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한국어와 중국어 문장 의미어순 배열에서 나타나는 인지메커니즘

        진준화 ( Joon Hwa Jin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4 No.-

        본고는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가지는 중국어 어순에 대한 잘못된 견해를 바로잡고자 기획된 논문으로 한ㆍ중 어순에 대해 기존의 구조주의 및생성문법론자들이 표방하는 어순유형론적 통사어순 비교를 지양하고 한ㆍ중 문장 구성 성분들 간 배열에서 나타나는 의미어순의 인지 의미 메커니즘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ㆍ중 언어는 문장 구성 성분의 의미어순 배열에 있어 ‘인지 의미어순배열 원리’에 입각해 ‘시간’이라는 인지조건을 기반으로 서로 같은 방식의 의미어순 배열 메커니즘을 공유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한국어와 중국어는 문장 구성 성분의 의미어순 배열에 있어 ‘사건/동작 발생의 시간 순서, 원인과 결과의 시간 순서, 물리적 경험/지식의 고저/대소/장단의 시간 순서’라는 서로 공통된 인지 메커니즘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통된 시간인지특징을 의미어순 배열에 직접 투영시켜 언어생활을 하고 있다. 이는 ‘중국어는 한국어와 어순이 현저히 다르기 때문에 중국어를 습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다’라는 인식을 ‘한국어와 중국어는 그 의미어순 배열에 있어 서로 공통된 시간인지개념 순으로 배열이 되기 때문에 서로 같은 시간인지를 공유하는 한국인과 중국인은 매우 용이하게 서로간의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라는 인식의 전환에 어느 정도 도움을 주었을 것이라 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x the wrong view of the Korean native speakers on the Chinese word order. The writer puts more emphasi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gnitive mechanism of meaning-based sentence arrangement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than on the componential one of the syntax-based typological word order in Korean and Chinese sentences. The advocacy of the less emphasis point has long been prevalent among the structuralism and generative grammarians. This study shows that the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have the following features: the arrangement of meaning-based word order shares the same mechanism based on the time-oriented cognitive condition under the arrangement principle of semantic word order cognition regarding the sentence components. In other words, the time-oriented cognitive conditions such as ’time sequence of incident / action occurrence, of cause and effect, and of physical experience / of the pitch / volume / rhythm of knowledge` are sharing a common cognitive mechanism, which reflects on the daily use of language. This study will help us to reconsider the preconception: the acquisition of the Chinese language can be very difficult because of the distinctively difference of word order from the Korean language. Rather, it is more convincible that Korean and Chinese native speakers who are sharing the common time-oriented cognitive mechanism can easily acquire the each other`s language depending on the sentence arrangement of meaning-based word order.

      • 텍스트 구성에 대한 러시아어 어순의 제약성에 대한 연구

        김성완(Kim, Sung Wa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2

        언어 연구에 있어서 어순의 문제는 항상 논란의 중심에 있다. 생성문법학자들과 어순의 유형론을 주장하는 학자들 간의 의견 대립도 어순의 문제에 대해서 통일된 이론이 없음을 간접적으로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언어 기술에 있어서 텍스트를 언어단위로 인정한 텍스트 언어학의 등장으로 인하여 어순문제가 기능적 측면에서 다루어지게 되었는데, 프라그학파는 언어의 기능성을 강조하여 언어를 의사소통 층 위에서 연구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러시아어는 구조적으로 볼 때 형태의존도가 높은 언어로 분류되기에 문장 내에서의 어순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기능적 분절적 측면에서 보면 상당히 규칙적인 양상을 보인다. 러시아어 텍스트 구성에 있어서의 어순 결정 요인은 문법적 기능, 억양, 강조, 기능적 분절, 문맥 등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문법적 기능을 고려하지 않고 다른 요소들을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한다. 어순과 기능적 분절의 문제는 많은 언어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데에 있어서 아주 긴밀하게 관계되어져 있으며, 어순과 억양도 상호 간에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져 있다. 어순은 한 문장을 가지고 파악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고 텍스트 구성의 층위에서 고찰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문맥을 무시한 연구는 실제 발화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다양한 양상에서 일어나는 언어행위를 적절하게 연구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텍스트 구성에 있어서 러시아어 어순은 기능적 분절적 측면에 서 규칙적이며, 이 규칙을 벗어나는 경우는 다른 어순 결정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이고, 이 경우에 문체적, 의미적 변화를 수반한다. 2. 화제는 생략되거나 문장의 앞에 위치하게 된다. 질문에서 이미 그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생략이 더 자연스럽다. 3. 정보가 문두에 올 때는 반드시 억양의 이동이 수반된다. 4. 화제와 정보의 내부에서도 위치가 바뀔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어순은 문맥에 직접적으로 의지한다. 러시아어의 어순이 자유롭다고 하나, 어순이 바뀐 문장은 의미의 첨가나 변화를 이미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아무리 단순한 어순의 변화라고 할지라도 개인적인 발화 습관의 차이, 논리적 중요성의 변화, 발화 시의 상황 등이 고려된 것으로 봐야 하며, 어순의 변화가 내포하는 의미의 변화 정도가 다를 뿐이지 어순이 변화한 문장은 엄밀한 의미에서 보면 이미 다른 문장인 것이다. In linguistic study, the problem concerned to word order has been in the center of dispute. The antagonism between generative grammarians and other scholars insisting type theory of word order proves the fact that there is no consistent theory in the problem of word order. As the text linguistics that admits text as language unit in linguistic technology appears, the problem concerned to word order is dealt in functional aspect. Prague school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study on language by the layer of communication. When it comes to structure, the word order of Russian language is very liberal in sentence because it is classified into the language depending on type much. However, it shows significantly regular aspect from functional or articulative aspect. Decisive factors in the text structure of Russian language are grammatical function, intonation, stress, functional articulation, context, etc. Among them, the study tries analysis based on other factors without considering its grammatical function. Word order and functional articulation are closely correlated in the structures of sentences of many languages. Moreover, word order and intonation are closely correlated. Word order can't be understood with one sentence. It should be considered on the layer of text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study that does not consider context can't be applied to linguistic activity occurring in various aspects because it causes the result that does not consider utterance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considering these points are as follows. 1. In the text structure, Russian word order is regular from the aspect of functional articulation. If it escapes from the rule, it always accompanies meaning change. 2. Thema is omitted or located in the head of sentence. If the context is included in the question, the omittance is more natural. 3. If the rhema is located in the head of sentence, it always accompanies the change of intonation. 4. The change of word order depends on context. Although Russian word order is liberal, the sentence, whose word order is changed, already contains meaning addition or chang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hange of word order depends on difference of individual utterance habit, difference of logical importance and situation of utterance. Strictly speaking, the sentence, whose word order is changed, is already distinct sentence although the degree of meaning change contained in the change of word order is different.

      • KCI등재

        선진 중국어와 현대 중국어 어순의 유형론적 대조연구

        소창(SU CHA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서강인문논총 Vol.0 No.54

        언어유형론의 입장에서 볼 때 현대 중국어는 흔히 SVO 언어로 분류된다. 그러나 현대 중국어의 어순을 조사해 보면 우리는 아주 흥미로운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현대 중국어는 SVO 유형의 어순뿐만 아니라 SOV 유형의 어순도 많이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현대 중국어는 핵어 전치 어순 및 핵어 후치 어순이 혼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은 현대 중국어가 단순히 SVO 언어에 속한다고 여기는데 이러한 견해는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 예컨대 중국어의 명사구 관련 어순 및 술어관련 어순은 거의 SVO 언어의 어순 특징에 맞는다고 생각할 것이다. 사실 중국어의 명사구 관련 어순은 오히려 SOV 언어와 어순이 유사하다. 중국어의 술어 관련 어순도 SVO 언어의 어순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대 중국어의 특수한 어순 현상을 일반화된 원리로 설명하고 해석하는 것은 언어학의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본고는 이를 해석하고 더불어 중국어 어순 변화 및 발전의 과정을 탐구하기 위해 통시적인 고찰을 진행하였다. 통시적인 고찰을 통해 고대 중국어(선진 중국어)부터 현대 중국어까지 중국어는 전형적인 SVO 언어가 아니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한편, 선진 중국어와 현대 중국어의 어순을 대조하면서 많은 차이점을 찾아냈다. 우선, 기본어순을 고찰할 때 선진 중국어의 부정문에는 목적어가 항상 동사 앞에 오는데 현대 중국어에 이르러서 문장 유형과 관계없이 목적어가 일관되게 동사 뒤에 위치한다. 명사와 수식어의 어순에서 현대 중국어의 수식어가 모두 피수식 명사 앞에 오는데 선진 중국어는 현대 중국어보다 어순이 복잡하다. 즉 수식어가 피수식 명사 앞에 오기도 하고 뒤에 오기도 한다. 술어 관련 어순을 보면 우선,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의 어순에서는 현대 중국어는 ‘간접 목적어 + 직접 목적어’의 어순이 주도적이고 선진 중국어의 경우 ‘간접 목적어 + 직접 목적어’의 어순, ‘직접 목적어 + 간접 목적어’의 어순을 모두 갖는데 전자가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목적어와 부사의 어순에서도 선진 중국어가 현대 중국어와 다르게 나타나는 어순 현상이 관찰되었다. 위와 같은 고찰을 통해 선진 중국어의 핵어와 보충어의 어순은 현대 중국어보다 더 복잡하고 선진 중국어의 핵어 후치적 경향은 현대 중국어보다 덜 하다고 말할 수 있다. In studies of language typology, Chinese is usually classified as a SVO type language. But interestingly, we find not seldom the SOV pattern word order in the Modern Chinese. We might say that the Chinese language shows a mixed pattern of SVO and SOV in its basic word order. In Other Words, It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Chinese language that it has both the head intial and head final word order. So how to explain the special phenomenon in chinese is one of the important topics in linguistics and language typology. To explain and understand the specificity in chinese word order in depth and explore the changes and development progress from the Old Chinese(pre Qin period) to Modern Chinese, this paper made a diachronic research. Through the diachronic research we attested Chinese is not a typical SVO languag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However we also found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Archaic Chinese and Modern Chinese. In Archaic Chinese, O always proceeds V in the negative sentence, where it is not the case in the Modern Chinese. The classifier always comes before nouns in the Modern Chinese whereas its position is flexible in the Archaic Chinese. In terms of predicate related order the Modern Chinese shows the IO + DO order pattern, but the reverse order pattern is also attested in the Archaic Chinese. In the order of the object and adverbs we found also some difference between the Archaic Chinese and Modern Chinese.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s we conclude that the order of complements and their heads is more flexible in the Archaic Chinese than in the Modern Chinese. We can say that Archaic Chinese has a head final tendency less than Modern Chinese.

      • KCI등재

        국어 병렬 어순의 기초적 유형과 어순삼각도의 제안

        장태진 국어학회 2008 국어학 Vol.0 No.52

        1. 병렬 어순은 원초적 유형으로, 선행 어휘 요소(P<sub>1</sub>)와 후속 어휘 요소(P<sub>2</sub>)가 각기 긍정적 의미(Af)와 부정적 의미(Ne)에 일치하는 어순 A형(정순형)과 선행 어휘 요소와 후속 어휘 요소가 각기 부정적 의미와 긍정적 의미에 일치하는 어순 B형(역순형)으로 대별한다. 한국어에 있어서는 어순 A형이 기본적이며, 어순 B형은 부수적이다. 이것은 일반 언어에 있어서 선택적 특징이 될 것이다. 2. 기본적 유형으로서 질량적 유형은 어 위치(P<sub>1</sub>, P<sub>2</sub>)와 기초 어휘, 단어 빈도(상대적 빈도) 등을 공동화한 것이다. 그리고 기초적 어순에 관하여, 동결 어순/상황 어순, 단순/양순 등을 분류한다. 이것은 사회언어학적 접근의 대상이다. 더욱 질량적 유형의 기술을 목적으로, 어순삼각도를 제안한다. 3. 이것은 [친근성]의 강약, 단어 빈도의 고저를 표현하는 친소축과 [우월성]의 선후, 어휘 계급제와 어의 사회·문화적 의미가 관여하는 우열축으로써 어순삼각도을 작성한다. 그리하여 이것은 긍정적 의미, 부정적 의미가 교차적으로 일치하는 어순 A형(정순형)과 어순 B형(역순형)의 두 가지를 통합하고 있다. 여기 어순삼각도는 가로 세로를 3등분하여 친근역(Fam), 중간역(Mix), 우월역(Sup), 소원역(Est), 열등역(Inf)등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삼각형의 극점과 어례(EP₁ 사람, EP₂ 신, EP₃χ)를 든다.

      • 한국어, 러시아어, 영어 어순의 유형론

        임흥수(Im, Heung Su)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9 동유럽발칸학 Vol.11 No.1

        본 논문은 부사의 위치 및 그와 관련된 어순을 중심으로 한국어, 러시아어, 영어를 유형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보편성과 특수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기본어순이 SOV인 한국어에서는 조사(후치사)에 의해 여격과 대격을 나타내는데 그 순서는 ‘여격-대격’의 양상을 보이고, SVO인 러시아어에서는 격 관계가 명사 자체의 곡용에 의해 표현되므로 어순은 자유롭게 변이될 수 있다. 하지만 동사구 내의 무표적인 어순은 ‘여격-대격’의 순서를 취한다. 역시 SVO인 영어는 독일어와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여격-대격’의 어순과 ‘대격-여격’의 어순이 둘 다 나타난다. 조동사와 본동사의 상대적 어순은 기본어순인 SOV와 SVO 어순에 그대로 일치한다. 즉 SOV 언어인 한국어는 ‘본동사-조동사’ 어순을 취하고 SVO 언어인 러시아어와 영어는 ‘조동사-본동사’ 어순을 취한다. 목적어와 부사와의 관계는 주어를 제외하면 <동사+목적어+부사> 즉, VOA 또는 <부사+목적어+동사>, AOV라는 규칙성을 보인다. 몇 개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동사와 목적어 사이에 다른 요소를 두지 않으려는 경향이 뚜렷하다. 두개 이상의 부사가 연속될 경우에도 개별언어간 보편성을 발견 할 수 있다. 예컨대 SVO 언어에서는 VA1A2의 순서인 데 반해 SOV 언어에서는 VA2A1라는 역순을 보이지만, 동사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두 유형의 언어에서 모두 A1A2의 순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사를 중심으로 그와 친밀하고 가까운 것이 동사 가까이에 놓이려는 언어의 보편적인 경향이 어순을 결정짓는 원리라는 것을 인정하면 SOV 언어에 속하는 한국어와 SVO 언어에 속하는 러시아어, 영어가 이러한 어순의 대칭구조를 갖는다는 것은 당연하다. 부사의 위치를 동사를 중심으로 비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세 언어, 즉 한국어, 러시아어, 영어가 비록 서로 다른 어족에 속하지만 일정한 부사의 위치가 동사를 중심으로 볼 때 일정한 규칙, 즉 유형적 보편성이 발견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both the language universals and language particulars by the typological comparison of word order among the Korean, English, Russian languages with the focus on the positions of adverbs. Its secondary aim is to provide some typological data which can predict and prevent interference condi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s for the relation between objects and adverbs, aside from subjects, no other element is found between them (<verb + object + adverb> or <adverb + object + verb>) except some frequent adverbs in Russian and English (<adverb + verb + object>. When the successive adverbs occur, they seem to be mirror images of adverb orders. Considering the distances from the verbs, each language has consistent adverb orders.

      • KCI등재

        러시아어 존재문의 어순

        송은지(Song Eun-Ji)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3

        본 연구는 러시아어 존재문의 어순 변이, 특히 서술어 동사와 주어 명사로 구성된 존재문의 중립적 어순, 혹은 객관적 어순과 도치 어순, 혹은 주관적 어순이 어떤 의미, 화용론적 변수에 의해 결정되는지를 분석한 것으로 기존 어순 연구가 존재문의 무표적 어순인 V?와 그 도치 어순 ?V를 문체적, 정서적 차원에서만 그 변별성을 찾으려 했던 것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였다. 전통적인 FSP 연구는 어순, 강세, 화제구조, 정보구조, 그리고 통사구조의 대응을 체계화하면서 문법 차원과 의미, 화용 차원의 독립성을 간과하였다. 더욱이 강세와 어순을 상호보완적 혹은 강세를 어순에 대한 종속변수로 취급한 것은 존재문에도 적용되어 V?와 ?V를 본질적으로 자유변이, 동의구조로 파악하는 오류를 보였다. 강세와 어순은 둘 다 독립적인 차원에서 작용하는 화용론적 표현수단으로 존재문의 경우 V?어순과 ?V어순은 이분적 화용구조로는 변별성을 갖기 힘들고 어순은 불연속적 분절 구조가 아니라 비분절적 연속체라는 점에서 기존의 FSP 연구에서 충분히 그 섬세한 변이가 파악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 러시아어 존재문에 사용되는 준존재동사들의 어휘의미가 존재 의미 이외의 존재 대상에 대한 특징적 서술 정보가 현저할수록 V?어순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음을 주장했다. 이는 V?어순과 동사의 탈어휘화가 상호관련성 있음을 함의하고, 나아가 동사가 문미에 오는 어순(SV)이 동사의 탈어휘화를 저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추론케 한다. 이로써 본 연구는 기존에 변이 어순으로만 알았던 두 어순의 분포에 동사의 어휘의미가 관련됨을 밝혔고 강세와 어순이 같은 정보, 화제구조를 표지한다 하더라도 러시아어의 어순 변이는 임의적인 것이 아니고 특히 어순은 강세와 별도로 존재문 해석 여부에 영향을 끼침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모호하게 동일시되었던 존재문과 제시문에 대해 두 개념의 변별성을 살피면서 후자가 사건의 존재를 제시하는 일종의 존재문이라 볼 수 있고 존재문과 서술문이 문법적으로 서로 다른 범주지만 화용적으로 비분절문의 같은 구조를 가지고 어순, 강세가 동일한 양상으로 실현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로써 원형적인 존재문과 주변적인 사건 제시문이 일종의 연속체로 방사범주를 형성함을 밝혔다. 본 연구는 나아가 서사체 담화에서 두 어순의 차이를 살폈는데 V?어순이 거리를 두고 외부적 관점에서 변화를 관찰하는 역동적 관점이라면 ?V어순은 화자의 관점이 등장인물의 관점과 동일시하거나 내적 관점, 정태적 관점, 주관성의 표현으로 지각, 의식의 주체가 사물에 대한 인지나 논리적 추론의 순서를 도상적으로 나타내고 이로써 두 어순이 상호보완적인 서사전략으로 활용 가능함을 주장했다. Most previous studies on 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 do not do justice to word order variation of existential sentences in Russian by treating word order inversions in stylistic or emotive terms. The study argues that mutually exclusive binary terms of thematic and information structures, that is, topic-focus, old information-new information, can not illuminate subtle variations in Russian word order, such as V? and ?V of Russian existential sentences. In traditional word order studies with structuristic orientation, stress or intonation has been treated as a bound variable for allegedly more important and deterministic word order in expressing FSP, and this has been very detrimental to research on “subjective word order”, which has been glossed as a mere stylistic variation of “objective word order”. The study has shown that Russian existential and presentational sentences have vague boundaries due to formal, semantic, and pragmatic similarities, and existential sentence should be understood as a radial category including not only core existential sentences with proper existential verbs, but also predicative presentational sentences with lexical verbs with a range of characteristic meanings on periphery. Thus existential-predicative dichotomy is erroneous and the pseudo-existential verbs also form a continuum with varying degrees of lexical specification. The study argues that word order variation is influenced by the lexical semantics of the pseudo-existential verbs: the more specific information a verb has other than the existential meaning, the more likely the verb is to show V? order. In other word, delexicalization or ‘bleaching’ in verbal semantics is correlated with V? order and this entails that the marked order ?V, due to the sentence-final position of the verb, may feed the literal reading of the verbs. Further, this study tries to show the subjective word order ?V encodes the point of view of characters(participants of the narrated events) in narrative discourse and this is often exploited in free indirect style or represented speech and thought. ?V is an iconic order in that subject of consciousness follows the order of perceived objects or the order of subjective reasoning or perception, which is often expressed in narrative or historic present tense. While V? order evokes distant, outer, dynamic perspective, ?V order close, inner, static perspective. Narrative discourse can take full advantage of these complementary word order strategies in mixing voices and points of view.

      • KCI등재

        갑골문에 보이는 목적어의 어순 변화 양상 연구

        류동춘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3

        현재 중국어 속에서 동사와 목적어의 기본 어순은 VO 어순이지만 선진시기의 중국어에는 OV 어순이 적지 않게 보인다. 선진시기 이후에 중국어의 OV에서 VO로 통시적 변화 과정에 대해서는 선행 연구가 적지 않지만, 갑골문에서는 OV 혹은 VO 어순이 어떤 양상인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깊이 있는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갑골문을 대상으로 하여 가장 이른 시기 중국어의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을 문형과 품사에 따라 나누어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갑골문에는 이후 시기에 비해 OV 어순이 더 많이 보이며, 이는 중국어의 어순이 OV에서 VO로 변화하는 추세로 볼 때, 언어변화의 원칙에 부합한다. 아울러 본고에서 처음 찾은 긍정문 속 대명사 목적어의 OV 어순 증거는 기존 견해에 따르면 설명할 수 없었던 갑골문에 없던 OV 어순이 왜 후대에 출현하는지를 해결해 준다. 즉, 갑골문 긍정문에서 공존하던 VO 어순과 OV 어순이 후대에 점차 VO 어순으로 수렴되었으며 이는 어순 변화가 단계적으로 진행되었음을 증명한다. 갑골문에서 명사 목적어가 대명사 목적어보다 일찍 VO 어순으로 변화한 것 또한 범언어적 경향과 일치한다. 마지막으로 목적어가 명사인 경우, 술어 전체에 초점이 있는 대정복사보다 목적어에만 초점이 있는 선정복사에 OV 어순이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데, 이것은 어순과 초점의 관련성을 보여준다. 갑골문에 보이는 이런 양상은 중국어 목적어 어순의 통시적 변화의 흐름에 어긋나지 않으며, 언어 보편적 원칙에도 부합한다.

      • 누가복음 1:5-38의 대화 소개구 어순 분석과 언어적 배경

        김주한 總神大學校 2020 總神大論叢 Vol.40 No.-

        본 연구는 셈어의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진 누가복음 1-2장의 배경 언어가 무엇인지를 연구한다. 학자들은 누가복음 1-2장에 히브리어의 직접적인 영향 하에 있다고 본 “셈어 문체주의”와 『70인 역』 헬라어의 중재로 셈어의 특징을 나타나게 되었다는 ‘『70인 역』 문체주의’를 주장했다. 이 두 주장 모두 셈어의 언어적 배경을 말하지만 셈어의 영향 방식에 대해 차이를 드러낸다. 한편, 필자는 이전 연구를 보충하기 위해 어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어휘나 어구와 달리 어순은 해당 언어의 특징을 분명히 드러내 주기 때문이다(예. 히브리어는 ‘동사-주어-목적어’ 어순. 그러나 헬라어는 대체로 자유로움). 어순 분석을 위해 누가복음 1:5-38을 선별하여 그 안에 등장하는 대화의 소개구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누가복음 1-2장의 어순이 히브리어 어순이 아닌 『70인 역』을 따르는 것으로 드러났고, 동시에 이는 누가의 다른 저작들과는 차이가 난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근거로 필자는 누가복음 1-2장이 『70인 역』 헬라어를 중재로 셈어의 영향을 받았다고 결론지었다(『70인 역』 문체주의).

      • KCI등재

        시베리아 북극의 야쿠트어와 돌간어의 어순 비교: 유표성(Markedness) 이론을 중심으로

        서승현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2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6 No.4

        Dolgan Language and Yakut Language are classified as northeastern Turkic language family and are linguistically very closely related, so Dolgan is sometimes considered a dialect of Yakut. However, based on sociocultural and political factors, it can be regarded as a separate language. Dolgan Language and Yakut Language are kinship languages with many linguistic commons such a vowel harmony, but they show differences in their word order.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 of the occurrence of two languages in the Taymir Peninsula and analyzes the linguistic background and cause of the differences in word order of the languages. Chapter 2 deals with the formation of languages in Taymir Peninsula. The origins and association between Dolgan and Yakut languages are mentioned in Chapter 3. Chapter 4 deals with the word order of the languages. Dolgan language better accepts modified patterns in word order than Yakut, especially the acceptance of SVO. Importantly, the object following the verb may not necessarily mean already activated topic or additional expression, but also occur in practical neutral remarks. I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word order patterns of Dolgan and Yakut languages in Chapter 5, it can be concluded that Dolgan and Yakut languages differ greatly in relation to the frequency of non-standard VO word order regardless of the text genre.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VO, a non-standard word order, is much higher in Dolgan languages than in Yakut, and may predict continuous word order changes in Dolgan languages.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of Chapter 6, two possible factors for the increase in the modified VO word order of Dolgan are presented. First, it can be an internal development of language. Second, it can be motivated by contact with Russian. In addition, Levshina, Namboodiripad, et al (2021), a perspective on word order in linguistics, defined the flexibility of word order change as a degree of diversity and advocated a gradient approach. Their gradual approach is a methodology that allows access to linguistic phenomena such as variation, change, and universality. Instead of simply referring to word orders that provide clues to infer subjects and objects, we measure the reliability and strength of this variability based on data from the field. Based on this gradual approach, when it comes to word order flexibility of Dolgan and Yakut related to the markedness theory, Dolgan in which the transition from OV to VO occurs more frequently is more marked than Yakut. 야쿠트어와 돌간어는 북동부 튀르크계 언어로 분류되며, 언어학적으로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돌간어는 때때로 야쿠트어의 방언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사회문화적 및 정치적 요인에 근거하면 별개의 언어로 간주될 수 있다. 핀란드어, 헝가리어, 터키어처럼 돌간어와 야쿠트어도 모음조화를 보이는 등 많은 언어학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친족어이지만 그들의 어순(Word Order)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타이미르 반도에서 두 언어 발생의 기원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들 언어가 보이는 어순의 차이점과 그 차이점에 대한 언어학적 배경 그리고 원인을 분석해 보고자한다. 제2장에서는 타이미르 반도의 언어 형성과 제3장에서는 야쿠트어와 돌간어의 기원과 연관성을 다룬다. 제4장에서는 돌간어와 야쿠트어의 어순을 다룬다. 돌간어가 야쿠트어보다 표준 어순에서 변형된 패턴을 더 잘 수용하며, 특히 SVO의 수용이 그 예이다. 중요한 것은, 동사 다음에 오는 목적어가 다른 이미 활성화된 화제 또는 추가 표현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용적인 중립적 발언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5장의 돌간어와 야쿠트어의 어순 패턴의 비교 연구에서는 돌간어와 야쿠트어는 텍스트 장르에 관계없이 비표준적인 VO 어순의 빈도와 관련하여 서로 크게 다르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비표준적인 어순인 VO의 발생 빈도는 야쿠트어보다 돌간어에서 훨씬 높으며 돌간어의 지속적인 어순 변화를 예고할 수 있다. 제6장의 토론 및 결론에서는 돌간어의 변형된 VO 어순 증가에 대한 두 가지 가능한 요인을 제시하였다. 첫째, 언어 내적 발달이 될 수 있다. 둘째, 러시아어와의 접촉에 의해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다. 또한, 언어학에서 어순을 바라보는 하나의 시각인 Levshina, Namboodiripad, et al(2021)은 어순 변화의 유연성을 정도의 다양성으로 정의하고 점진적 접근법(Gradient approach)을 주장하였다. 그들의 점진적 접근법은 변이, 변화, 보편성과 같은 언어학적 현상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단순히 주어와 목적어를 추론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하는 어순을 언급하는 대신 현장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 변동성의 신뢰성과 강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점진적 접근법에 바탕을 두어 유표성과 관련한 돌간어와 야쿠트어의 어순 변형성에 관하여 말한다면, OV에서 VO로의 전환이 더 자주 일어나는 돌간어가 야쿠트어보다 더 유표적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雪國」(설국)에 나타난 연체수식어의 어순과 특징

        오현정(吳玹定) 한국일본어학회 2010 日本語學硏究 Vol.0 No.27

        본고에서는 일본의 대표적인 소설, ‘설국’을 대상으로 연체수식어의 어순의 경향을 제시하고, 어순을 중심으로 작품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체수식구조는 작가의 여러 가지 표현 기법이나 작품의 묘사적 특징이 잘 드러나는 부분으로 특정 작품을 대상으로 어순적 특징을 관찰함으로서 기존의 문학적 분석과는 다른 관점에서 작가의 표현세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설국’의 연체수식어의 어순을 길이에 의한 조건과 구문적 요인에 의한 조건으로 나누어 고찰해본 결과, ‘설국’은 연체수식어의 어순을 지배하는 모든 조건을 매우 충실히 따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복수의 연체수식어가 함께 쓰인 경우, 긴 수식성분은 그보다 짧은 수식성분 앞에 놓여 있으며, 비 속성적 수식어는 그보다 속성적 수식어 앞에 놓여 있다. 특히 각각의 조건을 따르고 있는 정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이 작품은 매우 일반적인 어순으로 쓰인 작품으로 어순의 파괴가 극히 절제되어 있다. 단, 여주인공의 묘사와 관련하여 길이의 조건을 위배하는 용례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본고는 문학작품의 어순이 작품의 특징과 상관되어 있다는 입장에서 연체수식어의 어순과 특징을 제시한 것으로, 금후 보다 많은 개별 작품의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어순을 지배하는 다른 조건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