매개로 하여 잠자리 상대를 공모하고 남성이 이에 응하는 음담패설로까지 확대재생산되었다. 조선시대 여성이 한시를 매개로 하여 남성과 인연을 맺는 이야기를 소개하고 이러한 시각에서 해석해보았다.

      • KCI등재

        17-18세기 中國에 전해진 朝鮮의 漢詩

        이종묵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한국문화 Vol.45 No.-

        It is from ImJinWeiLan that Joseon's Hansi was introduced to China. Some Ming literary men who were followed the Ming troop started to compile the anthology of Joseon Hansi. Some anthologies such ans OMyeongJe(吳明濟)’s JoseonSiSeon(朝鮮詩選), NamBangWi(藍方威)’s JoseonSiSeonJeonJib were appeared and later JeonGyeomIG(錢謙益) reprinted O’s work in his YeolJoSiJib(列朝詩集). From then Joseon’s Hansi was spread out. Also there are SonCiMi’s JoseonCaePongLog(朝鮮採風錄) which Joseon literary man helped to compile. These two books were the source of later anthology of Joseon’s Hansi. Because the famous literary man like WangSaJeong(王士禎), JuIJun(朱彛樽), WuDong(尤侗) quoted Son’s work, JoSeon’s Hansi could be widely spread. There are a lot of JoSeon’s Hansi in EoSeonMyeongSi compiled with the Emperor GangHui’s order. Cheong literary men were concerned with JoSeon’s Hansi consistently. The reason why Chinese literary men were interested in JoSeon’s Hansi was originated from the sense of identical passage and JoSeon’s Hansi was meet the high standard of Hansi. The anthology of Joseon’s own were compiled to satisfy the need of Chinese literary men. YunGeunSu(尹根壽)’s HaDongSiBuSeon, SongSangGi(宋相琦)’s ByeolBonDongMunSeon, MinBaegSun(閔百順)'s HaeDongSiSeon were such examples. But these anthologies were hardly circulated in China. Chinese literary man directly imported the Joseon literary man’s collection of work, almost simultaneously especially in 18th century. The collection of HeoNanSeolHeon was imported and reprinted in China. Joseon’s Hansi was recorded in the Chinese literary works but there are some mistakes. NamGuMan(南九萬), YiDeogMu(李德懋), YiSeoGu(李書九) were tried to correct the mistakes in the Chinese literary works and the other side, collected the Joseon’s Hansi in the Chinese literary works such as HaeDongYeogSa(海東繹史). There were tendency that some literary man brought his own works or sent his own to Chinese literary man and received the comment.

      • KCI등재
      • 일반논문 : 섬진강 명현의 유적

        이종묵 南冥學硏究院 2015 南冥學 Vol.20 No.-

        이 논문은 그간 지리산 권역의 문화를 논할 때 지리산을 감싸 안고 흐르는 섬진강과 그 유역에 대한 관심이 높지 못하였다는 연 구사적인 반성에서 출발하여, 지리산 권역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河東과 光陽 등 섬진강 강 유역에 대한 문화사적 접근을 제안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岳陽 지역과 관련하여서는 曺植이 주목 한 韓堆漢의 鍾嚴 取適臺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鄭汝昌이 경영한 淘難 岳陽亨의 문화사도 함께 살폈다. 또 섬진강 서쪽 光陽 지역 에 대해서는 湘潭에 있던 鄭忠信의 전장과 비슷한 곳으로 추정되는 李玄速의 훌隱洞 전장, 그리고 그 제자 金聖釋의 葛隱洞 생활 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河東과 光陽 등을 중심으로 한 섬진강의 문화사가 어느 정도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今日學界探討關於智異山區域文化時, 對環繞智異山而暢流的蟾津江以及蟾津江流域的文化幷沒有足鉤的關註。於是本文側重於對智異山全域的文化解讀, 積作出韓半島河東地區與光陽地區等蟾津江流域文化史硏究的提案。 蟾津江流域的文化構成了對智異山區域文化的基本解釋系統, 也是我們理解智異山區域文化的重要津梁。因此本文中首先具體考論了蟾津江東邊嶽陽地區的文化, 考察了被曹植關注的高麗名賢韓惟汗的"揷岩"隱居處以及"去適台", 同時也論述了與鄭汝昌有關的"淘灘"岳陽亭"等文化遺址。 其次還考論了坐立在蟾津江西邊光陽地區的文化, 考察因湘潭鄭忠信而得名的壬辰倭亂戰場遺址以及因李玄逸而得名的"葛隱洞"文化遺址, 與此同時考究李玄逸笛子金聖鋒的葛隱洞生活。通過對以上的考述, 就對以韓半島河東地區與光陽地區僞中心的蟾津江等流域的文化史有了一個新的認識與硏究視角.

      • KCI등재

        관악산 자하동의 인문경관과 자하 신위

        이종묵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論叢 Vol.80 No.3

        이 논문은 관악산 북쪽 자하동(紫霞洞)의 인문경관을 자하동의 주인 신위(申緯) 를 중심으로 하여 살핀 글이다. 관악산은 정상의 연주대(戀主臺) 아래 동서남북 네 곳의계곡을 자하동이라 불렀는데 여기서는 통상적으로 자하동으로 불리는 북자하동을 다루었다. 자하동의 인문경관은 17세기 말엽 평산 신씨 집안인 신여석(申汝晳)과 신여철(申 汝哲) 형제가 이로당(二老堂)과 일간정(一間亭)을 경영한 데서 시작하였고, 그 후손인신위가 이 자하산장(紫霞山莊)을 물려받음으로써 19세기 전후한 시기 의미 있는 공간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젊은 시절 신위는 벗 서영보(徐榮輔)를 불러 함께 시를 지었고, 서영보는 자하동의 인문경관을 아름다운 산문으로까지 남겼다. 이 논문은 이러한 공간을 문학 작품과 함께 1796년 정수영(鄭遂榮)이 그린 그림, 1912년 작성된 지적도와 1913년 측량한 1/5만지도, 1950~1960년대 촬영된 사진 등의자료를 동원하여 재구하였다. 이와 함께 서울대 인문대 지역에 조성되어 있는 신위의 흉상과 시비 등의 경위와 내용을 소개하여 자하동이 인문경관을 갖춘 공간임을 기억할 수있게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landscape of Jaha-dong, north of Gwanaksan Mountain, focusing on Shin Wi, the owner of Jaha-dong. The four valleys in the east, west, north, and south under the Yeonjudae of the summit of Gwanaksan Mountain were known as Jaha-dong; this paper considers Bukjadong, commonly called Jaha-dong. The humanities landscape of Jaha-dong began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when the brothers Shin Yeo-seok and Shin Yeo-cheol, of the Pyeongsan Shin Clan, managed Irodang and Ilganjeong. After their descendant Shin Wi inherited Jaha Sanjang, the place was reborn as a meaningful space around the 19th century. When he was young, Shin Wi called his friend Seo Young-bo to write poems together, and Seo Young-bo recorded the humanities landscape of Jaha-dong as beautiful prose. Along with literary works, this paper reconstructed this space by mobilizing data such as paintings by Jeong Soo-young in 1796, cadastral maps prepared in 1912, 1/50,000 maps measured in 1913, and photos taken in the 1950s or 60s. At the same time, the details and contents of the bust and monument of Shin Wi, which were created in the College of Humaniti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introduced so that Jaha-dong could be remembered as a space with a humanities landscap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