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교육에서 생명과학에 터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모근,박형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교육에서 여가에 대한 참다운 의미와 창조적이고 바람직한 여가활용 방향을 제공하는 생명과학에 터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여가의 개념과 목적을 살펴보고, 실과교육에서 생명과학에 터한 여가교육 프로그램과 5학년 꽃과 채소 가꾸기 단원의 여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생명과학에 터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식물과 친해지기와 키워보기(잔디 인형 만들기, 물병 꽃 싸기, 꽃 말리기, 씨앗으로 그림그리기, 잔디 인형 머리 깎기), 감사의 달 선물 만들기(작은 꽃 바구니 만들기, 손바닥 정원 만들, 나뭇잎 화석 만들기, 번식하기, 토마토 모종 심기), 수확의 기쁨 누리기(수확하기, 수경재배하기, 수확하기, 봉선화 수확 하기, 공중걸이 화분 만들기), 식물과 하나되기(채소 도장 만들기, 채소 위에서 채소 키우기, 감물 손수건 만들기, 토피어리 만들기, 압화하기)을 개발하였다. 꽃과 채소 가꾸기에 터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은 우리 생활 속의 꽃과 채소 인식하고 종류 알아보기, 꽃과 채소를 심는 방법 알아보기, 재배 과정 발표하기, 꽃과 채소의 활용 방법 및 관련 직업 알아보기, 재배 과정 발표하기, 활용 방법 및 관련 직업 알아보기 등을 개발하였다. 앞으로도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바람직한 여가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범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하며, 나아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차원에서 여가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에 관한 부분의 연구가 요구된다. 어떤 유형의 여가교육을 얼마나 받았느냐 하는 것은 여가를 보내는 방법, 활동의 범위, 여기 이외의 분야에서의 성취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바람직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현장에 지속적으로 적용하면 학교, 직장, 지역사회를 통틀어 개개인을 행복한 삶으로 이끌어주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leisure education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education based on bio-related technology. It was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practical solutions on these issues and analyze the concept of leisure education.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33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ed in Busan. This study indicated great expense of leisure activity, lacking of various leisure cultures, and absence of leisure education program as current problems of leisure culture in Korea. With regard to the concept of leisure education, this study found that program the concept of leisure education was more than recreational activities; it included conscious and systematic education for and/or in leisure which aims to bring about certain desirable changes in human life through leisure education program. School education intentionally and various leisure education program must be developed. Consequently, two leisure education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education; a) leisure education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education based on bio-related technology, and b) leisu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growing flowers and vegetables unit of 5th grade practical arts education. Lisur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provided not only in school but also in society.

      • 여가상담의 이론적 고찰과 프로그램 개발

        곽형식,한상철 慶山大學校 1993 論文集 Vol.11 No.1

        현대사회에 있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이 일을 하지 않고 있을 때 오히려 더 많은 불안과 초조감을 갖게 된다고 토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직무와 작업에만 몰두할 때 개인의 정체감(identity)은 상실되고, 인생에서 무의미감은 증가하게 될 것이다. 바쁘게 일을 하는 것만이 인생을 의미 있게 사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일을 하는 목적과 가치에 대해서는 망각하고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여가상담 또는 교육은 시간이 남아도는 사람에게 여분의 시간을 여유롭고 한가하게 그리고 즐겁게 보내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항상 바쁜 생활과 일과에만 파묻혀서 여가를 오히려 불안하게 여기는 현대인들에게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고,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인식하여 개인의 정체감을 발달시키도록 함으로서 결국에는 자아실현과 아름다운 인생을 가꿀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여가란 개인에 따라 그 자체가 과업이나 일이 될 수도 있고 어떤 개인에게 있어서는 일 자체가 여가가 될 수도 있다. 이것은 여가를 어떻게 인식하는가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여가상담 프로그램의 일차적인 목표는 여가를 여가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있다. 이것은 여가라는 것이 반드시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행동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임을 인식하고, 개인이 어떠한 활동을 하더라도 만족감과 의무감을 내포하고 있을 매 이를 여가로 인식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프로그램의 두번째 목표는 개인의 여가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소극적이고 금욕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이고 과감한 자기표현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자신의 긴장감이나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좌반구 기능으로 전문화된 많은 일상업무들을 중지하고 감정이나 정서를 관장하고 조절하는 우반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계획하였다. 그리고 본 프로그램의 세번째 목표는 여가활동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유쾌한 경험을 제공하는 활동들을 리스트하고 불쾌한 활동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각 활동들에 대한 계획과 더불어 계속적인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경험적인 연구에 의해 그 타당성이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적용을 하는데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많은 선행연구와 기존의 외국 프로그램을 참고로 본 연구자가 우리 실정에 알맞도록 수정하고 발전시킨 것으로서 그 가치가 높다고 한 수 있다. 그리고 본 프로그램은 대체로 중년기에 있는 성인들에 초점을 두고 제작되었으나, 우리나라의 교육이 경쟁과 입시 그리고 취업이라는 왜곡된 현실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교육에서도 인생의 가치와 의미를 인식할 수 있는 여가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고자 하며, 이러한 점에서 특히 청소년과 성인세계의 과도기에 있는 대학생들에게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들의 인생관과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여가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노인 여가 프로그램 중심으로-

        김창래 ( Kim Chang-lae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0 사회복지경영연구 Vol.7 No.1

        우리나라는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갖가지 노인들의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그 문제성에 직면하게 되었다. 노인들의 여가 실태에 관한 중요성과 인식의 변화에 대한 제도나 개선방안들을 찾아볼 수 있다. 예전의 여가는 특별한 프로그램이나 계획성 없이 무료하게 시간을 보내기식이라는 인식이 되어져 있다. 하지만 여가활동은 단순히 무료한 시간을 보내기보다는 자신의 향후의 삶의 질을 높이고 개인의 정체성을 찾는 재 시간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노인들의 대부분의 시간들은 여가시간이 생활의 전체로 자리 잡고 있는데 이것을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는 노인여가 활동의 가장 기초적인 경로당은 물론이고 노인교실과 노인복지관들이 각 시·군·구의 동·면·리에 시설들이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경로당과 노인교실에서는 특별한 프로그램을 하기 보다는 단순히 시간 때우기 식의 장기나 바둑, 소일거리 정도의 부업이나 화투, TV, 라디오청취, 그리고 간단한 이웃이나 친구들과의 사교생활정도 등을 통한 노인들의 프로그램이라 하기엔 미흡한 일들이 진행되어 지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여가활동의 활성화를 살펴보면 우선 경로당은 노인들의 가장 기본적으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장소이기 때문에 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경로당의 시설들을 보충하여 지속적인 재정지원을 받아야 하며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진행되어지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진행을 위한 전문가가 확보 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노인들의 여가프로그램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찾아가면서 활성화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생각도 해보았지만 위에 보여진 노인여가시설의 내용과 프로그램들은 이모두가 전부는 아닐 것이라고 보여진다. 교육수준이나 환경에 따라 각 노인들에 대한 여가를 즐기는 방법들은 다양 할 것으로 생각하며 노인들의 안락하고 즐거운 노후를 위한 많은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진행되어 앞으로 어르신들이 마지막까지 삶을 알차고 보람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As Korea entered the age of aging, it became faced with the problem as it became interested in the problems of various elderly people. You can find out about the importance and perception of the leisure situation of the elderly, and how to improve the system and how to improve it. In the past, it was recognized as a free time to spend without special programs or planning. However, rather than simply spending free time, leisure activities can be seen as a time to improve one's future quality of life and to find personal identity. However, most of the time for the elderly, leisure time is settled as a whole, and it is important to use it well. In Korea, as well as the most basic path for elderly leisure activities, the elderly classrooms and welfare centers are located in Dong, Myeon, and Lier facilities in each city, county, and district. However, in the Senior Citizen's and Senior Classrooms, rather than doing special programs, it is simply a program of senior citizens, such as a time-killing long-term or baduk, a sideline-like sideline or fight, TV, radio listening, and a simple social life with neighbors and friends. Insufficient things are going on. So, when looking at the activation of leisure activities on these issues, the Senior Citizen Party is the most basic place for seniors to enjoy leisure, so in order to activate it, the facilities of the Senior Citizen must be supplemented to receive continuous financial support, and various leisure programs are developed and progressed. In order to be successful, experts must be secured for the progress of professional programs. In this paper, while looking for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leisure program for the elderly, I tried to find out and think about the revitalization plan.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or environment, there are many ways to enjoy leisure for each elderly person, and many programs for the elderly's comfortable and enjoyable old age have been developed and progressed so that the elderly can live their lives and be rewarded until the end. I think it needs a lot of support.

      • 농촌지역 노인여가활동 유형화 및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이소영 ( Soyoung Lee ),박동현 ( Donghyun Park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농촌지역 노인들에게 여가시설 및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지 않고 여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여가활동에 따른 도농간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지역 여건을 고려한 노인 여가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 할 수 있도록 노인 여가활동을 유형화하고 AHP분석과 농촌지역 노인들의 수요조사를 활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 하고자 하였다. 노인 여가프로그램을 반복적인 전문가 델파이 기법을 통해 ① 역량개발 추구형 ② 친목교류 추구형 ③ 건강관리 추구형 ④ 심리만족 추구형 4가지로 유형화 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별로 포괄적인 세부프로그램을 3~4가지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4가지 유형과 세부프로그램 11개의 우선순위 도출을 위해 농촌진흥청, 농수산대학, 전라북도청, 전북연구원, 전북대학교 소속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AHP분석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만60세 이상 농촌지역 노인 412명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계층분석 기법(AHP)을 활용한 참여형 노인여가프로그램 유형의 우선순위는 건강관리 추구형(0.50)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만족 추구형(0.27), 친목교류 추구형(0.12), 역량개발(0.11)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형별 세부프로그램의 중요도 평가는 건강관리추구형-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0.21)이 가장 높았으며 스포츠 프로그램(0.16), 심리만족 추구형-원예매개 프로그램(0.14), 건강관리 추구형-치매방지프로그램(0.09), 심리만족 추구형-동물매개 프로그램(0.07) 순으로 중요도가 평가되었다. 셋째, 농촌지역노인 412명을 대상으로 수요조사한 결과 역량개발(38.3%), 건강관리(27.8%), 친목교류명(21.6%), 심리만족(12.3%)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AHP분석결과와 실제 농촌지역 노인들의 수요 결과는 차이를 보였다. 전문가의 높은 평가를 보이는 건강관리와 심리만족 추구형은 농촌지역의 부족한 보건복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며 가장 낮은 평가를 보인 역량개발은 노인들의 수요가 가장 높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현실적으로 여가프로그램은 한 가지 요인을 목적으로 참여 하지 않기 때문에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와 농촌지역 노인들의 유형별 우선순위를 접목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노인복지회관 프로그램 참여가 여가생활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순복 ( Lee Sun Bok ),곽종형 ( Kwak Jong Hy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2 사회복지경영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강원도 노인복지회관 3곳의 65세 이상 이용 노인 150명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살펴봄으로써 노인들의 관심분야와 참여하는 여가프로그램 중 어떠한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더 좋은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여 노인들이 보다 만족스러운 여가생활을 통하여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노인복지회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평균연령이 많이 낮아졌으며, 경제성장으로 인한 학력 및 경제수준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노인들이 오랫동안 일 중심으로 살아온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여가생활을 선택하기 보다는 노후대책을 위한 일자리에 참여하여 프로그램 참여율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들의 여가활동 참여 현황을 살펴보면 신체적 영역, 지적 영역의 프로그램 참여율은 높은 반면에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의 프로그램 참여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여가활동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영역에 걸쳐서 전반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사회적 영역 중 취업과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타 영역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을 통하여 노인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개선하여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내실화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이 각자의 특성에 맞는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노인들의 일반특성에 따라 노인들이 느끼는 생활만족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노인의 특성들을 변화시켜주는 대책이 필요하다. 셋째, 일반적으로 여가 활동 프로그램에 많이 참여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므로 노인들이 여가활동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노인들의 욕구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50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at 3 senior welfare centers in Gangwon-do. By examining the leisure activity programs of the elderly, it analyzes which programs among the fields of interest of the elderly and the leisure programs they participate in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uggesting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leisure activity programs in the future, so that the elderly are more satis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a luxurious leisure lif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of the elderly using the elderly welfare center de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extension of the average lifespan of the elderly,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economic level due to economic growth were very high. Second,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program was low because the elderly, which can be used by the elderly, did not get out of the work-centered lifestyle for a long time and participated in jobs for old age measures rather than choosing leisure life. Third, looking at the status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program participation rates in the physical and intellectual domains were high, whereas the affective and social domains showed relatively low program participation rates. Fourth,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as found to be very high overall in all areas, but the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and social service among social areas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are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is suggested to improve the leisure activity program for the elderly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irst,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leisure activity programs so that the elderly can select and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y programs that fit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since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experienced by the elderly diffe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measures are needed to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ird, in general, the more people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y programs, the higher their life satisfaction is. Therefore, stud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y developing various programs that meet the needs of the elderly so that the elderl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y program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something to do.

      • KCI등재후보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여가시간 사용과 여가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손성민,이경락,전병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6 No.2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규칙적인 재활체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여가시간 사용과 여가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여가시간 사용과 여가활동 수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경기도 용인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거주하는 지적장애인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5 년 09월 01일부터 11월 30일 까지 총 12주간 재활체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재활체육 프로그램으로 짐볼과 탄성 밴드를 활용한 근력운동을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여가시간 사용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매월 시간 조사표 기록에 따른 총시간, 운동 빈도를 조사하였고, 여가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프로그램 전, 후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을 활용하여 동적 여가활동에서의 수행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18.0으로 기술통계, 프리드만 검정(Friedman),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s Signed-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결과 : 여가시간 사용의 분석 결과 총시간, 운동 빈도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지속적으로 증가하 였으며, 여가활동 수행의 분석 결과 동적 여가활동에서의 수행도, 만족도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재활체육 프로그램의 참여가 대상자들의 여가시간 사용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 용할 수 있어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지적장애인들에게 재활체육 프로그램의 참여는 필수적이다. 또한, 이러한 프로 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 관리하여, 지적장애인들의 여가생활의 질을 높이고 시설 내 생활과 하루일과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leisure time use and leisure activity performance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iding in a residential care facility by participating a regular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Methods : Participants were recruited 8 individual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a residential care facility in Yong-in city and the study period lasted 12 weeks,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30 in 2015. As a program, participants participated a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a Gym-ball and a elastic band. In order to analyze leisure time-use, time questionnaire was used every month to analyze total time and exercise frequency. Also, analyze the effects of leisure activity performanc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was used to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dynamic leisure activity. Collected data was encoded by item and analyzed with SPSS ver18.0.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the participants’ general information. A non-parametric test (the Friedman test) was used to analyze leisure time-use. A non-parametric test (the Wilcoxon’s signed ranked test) was used to analyze to the effects of leisure activity performanc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ccepted outside the 95% confidence interval. Results : The results of the total time and the exercise frequency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lso,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and th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nclusion : Thus, the participation of the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is a vital element to lead to change leisure time use and leisure activity performance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iding in a residential care facility. Also, through the providing and the developing a regular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systematically,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iding in a residential care facility have a higher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of the daily routine and life in a residential care facility.

      • KCI등재

        노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의 여가문화적 성격-경북 칠곡군 A아파트 경로당 사례를 중심으로-

        최유정 비교민속학회 2020 비교민속학 Vol.- No.71

        이 연구는 민속학적, 문화론적 접근을 통해 경북 칠곡군 A아파트 경로당에서 운영되는 노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의 실태를 현지조사하여 분석하고, 오늘날 노인의 여가문화로서 노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이 가진 여가문화적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노인들의 삶과 일상생활의 맥락에서 노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이 여가문화로서 어떤 의미가 있을 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노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에서 수강자들은 지자체에 의해 수강자들이 동원된 측면이 있다는 점, 지자체가 기획한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타율적이고 수동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수강자들은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치매 예방보다 놀이를 즐기거나, 운동을 하거나 지식을 습득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 알찬 여가 시간을 보낼 수 있다고 인식한다는 점,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개발 혹은 자아실현 등의 경험을 한다고 생각하는 점에서 ‘진지한 여가’활동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이 전통적인 자발적 여가문화와 확연히 구별된다. 그럼에도 수강자들의 삶과 일상생활의 여가양상을 살펴볼 때 그들이 치매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치매 예방 프로그램은 이미 만들어진 프로그램에 참여만하는 것이기 때문에 굳이 여가활동에 품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또한 시간만 허비하는 기존의 ‘일상적 여가’활동보다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해준다. 나아가 아파트 단지 내 경로당이라는 가정과 멀지 않은 공간에서 비슷한 연령대에 얼굴을 아는 사람들끼리 함께 즐길 수 있다. 이점에서 노인들의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는 현대적인 여가 욕구를 충족하게 해주는 적합한 여가활동이다. 노인의 ‘일상적 여가’활동과 비교할 때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은 ‘타율적 여가’, ‘이식된 여가’, ‘계획된 여가’, ‘설계된 여가’, ‘의도된 여가’, ‘복잡한 여가’, ‘힘이 드는 여가’라는 특징이 확인된다. 전통사회 뿐만 아니라 오늘날 노인들은 일상적으로 스스로 여가를 즐기는 주체이다. 그러나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의 여가문화적 성격으로 볼 때 노인들은 기존의 여가활동과는 달리 주제와 객체의 경계점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노인들은 전통적인 여가문화에서 벗어나 점점 현대사회의 여가문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로서 노인들의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을 주목할 수 있다. This study conducted field surveys on and analyzed the condition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operated at the A Apartment Senior Center through folkloristic and cultural approaches to examine leisure cultural propertie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as leisure culture for the elderly. For this, observations were made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from contexts of the lives and everyday lives of the elderly. The fact that participants were gathered by local governments for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e fact that they were a part of a program that was already planned by local governments displayed heteronomous and passive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confirmations were also made of characteristics as ‘serious leisure’ activities as participants enjoyed play, exercised, or acquired knowledge rather than focus on dementia prevention through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erceived that they were able to spend their leisure time meaningfully, and experienced self-development or self-realization through the program. These can be considered aspects that display points of vagueness at which it is difficult to consider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to be leisure culture. Still, observations of the leisure aspects of the lives and everyday lives of the participants showed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the following reasons.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simply require participation in programs that have already been made so additional efforts are not required with regard to handling their leisure activities. Also, they allow time to be spent more meaningfully than with existing ‘everyday leisure’ that did nothing but waste time. Further, they could be enjoyed with familiar people of similar age in a senior center within the apartment complex, a space that is not far from home. From these poin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was appropriate for and satisfied the modern leisure desires of the elderly. In comparison with the ‘everyday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the leisure cultural properties of being ‘heteronomous leisure’, ‘transplanted leisure’, ‘planned leisure’, ‘planned leisure’, ‘intentional leisure’, ‘complex leisure’, and ‘difficult leisure’. The elderly serve as the leisure theme of traditional society and of modern everyday life. However, observations of the leisure cultural propertie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show that, unlike existing leisure activities, the elderly are located at the boundary point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Therefore, the elderly of today are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 leisure culture and are increasingly experiencing leisure culture of modern society an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elderly are cases that display this.

      • KCI등재

        초고령사회 지역 노인여가문화의 지리적 특성 연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

        박종천 ( Park¸ Jong-ch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0 호남학 Vol.0 No.68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초고령사회 지역인 전라남도 동부지역 내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을 연구지역으로 노인 여가시설의 현황과 여가 프로그램 참여비율 및 운영 실태를 지리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각 지역별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유형과 여가프로그램의 유형과 참여정도는 서로 상이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운영하는 32개 여가프로그램을 건강교실, IT교육, 교육교실, 음악교실, 취미교실로 5개로 유형화하여 확인하였다. 전체 참여율이 높은 여가프로그램은 취미교실, 건강교실, 교육교실, 음악교실, IT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고흥군은 건강교실, 보성군은 교육교실, 곡성군은 취미교실, 구례군은 건강교실과 취미교실을 중심으로 여가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지역적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지역의 특성과 참여자의 요구와 더불어 관련 교육기자재의 보유 여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곡성군은 종합사회복지관 같은 시설이 존재하지 않아 IT교육이 어려웠고, 보성군은 노인들의 단체 참여형태의 평생대학원과 행복교실을 운영하는 특징을 보였다. 지역의 노인복지관이나 종합사회복지관의 유무에 따라 여가프로그램의 양적 질적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여가복지시설의 운영프로그램 참여요인으로는 교통 접근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지방정부는 여가복지시설에서 운영되는 노인여가 프로그램을 정부가 개발하여 지역에 보급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여가프로그램을 추가하여 지리적으로 편차를 보이는 노인의 여가 프로그램에 누구나 참여하여 소외받는 노인이 없는 여가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제도적 정비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participation rate of leisure programs, and the actual status of operation over Gokseong-gun, Gurye-gun, Goheung-gun, and Boseong-gun in the eastern region of Jeollanam-do, which is a representative super-aged society in Korea. The result shows difference in the type of leisur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type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leisure program depending on the regions. The 32 leisure programs operated in the research area could be categorized into 5 types: health class, IT education, education class, music class, and hobby class. Leisure program with the highest participation rate in all regions is hobby class, and health class, education class, music class, and IT education follows. The highest participating leisure program in each region, which is health class in Goheung-gun, education class in Boseong-gun, hobby class in Gokseong-gun, and health class and hobby class in Gurye-gun respectively. This is affected by retention of educational tools and material as well a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participants. In particular, Gokseong-gun does not have facilities such as a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having a difficulty to proceed IT education, and Boseong-gun is characterized by operating lifelong graduate schools and happiness classes in the form of group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 local elderly welfare center or a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the difference of leisure programs is remarkabl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both, and the transportation access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operated in leisure welfare facilities.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develop and distribute the leisure program for the elderly operated in leisure welfare facilities and add appropriate leisure program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which encourages whoever to participate leisure program without exclusion by supporting institutional maintenance and policy support.

      • KCI등재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력 및 여가인지력에 대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신규리,박수정 여가문화학회 2014 여가학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leisure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elementary students. Their capability to adapt to school lives and the leisure awareness ability is mainly examined in this study. We surveyed 39 elementary students who lived in Incheon ares. The school adaptation capability is measured by four factors: school rules, friend relationship, school works, an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Similarly, the leisure awareness ability is measured by two factors: perceived leisure competence and perceived leisure control. Furthermore, the leisure program developed by Shin, Kim, and Lee (2013) is appli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our data analysis, we found that the leisure program cause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students attending the program in the factors used for measure the school adaptation capability except friend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used to measure the leisure awareness ability also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efore and after attending the program. This implies that the leisure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affects multi-cultural family elementary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력과 여가인지력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I시 관내 소속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총 39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학교생활적응력 및 여가인지력에 대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학교생활적응력은 학교규칙,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의 4요인으로, 여가인지력은 인지된 여가능력과 여가조절력의 2요인으로 구성하여 측정에 활용하였다. 또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은 신규리, 김영순, 이미정(2013)에 의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여가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검정한 결과, 교우관계를 제외한 학교생활적응력 전체, 학교규칙, 학교수업, 교사관계에서 프로그램 참가 전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1)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가인지력 전체 및 각 하위요인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역시 여가인지력 전체, 인지된 여가능력, 및 여가 조절력 모두에서 프로그램 참가 전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1)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행된 여가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력과 여가인지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및 여가인지력 개선을 위한 여가교육 프로그램개발

        신규리,김영순,이미정 여가문화학회 2013 여가학연구 Vol.10 No.3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isur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by exploiting the leisure education program with five sub-factors by Shin (2011), by which students' school life adaptation and leisure awareness ability are designed to enhance. The goal of the program is in enhancing students' school life adaptation, and this goal can be achieved by attaining the following two sub-goals: students can form their own self-identity, and students can acquire skills to get along with others. Furthermore, if students become aware of the necessity of leisure and acquire the leisure skills, their leisure awareness ability forms and students can adapt school life more efficiently. We suggest a leisure education program to achieve the goals, and this program targets the following: enhancing students' adaptation ability to teachers and friends; enhancing students' school work adaptation ability; increasing students' capability of leisure activity; helping students form positive self-concept; and helping students identify self-consciousness. These five targets are specifically provided to achieve the two sub-goals mentioned above.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생활적응 및 여가인지력 향상을 위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의 총 5개 하위구성요인(신규리, 2011)을 토대로 조사, 분석, 설계 및 구안단계의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거쳐, 방과 후 여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학교적응력 및 여가인지력 향상을 위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자아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기초로, 주요한 사회화 기관인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대인관계 및 교사들과의 관계 향상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케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학교적응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개인의 여가에 대한 필요성 인식 및 여가활용기술 등을 익힘으로써 여가인지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학교생활적응을 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목적에 따라 교사 및 교우적응, 학업적응, 긍정적 자기개념 형성, 여가에서의 자기인식 형성, 여가활용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구성된 최종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확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여가 및 체육활동 수업현장 혹은 방과 후 수업의 체계적 지원을 위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의 단계적 개발 및 지원이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부적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하나의 방안으로써 여가, 그리고 여가교육의 필요성을 널리 파급되어 다문화 사회의 도래로 인해 파생되는 사회문제 해결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프로그램의 적용 후, 여가교육을 통한 학교생활적응 및 여가인지능력 향상의 효과성이 실제적으로 검증될 경우, 정부는 폭 넓은 ‘문화지원 사업’을 통한 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